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037B1 -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037B1
KR0144037B1 KR1019950009096A KR19950009096A KR0144037B1 KR 0144037 B1 KR0144037 B1 KR 0144037B1 KR 1019950009096 A KR1019950009096 A KR 1019950009096A KR 19950009096 A KR19950009096 A KR 19950009096A KR 0144037 B1 KR0144037 B1 KR 014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pha
node
bus
h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624A (ko
Inventor
최동희
윤효섭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037B1/ko
Publication of KR96003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PPHA 보드 내에 통신 제어노드를 통합시켜 시스템 설치 공정시 케이블 작업을 단순화 시키고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PHA)와 통신 제어(CI)노드의 통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PPHA 보드 하나 당 CI노드 하나가 점유되고, 이로 인해 PPHA보드에 접속되는 U-링크 및 케이블 수가 너무 많아 시스템 설치시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보드 상에 부품이 밀집되어 항상 부품간 소트(short)가 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PPHA 보드에 CI노드를 포함시키고, D-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PPHA보드와 HINA 보드간 정합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프로세서간 통신시 사용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수가 줄어 시스템 설치시 간편하고, 원가 절감을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PHA)와 통신 제어(CI)노드의 통합방법
제 1도는 종래의 PPHA 보드와 HINA 보드의 인터폐이스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PPHA 보드와 HINA 보드의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해 집적화된 PPHA 보드의 실장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PHA 보드 내 인터페이스부 1-3 : 멀티 프로토콜 통신 제어부
1-6 : CI 노드 1-5, 2-5 : D-버스 인터페이스
2' : HINA 보드 내 인터페이스부 2-4 : CI게이트-웨이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eripheral Processor Hardware block : 이하 PPHA라 칭한다) 와 통신 제어(CI)노드의 통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전자 교환기의 PPHA 보드 내에 통신 제어노드를 통합시켜 시스템 설치 공정시 케이블 작업을 단순화 시키는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PHA)와 통신 제어(CI)노드의 통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제어(CI)블럭은 프로세서간 통신(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칭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든 프로세서들간의 메세지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를 제공하는 블럭으로써, CI블럭과 1:1로 연결되는 모든 블럭과의 IPC 메세지 송/수신 기능, CI블럭과 공동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CI블럭과의 IPC 메세지 송/수신 기능, IPC 메세지 송/수신 채널에 대한 상태 감시 및 CIPH 블럭과의 정보교환 기능, 장애 발생시 CIPH 블럭 및 'FI' (Fault Inductor) 블럭으로의 경보 송출 기능등을 수행한다.
또한 서로 다른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IPC Unit : IPCU)사이의 연결은 게이트 웨이(Gateway) CI 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스토어 포워드(Stor Forward) 방식은 하나의 메세지가 D-버스로부터 수신되고 난 후, U-링크로 송신을 시작하는 것으로써 송/수신 속도가 서로 다르더라도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컷-쓰루(Cut-Through) 방식은 D-버스로 부터 메세지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바이트 단위로 즉시 U-링크 측으로 송신이 시작되는 방식으로서, 송/수신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드시 송신 속도가 수신속도 보다 느려야 한다.
이와 같이 각 프로세서 마다 하나의 CI 노드를 점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에서, 그 일예로 PPHA 보드와 대 용량 IPC 노드 보드(High capacity IPC Node Assembly : 이하 HINA라 칭한다)사이에 상호 데이타 교환이 실행되는 인터페이스부를 보면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링크를 통해 HINA 보드와 연결되는 PPHA 보드 내의 정합을 담당하는 각 RS485인터페이스(1-1,1-2)와,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 프로토콜 통신 제어부(MPCC)로 이루어진 PPHA 보드내의 인터페이스부(1)와 : 상기 PPHA 보드내 각각의 RS485인터페이스(1-1,1-2)와 연결되는 HINA 보드내의 각 RS485인터페이스(2-1,2-2)와, CI노드(2-3) 및, 상기 CI노드(2-3)와 D-버스를 통해 접속되며 다른 CI 블럭과의 IPC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CI게이트-웨이(2-4)로 이루어진 HINA 보드내의 인터페이스부(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지고 다른 부들과 연결되어 송/수신 데이타를 주고받는다.
