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77B1 -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 Google Patents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77B1
KR0145977B1 KR1019950014558A KR19950014558A KR0145977B1 KR 0145977 B1 KR0145977 B1 KR 0145977B1 KR 1019950014558 A KR1019950014558 A KR 1019950014558A KR 19950014558 A KR19950014558 A KR 19950014558A KR 0145977 B1 KR0145977 B1 KR 014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ash plate
hydraulic pump
tandem
plat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657A (ko
Inventor
스스무 하세가와
쇼우지 나까가끼
도끼히꼬 우메다
Original Assignee
오오바 히로시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바 히로시,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바 히로시
Publication of KR96001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28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having two or more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와 그것에 관련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경량화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해도 펌프 유닛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구성은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중간 커플링부인 스플라인 커플링(30)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로부터 구동력을 꺼내기 위한 구동력 취출기구(40)로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연결한 제1기어(41)와 기어 박스(50)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 박스(50)는 중간 기어(53)와 종동 기어(56)와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와 이것들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기어 케이스(51)로 구성되고, 기어 박스(50)를 중간 블록(8)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고 기어 케이스(51)의 양면에 적절하게 추가되는 증설 유압 펌프(60,61)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59a,59b)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와 증설된 제3 및 제4유압 펌프를 일부 절단한 횡단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구동력 취출기구를 도시하는 제2도의 상당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구동력 취출기구를 도시하는 제2도의 상당도.
제5도는 종래기술에 관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이며 기어 박스를 장비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를 일부 절단한 횡단 평면도.
제6도는 종래기술에 관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와 증설된 2개의 유압 펌프로 구성된 펌프 유닛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4,5:구동축
6,7:하우징 30:스플라인 커플링(중간 커플링부)
31:스플라인 슬리브 부재 40,40A,40B:구동력 취출기구
56,56A:종동기어 57:스플라인 슬리브 부재
59a,59b:펌프 부착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부터 사판식 유압 펌프는 건설 기계 등에 있어서 유압 공급원으로서 널리 활용되어 있는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유닛화한 펌프 유닛으로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병렬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가있다. 병렬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펌프의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한 기어계가 대형화하는 동시에 그 기어의 교반에 의한 토크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열균형이 나빠지며 또, 펌프 유닛의 축 직교 방향의 폭이 커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축방향 길이가 커지기는 하나, 2개의 펌프의 구동축을 스플라인 커플링부를 거쳐서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동기구가 간단하고 전체로서 콤팩트화할 수 있는 동시에, 토크 손실이 작다는 장점이 있는 점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있다.
그런데 건설기계 등에 있어선 주행용 유압 모터, 선회용 유압 모터, 이외에 복수의 유압 작동기를 장비하는 일이 많으며, 병렬형 사판식 유압 펌프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어 펌프를 증설해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수가 많다.
예컨대, 실개소 54-21803호 공보에는 병렬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1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입력측과 반대측에 증설 유압 펌프를 직렬적으로 연결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경우의 제1예로서, 제5도에 도시하듯이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00)의 입력측에 3개의 기어를 내장한 기어 박스(101)를 부설하고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축(102)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기어(103)로부터 그 양측의 기어(104,105)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기어(104)를 거쳐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00)에 구동력을 입력하고, 또 기어(105)를 거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증설 유압 펌프(106)에 구동력을 입력한다.
상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경우의 제2예로서, 제6도에 도시하듯이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00)의 입력측과 반대측에 3개의 증설 유압 펌프(107-109)를 직렬적으로 연결하고, 이들 증설 유압 펌프(107-109)에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00)의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입력한다.
[발명이 해결하는 과제]
상기 제5도에 도시하는 제1예의 경우, 용량이 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필요에 따라, 기어 박스의 기어와 기어 케이스의 제원이 커진다는 것, 기어 박스의 축방향 길이분만큼 펌프 유닛이 대형화한다는 것, 기어 박스가 대형화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고가로 되며 중량도 무겁게 된다는 것, 큰 기어의 교반에 의한 토크 손실이 크고 열이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한다는 것 등의 결점이 있다.
상기 제6도에 도시하는 제2예의 경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복수의 증설 유압 펌프를 직렬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펌프 유닛의 축방향 길이가 커진다는 것, 그 결과 건설기계에 장비할 때의 레이아웃성이 나빠진다는 것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와 그것에 관련된 구조를 간단화, 경량화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해도 펌프 유닛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는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렬 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끼리를 연결하는 중간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구동력 취출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제2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는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렬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와, 상기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부재와 일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린 종동기어와, 이 종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와,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를 갖는 기어 박스이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어 박스를 구비한 것이다.
