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263B1 - 감속 센서 스위치 - Google Patents

감속 센서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263B1
KR0145263B1 KR1019940005817A KR19940005817A KR0145263B1 KR 0145263 B1 KR0145263 B1 KR 0145263B1 KR 1019940005817 A KR1019940005817 A KR 1019940005817A KR 19940005817 A KR19940005817 A KR 19940005817A KR 0145263 B1 KR0145263 B1 KR 014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operating position
rod portion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615A (ko
Inventor
마난드하 사로즈
제이 볼렌더 로버트
퍼베스 제임스
티 수 롱
안토뉴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류 테크나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류 테크나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임스 엠 루즈벨트
Publication of KR94002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06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sp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subsequent sliding

Abstract

감속 센서 스위치는, 평판부(15d) 및 종방향 중심축(99d)를 갖는 로드부분918d)를 포함하는 베이스(12d)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제11도∼15도)에서, 사각형의 질량체(20d)는 로드부분 상에 장착된다. 질량체는 평판부로 부터 얼마간 이격됨으로서 로드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질량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질량체가 비작동위치로 부터 작동위치로 이동될때 질량체는, 접촉체의 접촉부(52d)가 전기 터미널(34d)와 맞물리게끔 접촉제(40d)의 해제가능한 탭부분(42d)로 부터 이격되어 이동된다. 접촉부는 질량체가 비작동 위치일때 터미널로 부터 설정된 거리(D)만큼 이격된다. 탭부분은 볼록한 호형 연부분9338)을 갖는 한쌍의 접촉귀(334)를 포함함으로써, 질량체가 로드부분의 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때 터미널로 부터 동일한 설정거리에서 접촉부가 유지된다. 질량체는, 커버가 베이스와 맞물릴때, 커버(11d)에 의해 접촉체가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탭(30b)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속 센서 스위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감속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로서, 부품들이 제거된 제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와셔의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에 사용되는 이용가능한 접촉체의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6-6선을 따라서 본, 제2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의 한 부분의 확대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위치에 있는 감속 센서 스위치의 부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또 다른 위치에 있는 감속 센서 스위치의 부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에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접촉체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을 다라서 본, 제12도의 이동가능한 접촉체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1도의 14-14선을 따라서 본, 수개의 부품이 제거된 제11도의 감속 센서 스위치의 한 부분의 확대도.
제15도는 제1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위치에 있는 감속 센서 스위치의 부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감속 센서 스위치 12:베이스
16:받침대 부분 22:스프링
32:다리부 42:탭 부분
52:접촉부 82:주본체 부품
94:돌출 연부 302:제1 돌출부
본 발명은 감속 센서 스위치, 특히 소정의 감속에 반응하여 스프링 편향에 반하게 이동되는 관성질량체(inertia mass)를 구비한 감속 센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감속에 반응하여 스프링 편향에 반하게 이동되는 관성질량체를 포함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는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하나의 감속 센서 스위치는 스프링 편향에 반하게 로드(rod) 상에서 활주가능한 도너츠형 관성질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공지된 가속 센서 스위치는 본체내의 원통형 챔버에 배치되며 챔버내에서 스프링 편향에 반하게 이동하는 질량체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공지된 감속 센서 스위치들은 감속 센서 스위치의 반응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프링 편향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 센서 스위치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갖는 로드 부분을 구비한 베이스를 갖는다. 사각형 질량체는 로드 부분에 장착되며, 비동작 위치(unactuated position)와 동작 위치(actuated position) 사이에서 로드 부분의 길방향 중심축을 따라 로드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감속 센서 스위치가 소정 양의 감속을 감지할 때, 사각형 질량체는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한다. 사각형 질량체는 스프링 편향에 편향에 반하여 이동함으로써 복원력을 제공받게 되는데, 이 복원력으로 인해 사각형 질량체는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로드 부분에 대해 후퇴 이동하게 된다. 스프링 편향은 로드 부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로드 부분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나선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다.
제1 및 제2 전기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다. 연결수단은 사각형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될때, 제1 및 제2 전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연결 수단은 접촉체(contact)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체는 (i)사각형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사각형 질량체와 맞물리며, 사각형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질량체의 이동을 따라 사각형 질량체에서 해제되는 해제가능한 탭 부분과, (ii)이 탭 부분을 사각형 질량체와 맞물리도록 편향시키는 편향 부분과, (iii)수각형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제1 및 제2 전기 단자 중의 하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사각형 질량체가 동작 위치에 있을때 상기 하나의 전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한다.
