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719B1 - 스터드 신발 - Google Patents

스터드 신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719B1
KR0146719B1 KR1019920700777A KR920700777A KR0146719B1 KR 0146719 B1 KR0146719 B1 KR 0146719B1 KR 1019920700777 A KR1019920700777 A KR 1019920700777A KR 920700777 A KR920700777 A KR 920700777A KR 0146719 B1 KR0146719 B1 KR 014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tud
helix
spigot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951A (ko
Inventor
로이 콜린스 데이빗
Original Assignee
데이빗 노이 콜린스
트리스포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빗 노이 콜린스, 트리스포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이빗 노이 콜린스
Publication of KR92070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43C15/164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 A43C15/165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ointed or conical, e.g. calks, spikes, pi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터드 신발에 사용하기 위하여 내부나선부를 갖는 소켓트(1)가 제공될 때에 스터드(2)와 소켓트(1) 사이의 마찰고정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각 소켓트와 스터드에는 나선각도가 작고 회전수가 많은 보상적인 나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겼다. 본 발명은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1½회전(560°)만이 요구되는 다중나선부를 제공한다. 종래의 경우와는 다르게 이러한 구조로 작업성이 향상되며 스터드신발용으로서의 공지된 단일나선형 나선부보다 나은 잇점을 갖는다. 이중나선과 스터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4, 16, 17 및 19)을 갖는 소켓트와 스터드의 구조가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터드 신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나선을 갖는 스터드를 보인 일부절개 표시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보인 스터드의 일부절개표시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나선을 갖는 소켓트를 보인 측면도.
제 4도 - 제 6도는 스터드가 소켓트로부터 풀리는 성향을 줄일 수 있도록 사용된 고정수단을 보인 공개된 영국특허의 기술내용을 기초로하여 작성된 도면.
제 1 도 - 제 3 도의 실시형태에서는 영국특허 제 2.115.683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소켓트와 스터드를 갖는 스터드 신발의 스터드와 소켓트를 보인 것으로, 다만 영국 특허에 기술된 것과는 각 소켓트와 스피거트의 단일나선이 이중나선으로 바뀌고, 각 스터드가 스피거트의 나선단부와 소켓트의 나선단부가 상호결합된 초기위치로부터 약 1 회전(360°)의 회전만으로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다를 뿐이다. 제 3 도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스터드신발의 밑창 또는 뒷굽에 착설될 수 있게된 소켓트(1)를 보이고 있고, 제 1 도와 제 2 도는 소켓트(1)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스터드(2)를 보인 것이다. 소켓트(1)는 내부나선부(4)가 형성된 원통체(3)를 갖는다. 나선부(4)는 이중나선(two-start screw-thread)의형태이다. 스터드(25)는 플라스틱으로 된 지지체(5)와 이 지지체에 고정된 금속핀부재(6)로 구성된다. 핀부재(6)는 지지체(5)의 축공을 통하여 연장된 단축(7)를 갖는다.
