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825B1 -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 Google Patents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825B1
KR0145825B1 KR1019950044056A KR19950044056A KR0145825B1 KR 0145825 B1 KR0145825 B1 KR 0145825B1 KR 1019950044056 A KR1019950044056 A KR 1019950044056A KR 19950044056 A KR19950044056 A KR 19950044056A KR 0145825 B1 KR0145825 B1 KR 014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housing
spare tir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26792A (en
Inventor
이은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825B1/en
Publication of KR97002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8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는 스패어 타이어를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미측에 하측으로 형성된 개구부(2)의 스패어 타이어(3)를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6)의 유로(7)를 통해 소정의 높이까지 들어낼 수 있도록 스타트 동작을 발생시키는 누름 및 당김수단(8)과, 상기 누름 및 당김수단(8)에 의해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스패어 타이어(3)를 소정의 스트로크로 상하강시키는 상승 및 하강수단(9)과, 상기 상승 및 하강수단(9)을 통해 상승된 상기 스패어 타이어(3)를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0)과, 상기 자금수단(10)을 통해 고정된 상기 상승 및 하강수단(9)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수단(11)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차량정비자가 좀더 편리하게 차량의 트렁크(1)에 안치된 스패어 타이어(3)를 적은힘으로도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 lifting device that can easily lift the spare tire provid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a spare tire (3) of the opening (2) formed in the lower side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on one side The pressing and pulling means 8 for generating a start operation to lift to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flow path 7 of the housing 6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working fluid flowing by the pressing and pulling means 8. Fixing and lowering means (9)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pare tire (3) by a predetermined stroke and the spare tire (3) raised through the raising and lowering means (9)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ck means 10 and the release means 11 for return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9 fixed through the funding means 10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vehicle maintenance more convenient trunk of the vehicle Inside (1)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lift the mounted spare tire (3) with a small force.

Description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tire

제 1도는 종래의 차량의 트렁크내에 스패어 타이어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pare tire is placed in the trunk of a conventional vehicle;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draulic lifting device of a spar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트렁크 2:개구부1: Trunk 2: Opening

3:스패어 타이어 6:하우징3: spare tire 6: housing

7:유로 12:단부7: Euro 12: end

13:버튼 14:제 1실린더13: Button 14: The first cylinder

15:제 1피스톤 15a:제 1피스톤축15: first piston 15a: first piston shaft

16:수평부 17,18,,,:제 2실린더16: Horizontal 17,18 ,,,: 2nd cylinder

19,20:제 2피스톤 19a,20a,,,:(제 2피스톤)피스톤축19,20: 2nd piston 19a, 20a ,,,: (2nd piston) Piston shaft

21:잠금바 22:경사부21: Lock Bar 22: Tilt

23:제 4실린더 24:제 4피스톤23: 4th cylinder 24: 4th piston

24a:제 4피스톤축 25:개구24a: fourth piston shaft 25: opening

26:플런저 27:요부26: plunger 27: important part

28:탄성부재 29:안착부28: elastic member 29: seating por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비치되는 스패어 타이어를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하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유체와 이를 가압가능한 실린더 및 스패어 타이어를 들어올리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트렁크의 개구부로부터 스패어 타이어를 들어올림으로써 차량의 정비자가 좀더 편리하게 스패어 타이어를 꺼낼 수 있게 하도록 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 lifting device that makes it easy to lift a spare tire provided in the trunk of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having a working fluid, a pressurizable cylinder and a cylinder for lifting the spare tire. A hydraulic lifting device for spare tires is provided which makes it easier for a vehicle's mechanic to remove spare tires by lifting the tires.

제 1도는 종래에 차량의 트렁크내에 스패어 타이어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측에 구비되는 트렁크(1)내에는 소정깊이의 개구부(2)가 형성되는 바, 상기 개구부(2)에는 예비용의 스패어 타이어(3)가 트렁크(1)의 바닥면으로 부터 상대적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안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패어 타이어(3)를 계속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re tire is settled in a trunk of a vehicle, and an opening 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trunk 1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as shown. Bar and the opening (2) has a spare spare tire (3) is settled so as not to protrude relative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1) and the function to continue to store the spare tire (3) Will be in charge.