해제가능한 탭 부분은, 로드 부분의 길방향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사각형 질량체가 이동할때 한 전기 단자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접촉체를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베이스의 평판 부분은 사각형 질량체가 로드 부분 상에 장착될때 사각형 질량체의 일 측면과 평행하게되는 평면을 포함한다. 상기 평면은 사각형 질량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로드 부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사각형 질량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 탭 수단은 커버가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를 향해 이동될때 사각형 질량체상에 배치된다. 보호 탭 수단은 베이스와 결합하는 커버가 연결수단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는 사각형 질량체 및 나선형 코일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 편향에 반하게 이동되는 질량체를 구비한 감속 센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 센서 스위치는 많은 다양한 시스템에 사용된다. 감속 센서 스위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나타나는 감속에 반응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되는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자동차 탑승자 보호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감속 센서 스위치(10)가 제1도에 도시된다.
감속 센서 스위치(10)는 베이스(12)를 구비한다. 베이스(12)는 바닥 평판부(14) 및 이 바닥 평판부(14)위에 위치된 상층 평판부(15)를 포함한다. 바닥 평판부(14)는 평평한 면 내에 놓인다. 상층 평판부(15)는 바닥 평판부(14)가 놓이게 되는 평평한 면에 평행한 또다른 평평한 면 내에 놓이게 된다. 바닥 평판부914)는 주 본체 부품(82)과, 이 주 본체 부품(82)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단자 지지 부품(84), 및 주 본체 부품(82)의 반대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2 단자 지지 부품(86)을 갖는다. 제1 및 제2 단자 지지 부품(84, 86)은 주 본체 부품(8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닥 평판부(14)는 상층 평판부(15)보다 크다. 상층 평판부(15)는 균일한 폭을 갖는 돌출연부(94)가 베이스(12)의 외측 주변둘레에 형성되도록 바닥평판부(14)상에 중첩된다. 상층 평판부(15)는, 상층 평판부(15)의 외측 주변 둘레로 연장되는 측벽(95)을 갖는다. 측벽(95)은 돌출연부(94)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커버(11)(제1도에만 도시됨)는 감속 센서 스위치(10)를 밀봉 및 보호하기 위해 상층 평판부(15)의 측벽(95) 및 바닥 평판부(14)의 돌출연부(94)에 대해 봉합되도록 맞물린다.
베이스(12)는 상층 평판부(15)위에 위치된 수평 받침대 부분(16) 및 수평 받침대 부분(16)위에 위치된 수직 받침대 부분(17)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평 받침대 부분(16)은 상층 평판부(15)위에 중첩되며 수직 받침대 부분(17)은 수평 받침대 부분(16)으로부터 수직적으로 돌출된다. 수직 받침대 부분(17)은 수직적으로 돌출된 제1 부품(47) 및 이 제1 부품(47)보다 작으며 수직직으로 돌출된 제2 부품(49)을 갖는다.
수직적으로 연장되는 슬롯(48)은 수직 받침대 부분의 수직적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부품(47, 49) 사이에 형성된다.
베이스(12)는 상층 평판부(15)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받침대 부분(17)으로부터 외팔보(cantilever)식으로 연장되는 관형(tubular) 로드 부분(18)을 추가로 포함한다. 로드 부분(18)은 자유단부(19)(제1도에 도시)와, 상층 및 하층 평판부(14, 15)가 놓이는 평평한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방향 중심축(99)(제2도에 도시)을 갖는다. 로드 부분(18)과, 수평 및 수직 받침대 부분(16, 17)과, 상층 및 바닥 평판부(14, 15)들은, 제3도에 단면으로 도시되듯이, 플라스틱 재료로 주형된 단일 연속편으로서 형성 한다.
관성질량체(20)는 로드 부분(18)상에 장착되며 제6도에 도시된 비동작 위치와 제8도에 도시된 동작 위치 사이에서 로드 부분(18)의 길이방향 중심축(99)을 따라 로드 부분(18)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질량체(20)는 횡단면된 외경을 갖는 링 모양의 제1 부분(21)과, 이 제1 부분(21)보다 작은 횡단면된 외경을 갖는 링 모양의 제2 분(23)을 갖는다. 링 모양의 제1, 제2 부분은 동축적으로(동일 축 상에) 배치된다.
나선형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2)은 로드 부분(18)의 길이방향 중심축(99)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된다. 스프링(22)은 일단부(90)(제2도)와, 일단부(90)에 대해 반대 위치에 있는 다른 단부(91)(제1도)를 갖는다. 질량체(20)의 링 모양의 제2 부분(23)은 스프링(22)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해 스프링(22)의 단부(90)내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22)의 단부(90)는 질량체(20)의 제1 부분(21)의 일 단부에서 링 모양의 표면(97)(제6도)에 반하게 인접된다. 스프링(22)의 스프링 편향(bias)에 의해 질량체(20)에 있는 제1부분(21)의 링 모양의 표면(97)에 대해 압력을 가함으로써, 질량체(20)는 수직 받침대 부분(17)과 맞물리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되듯이, 헤드 부분(25)을 갖는 나사 형태의 조절간으한 조정부재(24)는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속으로 나사결합된다. 로드 부분(18)은 나사형스크류(24)의 나사와 맞물리게 되는 원통형 구멍(80)(제3도에서만 도시됨)을 갖는다. 와셔(washer)(27)는 나사형 스크류(24)의 헤드 부분(25)과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 사이에 위치된다.
