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321B1 - 세탁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배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321B1
KR0146321B1 KR1019940011718A KR19940011718A KR0146321B1 KR 0146321 B1 KR0146321 B1 KR 0146321B1 KR 1019940011718 A KR1019940011718 A KR 1019940011718A KR 19940011718 A KR19940011718 A KR 19940011718A KR 0146321 B1 KR0146321 B1 KR 014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otor
drain
operation cam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321B1/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절수단의 구성을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불량율을 줄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는, 그 내부에 세탁조(11)가 마련된 본체(10), 상기 세탁조(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운동하는 교반기(13)와 탈수조(12), 상기 세탁조(11)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부분에 배수밸브(33)가 마련되어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32), 그 일측에 변향레버(34)가 마련된 변속장치(21)을 개재하여 상기 탈수조(12)와 상기 교반기(1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동력모터(20), 그 일단이 분기되어 상기 배수밸브(33)와 상기 배수호수(32)와 연결된 동작줄(31), 그리고 상기 동작줄(3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조절수단(100')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100')은, 배수모터(70), 상기 배수모터(70)의 일측에 마련된 종동축(61), 상기 배수모터(70)상에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동작줄(3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동작캠(41), 상기 종동축(61)상에 마련되어 상기 동작캠(41)과 연동되며 상기 배수모터(70)을 제어하는 배수모터제어부(50), 상기 동작캠(41)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수모터(70)가 멈춘 후에도 상기 동작부(40)가 상기 동작줄(31)을 당긴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80)을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배수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 세탁기에 채용된 조절수단의 구성도.
제3도는 (a)는 배수모터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배수모터의 전원을 단락한 상태를 나타낸 스위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채용된 조절수단의 구성도.
제5도의 (a)는 동작줄을 풀어준 상태, (b)는 동작줄을 당긴 상태의 동작캠의 평면도.
제6도의 (a)는 제5도 (a)에 대응되는 스위치 상태도이고, (b)는 제5도 (b)에 대응되는 스위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동작줄 33 : 배수밸브
34 : 변향레버 41 : 동작캠
42 : 고정봉 50 : 배수모터제어부
54 : 차단판 55 : 차단홈
60 : 감속부 70 : 배수모터
80 : 걸림수단 81 : 걸림편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거는 배수밸브와 변향레버를 조정하는 조절수단을 솔레노이드를 사용치 않고 단순한 기구로만 구성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은 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세탁조(11), 탈수조(12) 및 교반기(13)가 설치된 본체(10)가 마련되고, 세탁조(11)의 하방에는 탈수조(12)와 교반기(13)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모터(20)와 변속장치(21)가 마련되어 있다. 변속장치(21)에는 변속장치(21)를 변환시키기 위한 탄성체와 변향레버(34)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동력모터(20)의 회전력을 변속장치(21)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밸브(2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탁조(11)의 하부에는 세탁조(11)내의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32) 마련되고, 배수호스(32)를 개폐하기 위한 탄성체의 배수밸브(33)가 마련된다. 그리고 배수밸브(3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변향레버(34)와 배수밸브(33)를 조절하기 조절수단(100)이 마련되고, 변향레버(34)와 배수밸브(33)를 연결하는 동작줄(31)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동력모터(20)의 회전력을 변속장치(21)가 변속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고, 탈수 및 배수행정은 조절수단(100)이 동작줄(31)을 이용하여 배수밸브(33)를 개폐하고 동시에 변향레버(34)를 당겨서 변속장치(21)를 조절하여 수행한다.
변향레버(34)와 배수밸브(33)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조절수단은(100)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모터(1)가 마련되고, 배수모터(1)의 동력을 풀리(7)에 전달하기 위한 다단의 감속부 A와 B가 마련되어 있다. 감속부 A와 B를 연결시키기 위한 클러치기어(2a)가 설치되고, 클러치기어(2a)의 하부에는 돌기(9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감속부 A에는 돌기(9a)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홈(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기(9a)와 홈(9b) 사이에는 스프링(8)이 마련되어 클러치기어(2a)를 상향지지한다.
한편 클러치기어(2a)의 상부에는 솔레노이드(3)가 마련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클러치기어(2a)를 눌러 감속부 A와 감속부 B를 연결시켜 배수모터(1)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풀리(7)에 전달케 된다.
