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384B1 -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384B1
KR0141384B1 KR1019950022561A KR19950022561A KR0141384B1 KR 0141384 B1 KR0141384 B1 KR 0141384B1 KR 1019950022561 A KR1019950022561 A KR 1019950022561A KR 19950022561 A KR19950022561 A KR 19950022561A KR 0141384 B1 KR0141384 B1 KR 014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ase station
word
received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994A (ko
Inventor
신상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384B1/ko
Publication of KR97000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라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시 수개의 셀룰라폰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에서의 통화량을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화 성공률을 높이도록 한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개의 셀룰라폰이 가입된 기지국으로의 통화접속을 위한 채널은 하나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해서 통화접속을 시도하는 가입자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통화량이 폭주하게 되어 망에 무리가 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실에 대해 가입자들은 알지 못하므로 통화량이 폭주하는 시간에도 계속적으로 통화접속을 시도하게 되어 통화량이 더 폭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통화접속이 안되는 원인이 셀룰라폰의 성능 이상에 의한 것인지 통화량 폭주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한 기지국에 가입된 각 셀룰라폰이 통화를 위해 시도한 기지국과의 최근 채널 접속의 량을 각 셀룰라폰에서 수집하여 현재 통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각 가입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폭주하는 시간에는 통화접속을 시도하지 않거나 자제하도록 하여 셀룰라망의 부담을 줄여 통화접속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셀룰라폰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를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듀플렉서2 : 수신부
3 : 송신부4 : 주파수 합성부
5 : 제어부6 : 제1메모리부
7 : 제2메모리부8 : 제3메모리부
9 : 키부10 : 액정표시부
11 : 음성처리부12 : 스피커
13 : 마이크
본 발명은 셀룰라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시 수개의 셀룰라폰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에서의 통화량을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화 성공률을 높이도록 한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라폰은 제1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안테나(ANT)를 통한 통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듀플렉서(1)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상대방의 호출신호 및 통화 메세지를 수신처리하는 수신부(2)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사용자의 호출신호 처리 및 전화 메세지를 송신처리하는 송신부(3)와, 상기 송신 및 수신 신호의 처리시 기준 주파수에 따라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합성하는 주파수 합성부(4)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본 시스템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1메모리부(6)와, 본 시스템의 신호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2메모리부(7)와, 한글 및 특수문자, 전화번호등이 저장되어 있는 제3메모리부(8)와, 본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키부(9)와, 상기 키부(9)에서 눌려지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표시부(10)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탈화 또는 아날로그화하여 신호처리하는 음성처리부(11)와 상대방의 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11)로부터 입력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2)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상기 음성처리부(11)로 전달하는 마이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셀룰라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ANT)와 듀플렉서(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의 수신신호는 수신부(2)에서 주파수 합성부(4)에 의해 입력 주파수가 맞춰지고 제어부(5)로 입력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신호는 음성처리부(11)를 통해 아날로그화되어 스피커(12)로 출력된다. 한편, 송신신호는 마이크(13)를 통해 음성처리부(11)에서 디지탈화 되어 제어부(5)를 통해 송신부(2)로 전달된다. 그리고나서, 듀플렉서(1)를 통해 안테나(ANT)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셀룰라폰으로 통화를 하고자 할시 키부(9)를 통해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면, 액정 표시부(11)에서는 제3메모리부(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셀룰라폰은 수개로 지역마다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과 각 기지국을 연결하는 교환국을 통해 다른 셀룰라폰 또는 일반 전화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기지국에는 하나의 역방향제어채널, 즉 페이징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데 이는 여러 셀룰라폰 단말기가 공유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 가입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발신요구나 착신요구 또는 위치등록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는 채널이다. 