KR0146964B1 -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964B1
KR0146964B1 KR1019890701802A KR890701802A KR0146964B1 KR 0146964 B1 KR0146964 B1 KR 0146964B1 KR 1019890701802 A KR1019890701802 A KR 1019890701802A KR 890701802 A KR890701802 A KR 890701802A KR 0146964 B1 KR0146964 B1 KR 0146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pring
stabilizer
stops
thrust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312A (ko
Inventor
제임즈 래리 스케토
Original Assignee
티. 엘. 썩스턴
썩스턴 엔터프라이즈 인코오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 엘. 썩스턴, 썩스턴 엔터프라이즈 인코오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 엘. 썩스턴
Publication of KR90070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 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차량 스티어링, 특히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안전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휘일을 직선 정방향을 향하여 굽힘 가능하게(yieldably) 바이어스하면서 차량의 스티어링 연결을 안정시키기 위한 안정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종래의 안정장치는 하나 이상의 편향 스프링에 의해 중간 연장위치로 굽힘 가능하게 바이어스된 유체댐프 충격흡수기(fluid damped shock absorber)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장치는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부와 차체프레임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며, 안정장치의 연장위치로 바이어스된 스프링에 대응하여 차량 휘일은 직선 정방향을 유지한다. 차량 휘일이 회전한 결과, 안정장치가 연장 또는 수축되고, 회전력이 제거 또는 소멸될 때에는, 바이어싱 스프링은 안정장치를 바이어스된 위치로, 따라서, 휘일을 직선 정방향으로 회귀시키려는 경향을 가진다.
대형차량의 전륜(front wheels)용의 공지된 안정장치는 유용한 반면, 다소의 결점을 가진다. 차량의 스티어 조작가능한(steerable) 휘일용의 이중스프링 안정장치는 플랭크(plank)의 미국특허 제1,745,117호, 헤프런(Heffren)의 특허 제3,980,315호 및 섹스톤(Sexton)의 특허 제4,406,473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두 스프링이 사용되며, 한 스프링은 휘일을 좌회전으로부터 정렬위치로, 또 한 스프링은 휘일을 우회전으로부터 정렬위치로 가압한다. 두 개의 스프링이 사용되므로, 불균일한 스티어링 반응 또는 고르지 못한 휘일의 회귀 운동이 간혹 발생하는데, 이는 스프링들이, 특히 연장이 반복되는 경우, 동일한 스프링 장력을 가지지 못하고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중스프링 안정장치는 부품의 이중생산과 조립상의 불편으로 인해 단일 스프링 안정장치에 비해 제작비가 고가이다. 대형차량의 스티어 조작가능한 휘일에 사용되는 공지의 단일 스프링 안정장치는 파포섹(papusek)의 미국특허 제3,464,688호 및 파포섹(papusek)의 제3,951,391호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각 장치는 차량 휘일이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되었다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신장되는 단일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타잎의 단일 스프링 안정장치는, 압축된 스프링의 회복력이 스프링이 팽창 또는 신장될때의 회복력과 동일하지 않으므로, 고르지 못한 스티어링 반응과 회귀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이 스프링은 휘일이 일렬 정렬되고 안정장치가 이 위치에 있을 때 신장 혹은 압축을 전혀 받지 아니하므로 바이어스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한 바이어싱함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양쪽 방향으로 동일한 바이어싱함을 제공하고, 강한 바이어싱함을 제공하며,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스티어링 연결부 안정장치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것이며, 또한 이 안정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단일 코일스프링에 의해 중간 연장위치로 바이어스된 유체댐프 충격 흡수기를 포함한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안전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정장치는 안전장치가 스프링 바이어스된 중간 연장위치에 있을 때 차량 휘일이 직선 정방향을 유지하도록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 부 및 차량 프레임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차량 휘일이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정장치가 압축되면, 스프링이 압축되어 안정장치를 바이어스된 위치로 회귀시키려고 하는, 따라서, 휘일을 직선 정방향으로 재정렬시키려고 하는 힘이 제공된다. 휘일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정장치가 팽창되면, 스프링이 다시 압축되어 반대방향으로의 중심잡기힘이 제공된다. 또한, 안정장치가 스프링 바이어스된 위치에 있고, 휘일이 직선 정방향 위치에 있을때는, 스프링은 다소 압축된 상태에 있으며, 안정장치의 바이어스된 위치에서 차량 휘일이 직선 정방향으로부터 일탈하려는 것을 제지하는 강한 바이어싱힘을 제공한다.
