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95B1 -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95B1
KR0141095B1 KR1019900006696A KR900006696A KR0141095B1 KR 0141095 B1 KR0141095 B1 KR 0141095B1 KR 1019900006696 A KR1019900006696 A KR 1019900006696A KR 900006696 A KR900006696 A KR 900006696A KR 0141095 B1 KR0141095 B1 KR 014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late glass
ring mold
bending
press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935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자와
미쓰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나카지마 다쓰지
니혼 이다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지마 다쓰지, 니혼 이다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지마 다쓰지
Publication of KR90001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 C03B27/04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27/044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for bent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한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의 전체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방향에서 화상표 방향으로 본 도면.
제 3 도는 링 몰드를 얹어놓은 상태에 있는 상기 성형장치의 서틀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 5 도는 상기 성형장치의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의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열로 2 : 상형
3 : 승강부재 7 : 링몰드
10 : 제 1 반송기구(로울러) 13a, 13b : 급냉장치
18 : 제 3 반송기구(로울러) 19-27, 28, 29-30 : 제 2 반송기구
28 : 서틀 31, 32 : 지지부
100 : 굽힘 성형장치 Ⅰ : 대기 위치
Ⅱ : 성형위치 Ⅲ : 받는 위치
G : 판유리 S1 :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
S2 : 급냉 스테이지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수평상태로 반출된 판유리가 프레스 굽힘 성형된 후에 급냉 강화되어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로에서 수평상태로 반출된 판유리가 프레스 굽힘 성형 처리에 곧이어서 급냉강화되는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에는 프레스 굽힘 성형처리와 급냉 강화 처리가 동일 개소에서 행하여지는 원 스테이지 타입(one-stage type)과, 급냉강화 스테이지가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의 하류쪽에 배치된 투 스테이지 타입(two-stage type)이 있다. 투 스테이지 타입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보 소화 61-44816(1986. 10. 4공고) : 일본 특허 공개공보 소화 62-270429(1987. 11. 24공개) 및 일본 특허 공보 소화 62-30136(1987. 6. 20.공고)에 개시된 장치를 들 수 있다.
최초 2건의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판유리가 가열로 내부 혹은 가열로 외부에서 하형(下型)인 링 몰드와 상형(上型)과의 사이에서 프레스 굽힘 성형된다. 뒤이어 판유리는 다른 링 몰드로 이재(移載)되고 또한 급냉 스테이지로 반송된다.
3번째의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단일 링 몰드가 반송 지그(jig)에 일체적으로 고착되고, 또한 반송 지그를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와 급냉 스테이지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링 몰드는 상기의 양 스테이지 사이를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최초 2건의 공보에 관한 장치에서는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 및 급냉 스테이지에서 서로 다른 링 몰드가 사용되므로 부품수가 중가하게 되며, 또한 한쪽의 링 몰드에서 다른 쪽의 링 몰드로 판유리가 이재될 때, 판유리 둘레부에 금이 가거나(crack), 비틀림(distortion)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한편, 3번째의 공보에 관한 장치에서는 단일 링 몰드가 양 스테이지에 공통으로 사용되므로,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으나, 링 몰드가 일체적으로 고착된 반송지그는 고온의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와, 저온의 급냉 스테이지와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므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반송지그의 변형으로 링 몰드가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유리 굽힘 성형장치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의 증가함이 없이, 링 몰드의 변형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로의 하류쪽에 프레스굽힘 스테이지를 배치하고, 이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 하류쪽에 급냉 스테이지를 배치한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에는 판유리의 하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링 몰드를 얹어 놓는 동시에 이 링 몰드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와 급냉 스테이지와의 사이에는 상기 링 몰드를 유지하여 양쪽 스테이지 사이를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와의 사이에서 링 몰드를 받고 받아 넘기는 셔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 목적 및 이익은 저절로 분명해질 것이다.
제 1 도에 관하여 도면중 참조번호 (100)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한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를 나타낸다. 판유리(G)의 반송 방향은 도면중의 좌측이 상류, 우측이 하류이다. 그 장치(100)는 가열로(1)와, 그 가열(1) 하류에 배치된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와 그 스테이지(S1)의 하류쪽에 배치된 급냉 스테이지(S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에는 하면 전체가 성형면으로서 사용되는 상형(2)과 그 상형(2)의 아래쪽에 위치시킨 승강부재(3)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부재(3)는 지주(支柱)(3a)와 그 지주(3a) 상단에 장치된 수평판(4)과, 그 수평판(4) 상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장치된 4개의
지지편(5)으로 구성된다. 승강부재(3)는 지주(3a)의 하부에 장치된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유닛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지지편(5)의 각각 상단에는 2개의 가랑이 형상(二般狀)의 받침부(6)가 형성되고, 링 몰드(7)는 이러한 받침부(6)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얹혀진다.
제 4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링 몰드(7)는 둥근 모양의 틀체(8)와 그 틀체(8)내에 장치되어 판유리(G)의 하면 둘레부를 받는 지지링(9)으로 구성된다. 링 몰드(7)는 그 틀체(8)로 상기 승강부재(3)의 받침부(6)에 얹어 놓여진다.
상기 가열로(1)와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와의 사이에는 가열된 판유리(G)를 수평상태에서 반송하기 위한 일련의 로울러(10)가 다수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울러(제 1 반송기구)(10) 각각은 판유리(G)의 반송로에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심재(芯材)(11)와, 그 심재(11)에 끼워 장치된 가요(可撓) 튜브(12)로 구성되는데, 심재(11)자체는 고정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機構)에 의해 가요튜브(12)가 심재(11)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판유리(G)는 반송된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의 반송 방향에 따라서 본 경우, 심재(11)는 중앙이 밑으로 패이고, 양쪽부분이 윗쪽으로 만곡된 활모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열로(1)에서 반출된 판유리(G)는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로 반송되는 동안에, 어느정도 심재(11)의 형상에 의해 예비 성형된다.