즉, 한 기지국에 가입된 여러 가입자들은 통화를 위한 채널접속을 동시에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통화를 위한 음성채널도 그 수가 한정되어 있어 동시 통화량도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통화 채널을 지닌 기지국에서의 현재 통화량을 각 가입자들은 알 수 없음으로 해서 통화량이 폭주하는 시간에도 계속적으로 통화를 하기 위해 채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현재 통화량이 더 폭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각 가입자들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 각 가입자의 셀룰라폰의 성능 이상에 의한 것인지, 통화량 폭주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기지국에 가입된 각 셀룰라폰이 통화를 위해 시도한 기지국과의 최근 채널 접속의 량을 각 셀룰라폰에서 수집하여 현재 통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각 가입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는 항상 가입된 각 셀룰라폰으로 순방향제어채널을 통해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매 10비트마다 B/I비트(Busy/Idle)비트가 포함되어 있다. 이 B/I비트는 각 셀룰라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역방향제어채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로, 이 비트가 '1'이면 역방향제어체널이 'Busy'임을 나타내고, '0'이면 'Idle'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어떤 셀룰라폰이 역방향제어채널로 메세지를 전송하고 있다면 이 비트가 '1'로 셋팅되어 현재 역방향제어채널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제어채널을 통해 계속적으로 전송되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을 기지국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역방향제어채널이 'Busy'상태인지 'Idle'상태인지를 나타내는 B/I비트를 포함하여 수신하는 셀룰라폰에 있어서, 셀룰라폰의 파워가 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 1워드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된 1워드에서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를 세는 제2단계와; 전 상태에서 수신된 1워드중 '1'로 셋팅된 B/I비트의 합과 상기 제2단계에서 센 갯수를 더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된 워드의 순번이 수집하고자 미리 설정된 워드의 갯수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고, 일치하면 수신된 총 워드당 나타나는 B/I비트의 총합에 대한 상기 제3단계에서 더해진 '1'로 셋팅된 B/I비트의 총합의 비를 구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6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 1워드를 수신하는 제7단계와; 상기 수신된 1워드에서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를 세는 제8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더해진 '1'로 셋팅된 B/I비트의 총합에서 초기 수신된 1워드의 B/I비트의 갯수를 제외하고 상기 제8단계에서 센 갯수를 더하여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현 기지국의 통화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를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도면에 사용된 각 상수에 대해 설명한다.
r은 1워드당 B/I비트가 나타나는 횟수로 10비트마다 하나씩 포함되어 있고, p는 셀룰라폰이 수집하고자 하는 최근 워드의 갯수이며, total은 상기 r과 p의 곱으로 p의 값에 따라 한주기당 나타나는 B/I비트의 총 갯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C(k)는 k번째 워드에서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이며, Accum은 상기 C(k)의 누적 합계를 나타낸다. 또한, usage는 통화량을 나타내는 백분율의 수치를 나타낸다.
상기 상수증 r은 고정된 값이고, p는 임의의 설정에 의한 값이므로, 이에 따른 total 값도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셀룰라폰의 파워가 온되면 Accum과 k는 초기화 되고, total의 값을 r과 p의 곱으로 설정한다(단계 S1). 그리고나서,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광대역데이타스트림 1워드를 수신한다(단계 S2).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각 셀룰라폰으로 전송되고 있는 메세지는 다음과 같다.
이에 따라 상기 단계(S1)에서 초기화된 k를 1증가시킨다(단계 S3). 상기 단계(S2)에서 수신한 1워드 내에 있는 B/I비트중 '1'로 셋팅된 비트의 수를 세어 C(k)로 저장한다(단계 S4). 그리고나서, C(k)의 누적된 값을 구하기 위해 상기 단계(S1)에서 초기화되었던 Accum값에 더하여 저장한다(단계 S5). 이때, 상기 단계에서 더해진 C(K)가 p번째 더해진 값인지를 확인하여 아니면 상기 단계(S2)로 복귀하여 p번째가 될 때까지 상기 단계들(S2∼S6)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6). 상기 단계(S6)에서 더해진 C(k)가 p번째가 되면 통화량 usage를 구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단계 (S1)에서 구해진 total값에 대해 상기 단계(S5)에서 최종 더해진 Accum값의 비로써 구한다(단계 S7). 이와 같이 계산된 통화량 usage는 셀룰라폰의 액정표시판으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8).