스프링은 안정장치가 압축될때와 팽창될 때 모두 압축되므로, 휘일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 스프링에 의한 중심잡기힘은 양방향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욱, 스프링은 안정장치가 바이어스된 위치에 있을 때 압축상태에 있으므로, 안정장치를 바이어스된 위치, 따라서, 휘일을 직선 정방향으로 유지하려 하는 강한 힘을 제공한다. 이리하여, 선행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안정장치가 실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의 안정장치는 단일 스프링 구조를 채택하므로 이중 스프링 안정장치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목적은 휘일의 어느 방향으로의 운동에 관계없이 동일한 중심잡기힘을 제공하는 안전 안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안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장치를 장착한 차량 스티어링 기구의 하부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스티어링 기구의 확대 부분 상부개략도,
제3도는 안정장치의 부분사시도,
제4도는 안정장치를 통한 중앙 수직 세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상을 따라 취한 가로 수직 단면도이다.
[상세한 설명]
도면을 참조로 하면, 동일 참조번호는 도면에서 동일 요소를 나타내는데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안전 안정장치(10)를 구비한 차량 스티어링 기구를 도시한다. 차량 안정장치(10)는 주프레임 부재(11)와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12)의 가동부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볼트(13)는 안정장치(10)의 한단부에 고정된 아이(eye; 14)를 통한 연결로 프레임 부재(11)로 안정장치(10)의 한단부를 고정시키고 있다. 안정장치의 다른 단부는 중간 지점에서 스티어링 연결 가동부(12)로 아이(16)를 통하여 다른 볼트(15)에 의해 동일하게 고정된다.
스티어링 연결부(12)는 2개의 짧은 길이부(17를 통해 스티어링 아암(18)에 연결되고, 이 아암은 다시 제1도에 도시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차량 휘일에 연결된다. 스티어링 연결부(12)의 한단부는 스티어링 칼럼(22)을 통하여 차량 스티어링 휘일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티어링 기어(21)의 아암(22)에 핀 또는 볼트(19)에 의해 연결된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휘일이 정직선 방향의 어느 한편으로 회전할 때,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부(1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안전 안정장치(10)가 압축되거나 팽창(신장)된다.
개시된 스티어링 연결은 대개 공지된 것이고, 그 구조는 차량의 모델 및 형태에 따라 어느 정도 변경될 수 있다. 안전 안정장치(10)는 다양한 타입의 스티어링 연결부에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된 특정의 스티어링 연결부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장치(10)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심에 피스톤(25)를 가지는 실린더(24)를 구비한 코어요소(23)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은 점성 유체(27)가 저항하면서 그 내부를 흐르도록 하는 축방향 관통포트(26:제5도)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25)은 실린더(24)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며 안정장치의 코어요소(23) 위로 끼워진 큰 실린더(40)의 단부판(29)에 부착된 피스톤로드(28)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40)는 제1원통형 부분(30) 및 제2원통형 부분(33)을 포함하며,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제1원통형 부분(30)은 제2원통형 부분(33)보다 내부 직경이 작으므로, 원통형 부분들이 접합되는 부근 위치에서 환형 돌출부 또는 정지부(38)가 실린더(40)의 내측면상에 형성된다. 정지부(32,38)의 단부는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4,40)를 따라서 위치될 수 있다. 코어요소(23)는 실린더(40)를 통하여 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는 보통 환형 정지부(38)상 위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환형 돌출부 또는 정지부(39)는 코어요소(23)의 내부단부 부근에서 그 외부에 부착되어 있어서 보통 코어요소(23)와 스티어링(40의 제1부분(30)사이의 오버랩된 영역내에서 연장되어 있다. 환형 돌출부 또는 정지부(31)는 실린더(40)의 개방단부 부근에서 실린더(40)의 보어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환형 돌출부 또는 정지부(32)는 실린더(2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실린더(24 및 40)이 제4도에 통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 정지부(31,32)들은 상호 동축 및 동심관계를 이루게 된다.
코일스프링(35)은 코어요소(23) 및 실린더(40)사이의 공간내에 위치하고 있다. 코링스프링 단부는 실린더(40)의 중앙부 부근에서 정지부(38 및 39)와 맞닿고 실린더(40)의 단부 부근에서 정지부(31 및 32)에 맞닿는 이동가능한 쓰러스트와셔(Thrust washer; 36,37)에 지탱되어 있다.
