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844B1 -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844B1
KR0146844B1 KR1019950025956A KR19950025956A KR0146844B1 KR 0146844 B1 KR0146844 B1 KR 0146844B1 KR 1019950025956 A KR1019950025956 A KR 1019950025956A KR 19950025956 A KR19950025956 A KR 19950025956A KR 0146844 B1 KR0146844 B1 KR 014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paration
cam
guid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820A (ko
Inventor
김유탁
Original Assignee
김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탁 filed Critical 김유탁
Priority to KR101995002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844B1/ko
Publication of KR97000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9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comprising heat generating means, e.g. melt cha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주사침분리수단(10)과; 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 그리고 가이드 로울러 간격벌림수단(35) 및 잔재부 제거수단(40)과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 및 잔재을 수거통(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사람이 손으로 주사기의 몸통과 침부를 분리 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주사침에 손을 찔리어 감염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고 분리된 침은 사용된 부위를 용융시킴으로써 세균을 태워 죽이게 되고 이로인해 분리된 침으로부터 2차 감염되는 폐단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외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주사침 분리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사침 분리장치의 작동도로서,
(a)는 주사기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주사침이 몸체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c)는 몸체가 주사침에서 분리되어 고정지지 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d)는 주사침이 용융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주사침 용융장치를 보인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 작용 단면도로서
(a)는 로울러가 주사침을 잡고 용융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로울러가 주사침을 해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사침분리수단 11:전면판
12,13:상,하 안내대 14:분리구
15:압착판 16:삽입공
17:경사면 18:작동홈
19:C자형의 부위 20:구동수단
21,22:가이드봉 23:스프링
24:몸체 25:열판고정구
26:열판 27,27':가이드 로울러
28:힌지 29,29':작동판
30:스프링 31,31':가이드봉
35:간격벌림수단 36:벌림편
37:경사면 40:잔재부제거수단
41:탄성편 42:작동홈
43:배출공 50:구동수단
51,52,53,54:캠 55:구동모우터
56:감속기 58:축
60:수거통
본 발명은 주사침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상세히는 침부와 몸통부로 분리 구성되는 주사기에서 침부를 몸통부에서 자동분리 시키고 침부의 침을 용융시켜 침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사기는 사용후 침부에 환자의 혈액이 뭍게되어 환자가 앓고 있는 병균이 침부를 통해서 제3자에게 감염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주사기를 재사용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에서는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1회용 주사기를 침부와 몸통부로 분리시켜 각기 포대에 보관하여 정부에서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침이 포대를 뚫고나와 수거인의 손을 찔러 감염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고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그 중 우리나라에 알려진 주사침 분리기(실용신안 공고 제 92-8896 호)와 일본 회사인 나라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에서 개발된 주사침 용융물 장치(국내 특허공개 제 92-6009 호)와
가부시기가이샤 에스막쿠에서 개발된 주사침 처리장치(국내 특허공개 제 95-2795 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고안된 국내 실용신안 공고 92-8896 호는 단순히 침부와 몸통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고안으로서 침부가 분리되는 순간 주사침 수집캡에 보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수집캡에 보관되어 있는 주사침을 처리할때 주사침에 손을 찔리게 되어 감염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특허공개 92-6009호는 주사침을 용융처리하는 점에서는 침에 찔리어 감염되는 것을 해소할수는 있으나, 침부가 몸통부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사람이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95-2795호는 침부를 잘게 절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절단된 침부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이또한 침부와 몸통부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나열한 종래의 분리기는 주사침을 처리할 때까지 몸통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결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부를 처리장치에 꽂으면 침부와 몸통부가 자동 분리되면서 열판이 침부의 침을 용융시켜 침을 고정하고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용융하고 남은 짧은 길이의 침부만이 하부 수거실로 자동낙하 되도록 하여 침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4개의 동작캠과, 캠에 의하여 동작되는 주사침분리수단과, 용융기 전후진 수단과, 가이드로올러 간격벌림 수단, 그리고 용융되고 남은 잔재부 제거수단과 잔재물 