제3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는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렬 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와 상기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린 중간 기어 및 이 중간 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와, 상기 중간 기어와 종동 기어와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기어 케이스를 갖는 기어 박스이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제거 가능으로 고정되는 기어 박스를 구비한 것이다.
제4항 및 제5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취출 부재는 종동기어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로 이루는 것이다.
제6항 및 제7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는 제4항 및 제5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스중의 종동기어의 축심과 직교하는 양단면에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작용]
제1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중간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구동력 취출기구를 설치했으므로, 이 구동력 취출기구에서 취출된 구동력으로 별도 증설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제2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를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를 설치하고,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어 박스의 기어 케이스에 제1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일체로 회동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플라인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제1기어를 거쳐서 종동기어에 전달하고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구동할 수 있고, 이 구동력 취출 부재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제3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를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 커플링부르이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를 설치하고,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해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어 박스의 기어 케이스에 제1기어에 맞물린 중간 기어와, 이 중간 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일체 회동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플라인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는 제1기어와 중간 기어를 거쳐서 종동 기어에 전달하고, 구동력 취출부재를 회전 구동할 수 있으며, 이 구동력 취출 부재에서 별도 증설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제4항 및 제5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제2항 또는 제3항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내는데, 상기 구동력 취출 부재는 종동기어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로 되므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력 취출 부재에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화된다.
제6항 및 제7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제4항 및 제5항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내는데, 기어 케이스중의 종동 기어의 축심을 직교하는 양단면에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를 각각 설치했으므로, 상기 펌프 부착부에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므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간단하게 증설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중간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구동 취출기구를 설치했으므로, 이 구동 취출기구에서 취출된 구동력으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취출기구가 중간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취출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취출기구의 구동력 전달계가 비교적 소형인 것으로 되다는 것, 전달마력은 비교적 작고 또한 작은직경의 회전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교반에 의한 토크 손실인 열 손실이 작아진다는 것, 그러므로 구동 취출기구의 제작 비용과 중량과 에너지 절약(효율)의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고 구동 취출기구에 연결한 경우에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축방향 깊이가 확대하는 일도 없고 전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는 것, 구동 취출기구의 양측에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할 때 유리하다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2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를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를 설치하고,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고, 이 기어 박스의 기어 케이스에 제1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일체로 회동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플라인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제1기어를 거쳐서 종동 기어에 전달하고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구동할 수 있고 이 구동력 취출 부재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구동력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해 제1기어와 종동기어가 비교적 소형인 것으로 된다는 것,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의 일부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 케이스를 소형·경량화할 수 있다는 것, 전달마력은 비교적 작고 또한 작은 직경의 기어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교반으로 토크 손실이나 열손실이 작아진다는 것, 그러므로 제작 비용과 중량과 에너지 절약(효율)의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고 구동력 취출 부재에 연결한 경우에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축방향 길이가 확대되는 일도 없고 제1기어를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해서 배열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는 것, 구동력 취출 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할 때 유리하다는 것,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어 박스를 옵션적으로 장비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3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를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 회전하는 제1기어를 설치하고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해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어 박스의 기어 케이스에 제1기어에 맞물린 중간 기어와 이 중간 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알체로 회동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플라인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제1기어와 중간 기어를 거쳐서 종동 기어에 전달하고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구동할 수 있으며, 이 구동력 취출 부재에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구동력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해, 또 중간 기어를 두기 위해 제1기어와 중간 기어와 종동 기어가 비교적 소형인 것으로 된다는 것,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의 일부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기위해 기어 케이스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는 것, 전달 마력은 비교적 작고 또한 작은 직경의 기어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교반에 의한 토크 손실이나 열손실이 작아진다는 것,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고 구동력 취출 부재에 연결한 경우에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축방향 길이가 확대되는 일도 없고, 제1기어와 중간 기어의 대부분을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활용해서 배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콤팩트로 된다는 것, 구동력 취출 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압 펌프를 증설할 때 유리하다는 것, 기어 박스를 제거 가능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어 박스를 옵션적으로 장비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4항 및 제5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제2항 또는 제3항과 마찬가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데 상기 구동력 취출 부재는 종동 기어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로 이루므로 별도 증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구동력 취출 부재에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화된다.