바람직한 코일스프링 배열은 코어요소(23)가 스스로 중심잡도록 하는 것, 즉, 외부하부가 없을 때 피스톤이 제4도에 되시된 것처럼 실린더(24)의 실질적인 길이방향 중심쪽으로 바이어스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는정지부(31,38)및 정지부(32,39)는 스프링(35)이 비압축된 상태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 스프링(35)에 의한 압축으로 실린더(24)에 바이어싱 힘이 가해지게 된다. 안정장치(10)는(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장치의 바이어스된 즉, 보통의 위치가 차량 휘일의 직선 정방향에 대응하도록 차량상에 설치된다.
이 배열에 의해, 스프링(35)은 보통 위치로 안정장치를 바이어스 하려는 경향, 따라서 직선 방향으로 차량 휘일을 바이어스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에 따라, 안정장치는 외력을 댐프닝(dampening; 진동감쇠)시키고 피스톤로드를 통해 차량 프레임에 전달함으로써 외력이 스티어링 연결부를 통하여 운전자의 핸들(스티어링 휘일)에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제4도에서, 차량 휘일상의 외력이 실린더(24)를 실린더(40)의 더 안쪽 좌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 점성유체(27)안에서 이동하는 피스톤(25)이 가하는 저항에 저항에 의해 이 외력은 효과적으로 감쇠된다. 동시에, 정지부(32)는 우측 쓰러스트와셔(36)를 좌측으로 가압하고, 좌측 쓰러스트와셔(37)는 정지부(38)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코일스프링(35)은 압축되어 외력에 더욱 저항하게 된다. 외력이 제거될 때, 코일스프링(35)은 실린더를 통상의 바이어스된 위치로 회귀시키고, 또한 이 과정중 차량 휘일을 직선 정방향으로 회귀시킨다.
핸들의 회전이나 지면 불균일로 인한 휘일의 영향으로 스티어링 연결부에 외력이 작용하여 실린더924)가 제4도의 우측으로 이동되려 할 때에는, 쓰러스트워셔(36)는 정지부(31)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정지부(39)가 쓰러스트워셔(37)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코일스프링(35)이 다시 압축된다. 유체(27)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25)은 급작한 외력을 진동감쇠시키며, 코일스프링(35)은 안정장치, 차량스티어링 연결부 및 차량휘일을 통상적인 중심위치, 즉, 직선 정방향위치로 다시 회귀시킨다.
이와 같이, 스프링(35)은 휘일을 직선 정방향으로부터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거되거나 소멸될 때, 차량 휘일의 중심을 잡도록 배열된다. 동일한 코일스프링이 양쪽 방향으로 안정장치의 중심을 잡도록 사용되고,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힘이 유도되므로, 안정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양방향의 중심잡기힘(centering force)은 동일하다. 또한 스프링은 안정장치가 통상의 중심위치에 있을 때 압축 상태이므로, 안정장치를 중심위치에 유지시키려고 하는 강한 힘이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고, 결과적으로, 휘일의 직선 정방향으로부터의 이탈이 제지된다. 그리고, 단일 스프링 배열은 세심한 스프링 대응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이중스프링 안정장치에 비해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본원의 안정장치는 간단하고, 콤팩트한 단일 구조체로써, 실용적이고 설치가 간편하며, 케이블, 턴버클(turn buckle), 외부 스프링이거나 기타의 결속 혹은 조정기구를 요하지 않는다.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재중심잡기 힘(recentering force)은, 스프링이 양쪽 방향으로 압축되는 결과, 안정장치의 연장 및 압축된 양쪽 위치에서 모두 동일하다. 안정장치가 중심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은 압축상태이므로, 안정장치의 이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견고한 힘이 제공된다.