수거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사침 분리수단은 압착판과, 분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사침 삽입구로 삽입된 주사침을 몸통으로부터 분리 시킨 다음, 분리 되어진 주사침의 침부가 용융이 완료될 때 까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용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압착판이 전진하여 압착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을 통해 용융되고 남은 침이 하부로 낙하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융기 전후진 수단은, 열판과, 가이드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이 가이드 로울러에 끼워지는 상태로 단부가 열판에 맞닫도록 된 상태에서 열판과 가이드 로울러가 전진하면서 열판에 의해 침이 용융되고 용융된 침은 하부 수장실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가이드 로울러는 주사침이 흔들림 없이 원활히 용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 간격 벌림수단은 가이드 로울러의 사이를 벌어지게 하기 위한 벌림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벌림편의 단부는 양측으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전진시 경사면에 접해 있는 가이드 로울러의 가이드 봉이 경사면에 가이드되어 양측으로 벌어져 가이드 로울러 사이를 벌어지게 하며 상기 설명한 용융기가 용융후 후진할 때 원활히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로울러는 스프링에 의해 항시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가 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벌림편이 후퇴하면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는 원상복귀가 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잔재부 제거수단은 캠에 의해 동작되며 압착판에 형성된 배출공을 침부의 몸통부 위치로 이동시켜 배출공을 통해 하부 수거통으로 자연 낙하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잔재물 수거통은 서랍식으로 이루어져 수시로 수거통 내에 채어진 잔재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주사침분리수단(10)과; 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 그리고 가이드 로울러 간격벌림수단(35) 및 잔재부 제거수단(40)과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 및 잔재을 수거통(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사침 분리수단(10)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제4도와 제5도(a)(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판(11)과 상,하 안내대(12)(13) 그리고 분리구(14) 및 압착판(15) 그리고 분리구(14)와 압착판(1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캠(51)(52)로 구성된다.
상기전면판(11)에는 주사기(1)의 몸통(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1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구(14)는 전면측으로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17)이 끝나는 부위보다 길게 작동홈(18)이 구성된다.
상기 압착판(15)은 압착판(15)의 일부를 ㄷ자형으로 절취하여 형성된 부위(19)을 절곡시켜 탄성편(41)을 형성하고 분리구(14)의 작동홈(18)보다 길게 작동홈(42)을 형성한다음 작동홈(42)이 끝나는 부위와 일체로 배출공(43)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을 살펴보면, 가이드봉(21)(22)에 의해 안내되고 스프링(23)에 의해 몸체(24)가 탄력 지지되어 캠(53)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4)에는 열판(26)이 부착된 열판고정구(25)가 카트리지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전방에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27)(27')가 힌지(28)로 고정되고 스프링(30)으로 탄력 고정된 작동판(29)(29')에 고정되며 가이드 로울러(27) (27')의 하방으로 가이드봉(31)(31')의 돌출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 간격벌림수단(35)을 살펴보면, 캠(54)에 의해 전후진 동작되는 벌림편(36)으로 구성되며 벌림편(36)의 전방에는 경사면(37)을 구성하여 그 경사면(37)이 상기 가이드봉(31)(31')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잔재부 제거수단(40)은 구동캠(52)에 의해 탄성편(41)을 작동시켜 배출공(43)의 위치와 주사기(1)의 고정부(5) 위치와 일치시켜 주며, 이로인해 고정부(5)를 잡고있던 힘이 제거되면서 주사기침의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되어 제거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50)은 구동모우터(55)와 그 하부에 부착되는 감속기(56) 및 감속기(57)의 축(58)에 고정되는 4개의 캠(51)(52)(53)(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잔재물 수거통(60)은 서랍식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주사침 분리수단(10)과 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침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동수단(50)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주사기(1)를 몸통(2)에 끼워진 침(4)이 고정된 고정부(5)의 후레지부(6)가 탄성편(41)의 작동홈(18)에 걸리도록 끼우면(첨부된 도면 제5도의 (a)상태) 구동수단(50)에 의해 동작되는 캠(51)이 분리구(14)를 동작시켜 분리구(14)의 작동홈(18)이 주사기(1)의 몸통(2)과 후레지부(6)의 사이로 끼워지도록 하면, 분리구(14)의 경사면(17)에 의해 몸통(2)이 고정부(6)와 탈리 된다(이와같은 상태가 제5도의 (b)상태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는 고정부(5)가 분리구(14)와 압착판(15)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로 이상태가 완료되면, 열판(26)을 고정하고 있는 몸체(24)가 가이드봉(21)(22)에 의해 안내되면서 스프링(23)의 힘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27)(27')에 끼워지는 주사침(4)이 열판(26)에 맞닿으면서 용융되기 시작한다.
용융이 완료되면, 침(4)의 일부가 가이드 로울러(27)(27')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캠(54)에 의해 동작되는 벌림편(36)이 작동되어 전진을 하게 된다.