제4도에 확대되어 도시되듯이, 와셔(27)는 링 모양의 안내 부분(70) 및 안내부분(70)으로부터 연장되는 링 모양의 플랜지 부분(72)을 포함한다. 링 모양의 부분(70, 72)은 동축적이다. 와셔(27)의 링모양의 부분(70)은 스프링(22)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해 스프링(22)의 단부(91)로 연장된다. 스프링(22)의 단부(91)는 와셔(27)의 링모양의 플랜지 부분(72)상에서 링 모양의 표면(71)(제4도에 도시)에 반하게(힘을 가하며)접한다. 스프링(22)의 스프링 편향에 의해, 와셔(27)의 링 모양의 플랜지 부분(72)의 링 모양의 표면(71)에 반하게 압력을 가하여, 와셔(27)는 나사형 스크류(24)의 헤드 부분(25)과 맞물리게 된다. 나사형 스크류(24)는 와셔(27)의 링 모양의 안내 부분(70)을 통행 연장되는 구멍(74)(제4도에 도시)내에 수납된다.
나사형 스크류(24)는 와셔(27)를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를 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또는 와셔(27)에 작용하는 스프링(22)의 편향에 의해 와셔(27)를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기 위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에 대한 와셔(27)의 위치는 나사형 스크류 (2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질량체(20)에 작용하는 스프링(22)의 편향은 로드 부분(18)의 자유단부(19)에 대한 와셔(27)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질량체(20)에 작용하는 스프링(22)의 편향은 나사형 스크류(2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적당한 전류 전도성 재료, 양호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단자(30)는, 수평 받침대 부분(16), 상층 평판부(15), 바닥 평판부(14)의 주본체 부품(82), 및 바닥 평판부(14)의 제1 단자 지지 부품(84)에 삽입되도록 주형된다. 단자(30)는 바닥 평판부(14)의 제1단자 지지 부품(84)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기된 다리부(32)를 갖는다. 다리부(32)중의 하나는 전원의 음(-) 단자에 연결가능하며, 다른 하나는 외부 저항에 연결하여 검사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다리부(32)에 반대 위치에 배치된 단자(30)의 단부는 감속 센서 스위치(10)의 한쌍의 전기 단자 중의 하나이다.
적당한 전류 전도성 재료, 양호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또 다른 단자(34)는, 수평적 받침대 부분(16), 상층 평판부(15), 바닥 평판부(14)의 주 본체 부품(82), 및 바닥 평판부(16)의 제1 단자 지지 부품(84)내에 삽입되도록 주형된다. 단자(34)는 바닥 평판부(14)의 제1 단자 지지 부품(84)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기된 다리부(36)를 갖는다. 다리부(36)중의 하나는 전원의 양(+) 단자에 연결가능하며, 다리부(36)의 다른 하나는 검사를 위해 외부 저향에 연결가능하게 형성된다. 다리부(36)의 반대 위치에 배치된 단자(34)의 단부는 감속 센서 스위치(10)의 한쌍의 전기 단자중 다른 하나이다.
한쌍의 다리부(85)는 제2 단자 지지 부품(86)내에 삽입식으로 주형된다. 다리부(85)는, 단자(30)의 다리부(32)와 동일방향으로 제2 단자 지지 부품(86)에서 이격되어 연장되며, 단자(34)의 다리부(36)는 제1단자 지지 부품(84)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세개의 다리부(32, 36, 85)는 감속 센서 스위치(10)가 사용을 위해 장착될때 감속 센서 스위치(10)를 지지한다.
제1도, 5도 및 6도에 잘 도시되듯이,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이동가능한 접촉체(40)는 해체가능한 탭 부분(42) 및 이 탭 부분(42)으로부터 연장되는 평행한 두개의 스트립 부분(44)을 포함한다. 탭 부분(42)의 연부(edge)(46)는 수직 받침대 부분(17)의 수직적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부품(47, 49) 사이에 형성된 수직적으로 연장되는 슬롯(48)을 통해 연장된다. 접촉제(40)는 또한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과 교차하는 단부(50)를 포함한다. 단부(50)는 단자(30)의 평평한 면(31)에 용접됨으로써, 접촉체(40)의 두개의 스트립 부부(44)이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수평적으로 연장된다.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은 탭 부분(42)의 연부(46)가 질량체(20)의 제1 부분과 접촉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력을 제공하기 위해 판스프링(leaf spring)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접촉체(40)는 또한 접촉부(52)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부(52), 제1도, 5도 및 6도에 도시되듯이, 탭 부분(42)으로부터 연장되며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14) 사이에 위치된다. 접촉부(52)는 단자(34)의 표면(35)과 접촉가능한 스프링 형태의 한상의 다리부(53)(제5도에 도시됨)를 갖는다. 접촉부(52)의 다리(53)가 단자(34)의 표면(35)과 접촉되지 않으면, 단자(34) 및 단자(30)는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지 않는다. 단자(34) 및 단자(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6도에 도시되듯이, 감속 센서 스위치(1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된다. 감속 센서 스위치(10)가 제6도에 도시되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될때, 질량체(20)의 제1부분(21)은 단자(34)의 표면(35)으로부터 접촉부(52)가 이격되게끔 유지시키기 위해, 수직 받침대 부분(17) 및 탭 부분(42)의 연부(46)에 반하게 접한다.