제6항 및 제7항의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선, 제4항 및 제5항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내는데, 기어 케이스중의 종동기어의 축심을 직교하는 양단면에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펌프 부착부에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므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 펌프를 간단하게 증설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건설기계에 장비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한 예이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는 제1사판식 유압 펌프(2)(이한, 제1유압 펌프라 한다)와 제2사판식 유압 펌프(3)(이하,제2유압 펌프라 한다)를 직렬 형상으로 연결하고, 제1유압 펌프(2)와 구동축(4)의 전단부의 입력부(4a)는 엔진 출력축에 연결된 엔진으로 구동된다.
제1유압 펌프(2)의 구동축(4)의 후단부와, 제2유압 펌프(3)와 구동축(5)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커필링부로서 스플라인 커플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제1유압 펌프(2)의 하우징(6)과, 제2유압 펌프(3)의 하우징(7)은 중간 블록(8)을 거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제1유압 펌프(2)의 구동축(4)의 후단부와, 제2유압 펌프(3)의 구동축(5)의 전단부는 베어링(9,10)을 거쳐서 중간 블록(8)에 지지되며 중간 블록(8)에는 양 유압 펌프(2,3)의 흡입 포트(12,13)에 통하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중간 블록(8)에는 양 유압 펌프(2,3)의 토출 포트(14,15)에 통하는 상호 독립의 토출구(16,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유압 펌프(2)에 있어서, 하우징(6)내에 구동축(4)과 일체로 회전하는 실린더 블록(18)이 설치되어, 이 실린더 블록(18)에는 복수의 실린더(19)가 형성되며, 각 실린더(19)에는 피스톤(20)이 장착되며, 복수의 피스톤(20)의 머리부에 연결된 슈우(21)는 하우징(6)에 고정된 사판(22)에 미끄럼 접촉되어 있으며, 구동축(4) 및 실린더 블록(18)이 회전 구동되면, 복수의 피스톤(20)이 실린더(19)내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흡입구(11)와 흡입 포트(12)로부터 흡입되는 기름이 피스톤(20)에 의해 실린더(19)내에서 가압되고, 토출 포트(14)를 거쳐서 토출구(16)로부터 토출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유압 펌프(2)의 기타의 구조는 주지의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부호(23)는 베어링이다. 또, 제2유압 펌프(3)는 제1유압 펌프(2)와 마찬가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듯이, 스플라인 커플링(23)로부터 그 구동력의 일부를 외부로 꺼내는 구동력 취출기구(40)로서, 스플라인 커플링(40)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와 일체 회전하는 제1기어(41)와 기어 박스(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 박스(50)는 제1기어(41)에 맞물린 중간 기어(53)와, 이 중간기어(53)에 맞물린 중동기어(56)와, 구동력 취출 부재로서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등을 기어 케이스(5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구조이다. 중간 블록(8)에는 흡입구(11)와 반대측에 있어서 기어류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5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52)는 기어 케이스(5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기어(41)는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의 외측에서 감기어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제1기어(41)의 전후 양단을 스톱링으로 걸어지고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51)는 중간 블록(8)의 흡입구(11)와 반대측의 부착면(8a)에 복수의 볼트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고 있으며, 기어 케이스(51)에는 오목부(52)내에 돌입한 전후 한쌍의 판형상 피봇부(51a)가 일체 형성되고, 중간 기어(53)는 판형상 피봇부(51a)에 지지된 전후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54)에 베어링(55)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종동 기어(56)는 기어 케이스(51)에 베어링(58)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플라인 슬리브부재(57)에 외감되어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종동 기어(56)의 전후 양단은 한쌍의 스톱플링으로 걸어지고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는 종동기어(57)와 일체 회전한다.
상기 기어 케이스(51)의 전후 양단면에는 추가적으로 적절하게 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59A,59B)로서 증설되는 유압 펌프의 하우징의 원형 돌출부를 결합하기 위한 원형 오목부를 갖는 펌프 부착부(59A,59B)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후측의 펌프 부착부(59B)에 소형의 기어 펌프로 이루는 제3유압 펌프(60)(증설된 유압 펌프)가 부착되며 이 제3유압 펌프(60)(증설된 유압 펌프)가 부착되며 이 제3유압 펌프(60)의 구동축의 입력부는 스플라인 슬리브부재(57)의 후반부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있다.