계속해서 감속부 B에는 배수모터(1)의 회전력을 풀리(7)에 전달하기 위한 종동축(4)이 마련되고, 종동축(4)의 중간에는 차단판(5)이 설치도어 있다. 차단판(5)의 일측에는 배수모터(1)를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6a)와 제2스위치(6b)가 마련되고, 차단판(5)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6a)와 제1스위치(6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홈(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7)에는 변향레버(34 제1도 참조)와 배수밸브(33)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줄(제1도의 3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배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행정이 끝나고 배수행정이 시작되면 배수모터(1)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3)에도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된 배수모터(1)는 회전하게되고, 배수모터(1)에 연결된 감속부 A는 구동하게 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3)는 작동하여 클러치기어(2a)를 눌러 감속부(2) A와 B를 연결시킨다. 감속부(2)는 배수모터(1)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종도축(4)를 통하여 배수모터(1)의 회전력을 풀리(7)에 전달하게 되고, 풀리(7)는 회전하여 동작줄(31)을 소정거리 당겨 배수밸브(33)를 열고 반향러베(34)를 당겨 변속장치(21)를 조정하게 된다. 동시에 종동축(4)에 설치된 차단판(5)은 종동축(4)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소정시간 동안 회전한 차단판(5)에는 홈(9b)이 형성되어 있어 제1스위치(6a)와 제2스위치(6b)를 탈각시킨다. 이렇게 되면 배수모터(1)는 멈추게 되고, 전원을 계속 공급받는 솔레노이드(3)는 계속하여 클러치기어(2a)를 눌러 풀리(7)가 동작줄(31)을 당기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계속해서 배수행정이 끝나게 되면 솔레노이드(3)이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되면 클러기치거(2a)는 스프링(8)에 의하여 위로 밀리게 되어 감속부 A와 B는 끊기게 된다. 이때 배수수단(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동작줄(31)은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차단판(5)은 역회전되어 스위치 A와 B는 연결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수단은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부품이 추가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누수로 인하여 솔레노이드를 비롯한 전기부품들의 고장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수단의 구성을 불량률이 높은 전기부품의 사용을 지양하고 단순한 기구로 구성하여 불량률이 적고 제작원가가 저렴한 세탁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함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장치는, 그 내부에 세탁조가 마련된 본체,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운동하는 교반기와 탈수조, 상기 세탁조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부분에 배수밸브가 마련되어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 그 일측에 변향레버가 마련된 변속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탈수조와 상기 교반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동력모터, 그 일단이 분기되어 상기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된 동작줄, 그리고 상기 동작줄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배수모터, 상기 배수모터의 일측에 마련된 종동축, 상기 배수모터상에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동작줄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동작캠, 상기 종동축상에 마련되어 상기 동작캠과 연동되며 상기 배수모터를 제어하는 배수모터제어부, 상기 동작캠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수모터가 멈춘 후에도 상기 동작부가 상기 동작줄을 당긴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탁조(11)가 설치된 본체(10)가 마련되고, 세탁조(11)에는 그 내부에 교반기(13)가 설치된 탈수조(12)가 마련되어 있다. 세탁조(11)의 하방에는 교반기(13)가 설치된 탈수조(12)가 마련되어 있다. 세탁조(11)의 하방에는 교반기(13)와 탈수조(12)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모터(20)가 설치되고 동력모터(20)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탈수조(12)와 교반기(13)를 구동시키는 변속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변속장치(21)에는 변속장치(21)를 조정하여 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탈수 및 배수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체의 변향레버(3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탁조(11)의 하부에는 세탁조(11)내의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32)가 마련되고, 배수호스(32)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키기 위한 배수밸브(33)가 마련된다. 이때 배수밸브(33)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배수밸브(33)와 변향레버(34)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100') 변속장치(21)의 일측에 마련되고, 조절수단(100')과 배수수단(30)의 배수밸브(33) 및 변향레버(34)를 연결시키기 위한 동작줄(31)이 마련되어 있다.
조절수단(100')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1)이 마련되어 조절수단(100')의 외곽을 형성한다. 하우징(71)의 내부에는 배수모터(70)가 마련되고, 배수모터(70)에 형성된 회전축(72)에 연결되어 배수모터(7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감속부(60)는 다단의 감속기어들로 이루어졌다.
감속부(60)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종동축(61)을 통하여 전달받아 동작줄(31)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변향레버(34) 및 배수밸브(33)를 조정하기 위한 동작캠(41)이 하우징(71)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때 동작캠(41)은 편심되어 있고, 동작줄(31)을 동작캠(41)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동작캠(41)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봉(4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동작캠(41)의 편심부분은 동작캠(41)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검림턱(43) 형성되어 있다.