이 단축은 일측단부에서 지지체에 접속되는 소형플랜지(8)를 가지며 타측단부에서는 지지체와의 조립후에 핀부재와 지지체가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확개부(9)로 체결된다. 또한 핀부지(6)는 지지체로부터 돌출된 접지 헤드(10)를 갖는다. 이 지지체(5)는 소켓트의 나선부(4)에 결합토록 회부나선이 형성된 스피거트(11)와 소켓트의 외측에서 밑창 또는 뒷굽의 하측에 결합되는 방사상 연장플랜지(12)로 구성된다. 플랜지(12)의 하측에 형성된 요구는 스터드를 소켓트에 나선결합시키고 필요할 때에는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페이스 스패너(face-spanner)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펙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정링(14)은 플랜지(12)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는 영국 특허 제 2,163,03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소켓트가 방사상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거트(11)외 외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수정형태에 있어서, 각 스피거트와 이 스피거트가 결합되는 소켓트에는 영국특허 제 2,202,916호에 기술된 형태의 결합톱니가 구비된다.스터드의 톱니는 고정링(14)상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 4 도는 지지체(5)와 유사하고 링(14)과 같은 고정링(16)이 구비된 지지체(15)를 보이고 있는 영국 특허 제 2,209,916호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7)는 링(1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5 도와 제 6 도는 상기 특허문헌으로부터 취한 도면으로 소켓트(1)과 유사한 소켓트(18)를 보이고 있다. 소켓트의 원통체에는 스터드의 톱니(17)과 결합되는 톱니(19)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영국특허 제 2,209,916호는 각각 단일나선(single-start thread)를 갖는 스피거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 4 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스터드와 소켓트에 적용될 수 있는 링(16)과 톱니(19)를 예시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상기 언급된 영국특허 제 2,202,91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소켓트로부터 스터드를 풀어내기 위하여 스터드에 충분히 높은 토오크를 가할 때에 스터드의 톱니 일부가 스터드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도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수정형태(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소켓트의 톱니는 소켓트내의 나선부와 평행한 두개의 나선형태 또는 부분 나선형태로 배치되고, 스터드의 톱니는 이들의 돌출선단이 유사한 두개의 나선 또는 부분나선형태로 배치되어 스피거트가 소켓트에 결합될 때에 스터드의 톱니가 스터드가 거의 완전히 소켓트에 결합되어 소켓트와의 완전한 결합전에 약간의 회전만으로 최종적으로 회전될 때까지는 소켓트의 톱니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터드의 최종마찰회전중에 소켓트의 모든 톱니가 스터드의 톱니와 동시에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스터드의 톱니가 소켓트의 톱니를 넘어 탄력적으로 결합되므로서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 소켓트의 각 톱니가 스터드의 톱니에 접속되거나 근접하여 스피거트가 풀리도록 하는 토오크에 강력히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영국특허 제 2,202,916호에 기술된 구조에 잇어서, 스터드의 톱니수는 소켓트의 톱니수보다 많다. 이는 스터드가 완전히 결합되었을때에 스터드의 일부톱니가 소켓트의 톱니와 영구결합되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구조에 있어서, 스터드와 소켓트의 톱니가 모두 두개의 나선 또는 부분나선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더 이상 필요없이 스터드의 톱니수와 소켓트의 톱니수가 같은 것이 좋다. 만약 소켓트의 톱니가 6개이고 스터드의 톱니가 6개인 경우에 각 톱니는 소켓트 또는 스터드의 축선둘레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톱니중에서 두 톱니는 유사한 형태와 배치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터드에 형성된 톱니의 축방향 길이를 차례로 고려할 때에, 제 1 톱니는 비교적 짧고 제 2 톱니는 중간 길이이고, 제 3 톱니는 비교적 길다. 그리고 제 4 톱니는 제 1 톱니와 같고 제 6 톱니는 제 2 톱니와 같으며 제 6 톱니는 제 3 톱니와 같다. 필요한 경우 톱니 수는 예를 들어 8개와 같이 다를 수 있으나, 각각의 경우 스터드의 각 톱니는 이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유사한 톱니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소켓트의 각 톱니는 그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유사한 톱니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스피거트의 두 나선부가 소켓트의 두 나선부에 결합되는데 문제가 되지 아니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톱니가 나선 또는 부분나선형태로 배치된 형태의 스터드와 소켓트가 사용될 때에 스터드를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시키는데 요구되는 토오크는 대부분의 회전중에 무시될 수 있으나, 