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237B1 -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 Google Patents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237B1
KR0145237B1 KR1019950049527A KR19950049527A KR0145237B1 KR 0145237 B1 KR0145237 B1 KR 0145237B1 KR 1019950049527 A KR1019950049527 A KR 1019950049527A KR 19950049527 A KR19950049527 A KR 19950049527A KR 0145237 B1 KR0145237 B1 KR 014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s
nutrients
growth
crop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443A (ko
Inventor
김원권
Original Assignee
김원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권 filed Critical 김원권
Priority to KR101995004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237B1/ko
Publication of KR97004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종합 영영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물의 각종 병해 예방과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물의 재배시 저공해 무농약 재배가 가능토록 하고, 품질 향상 및 작물의 정상적인 성장과 뿌리의 기능을 왕성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포도당이다 과광 같은 단당류(C6H12O6) 400∼500g(40∼50%)에 4종 복비를 500∼600g(50∼60%) 혼합하여 영양제를 얻고, 상기 영양제 1Kg을 물 300ℓ와 발효식초 1,200∼1,500CC에 희석하여 영양제 희석 용액을 얻고, 이 희석 용액을 사용하고자 하는 작물에 엽면 살포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본 발명은 작물의 종합 영양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물의 각종 병해 예방과 치료 및 작물의 성장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대부분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 동화작용
의한 탄수화물을 호흡에 의한 산소로서 소화, 즉 이화작용(CH2O+O2→CO2+H2O→에너지)에 의한 에너지를 얻게 된다.
또한 에너지원은 뿌리로 흡수한 무기 영양분과 합성되어 성장에 쓰여져서 자라게 되고, 잉여 영양분은 체내에 저장되어 광합성을 할 수 없는 겨울을 대비하게 된다.
현재까지 밝혀진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의 원인은 환경 요인과 병원균에 위한 것보다는 에너지 원리 이상에 의하여 발생된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생리 장애의 원인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즉 환경적 요인에 의해 광합성 동화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때에는 뿌리의 흡비기능도 가장 흡수하기 쉬운 질소질 편중 흡수가 일어나게 되며, 그로 인하여 C/N율(탄진율)바란스가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물의 영양생장의 생장점, 즉 줄기 선단 부위에 옥신(Auxin)분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배하게 되어 작물체내의 영양분은 줄기 선단부위로 집중하게 되므로, 하위엽은 양분 탈취현상으로 잎말림 증세가 발생하거나, 잎의 얇아지게 되고, 줄기 선단부에는 점점 비대하여 도장 과번무 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C/N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작물이 도장 과번무되면 생식이 분리하게 되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식물이 자라기 시작하여 일정한 시기가 되면 생장점이 생식의 시원체로 변화하며, 이것을 화아 분화라고 한다. 화아분화후 생장점은 또 발생되어 자라게 된다.
화아 분화후 꽃의 시원체는 발달하기 시작하여 열매가 되기까지 변화를 거치게 되며, 이때에 C/N율 분균형을 도장 과번무되면 생식이 불리하게 되어 꽃의 시원체는 생장점의 옥신(Auxin)분비량에 따라 생식기의 옥신 분비량을 많게 하기 위해 이상 화아로 변화되어 기형화가 된다.
또한 작물이 개화하여 교배가 될 때가 되면 에너지 원이 충분하게 되고, 에너지가 충분할 경우 암. 수 모두 임성이 좋아지게 되어 꽃가루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교배후에도 종자 생성에 따라 옥신(Auxin)분비량도 충분하여 잎에서 합성한 영양분을 열매쪽으로 전류되도록 하며, 따라서 줄기 생장점의 세력은 지나치지 않게 되어 모든 기능이 생식부쪽으로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C/N율 불균형으로 도장 과번무될 때는 생식의 세력이 약화되고, 임성이 극히 저조하게 되어 꽃가루 분비능력 및 교배 능력 모두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C/N율 불균형으로 인하여 동화량이 적을 경우 줄기 생장점에 옥신 분비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고, 에너지산물, 즉 영양분을 잎에서 충당하기에 부족하여 생식기에서 탈취현상이 일어남으로 생식기에서는 항옥신(AntiAuxin)물질을 분비하여 낙화 및 낙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착과 이후 환경적인 요인으로 에너지 산물생산이 불량할 경우 상대적으로 줄기 생장점에 옥신 분비가 많게 되어 생식으로 양분전류가 불량하거나, 양분 탈취 현상, 즉 역류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기형과로 변화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작물은 생육 후반기, 즉 등숙기가 되면 과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은 80∼90% 완료되어 잉여 영양분은 영양생장점에 전류하게 되므로 줄기 생장점에 옥신(Auxin)분비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며, 이때쯤 2차 생식 준비가 일어나게 되나, 잎의 기능이 노쇄하게 되거나 환경이 불량하게 되어 동화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또한 추비량이 지나칠 경우 작물 생장점에 질소질이 많이 전류되어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이 부족하게 되므로 과일, 즉 생식기에서 모자라는 양분을 탈취하려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90% 이상 완숙에 가까워지면 자연히 낙과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등숙기에 접어든 과일쪽으로 영양분 전류가 되지 않을 경우 양분을 끝까지 채울 수 없는 상태가 되면 황대, 즉 양분 이동통로로 조직이 소실되지 않고, 심이 박힌 듯 흔적이 남게 되고, 또한 과피 조직은 완전히 발달되지 못하여 두껍게 남는데 이것을 전자는 황대현상, 후자는 호박과라고 하며, 이 역시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상기에서와 같이 에너지 원리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은 생리장애 원인 이외에도 병해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병해의 원인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즉 식물은 뿌리로 무기 영양분을 흡수하여 잎의 엽록소에서 광합성 동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탄수화물과 에너지에 의해 합성 작용이 일어나 작물 조직으로 분배된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 인위적 요인에 의해 동화기능이 부족하거나, 무기영양분, 즉 비료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되면 C/N율 바란스가 맞지 않게 되며, 이렇게 될 경우 무기 영양분은 영양소로 흡수되지 않고 유기산상태로 작물 조직속에 정체되어 병해의 원인이 된다.