특히, 상기 개구부(2)의 하측 소정부위에는 나사부(4)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에 상응하여 상측에는 독립적으로 장형볼트(5)가 구비되어 상기 스패어 타이어(3)를 트렁크(1)에 대해 잠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4) and corresponding to the screw portion (4)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bolt (5) independently on the upper side to the trunk tire (3) trunk (1) ) Can be temporarily fix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스패어 타이어(3)가 개구부(2)에 깊숙히 안치되어 있기 때문에 숙달된 차량 정비자라 하더라도 이를 개구부(2)로부터 꺼내고자 할 때 허리등에 다소의 무리가 따르게 되거나, 자가 운전자의 경우에는 들어올리기가 매우 곤혹스러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are tire 3 is deeply seated in the opening 2, even a trained vehicle mechanic may have some strain on the waist or the like when trying to take it out of the opening 2. In the case of self-driving drivers, there w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lif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트렁크의 개구부에 안치되어 있는 스패어 타이어를 개구부 상부까지 유압에 의하여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여 차량 정비자로 하여금 좀더 편리하게 스패어 타이어를 들어낼 수 있게 하도록 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maintenance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lif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lifted by hydraulic pressure to the upper part of the spare tire placed in the opening of the vehicle trun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aulic lifting device for spare tires that allows the lifter to lift the spare tire more convenient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의 개구부의 측방과 하방 둘레에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는 유로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부 단부 부분에서 상기 유로에 연통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 1피스톤을 포함하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피스톤을 가압가능하도록 상기 제 1피스톤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 단부 위로 돌출형성된 제 1피스톤축 및 이 제 1피스톤축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과, 상기 스패어 타이어가 안착된 상기 하우징의 수평부 일측에서 상기 유로에 연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 1실린더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실린더에 설치되며 그 피스톤축이 상기 하우징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패어 타이어를 상기 개구부 위쪽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제 2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ce and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vehicle trunk,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filled with a working fluid therein, and the flow path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A first cylind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ylinder, the first cylinder including a first piston therein, and a first piston extending upwardly of the first piston to pressurize the first piston of the first cylinder and protruding abov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 button formed at an end of the piston shaft and the first piston shaf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housing on which the spare tire is seated, at least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ylinder. Two or more second cylinders and the second cylinder, the piston shaft of which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spare tie A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cond piston for lifting the top of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실린더와 제 2실린더 사이의 유로 일중간을 횡단하여 형성되는 제 4실린더와, 상기 제 4실린더에서 슬라이딩함에 의하여 상기 유로를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도록 하는 제 4피스톤와, 상기 제 4피스톤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되, 그 단부에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 4피스톤축과, 상기 제 4피스톤축의 안착부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4피스톤이 상기 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4피스톤의 안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일측에 개구가 관통형성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 버튼의 일측으로부터 하향연장되어 버튼과 일체로 승강하되, 그 연장단부에는 상기 버튼이 하강될 때 상기 개구의 일끝에 접촉하여 버튼의 하강동작에 대응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4피스톤으로 하여금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잠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th cylinder formed to cross the middle of the flow path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nd the fourth piston to block or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by sliding in the fourth cylinder, and A fourth piston shaft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fourth piston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nterposed between a seating portion of the fourth piston shaft and a housing having a seat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the fourth piston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pulling force to a position capable of being made to extend, a plung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eating portion of the fourth piston,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utton to be integrated with the button And the extension end thereof has an extended end thereof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opening in response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lowered. Moving me by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fourth piston to cause the lock is formed an inclined for moving to a position to block the flow path ba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하우징(6)은 트렁크(1)의 개구부(2)의 측방과 하방 둘레에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는 유로(7)가 구비되어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draulic lifting device of a spar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ousing 6 is provided around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opening 2 of the trunk 1, and a flow path in which a working fluid is filled therein. (7) is provided.

