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792B1 -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92B1
KR0145792B1 KR1019940026906A KR19940026906A KR0145792B1 KR 0145792 B1 KR0145792 B1 KR 0145792B1 KR 1019940026906 A KR1019940026906 A KR 1019940026906A KR 19940026906 A KR19940026906 A KR 19940026906A KR 0145792 B1 KR0145792 B1 KR 014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mmunication channel
call
fixed devic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11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2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792B1/ko
Publication of KR96001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잡음검출부(20)를 구성하여 기설정된 통화채널 통화감도를 판단하여 부적절한 경우에는 위상동기루프(20)로 하여금 통화채널을 재설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채널변경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동으로 최적의 통화채널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무선전화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위상동기루프 20:잡음검출부
30:제어부 40:무선중계부
50:표시부
본 발명은 무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감도에 따라 통화채널을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무선전화기의 자동채널전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구성되며,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고정장치는 전화국선에 연결되므로써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한 전화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하여는 소정의 통화채널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 통화채널은 다수개의 채널(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형성되는 다수개 채널들)들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감도가 좋은 채널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즉, 휴대장치를 이용한 전자통화시에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설정된 통화채널이 외부 환경 등에 의한 영향으로 통화감도상태가 불안정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다수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다수의 채널들중 하나를 통화채널로 설정할 수있게 한 것이다. 즉,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내에 채널변경부를 구성하고, 채널변경부가 구동되면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기설정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설정된 통화채널의 통화감도가 나쁜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채널변경부를 작동시키므로써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는 고품질의 통화감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채널변경부를 조작하여 통화감도가 양호한 채널을 선택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이용한 통화도중에 통화감도가 저하되는 경우에 통화채널을 재설정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다수개 채널들중에 통화감도가 양호한 채널을 통화채널로서 설정할 수 있게 한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다수개 채널들중에 통화감도가 양호한 채널을 통화채널로서 설정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형성가능한 다수개의 채널들중 하나를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채널로 고정시키는 위상동기루프와, 위상동기루프에 의해 통화채널이 고정된 후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잡음을 검출하는 잡음검출부와, 잡음검출부에서 잡음이 검출될 때 위상동기루프를 제어하여 통화채널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중계부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채널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채널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채널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채널의 통화감도가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채널상태가 부적합하면 통화채널로서 최적인 채널을 검색하고 이 채널 검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검색된 채널이 통화채널로서 최적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검색된 채널이 최적의 통화채널일 때 통화채널을 변경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변경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 재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이전의 통화채널로 통화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 채널들중 하나의 채널을 통화채널로 고정시키는 위상동기루프(10)와, 위상동기루프(10)에 의해 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통화중 발생하는 잡음을 검출기 위한 잡음검출부(20)와, 잡음검출부(20)에서 잡음이 검출될 때 위상동기루프(10)로 하여금 통화채널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신호(통화)를 송수신하는 무선중계부(40)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사용하고 있는 통화채널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보면 먼저, 사용자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온으로 작동시키면 휴대장치에 내장된 충전지로 부터 휴대장치의 각 회로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 위상동기루프(10)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하는 다수의 채널들중 다른 사용자 즉, 다른 무선전화기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소정의 채널을 통화채널로서 설정한다.
위상동기루프(10)에서 통화채널이 설정되면 잡음검출부(20)는 타사용자가 현사용자에 의해 점유되어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동시에 점유함에 따른 혼선 등의 잡음을 검출한다. 또한, 잡음검출부(20)는 사용자가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잡음발생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상응하는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30)에 인가한다.
다음, 제어부(30)는 잡음검출부(20)에서 인가되는 정보로서 현재 통화채널의 통화감도를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무선중계부(4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정보를 위상동기루프(10)에 의하여 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표시부(50)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설정된 통화채널을 표시하므로써 통화채널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통화채널의 변동되는 경우에는 통화채널이 변동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통화채널의 형성상태 즉, 통화채널이 형성되어 이들 장치간에 신호들이 송수신되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체크하여 통화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면 재시작하고 통화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면 단계(202)로 진행한다(200).
