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954B1 -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 Google Patents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954B1
KR0143954B1 KR1019940023762A KR19940023762A KR0143954B1 KR 0143954 B1 KR0143954 B1 KR 0143954B1 KR 1019940023762 A KR1019940023762 A KR 1019940023762A KR 19940023762 A KR19940023762 A KR 19940023762A KR 0143954 B1 KR0143954 B1 KR 014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gain
present
livestock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022A (ko
Inventor
강석진
Original Assignee
강석진
주식회사과학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진, 주식회사과학축산 filed Critical 강석진
Priority to KR101994002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954B1/ko
Publication of KR96001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954B1/ko

Link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즉, 로도슈도모나스 속(Rhodopseudomonas sp.)의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아스페르길루스 속(Aspergillus sp.) 및 리조푸스 속(Rhizopus sp.)의 진균 발효 농축물을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제는, 특히 성숙한 가축에 있어서 산란 증진, 난중량 증가 및 번식 성적을 개선시키고, 가축의 증체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켜 경제성을 높여주고, 분변냄새와 악취를 경감시키고 분벽의 발효를 촉진하여 우수한 유기질 비료화를 촉진하고 부패분해 및 병원균 번식을 억제하고 식물 성장과 탄소동화작용을 도와 비료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물의 번식력 및 중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본 발명은 동물의 번식력 및 중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진균 발효 농축물을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여, 특히 성숙된 가축에 있어서 산란증진, 낭중량의 증가 및 번식성적 개선, 그리고 가축의 중체 및 사료효율 개선 뿐 아니라 분변의 악취 감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는 육류와 유제품의 소비증가를 유도하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축산업도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두 밀집 사육에 의한 현대식 축산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두 밀집 사육에 있어서는, 가축의 번식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성장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어, 결국 사료효율이 저하되는 등 경제성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이 가축사육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관건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특히 성숙 가축에 있어서 성장 및 번식에 영향을 주는 생리적 특성, 생식기 및 소화ㅣ의 기능 등 광범위한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가축의 생리, 번식 및 소화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제들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 특히 성숙된 가축에 있어서 산란증진, 난중량 증가 등 생산성을 증진시켜 주는 동시에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함으로써 가축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물의 번식 성적 개선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은 로도슈도모나스 속(Rhodopseudomonas sp.)의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아스페르길루스 속(Aspergillus sp.) 및 리조푸스 속(Rhizopus sp.)의 진균 발효 농축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중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균주는 CFU로서, 진균 발효 농축물중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 진균의 2×102내지 3×102배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첨가하여 산제, 과립제 등으로 제형화한 것으로, 총 1kg중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은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균주로서 2×109내지 3×1011CFU, 진균 발효 농축물은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로서 1×107내지 1×109CF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있어서는, 부형제로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제에 사용되는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은 토양 미생물의 일종으로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육하는 광합성 세균의 한 과(科)인 홍색무유황세균(Athiorhodaceae) 중에서 로도슈도모나스속(Rhodopseudomonas sp.)인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PS. capsulata)등을 배양 농축한 것이다. 광합성 세균체에는 비타민 등 유효물질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가축에 투여할 경우 산란율을 증가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카로틴계 색소를 다량 함유하므로 산란율의 증대 이외에도 난황의 황색을 선명하게 만들어 계란의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게다가, 광합성 세균의 농축 배양물은 어린 가축에 있어서 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키고 내장형성을 촉진시켜 성장률을 개선하며, 장내 세균의 균형을 맞추어 소화력을 좋게 하므로 먹이섭취력 및 사료의 영양효과를 증체량을 높여준다. 