상기 벌림편(36)의 작동에 의해 벌림편(36)의 경사면(37)에 접하여 있던 가이드봉(31)(31')이 서로 벌이지면서 스프링(30)을 인장시키면서 힌지(28)을 기점으로 작동판(29)(29')을 벌려주게 된다.
이상태가 완료되면, 캠(52)의 동작으로 압착판(15)이 더욱 이동하여 배출공(43)이 주사기(1)의 고정부(5)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제5도의(c)(d)상태) 이로인해 고정부(5)를 잡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서 고정부(5)가 수거통(60)으로 자연낙하되는 것이다.
이후 모든 상태 즉 분리구(14)와 압착판(15) 및 벌림편(36) 그리고 열판(26)이 고정된 몸체(24)가 원상 복귀되어 다음 주사침을 용융시킬 수 있는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발명은 장기간 사용시 열판(26)이 마모등과 같은 이유등에 의해 파손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와같은 경우 기기전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가이드 로울러(27)(27')와 열판(26)등이 부착된 열판고정구(25)만을 빼내어 교체 시킴으로서 간단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사람이 손으로 주사기의 몸통과 침부를 분리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분리시키므로써 주사침에 손을 찔리어 감염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고 분리된 침은 사용된 부위를 용융시킴으로서 세균을 태워 죽이게 되고 이로인해 분리된 침으로부터 2차 감염되는 폐단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주사침분리수단(10)과; 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 그리고 가이드 로울러 간격벌림수단(35) 및 잔재부 제거수단(40)과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 및 잔재을 수거통(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침분리수단(10)이 삽입공(16)이 형성된 전면판(11)과 상,하 안내대(12)(13) 그리고 경사면(17)과 작동홈(18)으로 이루어져 캠(51)에 의해 동작되는 분리구(14) 및 탄성편(41)에 작동홈(42)과 일체로 배출공(43)을 형성되어 캠(52)에 의해 동작되는 압착판(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용융기와 그 구동수단(20)이 가이드봉(21)(22)에 의해 안내되고 스프링(23)에 의해 몸체(24)가 탄력 지지되어 캠(53)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몸체(24)에는 열판(26)이 부착된 열판고정구(25)가 고정되며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27)(27')가 힌지(28)로 고정되고 스프링(30)으로 탄력 고정된 작동판(29)(29')에 고정되며 가이드 로울러(27)(27')의 하방으로 가이드봉(31)(31')이 돌출 구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경사면(37)을 갖는 벌림편(36)이 캠(54)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로울러(27)(27')를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고정구(25)가 카트리지식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KR1019950025956A 1995-08-22 1995-08-22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KR014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956A KR0146844B1 (ko) 1995-08-22 1995-08-22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956A KR0146844B1 (ko) 1995-08-22 1995-08-22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20A KR970009820A (ko) 1997-03-27
KR0146844B1 true KR0146844B1 (ko) 1998-07-15

Family

ID=1942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956A KR0146844B1 (ko) 1995-08-22 1995-08-22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8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2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7684B2 (ja) 改良型外科用骨鉗子
US5076178A (en) Syringe needle de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4565311A (en) Syringe disposal device
RU22902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острых и заостренных предметов, оснащенное средство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винчивания игл для инъекций
CN111905199A (zh) 一种针筒消毒回收装置
EP0425500B1 (en) Device for taking a sample of subcutaneous tissue cells from a body
EP0930504A3 (de) Deckelgreifvorrichtung
CN1080988A (zh) 针头销毁器和封闭器
CN109125864B (zh) 自动拔针机的拔针装置
KR0146844B1 (ko) 주사침의 분리 및 용융처리장치
US6909251B2 (en) Medical needle removal device
CN215349525U (zh) 一种利器分离装置
JP2772460B2 (ja) 使用済み注射針処理装置
CN209405406U (zh) 自动拔针机的拔针装置
EP0703769B1 (en) Syringe needle de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CN214511321U (zh) 一种用于肿瘤科临床的废弃物回收装置
JP5207836B2 (ja) 注射針処理装置
KR20000028006A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자동절단기
CN219184166U (zh) 一种自拔针头利器桶
GB2294622A (en) Needle destroyer
CN209405405U (zh) 自动拔针机的拔针机构
CN217836953U (zh) 一种用于危害性废弃物的收集装置
CN220200261U (zh) 一种废弃物收集装置
JPH035823B2 (ko)
JP3841110B2 (ja) 注射針離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