감속 센서 스위치(10)에서 자동차의 충돌 등과 같이 소정의 감속이 발생하는 경우, 질량체(20)는 스프링(22)을 압축하기 위해 스프링의 편향에 반향되는 방향으로 로드 부분(18)을 따라 활주하기 시작한다. 질량체(20)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듯이, 좌측을 향해 로드 부분(18)을 따라 활주하기 시작하면 질량체(20)는 수직받침부(17) 및 탭 부분(41)의 연부(46)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한다.
탭 부분(42)의 연부(46)로부터 질량체(20)가 이격되어 이동될 때, 탭 부분(42)은 해제되어 탭 부분(42)상에 작용하는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롯(48)을 통해(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좌측을 향해)활주하게 된다.
탭 부분(42)은 제7도에 도시되듯이, 단자(34)와 단자(30)사이의 초기 전기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단자(34)의 표면(35)에 대해 초기 접촉부(52)의 다리부(53)가 이동될 때까지, 슬롯(58)을 통해 연속적으로 활주하게 된다. 접촉부(52)의 다리(53)가 제7도에 도시된 초기 접촉 위치에 있고 단자(34)와 단자(30) 사이에 초기 전기접촉이 형성될 때, 감속 센서 스위치(10)는 초기 폐쇄 상태에 있게된다.
접촉부(52)의 다리부(53)가 제7도에 도시되듯이, 단자(34)의 표면(35)에 대해 그 초기 접촉 위치로 이동된 후, 질량체(20)는 스프링(22)을 추가로 압축시키기 위해 탭 부분(42)의 연부(46)로부터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질량체(20)가 스프링(22)을 추가로 압축시키기 위해 탭 부분(42)의 연부(46)로부터 이격되어 이동을 계속할때, 탭 부분(42)에 작용하는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의 스프링력에 의해, 탭 부분(42)은 슬롯(48)을 통해 계속적으로 활주하게 된다. 탭 부분(42)이 슬롯(48)을 통해 계속적으로 호라주함에 다라, 접촉부(52)의 다리(53)는 단자(53)는 단자(34)의 표면(35)을 가로질러 활주하게 도니다.
접촉부(52)의 다리(53)는 제8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최종 접촉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단자(34)의 표면(35)을 가로질러 계속 활주하게 된다. 접촉부(52)의 다리(53)가 제8도에 도시된 최종 접촉 위치에 도달될 때, 탭 부분(42)은 슬롯(48)을 통한 활주를 멈추게 된다. 그러나, 질량체(20)는 로드 부분(18)을 따라 더 멀리 활주되게 되며, 제8도에 도시되듯이, 감속 센서 스위치(10)에 작용하는 감속력으로 인해 탭 부분(42)의 연부(46)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이동한다.
제7도에 도시된 다리의 초기 접촉 위치로부터 제8도에 도시된 다리의 최종 위치까지 다리가 이동되는 동안, 접촉부(52)의 다리(53)는 단자(34)의 표면(35)을 가로질러 제8도에 참조기호 A로 기재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거리 A는 비교적 작지만 제8도에서는 예시를 위해 보다 확대되고 도시되고 있다. 단자(34)와 단자(30)사이의 전기접촉은, 접촉부(52)의 다리(53)가 제7도에 도시된 그 초기 위치에서 제8도에 도시된 그 최종 접촉 위치로 활주 이동되는 동안 유지된다. 접촉부(52)의 다리(53)가 제8도에 도시된 그 최종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전기적 접촉이 단자(34)와 단자(30) 사이에 형성된다면, 감속 센서 스위치(10)는 완전히 페쇄된 상태에 있게된다.
접촉부(52)의 다리가 제7도에 도시된 초기 접촉 위치에서 제8도에 도시된 최종 접촉 위치로 이동될때 접촉부(52)의 다리(53)는 단자(34)의 표면(35)을 가로질러 활주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단자(34)와 단자(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매우 확실하게 된다. 이는 상기 활주이동으로 인해 단자(34)의 표면(35)과 접촉부(52)의 다리(53)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작은 입자들에 의한 전기적 비접속을 극복하게끔 도와주기 때문이다. 또한, 활주동작은 접촉 구역 사이의 마찰 동작을 야기한다. 이러한 마찰 동작은, 단자(34)의 표면(35)과 접촉부(52)의 다리(53) 사이의 접촉구역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산화, 부식, 또는 다른 비전도성 막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질량체(20)를 그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속력이 약해질 때, 질량체(20)는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의해 제8도에 도시된 동작 위치로부터 제6도에 도시된 비동작 위치를 향해 후퇴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8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는 우측을 향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질량체(20)는, 질량체(20)의 제1부분(21)이 접촉체(40)의 탭 부분(42)의 연부(46)와 초기 접촉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우측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한다.