이 밖에도, 광합성 세균은 항바이러스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렉병이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은 육계 병아리에 투여하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경우, 폐사 또는 투여에 따른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고 중금속 또는 유해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은 안전한 물질로서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증가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된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인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껜. capsulata)는, 장관을 통과한 뒤 분변내에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등 유해 악취가스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분뇨의 악취물질로 휘발성 지방산(VFA)인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n- 및 iso-부티르산(n- iso-butyric acid), n- 및 iso-발레르산(n- iso-valeric acid)의 총량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 축사내부의 유해가스로 인한 가축의 호흡장애 및 산소결핍, 그리고 호흡기계 손상 등에 의한 호흡기 질병 발생과 성장저하 등의 문제점이 개선되어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또 하나의 활성 물질인 진균 발효 농축물은 토양균의 일종인 아스페르길루스 속의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속의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 진균을 특정 조건하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강력한 활성성분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7979호로서 등록된 것이다. 여기에는 진균 자체의 영양물질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B군,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진균의 성장 증식 과정 및 자기분해시 배출되는 소화효소와 대사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가축의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가축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진균 발효농축물 중의 지방산은 반추위내에서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영양원으로 이용되므로 이들 박테리아 수를 증가시켜 반추위 내에서 총휘발성 지방산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유지방율을 높여준다. 게다가 가축의 장내에서 유익균총을 증식시켜 주므로 질병을 예방할 뿐 아니라, 분변의 발효를 촉진하여 부패분해 및 병원균 번식을 억제하고 식물성장과 탄소동화작용을 도와 비료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진균 발효 농축물은 사람 및 동물에 전혀 독성이 없고 환경 공해 및 수질 오염 등을 야기하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이를 투여하여 사육한 가축의 분뇨는 악취가 없고 농작물의 퇴비로 즉시 사용하여도 종전의 일반 퇴비와는 달리 유기산 가스가 최소량으로 생성되므로 사용이 가능하여 축산 폐수로 인한 수질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진균 발효 농축물은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서 이상한 악취나 부패 냄새가 나지 않고 정상적인 역가를 유지하는 안정성이 높은 물질로, 마우스 및 가축에 투여할 경우 급성 및 만성 독성 증상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가축에 있어서 산란율 및 번식력을 증가시키고, 병에 대한 저항력, 내장형성, 및 소화력 증진을 통해 성장률과 증체량을 높여주는 작용을 하는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 그리고 가축의 소화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가축의 장내에서 유익균총을 증식시켜 질병을 예방할 뿐 아니라, 분변의 발효를 촉진하여 부패분해 및 병원균 번식을 억제하고 식물 성장과 탄소동화작용을 도와 비료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진균 발효 농축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여,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켜 각 성분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중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균주는 CFU로서, 진균 발효 농축물중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 진균의 2×102내지 3×102배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율을 벗어나도 각 성분의 효과를 발휘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에 각 성분이 서로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산제 또는 과립제 등으로 제형화한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총 1kg중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은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dapsulata)균주로서 2×109내지 3×1011CFU, 진균 발효 농축물은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로서 1×107내지 1×109CFU를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에 있어서는 부형제로서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염기치환용량(C.E.C.) 80meq/100g 이상, 입자도 50 내지 60메쉬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에 바람직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제는, 특히 가축의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편리한데, 가축 사료에 0.03 내지 0.15%(사료 톤당 0.3 내지 1.5kg)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비율은 투여 목적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란증진, 난중증가, 번식성적 개선 및 분변의 악취 경감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사료의 0.05 내지 0.15%, 가축의 증체 및 사료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사료의 0.03 내지 0.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이로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제의 조제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을 Rhodopseudomonas capsulata 균주로서 2.5×1010CFU, 그리고 진균 발효 농축물을 Aspergillus oryzae 및 Rhizopus oligosporus 균주로서 1×108CFU 함유하도록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한다. 여기에 제올라이트(염기치환용량(C.E.C) 100Meq/100g 이상이고, 분말도가 60메쉬인 것)를 가하여 1kg으로 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로 제조한다.