스터드의 톱니가 소켓트의 톱니를 통과하는 중에최종회전과정에 그 토오크값이 갑자기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새로운 신발에 스터드의 최초결합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각 스터드는 충분한 저항력을 받을 때까지 기계적으로 회전되고 아주 높은 토오크를 가하여 사전에 결정된 약간의 회전만으로 최종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이용에 있어서는 각 스터드가 그 최종위치에 완전히 나선결합되는 것을 요구함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필요이상 두꺼운 밑창에 소켓트가 착설되고 스터드의 플랜지와 밑창의 하측부사이의 결합으로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나선결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치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터드와 소켓의 구성이 스터드가 양측 나선부의 상호결합 시작점으로부터 1½회전이하, 좋기로는 나선부의 상호결합 시작점으로부터 단 1 회전의 회전만으로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또한 스터드가 풀리는 것에 저항하는 마찰력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도록 나선각도가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피거트와 소켓트의 전체 축방향 길이는 매우 작을 수 있다. 실제로 종래의 경우 보다 축방향 길이가 작은 소켓트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로써 이러한 소켓트가 척설되는 신발의 밑창은 그만큼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끝으로, 상기 실시예가 이중 나선을 갖는 스터드와 소켓트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들은 삼중나선 또는 그 이상의 다중나선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접지용 스터드(stud)가 분리가능하게 착설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신발은 스포츠 또는 게임에 임하는 사람들이 착용한다. 일반적으로 스터드는 신발이 지면에 접지되는 상태를 개선하는 데 사용되어 그 형태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이들 스터드는 단부가 평평하거나 둥글게 된 무딘 형태이거나 스파이크와 같이 보다 예리하게 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명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이후에 이들이 전체적을 스터드라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가능하고 교환가능한 스터드는 외부 나선이 형성된 스피거트(spigot)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스피거트는 신발의 하측에 착설되고 내부나선을 갖는 소켓트에 나선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터드와 소켓트는 영국특허 제 1,564,903호, 제 2,028,102호, 제 2,115,683호와 제 2,191,079호에 기술되어 있다.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 스터드는 이를 보수하거나 교환하기 위하여 일부러 풀어낼 때까지는 제자리에 확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스터드가 이완될 때에 이는 소켓트에서 정상적으로 돌출된 것보다 많이 돌출되어 장애물에 부딪치는 경우가 많게 되고 사용자의 자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더우기 스터드가 부분적으로 풀려 나와 소켓트로부터 스터드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증가하고 그 단부에 전단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에 그리고 스터드가 딱딱하고 거친 노면에 닿을 때에 스터드에 의하여 소켓트가 가하여 지는 굽힘 모멘트가 증가되므로서 스피커트와 소텟트가 손상입기 쉽게 된다. 또한 스터드가 부분적으로 풀어지면 소켓트내에 결합된 스피거트의 길이가 짧아져 역시 손상입기 쉬운 정도가 더욱 증가된다.
스터드신발, 즉 스터드달린 신발은 각각 스터드가 결합되는 비교적 많은 수의 소켓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성인용 골프 신발은 13개의 소켓트와 스터드를 가지므로 이러한 신발 한 켤레는 26개의 소켓트와 소켓트를 갖게 될 것이다.
신발의 수명중에 어느 한 소켓트가 손상받게 될 기회는 비교적 적은 반면에 (즉 x 의 1), 신발 한 켤레에서 전체 소켓트에서 어느 한 소켓트가 손상받게 될 기회(이를 n이라 함)는 이를 두 수의 곱(즉 nx 의 1)으로 크게 증가한다. 만약 신발 한 켤레에서 하나의 소켓트가 손상입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신발 한 켤레 모두를 교환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에 모든 스터드는 각 소케트에 나선결합 되었을 때에 제자리에확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스터드와 소켓트의 측방향 길이가 신발밑창이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가능한 한 길어야하고 스터드와 소켓트의 나선부가 비교적 작은 나선각도와 비교적 많은 나선수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어야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피거트와 소켓트 사이의 접촉 영역을 최대화하므로서 스터드가 풀리기 시작하기 전에 스터드에 가하여야 하는 토오크가 최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가 결합되었을 때에, 즉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나선결합되었을 때에 이 스터드가 풀리거나 