상기 하우징(6)의 상측부 단부(12)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유로(7)에 연통되는 제 1실린더(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실린더(14) 내부에는 작동유체를 가압가능한 제 1피스톤(1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 1피스톤(15)의 상부로부터는 제1피스톤축(15a)이 상기 하우징(6)의 상측 단부(12)위로 소정량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1피스톤축(15a)의 단부에는 사람 혹은 다른 적절한 별도의 장치로서 눌러 제 1피스톤(15)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A first cylinder 14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7 is formed at a portion proximate to the upper end 12 of the housing 6, and within the first cylinder 14 is formed a pressurized working fluid. One piston 15 is provi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ston 15, the first piston shaft 15a extends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amount onto the upper end 12 of the housing 6,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iston shaft 15a. It is provided with a button 13 to pressurize the first piston 15 by pressing as a person or other suitable separate device.

그리고, 스패어 타이어(3)가 안치된 상기 하우징(6)의 수평부(16) 일측에는 상기 제 1실린더(14)보다 단면적이 큰 적어도 둘 이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제 2실린더(17,18,,,,)가 상기 유로(7)에 연통하여 상기 제 1실린더(14)와 작동유체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 2실린더(17,18,,,)에는 그 피스톤축(19a,20a)이 상기 하우징(6)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패어 타이어(3)를 상기 개구부(2) 위쪽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제 2피스톤(19,2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피스톤(19,20,,,)의 단면적이 제 1실린더(14)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제 1실린더(14)을 가압하는 힘이 배가되어 스패어 타이어를 적은 힘으로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6 of the housing 6 in which the spare tire 3 is placed, second cylinders 17 and 18 having at least two cylinders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cylinder 14 are provided. Is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14 as a working fluid, and the piston cylinders 19a and 20a ar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14 as a working fluid. A second piston (19, 20 ,,,) is provided to protrude upward of the housing (6) to lift the spare tire (3) above the opening (2). Her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iston (19, 20 ,,,)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ylinder 14, the force for pressing the first cylinder 14 is doubled to lift the spare tire with less force. I can raise it.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피스톤(15)을 가압하면 작동유체가 상기 제 2피스톤(19,20,,,)을 상승시키고, 이에 제 2피스톤(19,20,,,)의 피스톤축(19a,20a,,,)이 스패어 타이어(3)를 트렁크(1)의 개구부(2) 위쪽으로 들어 올릴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상기와 같은 구조로도 스패어 타이어(3)를 개구부(2)로부터 힘들이지 않고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버튼(13)을 누르는 사람과 스패어 타이어(3)를 들어올리는 사람을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피스톤(19,20,,,)이 스패어 타이어(3)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제 2실린더(17,18,,,)에 공급된 작동유체를 밀폐하여 제 2피스톤(19,20,,,)의 하강을 방지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iston 15 is pressurized, a working fluid raises the second pistons 19, 20, and the piston shaft 19a of the second pistons 19, 20, and (20a ,,) is to allow the spare tire (3) to lift above the opening (2) of the trunk (1), the spare tire (3) to the opening (2) even in the above structure I can lift it up without effort.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person who pushes the button 13 and the person who lifts the spare tire 3 ar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istons 19, 20, ... are spare tire 3; )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eans for sealing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second cylinder (17, 18 ,,,)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second piston (19, 20 ,,,).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즉, 상기 제 1실린더(14)와 제 2실린더(17,18,,,) 사이의 유로(7) 일중간에는 제 4실린더(23)가 상기 유로(7)를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제 4실린더(23)에는 제 4피스톤(24)이 설치되어 서, 이 제 4피스톤(24)이 좌 또는 우로 슬라이딩함에 의하여 상기 유로(7)가 차단되거나 연통되도록 하고 있다.That is, in the middle of the flow path 7 between the first cylinder 14 and the second cylinders 17, 18,,, a fourth cylinder 23 is formed to cross the flow path 7. The fourth cylinder 23 is provided with a fourth piston 24 so that the fourth piston 24 slides left or right so that the flow passage 7 is blocked or communicated.