(2) 산란계에서의 생산성 향상효과 실험
부화직후의 병아리를 다음 ① 내지 ④와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산란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시험한 후, 성장률 과 6개월 동안의 산란율을 집계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① 표준사료만을 투여한 무투약 대조군
② 상기 본 발명의 제제 조성중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을 제외시켜 조제한 제제를 표준사료에 0.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③ 상기 본 발명의 제제 조성중 진균 발효 농축물을 제외시켜 조제한 제제를 사료에 0.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④ 상기 본 발명의 제제를 사료에 0.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조단백 17.0%, TDN 67.4%인 시험사료 조성은 다음과 같다; 옥수수가수 50.0%, 마일로 10.0%, 콩깻묵 10.0%, 어분 7.5%, 쌀겨 12.5%, 알팔파 가루 2.0%, 탄산칼슘 3.8%, 인산칼슘 1.5%, 염화나트륨 0.3%, 종합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 0.35%, 식물성 지방 혼합물 2.0%, 항산화제(에톡시퀸) 0.0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산란율은 진균 발효 농축물을 투여한 군이나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을 투여한 군에 있어서도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군이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계란의 평균중량에 있어서도 대조군의 56.8±1.2g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군은 58.5±2.4g으로서 진균 발효 농축물을 투여한 군이나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높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를 100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군이 122.2로서 현저하였다.
그 밖에도 대조군에 있어서는 분변이 악취가 심한 반면, 본 발명의 제제 투여군에 있어서는 분변 형태가 굳으면서 냄새도 발효성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제제의 필수 구성 성분인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진균 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② 및 ③의 경우와 비교할 때, 이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조제한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④의 경우에 월등히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것이다.
(3) 돼지에 있어서의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 시험
총 78두의 랜드레이스(Landrace)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4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이유기 때부터 출하때까지 시험하였다.
① 무투약 대조군
② 상기 본 발명의 제제 조성중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을 제외시켜 조제한 제제를 표준사료에 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③ 상기 본 발명의 제제 조성중 진균 발효 농축물을 제외시켜 조제한 제제를 사료에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④ 상기 본 발명의 제제를 사료에 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약한 군
생후 28-59일까지는 젖먹이 사료를 공급하고, 59-118일에는 육성돈 사료를, 그리고 118-155일까지는 비육돈 사료를 공급하였다.
측정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상기 [표 2]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1두당 평균 총증체량을 보면, 대조군에 있어서는 74.69kg, 진균 발효 농축물만을 투여한 군에 있어서는 77.37kg,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만을 투여한 군에 있어서는 76.36kg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군에서는78.77kg으로 월등히 우수하였다;
·사료섭취량의 증체량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사료요구율을 보면, 무투약 대조군이 4.10%로서 가장 높은데 비해, 본 발명의 제제를 투약한 군이 3.72%로서 가장 낮아 사료 효율이 월등히 높음을 보여준다.
앞서의 시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제의 필수 구성 성분인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진균 발효 농축물을 별도로 투여한 경우보다, 이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조제한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는 현저하게 높은 상승효과를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대조군에 있어서는 분변의 악취가 심한 반면, 본 발명의 제제 투여군에 있어서는 분변 형태가 굳으면서 냄새도 발효성으로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진균 발효 농축물을 일정 범위내의 비율로 혼합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제형화한 본 발명의 제제는, 특히 성숙한 가축에 있어서 산란 및 난중량 증가, 번식 성적을 개선시키고, 가축의 증체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켜 경제성을 높여주고, 분변의 발효를 촉진하여 부패분해 및 병원균 번식을 억제하고 식물 성장과 탄소동화작용을 도와 비료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축산업의 발달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로도슈도모나스 속(Rhodopseudomonas sp.)의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과, 아스페르길루스 속(Aspergillus sp.) 및 리조푸스 속(Rhizopus sp.)의 진균 발효 농축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중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균주는 CFU로서, 진균 발효 농축물중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 진균의 2×102내지 3×102배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의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첨가하여 제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총 1kg중 광합성 세균 농축 배양물은 로도슈도모나스 캅술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균주로서 2×109내지 3×1011CFU, 진균 발효 농축물은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루스(Rhizopus oligosporus)로서 1×107내지 1×109CF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진용 제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부형제로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진용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가 염기치환용량(C.E.C.) 80meq/100g 이상, 입자도 50 내지 60메쉬 범위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번식력 및 증진용 제제.