뿌리의 흡비 기능은 환경이 불량하게 되면 질소질 편중 흡수가 일어나 조직속에 흡수된 질소질은 아미노산태로 정체되고, 이러한 경우 아미노산은 광합성 동화 산물과 합성되어 단백질등 작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으로 변화되어 필요한 조직으로 전류하게 된다.
상기에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동화기능 쇄퇴로 상대적으로 동화량이 부족할 경우 조직속에 아미노산 즉 유기산으로 정체되어 세포 조직을 산성화하게 되고, 산성화될 경우 병원균의 약 90%에 달하는 곰팡이 균이 서식하게 기반이 조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탄저병, 흰가루병, 노균병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직속에 동화산 물인 탄수화물과 합성되지 못한 아미노산이 단백질 등의 필요성분으로 합성되지 않고 조직속에 정체될 경우 비료의 길항작용 즉 칼슘(Ca) 붕소(B) 등의 성분부터 결핍 증세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조직속에 유기산이 동화산물과 합성되지 못하여 정체현상이 일어나면 유기산에 의해서 세포조직이 갈색으로 죽은 조직에 잿빛 곰팡이병균류가 서식하여 발생하는 균핵병, 무름병, 곰팡이병, 흑반병 등이 발병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은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즉 작물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토양에는 어떠한 성분의 부족으로 인한 요인보다는 흡수할 수 없어서 나타나는 결핍증세가 더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는 탄수화물을 발명하여 C/N율 바란스를 맞추어 엽면 살포토록 하므로서 불량 환경하에서도 생리 장해나 병해없이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물의 체내 흡수가 용이한 단당류에 4종 복비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영양제를 얻고, 상기 영양제를 적량을 물과 발효식초에 희석한 다음 상기 희석 용액을 작물에 엽면 살포하여 식물의 체내에 직접 흡수토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도당이나 과당같은 단당류(C2H6O6) 400∼500g(40∼50%)에 4종 복비 500∼600g(50∼69%)혼합하여 영양제를 얻는다.
상기 4종 복비는 성분량 4∼8% 질소(N)와 2∼6%인산(P) 4∼8% 가리(K) 및 미량이 요소 APT핵산 등이다.
상기에서 얻어진 영양제를 적량을 물과 발효식초에 희석하여 작물에 엽면 살포하게 된다.
이때 희석 비율은 물 300ℓ와 발효식초 1,200∼1,500CC가 혼합된 용액에 단당류와 4종 복비가 혼합된 영양제 1Kg을 희석하여 영양제 희석 용액을 얻고 상기 희석 용액을 사용하고자 하는 작물의 엽면에 살포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력이 약화되면 토양의 산성화 엽류직접 등으로 뿌리의 흡비 기능은 흡수가 용이한 질소 위주의 편중 흡수가 일어날 뿐 아니라 동화기능이 불량하여 탄수화물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C/N율 바란스가 맞지 않게 되므로 작물체 내에는 무기 영양분이 유기산태로 존재하여 동화 산물인 탄수화물과 결합되지 못하고 세포 조직속에 잠재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흡수가 어려운 성분부터 결핍증세가 나타나 생리 장애와 병해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 본 발명의 영양제를 물과 발효식초에 희석한 용액을 작물의 엽면에 살포케 하므로서 조직속에 유기산을 영양분으로 전환하여 필요한 조직으로 끌어내줌으로 종합적인 성분의 흡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영양제 희석 용액의 적용 작물과 살포시기는 아래 대비표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영양제를 적량의 물과 발효 식초에 희석한 용액을 작물의 엽면에 살포토록 하므로서, 각종 생리장애와 병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생산의 근원인 광합성 산물이 함유되어 병해의 원인인 산성체질을 개선하여 저공해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사기능의 활성화로 생육기간 단축 임성증대, 세포분열촉진, 성장촉진, 및 기형과를 방지하여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탄진율(C/N)에 의한 식물영양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호르몬 분배의 불균형을 해소하므로서, 각종 장해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작물의 정상적인 성장과 뿌리 기능을 왕성하게 하여 보다 이상적인 작물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단당류(C6H2O6) 40∼50%에 4종 복비 50∼60%을 혼합하여 영양제를 얻고, 상기 영양제를 물에 희석한 용액을 작물의 엽면에 살포토록 하여서 된 작물의 생리 장해와 병해 예방 치료를 위한 영양제.