질량체(20)의 제1부분(21)이 탭 부분(42)의 연부(46)와 초기접촉된 이후, 질량체(20)는 계속해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질량체(20)는 슬롯(48)을 통해(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우측 방향을 향해) 탭 부분(42)을 활주시키기 위해 탭 부분(42)의 연부(46)에 반하여 압력을 가한다. 단자(34)의 표면(35)으로부터 접촉부(52)의 다리(53)가 이격되어 이동될 때까지, 질량체(20)는 우측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며, 탭 부분(42)은 슬롯(48)을 통해 계속해서 활주한다. 질량체(20)는, 이후 최종적으로 질량체(20)가 제6도에 도시된 비동작 위치에 도달될때까지 우측으로 이동을 계속한다. 질량체(20)가 제6도에 도시된 비동작 위치에 도달될 때, 탭 부분(42)은 슬롯(48)을 통한 활주를 정지하고, 접촉부(52)는 단자(34)의 표면(35)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는 것을 정지한다. 따라서, 감속 센서 스위치(10)는 제6도에 도시된 완전 개방 상태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9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략 제1도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부품에 대한 번호에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a를 부가하였다.
제9도에 있어서, 접촉체(40a)의 단부(50a)는 접촉체(40a)의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a)이 수직적으로 연장되도록 단자(30a)에 용접된다. 또한, 제9도의 실시예에서, 로드(18a)는 대략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질량체(20a)는 대략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질량체(20a)는 로드(18a)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사각형 로드(18a)가 연장되는 사각형의 중심 개구부(도시 안됨)를 갖는다. 스프링(22a)의 일단부(90a)는 스프링(22a)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해 질량체(20a)내의 원통형 중공체(도시 안됨)내에 수납된다.
질량체(20a)는 주 부분(100) 및 주 부분(100)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 부분(102)을 갖는다. 질량체(20a)의 돌출 부분(102)의 제9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a)가 그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접촉체(40a)의 탭 부분(42a)와 맞물리게 된다. 제9도에 도시되듯이, 돌출부(102)가 탭 부분(42a)과 맞물릴 때, 접촉체(40a)의 접촉부(52a)의 다리(53a)는 단자(34a)의 표면(35a)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단자(30a)는, 제9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a)가 그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단자(3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된다.
질량체(20a)가 그 동작 위치(도시 안됨)로 이동될때, 질량체(20a)는 스프링(22a)을 압축시키기 위해 스프링(22a)의 편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로드(18a)를 따라 활주한다. 이러한 경우, 질량체(20a)의 돌출부(102)는 접촉체(40a)의 탭 부분(42a)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된다. 이는 탭 부분(42a)상에 작용하는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부분(44a)의 스프링력을 통해 접촉체(40a)의 접촉부(52a)의 다리(53a)가 이동되어 단자(34a)의 표면(35a)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단자(30a)는 질량체(20a)가 동작 위치에 있을때 단자(3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0도에 예시된다. 제10도에 예시된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b를 부가하였다.
제10도에서, 접촉체(210)는 줄기부(212) 및 줄기부(212)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다리(214)를 포함한다. 줄기부(212)는 단자(30b)에 용접된다. 단자(34b)는 개구부(220)를 갖는 말굽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에서, 로드(18b)는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이며, 질량체(20b) 또한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이다. 질량체(20b)는, 로드(18b)의 형상과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며, 사각형의 로드(18b)가 연장되는 사각형의 중심 개구부(도시 안됨)을 갖는다. 스프링(22b)의 일단부(90b)는 스프링(22b)을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해 질량체(20b)내의 원통형 중공체(도시 안됨)에 수납된다.
질량체(20b)는 주 부분(200) 및 부분(200)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202)를 갖는다. 질량체(20b)의 돌출부(202)는 개구부(220)를 통해 연장되며 질량체(20b)가, 제10도에 도시되듯이,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줄기부(212)와 결합된다. 돌출부(202)가 줄기부(212)에 맞물리면, 접촉체(210)의 다리(214)는 단자(34b)의 표면(35b)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단자(30b)는 질량체(20b)가, 제10도에 도시되듯이,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단자(34b)와 전기연결을 형성하지 않게된다.
질량체(20b)가 그 동작 위치(도시 안됨)로 이동될때, 질량체(20b)는 스프링(22b)을 압축하기 위해 스프링(22b)의 편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로드(18b)를 따라 활주한다. 이러한 경우, 질량체(20b)의 돌출부(202)는 접촉제(210)의 줄기부(212)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된다. 이는 다리(214)에 작용하는 즐기부(212)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리(214)가 이동하여, 다리(14)는 단자(34b)의 표면(35b)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30b)는 질량체(20b)가 그 동작 위치에 있을때 단자(34b)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1도 내지 제15도에 예시된다. 제11도 내지 제15도에 예시된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와 대략 유사하므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d를 부가하여 기재한다.