KR1019940023762A 1994-09-17 1994-09-17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KR0143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762A KR0143954B1 (ko) 1994-09-17 1994-09-17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762A KR0143954B1 (ko) 1994-09-17 1994-09-17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022A KR960010022A (ko) 1996-04-20
KR0143954B1 true KR0143954B1 (ko) 1998-07-01

Family

ID=6668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762A KR0143954B1 (ko) 1994-09-17 1994-09-17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9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310A (ko) * 1999-09-02 2001-06-15 김학응 로도슈도모나스속 세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복합제제 및이의 용도
WO2001080663A1 (en) * 2000-04-27 2001-11-01 Ryo Kumazaki Animal feed additiv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20028192A (ko) * 2002-03-25 2002-04-16 김영환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20028991A (ko) * 2002-03-13 2002-04-17 나광출 광합성세균 배양액을 함유한 배합사료
KR100418477B1 (ko) * 2001-12-13 2004-02-14 권승룡 가축의 산란 촉진 및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사료첨가제
KR20210052219A (ko) * 2019-10-29 2021-05-10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증체율 또는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사료용 생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52218A (ko) * 2019-10-29 2021-05-10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홍국균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8B1 (ko) * 2000-07-26 2002-10-18 문병헌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및 아연 아세테이트가 함유된가축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4223B1 (ko) * 2001-12-20 2005-01-03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신규한 광합성 세균
KR100968680B1 (ko) * 2009-09-21 2010-07-14 주식회사 비앤엘아그로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한 사과 탄저병의 방제, 치료방법 및 그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310A (ko) * 1999-09-02 2001-06-15 김학응 로도슈도모나스속 세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복합제제 및이의 용도
WO2001080663A1 (en) * 2000-04-27 2001-11-01 Ryo Kumazaki Animal feed additiv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418477B1 (ko) * 2001-12-13 2004-02-14 권승룡 가축의 산란 촉진 및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사료첨가제
KR20020028991A (ko) * 2002-03-13 2002-04-17 나광출 광합성세균 배양액을 함유한 배합사료
KR20020028192A (ko) * 2002-03-25 2002-04-16 김영환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10052219A (ko) * 2019-10-29 2021-05-10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증체율 또는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사료용 생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52218A (ko) * 2019-10-29 2021-05-10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홍국균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022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4550B (zh) 一种保育猪浓缩饲料
US5030657A (en) L-carnitine supplemented catfish diet
CN104206859B (zh) 一种无抗生素育肥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250879B (zh) 一种用于调节仔猪肠道发育的配合饲料及应用
CN100563671C (zh) 狐免疫增强剂
CN111066972A (zh) 一种提高育肥猪生长性能的饲料及饲养方法
KR0143954B1 (ko) 동물의 번식력 및 증체량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Józefiak et al. A note on effects of benzo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and microbiota populations of broiler chickens
CN108142688B (zh) 一种不含氧化锌的保育料
CN1293905A (zh) 绿色天然植物生长促进剂
CN108041308A (zh) 一种教槽料及其制备方法
CN101406254A (zh) 一种1~3月幼龄鸵鸟的饲料配方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CA3225779A1 (en) Use of furancarboxylic acids in the preparation of additives for animal feeds
CN108029879A (zh) 断奶仔猪用配合饲料
CN113854423A (zh) 一种用于生猪养殖多种益生菌发酵饲料
Sharma et al. Effect of varying levels of dietary minerals on growth and nutrient utilization in lambs
KR0143953B1 (ko) 동물의 면역촉진 및 정장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WO2017143667A1 (zh) 一种饲用组合物及其在制备动物饲料添加剂中的应用
CN112042822A (zh) 提高哺乳期母猪繁殖性能的配合饲料
CN110179006A (zh) 禽用降污保健促长饲料添加剂及其工艺方法
Khose et al. Feeding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and enzym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
CN109793116A (zh) 一种无抗哺乳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01588A (ko) 마늘의 에스-알릴 시스테인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효조건 및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용 조성물의 제조 기술 및 그 용도
CN108967703A (zh) 一种改善蓝塘猪肉质的绿色饲料添加剂、预混料及配合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