또한, 상기 제 4피스톤(24)의 일측으로부터는 제 4피스톤축(24a)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6)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피스톤축(24a)의 단부에는 안착부(2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피스톤축(24a)의 안착부(29)와 하우징(6) 사이에는 탄성부재(28)가 개재되어 상기 제 4피스톤(24)이 항상 상기 유로(7)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도록 하는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4피스톤(24)은 항상 유로(7)를 연통하는 위치로 당겨져 있게 된다. 제 2도에서 상기 하우징(6)에는 요부(27)가 형성되어 이에 탄성부재(2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요부(27)에 의하여 탄성부재(28)의 안정된 착좌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후술하는 플런저(26)의 돌출량 및 잠금바(21)의 돌출량을 최소화 하고 있다.In addition, a fourth piston shaft 24a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ourth piston 24 to protrude outside the housing 6, and a seating portion 29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iston shaft 24a. have.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28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29 and the housing 6 of the fourth piston shaft 24a so that the fourth piston 24 can always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7.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hat keeps it in position. As a result, the fourth piston 24 is always pulled to the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7). In FIG. 2, the housing 6 has a recessed portion 27 formed therein, and the elastic member 28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recessed portion 27 can maintain a stable seating state of the elastic member 28.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lunger 26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locking bar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inimized.

또한, 상기 제 4피스톤축(24a)의 안착부(29)로부터는 플런저(26)가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이 플런저(26)의 일측에는 개구(25)가 관통형성되어 있다.The plunger 26 further extends out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29 of the fourth piston shaft 24a, and an opening 25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plunger 26.

상기한 개구(25) 측에는 상기 버튼(13)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하향연장된 잠금바(21)의 단부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잠금바(21)의 연장단부에는 그 선단이 상기 개구(25) 내측으로 소정량 중첩되는 경사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부(22)는 상기 버튼(13)이 하강될 때 상기 개구(25)의 일 끝에 그 선단이 접촉함과 동시에 버튼(13)의 하강동작에 대응하여 경사부(22)가 플런저(26)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제 4피스톤(24)으로 하여금 유로(7)를 차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bar 21 integrally extend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utton 13 is located at the opening 25 side, and an extension end of the locking bar 21 is located at an inner end of the opening 25. The inclined portion 22 overlapping a predetermined amount is provided. When the button 13 is lowered, the inclined portion 22 contacts the tip of one end of the opening 25 and the inclined portion 22 is plunger 26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button 13. ) To the left to cause the fourth piston 24 to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flow path 7 can be blocked.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트렁크(1)의 개구부(2)에 안치되어 있는 스패어 타이어(3)를 개구부(2)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동작으로, 먼저 버튼(13)을 가압하면 이에 제 1피스톤축(15a)으로 연결된 제 1피스톤(15)이 제 1실린더(14)내에서 하강하여 하우징(6) 내부의 유로(7)에 충전된 작동유체를 가압하게 된다.An operation for lifting the spare tire 3 placed in the opening 2 of the trunk 1 from the opening 2. First, when the button 13 is pressed, the first tire shaft 15a is connected to the first tire shaft 15a. One piston 15 is lowered in the first cylinder 14 to pressurize the working fluid filled in the flow path 7 inside the housing 6.

이러한 작동유체의 가압력은 제 2실린더(17,18,,,)로 전달되며, 이 제2실린더(17,18,,,)내의 제 2피스톤(19,2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실린더(14)와 제 2실린더(17,18,,,)의 단면적 차이에 의하여 버튼(13)을 누르는 힘이 배가 되고, 이에 제 2피스톤(19,20,,,)의 상승력이 커지게 되므로 스패어 타이어(3)를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 2피스톤(19,20,,,)이 스패어 타이어(3)를 트렁크(1)의 개구부(2)위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스패어 타이어(3)를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force of the working flui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ylinders 17, 18, and to raise the second pistons 19, 20, and in the second cylinders 17, 18,. In this case, the pressing force of the button 13 is doubl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ylinder 14 and the second cylinders 17, 18, and, and thus the second pistons 19, 20, and Since the lifting force becomes large, the spare tire 3 can be lifted with a small force.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pistons 19, 20,, push the spare tire 3 over the opening 2 of the trunk 1, the spare tire 3 can be easily lifted without effort. .