제11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d)는 주 부분(300) 및 주 부분(300)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302, 308)를 갖는다. 질량체(20d)의 돌출부(308)는 제11도 및 제14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d)가 그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 부분(16d)과 맞물린다.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는 접촉체(40d)의 탭 부분(42d)과 직면하는 평평한 면(304)을 갖는다. 질량체(20d)는 또한 제1 돌출부(302)의 평평한 면(304)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 탭(306)을 갖는다. 돌출 탭(306)은 감속 센서 스위치(10d)를 밀봉 및 보호하기 위해 커버(11d)가 상승 평판부(15d)의 측벽(95d) 및 바닥 평판부(14d)의 돌출 연부(94d)에 대해 밀봉결합되도록 이동될 때, 커버(11d)에 의해 접촉체(40d)가 부딪히는 것을 보호해준다.
제1 및 제2 단자 부품(84d, 86d)은 베이스(12d) 가 인쇄회로판 상에 공간을 갖고 장착되도록 허용해준다. 인쇄 회로판 상에 장착되는 부품들은 베이스(12d)와 인쇄 회로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용된다.
제11도에 도시되듯이, 스프링(22d)은 비교적 작은 피치를 갖는 중심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22d)의 각각의 단부(90d, 91d)는 비교적 작은 피치를 갖는다. 단부(90d, 91d)의 피치 및 중심부(340)의 피치는 스프링(22d)의 다른 부분의 피치에 비해 비교적 작다.
질량체(20d)는 사각형이며, 상층 평판부(15d)의 상층 평면(320)에 평행하게 놓인 바닥 평면(도시 안됨)을 갖는다. 사각형 질량체(20d)의 바닥 평면은 상층 평면(320)에서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로드 부분(18d)의 길이방향 중심축(99d)을 중심으로 사각형 질량체(20d)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각형 질량체(20d)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4도에서, 접촉체(40d)의 단부(50d)는 단자(30d)에 용접됨으로써, 접촉체(40d)의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d)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적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립(lip) 부분(3330)은, 접촉체(40d)의 단부(50d)로부터 연장되며 단부(50d)를 단자(30d)에 추가로 고정시키기 위해 단자(30d) 둘레에 감싸지게 된다. 접촉부(52d)의 가각의 다리(53d)는, 다리의 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리의 자유단부상에 용접되는 은 니켈 버튼(336)을 구비함으로써, 다리의 전류수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접촉체(40d)의 탭 부분(4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귀(334)를 갖는다. 접촉귀(334)는, 제11도는 및 제14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d)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의 평평한 면(304)과 맞물리는 볼록한 호형(arcuate) 연부면(338)을 갖는다.
질량체(20d)가 그 동작 위치(도시 안됨)로 이동될 때, 질량체(20d)는, 스프링(22d)을 압축하기 위해 스프링(22d)의 편향에 반향되는 방향으로 로드 부분(18d)을 따라 활주한다. 이러한 경우,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상의 평평한 면(304)은 접촉귀(334)의 호형 연부면(338)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한다. 이는 접촉부(52d)의 다리(53d)상에 작용하는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d)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리(53d)상에 작용하는 두개의 평행한 스트립 부분(44d)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리(53d)가 단자(34d)의 표면(35d)과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단자(30d)는 질량체(20d)가 그 동작 위치에 있을 대 단자(34d)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질량체(20d)가 그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접촉체(40d)의 접촉부(52d)는 단자(34d)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제14도에 도시되듯이, D로서 기재된다.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의 평평한 면(304)으로부터 연장되는 보호 탭(306)(제11도)은, 평평한 면(304)과 접촉귀(334)의 볼록한 호형 연부면(338) 사이의 맞물림을 확실히 예시하기 위해 제14도에서 소거되었다.
질량체(20d)는 로드 부분(18d)의 길이방향 중심축(99d)을 따라 활주 운동하도록 로드 부분(18d)상에 활주적으로 장착되지만, 질량체(20d)는 로드 부분(18d)에 대해 측면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예컨데, 질량체(20d)는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5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즉 로드 부분(18d)의 길이방향 중심축(99d)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5도에 도시되듯이, 질량체(20d)의 위치는 제14도에 도시된 질량체(20d)의 위치에 비해 아래 방향에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5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 질량체(20d)의 거리는 제15도에서 X로서 기재된다. 로드 부분(18d)에 대해 측면으로 이동된 질량체(20d)의 실제 거리는 비교적 작으나 예시를 위해 제15도에서는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질량체(20d)가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5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때,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의 평평한 면(304)은 접촉귀(334)의 볼록한 호형 연부면(338)을 가로질러 활주한다. 볼록한 호형 연부면(338)은, 평평한 면(304)이 접촉귀(334)의 호형 연부면(338)을 가로질러 활주할 때, 단자(34d)의 표면(35d)과 접촉체(40d)에 있는 접촉부(52d)의 각각의 다리(53d)상의 은 니켈 버튼(336) 사이의 거리가 동일한 거리 D로서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같은 거리(D)는, 질량체(20d)가 비동작 위치에 있고 질량체(20d)가 로드 부분(18d)의 길이방향 중심축(99d)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 단자(34d)의 표면(35d)과 접촉체(40d)의 접촉부(52d)의 각각의 다리(53d)상의 은 니켈 버튼(336)사이에 유지된다.