비록 본원 발명이 실시예의 형태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가령, 단일 스프링은 예컨대, 인접스프링 사이에 워셔를 가진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스프링과 같은 균등물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여러 변경이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 개시된 사상과 영역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차량의 고정부 및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부 사이의 연결을 위한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를 위한 안정장치에 있어서, 길게 연장된 외부부재; 상기 외부부재의 단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부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게 연장된 내부부재; 상기 내부부재는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한쌍의 상호 이격된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부재는 그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한쌍의 상호 이격된 정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부재 정지부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내부부재 정지부간의 이격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내부부재 정지부는 상기 내부부재가 상기 외부부재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부부재 정지부를 지나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상화되며; 상기 내부부재 둘레로 상기 외부부재내에 배설되며, 상기 내부부재 정지부 및 상기 외부부재 정지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압축스프링; 상기 내부부재 둘레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한단부 및 인접한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정지부 사이에 위치한 제1환형 쓰러스트 워셔수단 및 상기 내부부재 둘레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대향단부 및 인접한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정지부 사이에 위치한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수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은 통상 상기 환형 쓰러스트 워셔수단이 상기 내부 및 외부정지부와 접속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내부 및 외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어느 한편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길이방향으로 대향한 내부부재 및 외부부재 정지부가 쓰러스트 워셔들을 더 밀접하게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스프링이 내부부재 및 외부부재의 상대적 이동을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지부들은 비압축상태의 스프링 길이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정지부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내부 및 외부부재 정지부가 실질적으로 방사상 정렬된 상태로, 상기 내부부재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외부부재에 대한 소정의 길이방향 위치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의 상기 외부부재에 대한 길이방향 이동을 제지하기 위한 진동감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4. 차량의 고정부 및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부 사이의 연결을 위한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를 위한 안정장치에 있어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한단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실린더의 안쪽에 위치한 제1단부와 상기 제1실린더의 바깥쪽에 위치한 제2단부를 구비한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둘레로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압축스프링; 상기 제2실린더가 소정의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격이동될 때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1실린더 내부의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어느 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2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5. 차량의 고정부 및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의 가동부 사이의 연결을 위한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를 위한 안정장치에 있어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한단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실린더의 안쪽에 위치한 제1단부와 상기 제1실린더의 바깥쪽에 위치한 제2단부를 구비한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둘레로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압축스프링; 상기 제2실린더가 소정의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격이동될 때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1실린더 내부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어느 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제2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제2실린더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 돌출된 상기 제2실린더를 따라 그 단부들 사이의 지점에 위치한 제1환형 돌출부, 상기 제1실린더에서 안쪽으로 방사상 돌출된 상기 제1실린더를 따라 그 단부들 사이의 지점에 위치한 제2환형 돌출부, 상기 제1환형 돌출부 부근에서 상기 제1실린더 주위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설된 제1환형 쓰러스트워셔 수단 및 상기 제2환형 돌출부 부근에서 상기 제1실린더 주위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설된 제2환형 쓰러스트워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 및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스프링이 쓰러스트 워셔 수단을 환형 돌출부를 향하여 이와 접속되도록 가압하며, 상기 제1실린더의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한 내부의 길이방향 이동이 있을 경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및 제2쓰러스트 워셔 수단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린더들의 상대적 이동을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그 제1단부 부근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 돌출된 제3환형 돌출부, 사이 제1실린더로부터 그 한 단부 부근에서 안쪽으로 방사상 돌출된 제4환형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3 및 제4환형 돌출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의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한 외부의 길이방향 이동으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및 제2쓰러스트 워셔 수단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린더들의 상대적 이동을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외부연장 돌출부는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및 제4내부연장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3돌출부간의 이격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은 상기 스프링의 