한편, 상기와 같이 버튼(13) 및 제 제 1피스톤(15)을 가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버튼(13)의 일측에 하향 연장된 잠금바(21)도 일체로 하강하게 되는 바, 버튼(13) 및 제 1피스톤(15)이 어느정도 하강하게 되면 상기 잠금바(21)의 경사부(22) 선단이 플런저(26) 개구(25)의 일측(제 2도에서 좌측)에 개구(25) 내측으로 다소 중첩되어 접촉하게 됨과 아울러, 잠금바(21)의 하강이 계속진행되면서 이 경사부(22)가 개구(25) 내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감과 동시에 플런저(26)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탄성부재(28)는 압축되며 플런저(26)와 제 4피스톤축(24a)으로 일체로된 제 4피스톤(24)이 서서히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 1실린더(14)의 가압이 진행되면서 동시에 제 4피스톤(24)이 유로(7)를 서서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button 13 and the first piston 15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bar 21 extending downward on one side of the button 13 is also lowered integrally, and the button 13 And when the first piston 15 is lowered to some extent, the tip of the inclined portion 22 of the locking bar 21 is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25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2) of the opening 25 of the plunger 26. As the lowering of the locking bar 21 proceeds, the inclined portion 22 slides into the opening 25 and the plunger 26 is moved to the left while being slightly overlapped and contacted. In this process, the elastic member 28 is compressed and the fourth piston 24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unger 26 and the fourth piston shaft 24a gradually moves to the left side. That is, while the pressurization of the first cylinder 14 proceeds, the fourth piston 24 gradually blocks the flow passage 7.

결국, 제 1피스톤(15)의 가압행정 말기에는 상기 제 4피스톤(24)의 차단행정도 완료되게 된다. 이로써 제 2피스톤(19,20,,,)을 밀고 있는 작동유체는 제 4실린더(23)와 제 2실린더(17,18,,,) 사이의 유로(7)에 밀폐되기 때문에 스패어 타이어(3)를 개구부(2)위로 밀어올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blocking stroke of the fourth piston 24 is complet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stroke of the first piston 15. As a result, the working fluid pushing the second pistons (19, 20 ,,) is sealed in the flow path (7) between the fourth cylinder (23) and the second cylinder (17, 18 ,,,), so that the spare tire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3) is pushed up onto the opening 2.

또한, 상기 잠금바(21)의 경사부(22)가 플런저(26)의 개구(25)를 완전히 통과한 상태에서는 즉, 제 4피스톤(24)이 유로(7)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8)의 탄발력에 의하여 개구(25)가 잠금바(21)를 계속적으로 밀고 있게 됨과 아울러, 제 1피스톤(15)을 상승시키려는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으므로(실질적으로 제 1피스톤(15)을 상승시키려면 다소의 힘을 작용하여야 함) 제 1피스톤(15) 및 잠금바(21)는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버튼(13)을 가압한 작업자가 버튼(13)으로부터 손을 떼고 스패어 타이어(3) 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에 작업자 한사람으로도 버튼(13)를 가압하는 작업과 스패어 타이어(3)를 꺼내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inclined portion 22 of the locking bar 21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opening 25 of the plunger 26,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fourth piston 24 completely blocks the flow path 7, Since the opening 25 continuously pushes the lock bar 21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ember 28, no force is applied to raise the first piston 15 (substantially the first piston 15). The first piston 15 and the locking bar 21 are kept in the lowered state continuously, so that the operator who presses the button 13 is pushed away from the button 13. The spare tire 3 can be lifted with the hands off. Thus, even one worker can proceed to press the button 13 and to take out the spare tire 3 sequentially.