  2. 단당류(C6H12O6) 40∼50%에 4종 복비 50∼50%을 혼합하여 영양제를 얻고, 상기 영양제를 물과발효식초에 희석한 용액을 작물의 엽면에 살포토록 하여서된 작물의 생리 장해와 병해 예방 치료를 위한 영양제.
KR1019950049527A 1995-12-12 1995-12-12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KR014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527A KR0145237B1 (ko) 1995-12-12 1995-12-12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527A KR0145237B1 (ko) 1995-12-12 1995-12-12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443A KR970042443A (ko) 1997-07-24
KR0145237B1 true KR0145237B1 (ko) 1998-07-15

Family

ID=1943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527A KR0145237B1 (ko) 1995-12-12 1995-12-12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2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8809A (zh) * 2010-10-21 2013-10-16 合肥凯歌信息科技有限公司 水稻的优质高产种植方法
CN103348842A (zh) * 2010-10-21 2013-10-16 合肥凯歌信息科技有限公司 中药材的优质高产种植方法
KR102149607B1 (ko) 2019-06-28 2020-08-28 황보기만 지표성분이 함유된 새싹재배용 양액의 제법 및 그 양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7021B (zh) * 2013-10-09 2014-12-10 新疆高冠土壤研究所 治理和保护盐碱地植物生长的肥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8809A (zh) * 2010-10-21 2013-10-16 合肥凯歌信息科技有限公司 水稻的优质高产种植方法
CN103348842A (zh) * 2010-10-21 2013-10-16 合肥凯歌信息科技有限公司 中药材的优质高产种植方法
CN103348809B (zh) * 2010-10-21 2014-10-29 合肥市安徽中天方生物科技有限公司 水稻的种植方法
KR102149607B1 (ko) 2019-06-28 2020-08-28 황보기만 지표성분이 함유된 새싹재배용 양액의 제법 및 그 양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443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101391B4 (en) Multifunctional organic agricultural fertiliz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06305246A (zh) 富硒水稻的种植方法
CN1048709C (zh) 植物根外喷施肥及制造方法
CN106431596A (zh) 一种生物刺激素
CN112167249A (zh) 一种促进果实提质增色的农用组合物
CN105254426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355818A (zh) 西红柿无土栽培基质
CN110511082A (zh) 一种水稻专用锌硒肥及其制备和用于生产富酶大米的方法
CN102640632A (zh) 一种提高萝卜含硒量的方法
CN107258153A (zh) 一种富硒花生的种植方法
CN108752107B (zh) 提高毛竹产量的药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7432187A (zh) 一种有机富硒广昌白莲的种植方法
CN105175092A (zh) 一种含有海藻酸等多种植物提取物的液态叶面肥、制备方法和应用方法
BR112020023081A2 (pt) método para aumentar o teor de selênio de uma planta, composição para aumentar o teor de selênio de uma planta, método de fertilização de um ambiente de solo e uso de pelo menos uma fonte de nitrogênio
CN113678699A (zh) 一种富硒油菜种植方法
KR0145237B1 (ko) 작물의 생리 장애와 병해 예방치료를 위한 영양제
CN106069560A (zh) 提早葡萄成熟期的种植方法
KR20000053863A (ko) 게르마늄원석-목탄의 복합분에 의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CN104058816A (zh) 一种用于北柴胡的肥料及其施用方法
Sabri et al. Effect of Ethephone, Zinc and Boron on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Cucumis Melo var. Flexuosus) Cultivated in Plastic Houses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From That
CN110663332B (zh) 一种提高蔬菜中硫苷和硒含量的叶面肥料及施用方法
CN109336678B (zh) 一种稳定型含钙大量元素水溶肥及其制备方法
Gupta et al. Effect of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on growth and yield of guava (Psidium guajava L.) cv. Allahabad safeda under high density planting
CN109608271A (zh) 一种含氨基酸水溶性肥料及其制备方法
CN109111298A (zh) 一种韭菜专用叶面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