비압축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 및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쓰러스트 워셔가 상기 내부 및 외부 연장 돌출부와 접속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는, 상기 외부 연장 돌출부가 상기 내부 연장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방사상 정렬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한 소정의 길이방향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는 유체로 충만되며, 상기 안정장치는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배설된 유체저항 통과포트를 구비한 제2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한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고착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제2실린더의 상기 제1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실린더에 고착된 피스톤 로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2실린더가 제1실린더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피스톤이 유체에 저항하여 이동통과하여 상기 제2실린더의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한 길이방향 이동이 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의 다른 단부는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장치는 안정장치의 대향단부에 고착된 부착 아이를 더 포함하며, 한 아이는 상기 제2실린더의 상기 제2단부에 고착되고, 다른 아이는 상기 제1실린더의 상기 단부벽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10. 차량상의 고정점과 스티어링 연결부의 이동요소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를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는 실질적으로 개방된 단부 및 실질적으로 폐쇄된 단부를 구비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개방단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1단부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한 제2단부를 구비하는 유체충만실린더;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저항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충만 실린더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설되며, 한 단부가 피스톤에 부착되어 상기 유체충만실린더의 상기 한 단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다른 단부는 상기 제1실린더의 실질적으로 폐쇄된 단부에 부착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 상기 제1실린더는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 연장된 한쌍의 상호 이격된 실질적으로 환형의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충만실린더는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 연장된 상기 내부 연장정지부간의 이격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된 실질적으로 환형의 정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연장정지부는 유체충만실린더가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부연장정지부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유체충만실린더의 제1단부가 제1실린더의 실질적인 길이 중심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각의 외부연장정지부는 대응하는 내부연장정지부와 동심관계를 이루도록 매열되며; 상기 유체충만실린더 주위로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배설되며, 상기 내부 및 외부연장정지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유체충만실린더 주위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설된 제1 및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한 단부 및 인접한 내부 및 외부연장정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다른 단부 및 인접한 내부 및 외부연장정지부 사이에서 위치하며, 상기 유체충만실린더의 상기 길이 중심위치에 대한 어느 한쪽으로의 길이방향 변위는 제1 및 제2환형 쓰러스트 워셔 수단 사이의 스프링의 압축과 상기 유체충만실린더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거되며, 변위 발생힘이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은 유체충만실린더를 그 중심위치로 회귀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안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만실린더의 제2단부에 고착된 제1부착 아이와 상기 제1실린더의 폐쇄 단부에 고착된 제2부착 아이를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 안정장치가 차량의 고정부 및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의 이동요소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12. 차량 스티어링 연결부 안정장치에 있어서, 내부 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가 통상의 중간연장 위치를 가진 상태로 상기 내부실린더 주위와 중첩하여 위치한 외부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제1정지부 및 상기 외부 실린더의 보어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제2정지부; 상기 내부 실린더가 상기 통상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정지부의 대응 정지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배열되는 상기 제1정지부의 각 정지부; 상기 내부 실린더 및 외부 실린더의 상대적 길이방향 이동이 있을 때 상기 제2정지부를 지나 이동하도록 형상화된 상기 제1정지부; 상기 내부 실린더 주위로 배설되며, 상기 제1 및 제2정지부들 중의 대응하는 정지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수단; 및 상기 스프링 수단의 각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실린더 주위에 배설된 쓰러스트 워셔 수단; 으로 구성되고, 실린더간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이동이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정지부 중의 대향 정지부들이 쓰러스트 워셔 수단이 더 밀착되도록 이동시켜 그 사이의 스프링 수단을 압축하여 실린더의 이동을 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정지부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비압축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작아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쓰러스트 워셔가 상기 정지부와 접합하도록 압축 가압하고, 상기 내부 실린더는 상기 외부 실린더에 대하여 그 통상위치로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KR1019890701802A 1988-01-29 1989-01-24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KR0146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49,846 US4822012A (en) 1988-01-29 1988-01-29 Single spring safety stabilizer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US149,846 1988-01-29
PCT/US1989/000294 WO1989007054A1 (en) 1988-01-29 1989-01-24 Single spring safety stabilizer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312A KR900700312A (ko) 1990-08-13
KR0146964B1 true KR0146964B1 (ko) 1998-08-17

Family

ID=225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802A KR0146964B1 (ko) 1988-01-29 1989-01-24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22012A (ko)