동작캠(41)이 동작줄(31)을 소정길이 당긴 후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수단(80)이 동작캠의 일측 하우징(71)에 설치되고, 걸림수단(80)은 동작캠(4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43)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동작캠(41)이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기 위하여 그 일측이 동작캠(41)에 접촉되도록 마련된 걸림편(81), 걸림편(81)을 동작캠(41)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걸림편스프링(82), 걸림편(81)과 걸림편스프링(82)를 고정지지 하기 위하여 마련된 걸림지지부재(8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동축(61)에는 배수모터(5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배수모터제어부(70)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모터제어부(50)는 종동축(61)에 설치되어 동작캠(41)과 연동하는 차단판(54)과 배수모터(70)를 제어하기 위하여 일렬로 마련된 제1스위치(51), 제2스위치(52) 및 제3스위치(53)로 이루어진다. 차단판(54)은 종동축(61)에 마련되고, 차단판(54)의 외주면에는 스위치(51,52,53)의 접점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차단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는 제1스위치(51), 제2스위치(52)와 제3스위치(53)가 일렬도 마련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제2스위치(52)는 제1스위치(51)와 제3스위치(53)보아 길게 형성되어 그 일측은 차단홈(55)에 삽탁가능하도록 벤딩되어 차단판(54)의 회전에 따라 차단홈(55)에 삽탈되어 스위치들간의 접점상태를 변환시킨다. 이때 제2스위치(52)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스위치(51)와 제2 위치(52)가 접점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배수모터(70)는 고속회전하게 되고, 배수모터(70)의 고속회전을 감속부(60)가 저속으로 감속하여 종동축(61)을 통하여 동작캠(41)와 배수모터제어부(50)에 전달한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작캠(41)이 회전하게 되어 동작줄(31)을 당겨서 밸수밸브(33)를 열고, 동시에 변향레버(34)를 당겨서 변속장치(21)를 조정하여 세탁행정에서 배수 및 탈수행정으로 변환시킨다.
한편 동작캠(41)과 같은 차단판(54)이 회전하게 되어 차단판(54)에 형성된 차단홈(55)에 제2스위치(52)의 밴딩된 부위가 삽입되어 제2스위치(52)가 이동하여 제3스위치(53)과 접점된다. 이렇게되면 배수모터(70)는 정지하게 되고, 탄성체의 배수수단(30)을 당기고 있던 동작캠(41)은 걸림수단(80)의 걸림편(81)에 걸림턱(43)이 걸리게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배수행정이 끝난 후 제2스위치(52)와 제3스위치(53)가 접점된 상태로 전원을 인가하면 동작캠(41)은 회전하여 당기고 있던 동작줄(31)을 풀어주게 되고, 동시에 차단판(54)도 회전하여 스위치 접점상태를 제2스위치(52)와 제1스위치(51)로 접점상태를 변경시켜 배수모터(70)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장치는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을 기계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불량율을 줄이고, 그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그 내부에 세탁조(11)가 마련된 본체(10), 상기 세탁조(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운동하는 교반기(13)와 탈수조(12), 상기 세탁조(11)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부분에 배수밸브(33)가 마련되어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32), 그 일측에 변향레버(34)가 마련된 변속장치(21)를 개재하여 상기 탈수조(12)와 상기 교반기(1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동력모터(20), 그 일단이 분기되어 상기 배수밸브(33)와 상기 배수호스(32)와 연결된 동작줄(31), 그리고 상기 동작줄(3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조절수단(100')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100')은 배수모터(70), 상기 배수모터(70)의 일측에 마련된 종동축(61), 상기 배수모터(70)상에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동작줄(3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동작캠(41), 상기 종동축(61)상에 마련되어 상기 동작캠(41)과 연동되며 상기 배수모터(70)을 제어하는 배수모터제어부(50), 상기 동작캠(41)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수모터(70)가 멈춘후에도 상기 동작부(40)가 상기 동작줄(31)을 당긴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80)을 구비하는 세탁기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캠(41)에는 상기 동작캠(41)에 상기 동작줄(31)을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봉(4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의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캠(41)의 외주면에는 걸림턱(4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80)은 상기 동작캠(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43)과 협동하여 상기 동작캠(41)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편(81), 상기 걸림편을 상기 동작캠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걸림스프링(82), 상기 걸림편과 상기 걸림스프링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자(83)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배수장치.
  4. 상기 배수모터제어부(50)는 그 일측에 차단홈(55)이 형성되어 상기 종동축(61)에 마련된 차단판(54)과 상기 차단홈(55)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차단판(5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차단홈(55)에 삽탈되는 제2스위치(72)와 상기 제2스위치(72)의 삽탈시 접점이 변환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71)와 제3스위치(73)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배수장치.
KR1019940011718A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배수장치 KR014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718A KR0146321B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718A KR0146321B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6321B1 true KR0146321B1 (ko) 1998-10-01

Family

ID=193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718A KR0146321B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651A (zh) * 2012-03-08 2012-07-18 徐定善 洗衣机用排水牵引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651A (zh) * 2012-03-08 2012-07-18 徐定善 洗衣机用排水牵引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7073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46321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JP2719317B2 (ja) 洗濯機の排水装置
KR930005876B1 (ko) 전자동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 절환장치
KR1999000582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0146322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KR1999000488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10072054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308282B1 (ko) 전자동세탁기의구동장치
KR20030080760A (ko) 세탁기용 클러치
KR100813044B1 (ko) 세탁기용 클러치
KR100195452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215571Y1 (ko)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
KR10020540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KR100213135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및 배수밸브 조작장치
KR100361363B1 (ko) 전자동세탁기의구동장치
KR970043513A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221492Y1 (ko) 세탁기의 클러치 작동장치
JPH0316630Y2 (ko)
KR100314003B1 (ko) 세탁기의동력전달장치
KR95000428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468964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353032B1 (ko) 세탁기의 배수모터장치
KR100436558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20042170A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