부분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편이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 2,163,037호에는 소켓트를 보호하고 스터드가 풀리는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고정 구조가 기술되어 있는 한편, 영국특허 출원 제 8805473호(공고 제 2,202,916호)에는 동일한 목적으로 스터드와 소켓트의 톱니결합구조가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스터드와 소켓트의 구조는 다른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결점을 해소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제 1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내부 나선부가 형성된 소켓트를 갖는 스터드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스터드를 제공하며, 이 스터드는 소켓트의 내부 나선부에 결합되는 외부나선부가 형성된 스피거트를 가지며, 이 스피거트의 나선부는 이중 또는 다중 나선형이고, 스터드는 스피거트를 소켓트에 삽입하고 이 소켓트에 대하여 스피거트를 나선부의 결합시작점으로부터 1½회전(540°)이하로 회전시켜 신발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관점을부터, 본 발명은 스터드 신발에 결합되는 내부 나선형 소켓트가 제공되는바, 이 소켓트는 이중 또는 다중 나선 형태이고 역시 이중 또는 다중 나선형태의 외부나선부가 형성된 스피거트를 갖는 신발용 스터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된 내부 나선부를 가지며, 이 소켓트의 다중 나선부는 스터드가 나선부의 상호결합시작점으로부터 1½회전(540°)이하로 소켓트에 대하여 스피거트를회전시켜 소켓트내에 스피거트를 삽입하므로서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터드가 소켓트에 결합될 때에 통상적으로 스터드의 소켓트를 상호축방향으로 정렬시킨 다음 스터드를 스피거트와 소켓트의 나선부선단이 상대측에 결합될 때까지 상대적인 회전없이 소켓트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접속결합이 이루어졌을 때에 스터드를 소켓트에 대하여 회전시키므로서 스터드가 완전히 결합될 때까지 나선부가 점차 깊게 결합되도록 계속회전시킨다. 양측 나선부가 서로 결합될 때까지 스터드와 소켓트의 상대회전위치는 정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나선부의 접속후에 스터드는 나선부가 상호 결합되기 전까지 소켓트에 대하여 어느 각도까지 회전된다 즉, 이들 나선부는 스터드와 소켓트가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만으로는 분리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제 3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소켓트가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스터드를 제공한다.
제 4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소켓트가 결합된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신발은 소켓트에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보상 형태의 스터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나선부는 이중나선형태의 것이 좋으나 삼중 또는 그 이상의 다중 나선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때가 있다.
소켓트에 대한 스피거트의 상기 회전범위는 나선부의 상호 결합시작점으로부터 1¼회전(450°)이하인 것이 좋으나, 특히 이러한 회전 범위는 나선부의 상호결합 시작점으로부터 1회전(360°)인 것이 좋다.
스터드가 신발에 취부될 때에 통상적으로 소켓트에 대하여 스터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스터드에 토오크가 가하여지고 스터드의 회전은 더 이상의 회전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받게 될 때까지 계속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은 스터드와 소켓트의 보상적인 접속면사이의 결합 또는 스터드의 결합면과 신발의 보상적인 결합면 사이의 결합에의하여 이루어진다.
스터드와 소켓트의 초기 결합단계에서, 스크류나선부의 상호접속면은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밀착결합에 의한 마찰력은 스피거트가 무단히 풀려나가지 않도록 하거나 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데 보조한다. 이러한 최종결합단계중에 증가된 토오크를 가하는데 스패너형의 수동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일측 또는 일측의 접속면에 형성된 스크류나선부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을 때에는 이들 나선부가 약간 변형되면서 스피거트의 나선부와 소켓트의 나선부사이의 결합상태가 확고하게 되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속제 나선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중 또는 삼중나선이 사용될 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비록 스터드와 소켓트의 충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작은 각도범위를 통하여 스피거트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길이의 이중 또는 삼중나선을 이용하므로서 나선각도를 소규모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터드가 풀리는데 저항하는 마찰력을 일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감소가 허용가능할 적으로 작게될 수 있다는 사실의 발견 또는 인식에 적어도 그 일부를 기초로 하고 있다.