EP (1) EP0353287A4 (ko)
JP (1) JPH02502991A (ko)
KR (1) KR0146964B1 (ko)
BR (1) BR8905290A (ko)
CA (1) CA1305199C (ko)
DK (1) DK471989A (ko)
ES (1) ES2012248A6 (ko)
FI (1) FI91731C (ko)
GR (1) GR1000364B (ko)
WO (1) WO1989007054A1 (ko)
ZA (1) ZA896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104B2 (en) 2021-07-30 2023-12-05 Duroshox Private Limited Dual-acting single-spring twin-tube shock absorber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9650A1 (de) * 1989-11-30 1991-06-06 Daimler Benz Ag Hydraulische daempferanordnung
US5454550A (en) * 1994-08-09 1995-10-03 Christopherson Group Dampening shock absorber
US6497602B2 (en) * 1998-10-14 2002-12-24 Interlego Ag Shock absorber for a toy building element
CA2538941C (en) * 1998-10-30 2007-07-31 Cnh Canada, Ltd./Cnh Canada, Ltee. Field marker for agricultural implement
US6237904B1 (en) 1999-02-10 2001-05-29 John D. Shepherd Motion stabilizer
US6126154A (en) * 1999-02-10 2000-10-03 Shepherd; John D. Centering system
US6086075A (en) * 1999-03-31 2000-07-1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linkag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6098966A (en) * 1999-04-19 2000-08-08 Enidine Incorporated 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and attenuating vibrations
US6244577B1 (en) * 1999-07-12 2001-06-12 Enidine Incorporated Double acting mechanical shock absorber
US6508483B1 (en) * 2000-12-20 2003-01-21 Gerhard Frank Sidecar steering aid
US6698777B1 (en) 2002-11-27 2004-03-02 John D. Shepherd Dynamically adjustable motion stabilizer
US7677539B2 (en) * 2006-02-23 2010-03-16 Barnes Group Inc. Force control strut
US7874564B2 (en) * 2008-04-28 2011-01-25 Honda Motor Co., Ltd. Torque steer reduction system
DE102009003248B4 (de) * 2009-05-19 2011-12-29 Saf-Holland Gmbh Stabilisierungsvorrichtung für Achsen von Fahrzeugen
CN102840266A (zh) * 2011-06-21 2012-12-26 祁成 电动车减震机构
US8827292B2 (en) * 2012-08-07 2014-09-09 Hendrickson Usa, L.L.C. Cylinder shock assembly
US8540257B1 (en) 2012-11-01 2013-09-24 Automatic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Dynamic steering stabilizer device for vehicles
US10328971B1 (en) 2017-06-09 2019-06-25 John D Shepherd Steering assist member
US10683033B2 (en) 2017-06-09 2020-06-16 John D Shepherd Member for centering and/or steering assist
US11332190B1 (en) 2021-06-18 2022-05-17 John D. Shepherd Trim lock and centering assembly with trim lo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2734A (ko) *
FR664046A (fr) * 1928-11-16 1929-08-28 Amortisseur pour timonerie de direction de voitures automobiles
US2918273A (en) * 1957-02-13 1959-12-22 Gabriel Co Damped air valve
US2893470A (en) * 1957-10-07 1959-07-07 Gen Motors Corp Adjustable seat
US4657230A (en) * 1980-04-21 1987-04-14 American Standard Inc. Overtravel spring assembly for slack adjuster
US4406473A (en) * 1981-12-07 1983-09-27 Sexton Enterprises, Inc. Safety stabilizer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US4697817A (en) * 1986-04-18 1987-10-06 Paul Jefferson Motor vehicle steering stabilizing apparatus
US4736931A (en) * 1986-10-03 1988-04-12 Christopherson Rollin F Dampening shock absor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104B2 (en) 2021-07-30 2023-12-05 Duroshox Private Limited Dual-acting single-spring twin-tube shock absorb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731C (fi) 1994-08-10
GR1000364B (el) 1992-06-30
CA1305199C (en) 1992-07-14
ZA89695B (en) 1990-06-27
FI894581A (fi) 1989-09-27
US4822012A (en) 1989-04-18
WO1989007054A1 (en) 1989-08-10
BR8905290A (pt) 1990-08-14
FI894581A0 (fi) 1989-09-27
DK471989D0 (da) 1989-09-26
KR900700312A (ko) 1990-08-13
EP0353287A1 (en) 1990-02-07
DK471989A (da) 1989-11-21
ES2012248A6 (es) 1990-03-01
EP0353287A4 (en) 1990-06-27
FI91731B (fi) 1994-04-29
JPH02502991A (ja) 199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964B1 (ko) 차량 스티어링 연결용 단일스프링 안전 안정장치
US4406473A (en) Safety stabilizer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US4911416A (en) Side load compensating air suspension
US4453735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device with built-in shock absorbers especially designed for trailers
US6237904B1 (en) Motion stabilizer
US3940161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4310149A (en) Shock absorber
US5052528A (en) Steering knuckle damper
EP0301517A2 (en) Vehicle suspension mechanism
US3552785A (en) Elastic joint assembly for automobile suspension strut rods
US4512209A (en) Steering column
US3447797A (en) Telescoping,spring-loaded,hydraulically damped shock absorber
US5259600A (en) Elastic conn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suspension systems
KR102535866B1 (ko)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JPH0536657B2 (ko)
US3420542A (en) Vehicle steering damper
AU3048589A (en) Single spring safety stabilizer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DE2725772C2 (de) Stoßfangvorrichtung für Fahrzeuge
KR19980054345U (ko) 완충장치를 구비한 콜랩서블 스티어링 샤프트
JPH0826168A (ja) ダンパー内蔵型フロントフォーク
JPH0139202Y2 (ko)
GB2249153A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JPS6030496Y2 (ja) 筒状ブッシュ
KR19990059141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25970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콘트롤암의 부시 및 클램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