또한, 제3유압 펌프(60)에는 소형의 기어 펌프로 구성되는 제어 유압 펌프(61)(증설된 유압 펌프)가 직렬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제1도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앞측의 펌프 부착부(59a)에도 제5유압 펌프(62)(증설되는 유압 펌프)를 부착하고 그 구동축의 입력부를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의 전반부에스플라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41)는 반드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스플라인 결합할 필요는 없으므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외감해서 비스등으로 고정해도 되며 또는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와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것은 종동기어(5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며, 종동기어(56)는 반드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에 외감해서 비스 등으로 고정해도 좋으며, 또는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와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구동력 취출 부재로서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대신에 축형상부재를 두고, 이 축형상부재에 제3유압펌프(60)의 축동축의 입력부를 축 커플링을 거쳐서 연결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플라인 커플링(30)으로부터 그 구동력의 일부를 제1기어(41)와 중간 기어(53)를 거쳐서 종동기어(56) 및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에 꺼내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기어(41)와 중간 기어(53)와 종동 기어(56)의 제원(특히 기어 직경 두께)을 작게 할 수 있고, 중간 블록(8)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의 일부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작용해서 기어 케이스(51)도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제1기어(41)와 중간 기어(53)의 대부분을 중간 블록(8)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해서 배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6,7)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어 박스(50)의 돌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1기어(41)와 기어 박스(5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에너지 절약(효율)면에서 유리해지며 제작 비용을 낮게 억제하고 경량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중간 커플링인 스플라인 커플링(30)으로부터 제1기어(41)와 박스(50)로 구동력을 꺼내게 구성했으므로 기어 박스(50)가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축방향 거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 그러므로 기어 케이스(51)의 펌프 부착부(59a,59b)에 하나 또는 복수의 증설 유압 펌프를 증설한 경우에도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와 증설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 축방향으로 대형화하는 일이 없고 전체로서 콤팩트하게 된다. 그러므로 펌프 유닛을 건설기계에 장비할 때의 레이아웃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기어 박스(50)가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축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그 기어 케이스(51)의 축방향 양단에 펌프 부착부(59a,59b)를 설치했으므로 이들 펌프 부착부(59a,59b)에 유압 펌프를 각각 증설할 수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유압 펌프를 증설하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또, 기어 케이스(51)를 중간 블록(8)에 제거 가능으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 취출기구(40)를 필요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에만 기어 박스(5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41)를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스플라인 결합하는 경우엔 구동력 취출기구(40)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에 있어선 제1기어(41)를 장비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즉, 구동력 취출기구(40)를 필요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와 구동력 취출 기구(40)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 중간 블록(8)에 있어서의 흡입구(11)와 반대측에 기어 박스(50)를 두기 때문에 흡입구(11)와 기어 박스(50)와의 간섭을 초래하는 일없고 기어 박스 (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제2도에 상당하는 제3도에 도시하듯이, 이 구동력 취출기구(40A)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기어(53)를 생략하고 제1기어(41A) 및 종동 기어(56A)를 각각 직경을 크게 해서 제1기어(41A)를 직접 종동기어(56A)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즉, 기어 박스(50A)가 제1기어(41A)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56A)와 이 종동기어(56A)와 일체 회전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로서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A)와 이들 종동기어(56A)와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A)와 이들 종동기어(56A)와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57A)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5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중간 블록(8)도 다소 대형화하며 에너지 절약(효율)의 면에서 다소 불리해진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같다.
2]제2도에 상당하는 제4도에 도시하듯이 이 구동력 취출기구(40B)에 있어선 스플라인 커플링(30)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31)에 외감 고정된 제1스프라켓(65)이 설치되며, 상기 기어 케이스(51)에 상당하는 스프라켓 케이스(66)에는 체인(67)을 거쳐서 제1스프라켓(65)에 연동 연결된 제2스프라켓(68)과 이 제2스프라켓(68)에 내감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69)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있으며, 스프라켓 케이스(66)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1)의 중간 블록(8)에 복수의 볼트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제1스프라켓(65) 대신의 제1풀리와, 제2스프라켓(68) 대신의 제2풀리와, 체인(67) 대신의 벨트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치부착 풀리로 구성하고 벨트부재를 타이밍 벨트로 구성해도 좋다.