더욱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 스터드가 풀리거나 부분적으로 풀리는 성향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수단이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터드가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나선부에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대한 신뢰를 감소시킨다. 소켓트에 결합된 스터드가 풀리게 되는 성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고정수단은 소켓트에 형성된 보상적인 톱니의 협동하는 톱니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수단은 스피거트의 외부에 배치된 고정링으로 구성되고, 이 고정링은 소켓트에 외측변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서 여러가지 잇점이 도출된다. 다음의 설명은 이중나선의 사용에 기초를 두고 있으나 다른 다중나선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스터드가 소켓트에 결합될 때에 처음에는 스터드를 스피거트와 소켓트에 형성된 나선단부가 상호결합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단일나선의 경우에는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스터드가 회전 되어야 하는 평균각도범위는 ½회전(180°)인 반면에 이중 나선의 경우에 이각도는 ¼회전(90°)으로 감소된다. 둘째로, 스피거트가 소켓트에 결합될 때에 스피거트의 축선이 스피거트가 삽입될 소켓트의 축선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는 사실로부터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단일나선을 갖는 스터드가 소켓트에 결합되고 스피거트의 소켓트의 나선단부가 상호결합되는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스피글의 나선이 엇갈리게 결합되므로서 소켓트가 손상을 입게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중나선이 사용될 때에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서 신발 한 켤레에 스터드 전부를 부착시키는데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화 한 켤레에 26개의 스터드가 부착되고 스피거트가 통상적인 형태로서 단일 나선이 3½회전나선수를 갖는 경우 평균적으로 요구된 전체 회전수는 104회이다. 그 이유는 평균적으로 스피거트와 스터드의 나선이 결합되는데 ½회전(반 바퀴)이 요구되고 이들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3½회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회전과 이중나선의 ¼회전으로 결합되는 스피거트를 사용하므로서 전체회전수가 평균적으로 반감될 수 있다. 즉 스피거트와 소켓트가 상호결합되도록 하는데 회전이 요구되고 이들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1¼회전이 요구된다. 마찬가지로 스터드 전부를 풀어내는데 요구되는 회전수도 91(즉 3.5 X 26)회전으로 부터 32½(즉, 1.25 X 26)회전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마모된 스터드를 전부 새것으로 교환하는데 요구되는 회전수는 평균적으로 195(즉, 104 + 91)회전으로부터 88½(즉 56 + 32.5) 회전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5)

  1. 내부 나선부가 형성된 소켓트(1)를 갖는 스터드 신발에 사용되는 스터드로서 이 스터드(2)가 소켓트(1)의 내부 나선부(4)에 결합되는 보상적 형태인 이중 나선의 외부나선부가 형성된 스피거트(11)를 가지며, 스터드(2)가 스피거트(11)를 소켓트에 삽입하고 이 소켓트에 대하여 스피거트를 나선부의 결합시작점으로부터 1½회전(540°)이하의 회전만으로 신발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스피거트 둘레의 모든 위치에서 둘 이상의 나선부가 축방향으로 중첩되고 이중 나선의 각 나선부가 스피거트를 중심으로 하여 완전한 1회전(360°)이상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신발용 스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4, 16, 17, 19)이 소켓트에 결합된 스터드가 풀어지는 성향을 감소시키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터드의 고정수단이 소켓트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톱니(19)와 결합되는 톱니(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4. 제 2 항에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이 스피거트(11)의 외측에 배치된 고정링(14,16)으로 구성되고 고정링이 소켓트의 외측변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5. 내부나선을 가지며 스터드 신발에 결합되는 소켓트(1)로서 소켓트가 이중 또는 다중 나선형태이고 보상적인 이중 또는 다중 나선형태의 외부 나선부가 형성된 스피거트(11)를 갖는 신발용 스터드(2)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 내부 나선부(4)를 가지며 소켓트(1)의 다중나선은 스피거트(11)를 소켓트(1)에 삽입하고 나선부의 상호 결합 시작점으로부터 1½회전(450°)이하의 회전만으로 소켓트에 대하여 스피거트를 회전시켜 스터드(2)가 소켓트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소켓트 둘레의 모든 위치에서 둘 이상의 나선부가 축방향으로 중첩되고 이중 나선의 나선부가 소켓트를 중심으로 하여 완전한 1 회전(360°)이상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신발용 소켓트