트렁크(1)로부터 스패어 타이어(3)를 꺼낸 후에는 다음의 스패어 타이어의 안치를 위하여 모든 것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야 하는 바, 버튼(13)을 위로 소정의 힘으로 당김에 따라 잠금바(21)의 경사부(22)가 플런저(26)의 개구(25)로부터 서서히 해제되게 되고, 이에 탄성부재(28)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4피스톤(24)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폐쇄되어 있던 유로(7)를 개통시키게 된다. 유로(7)가 조금이라도 개통된 상태에서는 제 1피스톤(15)의 상승을 저지하는 어떠한 힘도 사라지기 때문에 이때에는 버튼(13)을 당기지 않아도 탄성부재(28)의 탄발력만으로 제 4피스톤(24)이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될 수 있고, 이에 플런저(26)가 잠금바(21)를 상승시켜 제 1피스톤(15)과 버튼(13) 및 제 2피스톤(19,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After removing the spare tire (3) from the trunk (1), it is necessary to return everything to its original state in order to settle the next spare tire. The locking bar as the button (13) is pulled upward with a predetermined force. The inclined portion 22 of 21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opening 25 of the plunger 26, and the fourth piston 24 is closed while moving to the righ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8. The flow path 7 is op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7 is opened even a little, any force that prevents the rise of the first piston 15 disappears. At this time, even if the button 13 is not pulled out,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8 is applied to the fourth piston ( 24 can be moved completely to the right, whereby the plunger 26 raises the locking bar 21 so that the first piston 15, the button 13 and the second piston 19, 20, ... It will return to the position of.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는, 차량 트렁크의 개구부에 안치되어 있는 스패어 타이어를 개구부 상부까지 유압에 의하여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차량 정비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함게 되며, 나아가, 스패어 타이어를 개구부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유압을 잠그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한사람의 작업자에 의하여 리프팅 장치의 조작에서부터 스패어 타이어를 꺼내는 작업까지 손쉽게 완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ydraulic lifting device of the spar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spare tire can be conveniently lif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are tire placed in the opening of the trunk of the vehicle, it provides more convenience to the vehicle mechanic, Furthermore, since a device for locking the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spare tire is lif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to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spare tire can be easily completed by one worker.

Claims (1)