이처럼 각각의 프로세서에 하나의 CI노드가 점유되어 있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 구조는 PPHA 보드가 한 시스템에 총 69장이 장착되므로 그에 따른 케이블 또한 한 보드 한장 당 신호처리용으로 2개 라인, 전원 공급용으로 2개라인 ( 2(signal) + 2(power) ), 합하여 4개라인이 필요하고, 이는 총 276개 (69 * 4 = 276)에 이른다. 따라서 시스템 설치시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시스템 백-보드 판넬도 복잡해진다.
또한 현 HINA 보드는 한 보드 당 8개의 CI 노드를 포함하므로 보드 상에 부품이 밀집되어 항상 부품간 소트(short)가 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HINA보드에 내에 설치되어 있는 CI 노드를 PPHA 보드내에 장착하므로써 HINA에서 오는 케이블 수를 최소로 즐여 설치 공정을 간소화 시키며, 중복되는 U-링크 인터페이스부 회로의 축소를 통하여 원가 절감의 이득을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같은 구성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PPHA 보드와 HINA 보드의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내는 블럭도로, D-버스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에서 이의 정합을 담당하는 D-버스 인터페이스(1-5)와, CI 노드(1-6) 및,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 프로토콜 통신 제어부(1-3)로 이루어진 PPHA내의 인터페이스부(1')와 : 상기 PPHA내의 D-버스 인터페이스(1-5)와 D-버스를 통해 접속되어 이의 정합을 담당하는 D-버스 인터페이스(2-5)와, 상기 상기 D-버스 인터페이스(2-5)와 접촉되며 다른 CI 블럭과의 IPC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CI 게이트-웨이(2-4)로 이루어진 HINA 보드내의 인터페이스부(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보드내의 인터페이스부(1', 2')는 기존에 사용하던 각 RS485인터페이스(1-1,1-2,2-1,2-2)를 제거하고 그 대신 한 케이블의 D-버스를 통해 접속되도륵 하므로써 다수개의 제이블을 계거할 수 있어 케이블 설치시 그 작업이 간편해진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한 D-버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D-버스는 'TMR(Triple Modular Redundancy)' 구조로 반복 프로그래밍 가능한 이피엘디(Erasable Progrmmable Logic Device : EPLD) 2개와 RS-485방식에 맞는 버스 드라이버/리시버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D-버스 신호는 아래와 같다.
데이타 전송(data transfer)관련 신호는 'BR-클럭' , '데이타'이고, 버스중재(bus arbitration)관련 신호는 'AST-클럭' ,'AST'와,'FRS' 신호이다.
이와 같은 데이타 전송은 반이중(Half Duplex) 방식에 의하며, 송신측에서 데이타 동기 클럭과 함께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한다.
또한 버스 중재는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하고 'AST'는 버스 점유를 나타내며, D-버스 인터페이스는 D-버스의 프레임 송/수신 기능과 그와 연관되는 모든 기능을 담당하고, 입력되는 버스 신호에 대한 보우팅(Voting)을 수행하며, D-버스로의 프레임 송신을 위한 버스 점유 가능여부를 결정하여 버퍼 모듈(UB버퍼)에 알려준다.
이때 만약 D-버스 점유 차례가 되었을 때 다른 IPC 노드가 이미 D-버스를 점유하여 'AST' 신호가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으면, 버스점유실패(fault)신호를 발생시키고, D-버스를 점유하게 되면 버스 드라이버를 인에이블 시켜 데이타 동기 클럭과 함께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며, 이어 송신이 완료되면 D-버스 드라이버를 디스에이블시켜 D-버스 점유를 플어준다.