이후, 계속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1워드를 수신하여(단계 S9), k를 1증가시킨다(단곈10). 그리고나서, 워드내에 있는 B/I비트중 '1'로 셋팅된 비트의 갯수를 세어 이를 C(k)로 저장한다(단계 S11). 이 때, 이에 따른 Accum의 값은 상기 단계(S5)에서 구해진 최종 p개의 C(k)의합으로 이루어진 Accum에서 하나의 초기 C(k)값을 제외하고, 상기 단계(S11)에서 구한 C(k)값을 더하여 구한다(단계 S12). 이는 상기 단계(S7)로 복귀하여 통화량 usage를 구하게 된다. 이후, 동작은 상기 단계(S7)에서 상기 단계(S12)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데이타스트림중 1워드를 수신할 때마다 이미 더해진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중 가장 먼저 더해진 값을 제외시키면서 새로이 구해지는 값을 더하여 가장 최근의 통화량을 계산하게 된다. 이로써, 수시로 변하는 각 셀룰라폰에 의한 통화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셀룰라폰의 파워가 오프되면 정지하게 되고, 파워가 온되면 처음 초기화 동작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의 통화량을 각 가입자가 직접 알 수 있게 됨으로써 통화가 폭주하는 시간에는 통화접속을 시도하지 않거나 자제하게 되어 가입자 자신의 수고도 줄이고 셀룰라망의 부담도 줄어들게 되면, 이에 따라 통화 접속율이 향상되고, 또한 통화 접속이 안되는 원인이 셀룰라폰의 성능 이상에 의한 것인지 망의 통화량 폭주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제어채널을 통해 계속적으로 전송되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을 기지국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역방향제어채널이 'Busy'상태인지 'Idle'상태인지를 나타내는 B/I비트를 포함하여 수신하는 셀룰라폰에 있어서, 셀룰라폰의 파워가 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 1워드를 수신하느 제1단계와; 상기 수신된 1워드에서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를 세는 제2단계와; 전상태에서 수신된 1워드중 '1'로 셋팅된 B/I비트의 합과 상기 제2단계에서 센 갯수를 더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된 워드의 순번이 수집하고자 미리 설정된 워드의 갯수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고, 일치하면 수신된 총 워드당 나타나는 B/I비트의 총합에 대한 상기 제3단계에서 더해진 '1'로 셋팅된 B/I비트의 총합의 비를 구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6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광대역 데이타 스트림 1워드를 수신하는 제7단계와; 상기 수신된 1워드에서 '1'로 셋팅된 B/I비트의 갯수를 세는 제8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더해진 '1'로 셋팅된 B/I비트의 총합에서 초기 수신된 1워드의 B/I비트의 갯수를 제외하고 상기 제8단계에서 센 갯수를 더하여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현 기지국의 통화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KR1019950022561A 1995-07-27 1995-07-27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KR014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561A KR0141384B1 (ko) 1995-07-27 1995-07-27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561A KR0141384B1 (ko) 1995-07-27 1995-07-27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994A KR970008994A (ko) 1997-02-24
KR0141384B1 true KR0141384B1 (ko) 1998-07-01

Family

ID=1942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561A KR0141384B1 (ko) 1995-07-27 1995-07-27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49A (ko) * 1997-11-03 1999-06-05 전주범 무선 송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488B1 (ko) * 1998-04-02 2006-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이온성 흡수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섬유유연제함유 세제의 제조 방법
KR100411777B1 (ko) * 2001-10-23 2003-12-24 유병돈 의류용 액체세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49A (ko) * 1997-11-03 1999-06-05 전주범 무선 송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99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706B1 (ko) 셀루러 전화기 특징 선택 및 다이얼 디지트 처리방법
US5867782A (en) Method of indicating outer communication range i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US6473629B1 (en) Method of displaying alterna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ases of voice communication in a mobile phone in a speakerphone mode
KR200100601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KR920702132A (ko) 표준 전화기를 갖는 셀률러 전화
KR0141384B1 (ko) 셀룰라폰의 통화량 표시 방법
US60442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US72247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conserving interference avoidance in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310342B1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송/수신 음성신호의 스위칭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0168008B1 (ko) 키폰시스템에서 디티엠에프 송신기를 이용한 시보 서비스방법
KR100378083B1 (ko) 이메일을 이용한 문자 채팅 메시지 관리기능을 갖춘휴대형 이동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KR100374344B1 (ko)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KR1006058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594092B1 (ko) 통신단말기에서 음성과 데이터의 착신호 구분 경보방법
KR100291474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모드에따른자동링크설정방법
JPS625741A (ja) ペ−ジング子機どうしで通信可能なメツセ−ジ付ペ−ジングシステム
JP2863451B2 (ja) 移動通信機を利用した通信端末のデータ通信方式
KR930004302B1 (ko) 전화기의 송신 불능상태 표시방법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KR19980074472A (ko) 무선단말기의 착신 링 거부방법
KR20060011500A (ko) 두 개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095046A (ja) 移動携帯端末
KR100259916B1 (ko) 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슬롯별자동링크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