이어, 제어부(30)는 잡음검출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시에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잡음이 발생되는지 즉, 통화감도가 적합한지 또는 부적합한지를 판단한다(202).
단계(202)계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감도가 적합하면 단계(200)로 귀환하나, 이와는 반대로 통화감도가 부적합하여 무선전화기와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잡음이 발생할 경우 최적의 통화채널을 재검색하고, 표시부(5)를 통하여 이러한 재검색과정을 표시한다(204).
이어, 재검색되어 설정된 통화채널이 최적의 채널 즉, 통화감도가 양호한 상태인가를 잡음검출부(20)의 정보로서 판단하고, 채널상태가 최적의 상태가 아니면 채널상태를 재검색하는 단계(204)로 복귀한다(206).
이와는 반대로 재설정된 통화채널이 잡음등이 발생하지 않아 고품질의 통화품질을 획득한다면 통화채널이 변경되었음을 표시부(50)를 통하여 표시한다(208).
다음,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재설정된 통화채널이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는지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대기하며 판단하여 소정 시간내에 통화채널을 통하여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통화채널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200)로 귀환한다(210).
그러나,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록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이 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이 상호 접속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종전의 통화채널로 복귀된다(212).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채널변경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동으로 최적의 통화채널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무선전화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형성가능한 다수개의 채널들중 하나를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채널로 고정시키는 위상동기루프(10)와, 상기 위상동기루프(10)에 의해 통화채널이 고정된 후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잡음을 검출하는 잡음검출부(20)와, 상기 잡음검출부(20)에서 잡음이 검출될 때 상기 위상동기루프(10)를 제어하여 통화채널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중계부(40)와,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채널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표시부(50)를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2.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이 통화채널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이 통화채널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200)와; 상기 통화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통화채널의 통화감도가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202)와; 상기에서 통화채널상태가 부적합하면 통화채널로서 최적인 통화채널을 검색하고 이 채널 검색과정을 표시하는 단계(204)와; 상기 검색된 채널이 통화채널로서 최적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206)와; 상기 검색된 통화채널이 최적의 통화채널일 때 변경된 통화채널을 표시하는 단계(208)와; 상기 변경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210)와;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 재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하여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이전의 통화채널로 통화채널을 재설정하는 단계(212)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 방법.
KR1019940026906A 1994-10-21 1994-10-21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014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906A KR0145792B1 (ko) 1994-10-21 1994-10-21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906A KR0145792B1 (ko) 1994-10-21 1994-10-21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11A KR960016311A (ko) 1996-05-22
KR0145792B1 true KR0145792B1 (ko) 1998-08-17

Family

ID=1939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906A KR0145792B1 (ko) 1994-10-21 1994-10-21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7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11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822B1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device which gives a warning to prevent unexpected termination of communication
US5309502A (en) Radio telephone having a cordless or cellular only mode and a cordless/cellular mode
US7729723B2 (en) Call control method for dual-mode mobile terminals and a dual-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GB2341514A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for a multimode radio device
JP200201466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177870A (ja) 無線通信装置
WO1995031047A1 (en) Power saving system for a mobile radio
US5794152A (en) Cordless telephone
US7577452B2 (en) Mobile telephone apparatus
JP3278505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WO1995031046A1 (en) System for scanning channels
KR0145792B1 (ko) 무선전화기의 채널자동변환장치 및 그 방법
EP0935398B1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and channel selecting method thereof
JP3005509B2 (ja) エリア判断方法並びにエリア判断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263661B1 (ko) 경계지역에서의 수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광역 무선호출기에서의 호출 수신 제어방법
GB2348339A (en) A mobile station comprising a control section for switching to a calling mode when reception from a satellite is below a threshold.
JP2820087B2 (ja) 通信モード切替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方式
JP2993329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9980072498A (ko)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KR950012580B1 (ko) 무선전화시스템 및 그의 채널변경방법
JPH06303187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H11289289A (ja) 無線端末
KR970011416B1 (ko) 브랜치된 전화기를 이용한 전화기의 링음량 제어 방법
JPH05259972A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方式および端末装置
KR100604514B1 (ko) 데이터 통신 서비스 오류지역 알림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