스패어 타이어(3)가 안치된 트렁크(1) 개구부(2)의 측방과 하방 둘레에 구비되는 하우징(6)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는 유로(7)를 설치하고, 하우징(6)의 상측부 단부(12)부분에서 상기 유로(7)에 연통되는 제 1실린더(14) 및 그 내부의 제 1피스톤(15)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6)의 수평부(16) 일측에서 상기 유로(7)에 연통하되, 적어도 상기 제 1실린더(14)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 1실린더(17,18,,,) 및 이 제 2실린더(17,18,,,)내부에 설치되어 그 피스톤축(19a,20a,,,)이 하우징(6)의 수평부(16)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제 2피스톤(19,20,,,)을 구비하여, 상기 제 1피스톤(15)을 가압함에 따른 유압작용으로 상기 제 2실린더(17,18,,,)의 제 2피스톤(19,20,,,)이 상승하여 그 피스톤축(19a,20a,,,)이 스패어 타이어(3)를 개구부(2)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한 스패어 타이어의 유압식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린더(14)와 제 2실린더(17,18,,,) 사이의 유로(7) 일중간을 횡단하여 형성되는 제 4실린더(23)와, 상기 제 4실린더(23)에서 슬라이딩함에 의하여 상기 유로(7)를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도록 하는 제 4피스톤(24)과, 상기 제 4피스톤(2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6) 외측으로 돌출되되, 그 단부에 안착부(29)가 마련되어 있는 제 4피스톤축(24a)과, 상기 제 4피스톤축(24a)의 안착부(29)와 하우징(6)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4피스톤(24)이 상기 유로(7)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8)와, 상기 제 24a)의 안착부(29)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일측에 개구(25)가 관통형성되어 있는 플런저(26)와, 상기 제 1피스톤(15)을 가압가능하도록 제 1피스톤(15)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6)의 상측 단부(12) 위로 돌출되는 제 1피스톤축(15a) 및 이 제 1피스톤축(15a)의 단부에 형성되는 버튼(13)과, 상기 버튼(13)의 일측으로부터 하향연장되어 버튼(13)과 일체로 승강하되, 그 연장단부에는 상기 버튼(13)이 하강될 때 상기 개구(25)의 일끝에 접촉하여 버튼(13)이 하강동작에 대응하여 플런저(26)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4피스톤(24)을 유로(7) 차단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부(22)를 갖는 잠금바(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어 타이어 유압식 리프팅 장치.A flow path 7 filled with a working fluid is provided in the housing 6 provided around and below the opening 1 of the trunk 1 in which the spare tire 3 is plac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6 is installed. A first cylinder 14 and a first piston 15 therein, which communicate with the flow passage 7 at the side end portion 12, have a flow path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6 of the housing 6. At least two or more first cylinders (17,18 ,,) and second cylinders (17,18 ,,) in communication with (7) but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that is at least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ylinder (14). The pistons 19a, 20a, and, which are installed inside,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6 of the housing 6, and have second pistons 19, 20,. 15, the second pistons (19, 20 ,,) of the second cylinder (17, 18 ,,,) is raised by the hydraulic action by pressing the piston shaft (19a, 20a ,,,) is spared Lift the tire (3) up the opening (2) In the hydraulic lifting device of a pair tire, the fourth cylinder 23 formed to cross the middle of the flow path 7 between the first cylinder 14 and the second cylinder (17, 18 ,,,), and A fourth piston 24 which blocks or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7 by sliding in a fourth cylinder 23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ourth piston 24 to protrude out of the housing 6; The fourth piston shaft 24a having a seating portion 29 provided at an end thereof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29 and the housing 6 of the fourth piston shaft 24a. An elastic member 28 that provides a pulling force to a position where the passage 7 can communicate with the passage 7, and extends outwardly from the seating portion 29 of the twenty-fourth portion; The plunger 26 through which is formed and the first piston 15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ston 15 so as to be pressurizable. A first piston shaft 15a protruding above the upper end 12 of the gong 6 and a button 13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iston shaft 15a, and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utton 13;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tegrally with the button 13, the prolonged end thereof contacts one end of the opening 25 when the button 13 is lowered to move the plunger 26 in response to the lowering operation. And a locking bar (21) having an inclined portion (22) for moving the fourth piston (24) to the flow path (7) blocking position.
KR1019950044056A 1995-11-28 1995-11-28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KR0145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56A KR0145825B1 (en) 1995-11-28 1995-11-28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56A KR0145825B1 (en) 1995-11-28 1995-11-28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92A KR970026792A (en) 1997-06-24
KR0145825B1 true KR0145825B1 (en) 1998-08-17

Family

ID=1943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056A KR0145825B1 (en) 1995-11-28 1995-11-28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8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3936B (en) * 2017-11-29 2019-07-16 宁波润佳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A kind of spare tyre container of fast quick-det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92A (en)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operation of pallet trucks
US4251056A (en) Creep preventing safety device for hydraulic jacks, especially of the type employed for partially or one-side raising road vehicles
GB1488810A (en) Straddle carriers
KR0145825B1 (en) Hydraulic lifting device of spare wheel
US7100897B2 (en) Hydraulic jack
GB2034408A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lifting apparatus
GB2271330A (en) Devices for lifting vehicles
GB119676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vators.
JPH0641992Y2 (en) Descent speed adjustment device for jacks
US2575160A (en) Hydraulic automobile jack
JPS57167238A (en) Tire vulcanizer
KR200348566Y1 (en) air jack for cars
KR200360306Y1 (en) Automobile maintenance jack
KR840001602Y1 (en) The nalling equipment for hand pallet
CN216807940U (en) Hydraulic jack
KR200204530Y1 (en) Mission jack
US4745856A (en) Hydraulic refuse compactor with channel guided compactor blade
CN208809538U (en) New type pressure filter manipulator of automatic pulling plate
KR900008832Y1 (en) Jack for a car
KR19980052800U (en) Vehicle Lifting Device
SU599892A1 (en) Die set for drawing with counter-pressure
KR19980055712U (en) Lifting device of freight vehicle with single acting hydraulic cylinder
JPH0569725B2 (en)
KR100507532B1 (en) Cab tilting cylinder for truck
KR200225414Y1 (en) Hydraulic lif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