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482B1 -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482B1
KR0145482B1 KR1019950017552A KR19950017552A KR0145482B1 KR 0145482 B1 KR0145482 B1 KR 0145482B1 KR 1019950017552 A KR1019950017552 A KR 1019950017552A KR 19950017552 A KR19950017552 A KR 19950017552A KR 0145482 B1 KR0145482 B1 KR 014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frequency
voice signal
signal
optical disc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186A (ko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482B1/ko
Publication of KR97000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재생하는 영상 및 음성재생장치에 있어서, 최종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공진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외란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재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학식 픽업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가 공진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만을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밴드패스필터로 통과되도록 하고, 필터링된 음성신호가 정류부를 통해 직류성분의 신호로 변환되어 비교신호로 비교기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도록 하고, 정전압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압이 기준신호로 비교기의 반전단자로는 입력되도록 한 후 그 두신호를 비교하여 비교신호가 기준신고보다 큰 경우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하여 앞단의 밴드패스필터가 접지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바이패스되도록 한다.
따라서 , 본 발명은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공진주파수대역내의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재생장치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상 안정된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 보다 상세하게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재생하는 영상 및 음성재생장치에 있어서, 최종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공진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외란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재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진주파수는 200Hz에서 500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일컫는다.
이러한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스피커로부터 진동이 발생되고, 이 진동은 재생장치로 전달된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레벨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면 재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여, 이로 인하여 광디스크의 재생시 픽업이 현재 트랙으로부터 불특정 트랙으로 점핑되는 등 정상적인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레벨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 공진주파수대역을 필터링하여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가 제거된 후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공진주 파수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피커 2, 3:밴드패스필터
4:스위치 5:정류부
6:비교기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학식 픽업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가 공진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만을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밴드패 스필터로 통과되도록 하고, 필터링된 음성신호가 정류부를 통해 직류성분의 신호로 변환되어 비교신호로 비교기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도록 하고, 정전압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압이 기준신호로 비교기의 반전단자로는 입력되도록 한 후 그 두신호 를 비교하여 비교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큰 경우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하여 앞단의 밴드패스필터가 접지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재생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유저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와,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음성신호의 주파수대역 중 공진주파수대역(200 - 500Hz)을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밴드패스필터(2)(3)와, 밴드패스필터(2)에 연결되어 밴드패스필터(2)의 필터링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4)와, 밴드패스필터(3)에 의해 필터링된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레벨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하는 정류부(5)와, 정류부(5)에서 인가된 직류성분의 음성신호레벨과 정전압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정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전술한 스위치(4)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는 비교기(6)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처리과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는 각종 신호처리과정을 통하여 신호처리된 후 모니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스피커(1)로 최종 출력된다.
이렇게 최종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가 밴드패스필터(3)에 의해 필터링되고, 이 필터링된 음성신호레벨은 정류부(5)를 통하여 직류성분으로 변환된다.
정류부(5)에 의해 정류된 직류성분의 음성레벨은 비교기(6)의 비반전단(+)에 인가되고, 비교기(6)는 반전단(-)에 인가된 정전압과 정류부(5)로부터 공급된 직류 성분의 음성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스위치(4)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한다.
즉, 정류부(5)로부터 공급된 직류성분의 음성레벨이 정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는 그 레벨이 낮아 공진주파수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그 크기가 미약하여 광디스크 및 픽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비교기(6)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4)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 밴드패스필터(2)는 동작되지 않으므로, 음성신호는 정상적으로 스피커(1)에 공급되어 출력된다.
한편, 정류부(5)로부터 공급된 직류성분의 음성레벨이 정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는 그 레벨이 매우 높아 공진주파수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광디스크 및 픽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비교기(6)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밴드패스필터(2)가 구동되어 스피커(1)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가 필터링되어 공진주파수로 인한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성된 밴드패스필터(2)(3)를 하나의 밴드패스필터만으로 대체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4)는 기존의 스위칭수단 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모 스 트랜지스터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에 의하면,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음성신호 중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레벨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을 때에는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를 필터링하여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가 제거된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공진주파수대역내의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재생장치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상 안정된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를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진주파수대역의 음성신호를 정류하여 직류성분의 음성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성분의 음성신호레벨과 초기 설정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필터의 필터링동작을 제어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밴드패스필터의 필터링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KR1019950017552A 1995-06-26 1995-06-26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KR014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552A KR0145482B1 (ko) 1995-06-26 1995-06-26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552A KR0145482B1 (ko) 1995-06-26 1995-06-26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186A KR970003186A (ko) 1997-01-28
KR0145482B1 true KR0145482B1 (ko) 1998-07-15

Family

ID=1941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552A KR0145482B1 (ko) 1995-06-26 1995-06-26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4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186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482B1 (ko) 광디스크의 공진주파수레벨 조절장치
WO2006066141A2 (en) Voltage level mediation between an emulation unit and a target processor
US6775462B1 (en) Tone-controlled video muting
US5764780A (en) Circuit for eliminating noise of audio signal
CN1120493C (zh) 信号中断检测电路装置
JP2658712B2 (ja) 音声信号検出回路
JPH04363995A (ja) 音声処理装置
KR910003212Y1 (ko) 초저음 제거회로
US4385244A (en) Extraneous signal separating device
KR0119812Y1 (ko) 티브이의 음성유지회로
JP3099302B2 (ja) 音響装置及び磁気情報再生装置
JPH04368637A (ja) サーボ回路
KR0149601B1 (ko) 오디오 콤포넌트 및 그 원격 제어 장치
KR0126617B1 (ko) 음성녹음장치
CN113596699A (zh) 一种音频输入检测电路及方法
KR0134530Y1 (ko) 음성다중방송 자동판별회로
KR0183741B1 (ko) 드랍아웃신호를 보상하기 적합한 신호기록장치
KR100231448B1 (ko) 하이파이 오디오 신호의 스위칭 노이즈 제거방법
KR930004940Y1 (ko) 턴테이블의 카아트리지 자동 판별회로
JP2006080926A (ja) ミュート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信号出力装置
KR19990035353A (ko)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
KR920008251Y1 (ko)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KR950002253B1 (ko) 트랙킹에러 신호에 의한 테이프의 신호유무 판별장치
KR0162335B1 (ko) 캠코더의 음성초점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17490A (ko) 하이-파이 비디오 기록/재생장치의 오디오 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