아울러 프레임 송신을 시작하여 규정된 시간이 경과할 경우에는 버스드라이버를 디스에이블 시켜 강제로 프레임 송신을 중지시키며, 버스점유실패(LAF)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 간단해진 본 발명의 PPHA 보드와 이에 통합된 CI 노드를 실장하는 실장도를 보면, 이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 노드가 통합된 PPHA보드를 이중화 구성을 위해 한 블럭에 두개 씩(A,B) 실장하고, 이와 같은 구조를 다수개 실장한 하나의 랙(RACK)을 이루며, 상기 랙에 실장된 다수개의 PPHA보드들은 하나의 D-버스를 공유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이 D-버스는 CI 게이트-웨이(2-4)와 접속되어 다른 블럭의 PPHA 보드 및 타 프로세서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PHA에 CI 노드를 포함시키고, 그 대신 D-버스라는 공통선을 사용하여 케이블수를 감소시키므로 그 설치가 간편해 질 뿐더러, 원가절감이 되어 경제적이고, 기존의 PPHA보드와 HINA보드 양쪽에 존재하던 어드레스 셋팅부가 하나로 축소되므로 어드레스 셋팅 작업이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서로 어드레스가 맞지않아 발생하는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PPHA 보드가 실장되는 디지탈 트렁크 인터페이스 랙(Digital Trunk Interface Rack ; DTIR) 블럭의 경우 대 용량 IPC노드 보드(HINA)에 단 하나의 케이블만 연결하여도 인터페이스가 실현되므로 기존의 여러 케이블을 연결할 때보다는 신뢰성도 높아진다.

Claims (1)

  1. RS-48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 보드와 대 용량 IPC노드 보드(HINA)간 정합을 이루며, 각 프로세서 하나 당 통신제어(CI) 노드가 하나씩 점유되어 프로세서간 통신을 이루는 방법에 있어서,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PHA)에 점유되는 CI노드를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 내에 통합시키고, PPHA 보드와 HINA보프 간은 RS-485 대신 D-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합시켜, U-링크와 PPHA보드 내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PPHA)와 통신 제어(CI)노드의 통합방법.
KR1019950009096A 1995-04-18 1995-04-18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KR014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096A KR0144037B1 (ko) 1995-04-18 1995-04-18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096A KR0144037B1 (ko) 1995-04-18 1995-04-18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624A KR960038624A (ko) 1996-11-21
KR0144037B1 true KR0144037B1 (ko) 1998-08-17

Family

ID=1941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096A KR0144037B1 (ko) 1995-04-18 1995-04-18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0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624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66935B1 (en) High-speed switching system with flexible protocol capability
US4787082A (en) Data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local area network
EP0594200A2 (en) Backplane wiring for hub in packet data communications system
HU215629B (hu) Adatátviteli hálózat és eljárás folyamatos adatátviteli csatorna kiépítésére
WO1988007793A1 (en) Lan communication system and medium adapter for use therewith
US5285449A (en) Protocol for hybrid local area networks
KR19990077415A (ko) 네트워크시스템
HU214427B (hu) Adatátviteli rendszer
US7843966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flexible use in different application scenarios in automation technology
US6219353B1 (en) Message hub
KR19990060566A (ko) 인터넷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의 정보교환 장치
KR0144037B1 (ko) 전전자 교환기 내 하위레벨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 제어노드의 통합방법
EP0594198B1 (en) Crossbar switch for synthesizing multiple backplane interconnect topologies in communications system
US7149786B1 (e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KR10026625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US5663960A (en) Chaining arrangement between intermediate modules, particularly of repeater type, of an installation provided with terminals communicating via a packets transmission link, and an installation thus equipped
EP0757882B1 (en) Time switch system
KR20000040686A (ko) Lan 선로의 이중화 시스템
JPH05344137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016823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제어 보드와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통합 방법
CA1286788C (en) Data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local area network
JP2669356B2 (ja) Pds伝送システム
KR100197441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백보드를 이용한 탈장 감지 장치
JPH06216923A (ja) 通信方式
KR0181117B1 (ko) 비-버스 입출력부에서 직접 메모리 접근부를 사용한 직렬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