Claims (7)

  1.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렬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중간 커플링으로부터 구동력의 일부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구동력 취출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2.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력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와, 상기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와,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기어 케이스를 갖는 기어 박스이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어 박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3. 적어도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를 직렬형상으로 연결해서 이루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사판식 유압 펌프의 구동축 끼리를 연결하는 스플라인 커플링부와, 상기 스플라인 커플링부의 스플라인 슬립 부재와 일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린 중간 기어 및 이 중간 기어에 맞물린 종동 기어와, 이 종동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력 취출 부재와, 상기 중간 기어와 종동 기어와 구동력 취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기어 케이스를 갖는 기어 박스이며,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의 하우징에 제거 가능으로 고정되는 기어 박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취출 부재는 종동 기어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취출 부재는 중동 기어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스중의 종동 기어의 축심과 직교하는 양단면에 증설된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수중의 종동 기어의 축심과 직교하는 양단면에 증설된 유압 펌프를 부착하기 위한 펌프 부착부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사판식 유압 펌프.
KR1019950014558A 1994-10-24 1995-06-02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KR0145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84173A JPH08121328A (ja) 1994-10-24 1994-10-24 タンデム型斜板式油圧ポンプ
JP94-284173 1994-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57A KR960014657A (ko) 1996-05-22
KR0145977B1 true KR0145977B1 (ko) 1998-08-17

Family

ID=1767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558A KR0145977B1 (ko) 1994-10-24 1995-06-02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21328A (ko)
KR (1) KR0145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152B1 (ko) * 2018-06-21 2019-10-01 김대철 크레인용 펌프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91B1 (ko) * 1997-03-22 1999-09-15 토니헬 보조 펌프 구조
KR100474258B1 (ko) * 1997-05-31 2005-05-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사판식액셜피스톤펌프
DE19728994C2 (de) * 1997-07-07 1999-04-22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Kompakte Hydraulikeinheit
JP4633306B2 (ja) 2001-09-12 2011-02-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斜板形油圧ポンプの配列構造
KR100900409B1 (ko) * 2009-01-30 2009-06-02 주식회사 두크 손실량 추정을 이용한 교대운전 기능을 가지는 멀티 인버터를 구비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
JP5560568B2 (ja) * 2009-02-12 2014-07-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271774B2 (ja) * 2009-03-31 2013-08-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6065482A (ja) * 2014-09-24 2016-04-2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タンデム型油圧ポンプ
CN112502932A (zh) * 2020-10-13 2021-03-16 博世力士乐(北京)液压有限公司 泵组件和载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152B1 (ko) * 2018-06-21 2019-10-01 김대철 크레인용 펌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21328A (ja) 1996-05-14
KR96001465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0134A (en) Tandem, swash plate pump having drive force take-out mechanism
KR100221591B1 (ko) 보조 펌프 구조
US7681487B2 (en) Tandem axial piston pump unit
JP3730781B2 (ja) 多連ピストンポンプ
US8707692B1 (en) Two piece center section for a drive apparatus
US6705840B1 (en) Inline tandem pump
US7806667B1 (en) Dual pump
DK2859237T3 (en) GEAR PUMP OR HYDRAULIC SPEED ENGINE WITH OVERSHIP PROVIDED WITH A HYDRAULIC SYSTEM FOR AXIAL PRESSURE EQUALIZATION
KR0145977B1 (ko) 탠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US7798299B2 (en) Dual input clutch transmission with torque converter pump drive
US20100275725A1 (en) Torque-splitting transmission
CA2430025C (en) Dual balance pump shaft assembly
US8215109B1 (en) Dual pump apparatus with power take off
EP2390533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7377105B1 (en) Dual pump assembly
KR100909311B1 (ko) 기어 펌프를 가진 클러치 어셈블리
KR100445581B1 (ko) 로터리펌프
US3291052A (en) Gear pumps and motors
JP4633306B2 (ja) 斜板形油圧ポンプの配列構造
JPH06193548A (ja) ハイドロメカニック式の駆動ユニット
KR200400969Y1 (ko) 템덤형 사판식 유압펌프
ITCR20080004A1 (it) Scatola di trasmissione universale
KR100410337B1 (ko) 차량용 가변식 오일 펌프
US4455130A (en) Gear machine with oppositely aligned sealing elements
JP2005024027A (ja) 油圧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作業車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