KR1019920700777A 1989-10-07 1990-10-04 스터드 신발 KR0146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8922644A GB8922644D0 (en) 1989-10-07 1989-10-07 Studded footwear
GB8922644.3 1989-10-07
PCT/GB1990/001515 WO1991004685A1 (en) 1989-10-07 1990-10-04 Studded foot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951A KR920702951A (ko) 1992-12-17
KR0146719B1 true KR0146719B1 (ko) 1998-08-17

Family

ID=1066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777A KR0146719B1 (ko) 1989-10-07 1990-10-04 스터드 신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494937A1 (ko)
JP (1) JPH05500910A (ko)
KR (1) KR0146719B1 (ko)
CN (1) CN1051495A (ko)
AU (1) AU636406B2 (ko)
CA (1) CA2067344C (ko)
GB (1) GB8922644D0 (ko)
IE (1) IE903584A1 (ko)
PT (1) PT95508A (ko)
WO (1) WO1991004685A1 (ko)
ZA (1) ZA9079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60A (ko) 2021-05-13 2022-11-22 플라텍(주) 체결용 조립체
KR20220154559A (ko) 2021-05-13 2022-11-22 플라텍(주) 체결용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184A (en) * 1987-11-23 1992-06-23 Ferreira Joseph J Removable shoe spike lockable to configured sole plate
US5979084A (en) * 1997-08-11 1999-11-09 Grant; David Track spike
US5974700A (en) * 1997-08-21 1999-11-02 Trisport Limited Shoe cleats
CA2301571C (en) 1997-08-21 2007-01-23 Trisport Limited Shoe cleats
DE19850449B4 (de) 1998-11-02 2005-03-0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ollenschuh
US6631571B2 (en) 2001-08-08 2003-10-14 Mcmullin Faris W. Shoe cleat connector
CN103799620A (zh) * 2014-02-26 2014-05-21 东莞疆皓塑胶制品有限公司 鞋钉结构
US9833044B2 (en) * 2015-01-02 2017-12-05 Nike, Inc. Cleated article of footwear
CN107581705A (zh) * 2017-11-06 2018-01-16 鹤山市亿田路鞋业有限公司 一种抗菌除臭的eva鞋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6601C2 (de) * 1984-07-19 1986-12-11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GB8419182D0 (en) * 1984-07-27 1984-08-30 Triman Ltd Studs for footwear
GB8705619D0 (en) * 1987-03-10 1987-04-15 Triman Ltd Studded footwear
AU582694B2 (en) * 1987-07-21 1989-04-06 Wen-Shown Lo An improved sole structure for golf sho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60A (ko) 2021-05-13 2022-11-22 플라텍(주) 체결용 조립체
KR20220154559A (ko) 2021-05-13 2022-11-22 플라텍(주) 체결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95A (zh) 1991-05-22
CA2067344A1 (en) 1991-04-08
IE903584A1 (en) 1991-04-10
KR920702951A (ko) 1992-12-17
JPH05500910A (ja) 1993-02-25
WO1991004685A1 (en) 1991-04-18
EP0494937A1 (en) 1992-07-22
ZA907997B (en) 1991-07-31
GB8922644D0 (en) 1989-11-22
CA2067344C (en) 2000-09-12
PT95508A (pt) 1992-06-30
AU636406B2 (en) 1993-04-29
AU6531490A (en) 199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0365B2 (ja) スタッド付き履物用のスタッド及びソケット
US6823613B2 (en) Studded footwear
KR0146719B1 (ko) 스터드 신발
US6272774B1 (en) Shoe cleats
EP2375930B1 (en) Receptacle for replaceably mounting a traction cleat
US8201348B2 (en) Studded footwear
KR20000062218A (ko) 드라이버, 패스너 및 성형 공구
US5957642A (en) Cleat system
CA2301571C (en) Shoe cleats
KR970000473B1 (ko) 스터드가 달린 신발
US6253468B1 (en) Spike structure for sporting shoes
US6840139B2 (en) Tapered installation tool
JP3251880B2 (ja) 運動用靴の鋲
JP2007160113A (ja) 靴のスタッドとレセプタクルとの組合わせ構造
EP0163823A1 (en) Screw-on stud for sports shoes
KR200251316Y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SU1004675A1 (ru) Корончата гайка
JP2003235608A (ja) 鋲付き運動靴の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