전술되었듯이, 사각형 질량체(20d)는 로드 부분(18d)의 길이방향 중심축(99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사각형 질량체(20d)가 로드 부분(18d)의 길이 방향 중심축(99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질량체(20d)의 제1 돌출부(302)의 평평한 면(304)은 접촉귀(334)의 호형 연부면(338)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 실시예에 기초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내용에 근거한 다양한 변화 및 응용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화 및 응용 또한 본 발명이 포함한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길이방향 중심축을 갖는 로드 부분(18)을 포함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로드 부분에 장착되며, 비동작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로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양의 감속에 이르게 되면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질량체(20)와; 상기 질량체가 상기 동작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질량체를 상기 동작 위치에서 비동작 위치로 상기 로드 부분에 대해 후퇴 이동시키도록 상기 질량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22)과; 제1 전기 단자(30) 및 이 제1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 전기 단자(34)와; 상기 질량체가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i)상기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질량체와 맞물리며, 상기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질량체의 이동을 따라 상기 질량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가능한 탭 부분(42)과, (ii) 상기 질량체와 맞물리도록 상기 탭 부분을 편향시키는 편향 부분(44)과, (iii)상기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단자중 하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질량체가 상기 동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나의 전기 단자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52)를 구비하는 접촉체(40)를 포함하고, 상기 질량체는 연부면을 갖는 돌출부(302)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체가 상기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상기 연부면에 대해 상기 해제가능한 탭 부분이 맞물리게 되고, 상기 해제가능한 탭 부분은 상기 질량체가 로드 부분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접촉부를 상기 하나의 전기 단자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를 소정 거리에 유지시키는 수단은, 상기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상기 질량체에 있는 돌출부의 연부면과 결합하는 호형 연부면(338)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 연부면은 상기 질량체에 있는 돌출부의 연부면에 대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
  2. 길이방향 중심축을 갖는 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로드 부분에 장착되며, 비동작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로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양의 감속에 이르게 되면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가 상기 동작 위치로 이동된 이후, 상기 동작 위치에서 비동작 위치로 상기 질량체를 로드 부분에 대해 후퇴 이동시키도록 상기 질량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과; 제1 전기 단자 및 이 제1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 전기 단자와; 상기 질량체가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질량체 및 상기 스프링 수단을 수용하는 커버와; 질량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베이스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탭 수단(3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
  3. 평판부(14, 15)이 평판부로부터 돌출된 받침대 부분(16, 17), 및 상기 평판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받침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로드 부분(18)을 구비하는 데 상기 평판부는 평면내에 놓이고, 상기 로드 부분은 상기 평판부가 놓이게 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평판부, 받침대 부분, 및 로드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주형된 단일 연속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12)와; 상기 로드 부분 상에 장착되며, 비동작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로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양의 감속에 이르게 되면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질량체와; 제1 전기단자 및 이 제1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 전기 단자와; 상기 질량체가 비동작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수단과; 상기 질량체가 상기 동작 위치로 이동된 이후, 상기 동작 위치에서 상기 비동작 위치로 상기 질량체를 상기 로드 부분에 대해 후퇴 이동시키도록 질량체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질량체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 수단의 복원력을 조절하는 수단(24)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가 상기 로드 부분의 반대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센서 스위치
KR1019940005817A 1993-03-24 1994-03-23 감속 센서 스위치 KR0145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36,482 1993-03-24
US08/036,482 US5306883A (en) 1993-03-24 1993-03-24 Deceleration sensor switch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safe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15A KR940022615A (ko) 1994-10-21
KR0145263B1 true KR0145263B1 (ko) 1998-08-17

Family

ID=2188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17A KR0145263B1 (ko) 1993-03-24 1994-03-23 감속 센서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306883A (ko)
EP (1) EP0617444B1 (ko)
JP (1) JP2898193B2 (ko)
KR (1) KR0145263B1 (ko)
DE (1) DE694222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7843B2 (ja) * 1993-07-01 1999-03-10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検知装置
US5393944A (en) * 1994-05-16 1995-02-28 Trw Technar Inc. Deceleration switch with a switch base supporting a flexible oscillating one piece plastic mass unit
US5424501A (en) * 1994-05-16 1995-06-13 Trw Technar Inc. Deceleration sensor switch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safety system
JPH08189935A (ja) * 1995-01-10 1996-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衝突検知装置
JPH0920205A (ja) * 1995-07-07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員保護装置及びその起動装置
JPH0982190A (ja) * 1995-09-08 1997-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衝突検知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51218B2 (ja) * 1996-01-31 2002-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加速度検知装置
US5695242A (en) * 1996-02-15 1997-12-0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cushion restraint system
US5844164A (en) * 1996-02-23 1998-12-01 Breed Automotive Technologies, Inc. Gas generating device with specific composition
US5684336A (en) * 1996-03-04 1997-11-04 Trw Inc. Crash sensor assembly including both an inertia sensor and an accelerometer and method
US5789716A (en) * 1996-11-12 1998-08-04 Wang; Pi-Lin One-way shaking switch
CN112985655B (zh) * 2021-02-23 2023-06-09 富延升电子(福建)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制造的可自动恢复的压力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4719A (en) * 1953-08-20 1961-05-16 Paul M Higgs Shock and pressure sensitive switch
US3549169A (en) * 1966-07-01 1970-12-22 Eaton Yale & Towne Inflatable safety device
US3571539A (en) * 1968-08-20 1971-03-23 Eaton Yale & Towne Collision sensor
DE2058743A1 (de) * 1970-11-30 1972-06-08 Dynamit Nobel Ag Elektrischer Schalter
US3662606A (en) * 1971-01-21 1972-05-16 Gen Motors Corp Acceleration sensor
US3832507A (en) * 1971-10-22 1974-08-27 Gen Motors Corp Sensor switch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with spring fracture detection means
JPS5222731Y2 (ko) * 1972-03-31 1977-05-25
FR2188167A1 (ko) * 1972-06-13 1974-01-18 Sedc
JPS5331406Y2 (ko) * 1973-11-28 1978-08-04
JPS545578A (en) * 1977-06-15 1979-01-17 Nippon Denso Co Device for detecting collision
JPS54121783A (en) * 1978-03-14 1979-09-21 Susumu Ubukata Vibration sensor
JPH0658781B2 (ja) * 1982-01-27 1994-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衝突速度検出器
JPH0120751Y2 (ko) * 1984-12-05 1989-06-22
US5053588A (en) * 1990-02-20 1991-10-01 Trw Technar Inc. Calibratable crash sensor
US5066837A (en) * 1990-03-09 1991-11-19 Trw Technar Inc. Gas damped deceleration switch
US5153393A (en) * 1990-03-22 1992-10-06 David S. Breed Crash sensor for a passive mot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H042439U (ko) * 1990-04-16 1992-01-10
KR950011297B1 (ko) * 1990-07-16 1995-09-30 센서 테크놀로지 가부시까기이샤 충돌센서
DE4126626C2 (de) * 1990-08-15 1994-08-04 United Distillers Plc Markierter Material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191331B2 (ja) * 1991-07-31 2001-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出装置
JP3033931U (ja) * 1996-07-23 1997-02-07 株式会社バンクエンジニアリング トンネル内移動間仕切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2211D1 (de) 2000-01-27
EP0617444A1 (en) 1994-09-28
KR940022615A (ko) 1994-10-21
EP0617444B1 (en) 1999-12-22
US5306883A (en) 1994-04-26
JP2898193B2 (ja) 1999-05-31
US5373126A (en) 1994-12-13
JPH0773788A (ja) 1995-03-17
DE69422211T2 (de) 200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263B1 (ko) 감속 센서 스위치
US5950813A (en) Electrical switch
US4459440A (en) Joystick and switch assembly therefor
US5719361A (en) Mechanism for multiple dome dual detent
US5626223A (en) Cam-assisted switch
US4409450A (en) Double pole membrane switch having preferred sequence closing feature
US5667061A (en) Linear cam-assisted plunger switch
US6323449B1 (en) Touch sensitive multiple electrical switch
US4816662A (en) Remote control switch for posture adjustment of automotive mirrors
EP0379219A3 (en) Electrical connector
IT1261866B (it) Dispositivo sensibile all'accelerazione.
US703032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ing device capable of producing good feeling of click
EP0390029A3 (en) Horn switch mechanism of steering wheel
US4590344A (en) Machine insertable DIP switch
US5393944A (en) Deceleration switch with a switch base supporting a flexible oscillating one piece plastic mass unit
US5924557A (en) Electrical switch with contact spring
EP0216466A2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US5424501A (en) Deceleration sensor switch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safety system
US6518525B1 (en) Gear recognition switch system
GB2199189A (en) Electrical toggle switch
US4121062A (en) Change-over slide switch with grounding spring member
US4605830A (en) Cammed wire snap switch
EP0303872A2 (en) Electric switches
SU860162A1 (ru) Кнопоч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US3636288A (en) Pressure responsive switch with differential and range adjusting means including a differential n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