또한, 상형(2) 바로 밑에 위치하는 반송로울러(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 몰드(7)의 상하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 링몰드(7)와 겹치는 부분이 밑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대신에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반송로울러(10) 길이를 짧게하고, 평면에서 볼 때 링 몰드(7)의 지지링(9)내에 반송 로울러(10)를 넣어도 좋으며, 반송로울러(10)는 직선 형상이라도 좋다.
급냉 스테이지(S2)에서는 상하의 냉각 공기 분출 장치 (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장치 (13a), (13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냉기 공급원에 접속된 덕트(duct)(14a), (14b)와, 사복부(蛇腹部)(15a), (15b)를 통하여 덕트(14a), (14b)에 접속된 상자부분(16a), (16b)과 판유리(G)와 마주보는 상자부분(16a)의 밑면 및 상자부분(16b)의 윗면에 입설된 다수의 냉각공기 분출노즐(17a), (17b)로 구성된다. 상자부분(16a), (16b)은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유닛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그 실린더 유닛트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정된다. 성형장치(100)는 급냉 스테이지(S2)에서 급냉 경화 처리된 판유리(G)를 다시 하류에서 집어올리는 스테이지(도시하지 않음)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울러(제 2 반송기구)(18)로 구성된다. 아래쪽 냉각 공기 분출 장치(13b)의 노즐(17b)은 냉각 처리 장치에서 반송 로울러(18)가 들어가는 간극(間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성형장치(100)는 급냉 스테이지(S2)를 둘러싸듯이 바닥부분(도시하지않음)에 입설된 틀모양의 부동(不動) 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또한,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부동 프레임(19)에는 상하 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34)이 장치된다.
즉, 부동 프레임(19) 상부의 하류쪽 끝에는 모터(20)가 고정 설치되고, 또한 그 모터(20)의 회전축에는 풀리(21)가 끼워 붙여진다. 그 풀리(21)에는 좌우 와이어(22), (22)의 내부끝이 고정되고, 또한 와이어(22), (22)의 외부끝은 프레임(19)에 장치된 좌우의 풀리(23), (23)를 통하여 밑으로 매달려진다. 와이어(22), (22)의 하단은 좌우의 연결 로드(24), (24)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우의 풀리(23), (23)는 각각 반송방향으로 연신(延伸)하는 축(23a), (23a)의 하류쪽 끝부분에 끼워 붙여져 있다. 축(23a), (23a)의 상류측 끝부분에도 풀리(23), (23)가 끼워 붙여지고, 그 풀리(23), (23)로 부터도 와이어(22), (22)가 늘어져서 좌우의 연결로드(24), (24)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즉, 부동프레임(19)의 전후 좌우에 합계 4개의 풀리(23)가 배비(配備)됨과 동시에 각 풀리(23)로 부터는 와이어(22)가 늘어지고, 각 연결 로드(24)를 매달고 있다. 연결 로드(24) 각각은 프레임(19)에 설치된 가이드(25)에 상하 슬라이딩(摺動) 가능하게 삽통지지된다.
반송로 우측의 짝인 로드(24), (24) 및 반송로 좌측의 짝인 로드(24), (24) 하단에는 각각 반송방향으로 연신하는 지지바(支持bar)(26), (26)가 장치된다. 지지바(26), (26)의 하면에는 각각 반송 방향으로 연신하는 레일(27), (27)이 장치된다. 또, 그 레일(27), (27)에는 아래에 상세히 기술하는 셔틀(2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지지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셔틀(28)은 반송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쌍의 메인 바(main bar)(29), (29)와 그 메인바(29), (29)의 상류쪽 끝부분 사이 및 중간 부분 사이에 가설된 크로스바(30), (30)로 구성된다. 메인 바(29), (29)와 크로스바(30), (30)에 의해, 예를들면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등의 소정 위치에서 링 몰드(7)를 평면에서 볼 때 둘러싸는 장방형상의 틀 몸체가 형성된다. 크로스 바(30), (30)에는 이 장방형상의 틀 몸체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편(31), (31)이 각각 2개식 장치된다. 지지편(31) 각각의 내부끝에는 상기 링 몰드(7)의 틀 몸체(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2개의 가랑이 형상 받침부(32)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바(29), (29)의 외측면에는 그 전체길이를 따라 랙(33), (33)이 각각 장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에 있어서, 셔틀(28)의 4개 지지편(31)은 상기 승강 부재(3)의 4개의 지지편(5)과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반대로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에 있어서, 셔틀(28)의 4개 지지편(31)은 링 몰드(7)의 틀 몸체(8)와 평면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 2 도에 있어서, 우측의 지지바(26)에는 그 상단에 모터(35)가 장치된 지주(34a)가 입설된다. 모터(35)의 출력 풀리(35a)와 가동 프레임(34)에 가로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축(36a) 한끝의 헬리컬기어(36)와의 사이에는 벨트(35b)가 걸쳐진다. 출(36a)의 다른 끝에도 헬리컬기어(36)가 장치되어 있다. 양쪽의 헬리컬기어(36), (36)에 대해서는 가동 프레임(34)의 좌우측부의 수직축(38), (38) 상단의 헬리컬기어(37), (37)의 이가 맞물려진다. 수직축(38), (38)의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셔틀(28)의 메인 바(29), (29)의 랙(33), (33)과 이가 맞물리는 기어(39), (39)가 스플라인(spline)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하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34)은 좌우의 지지바(26), (26), 지주(34a)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모터(20)의 시동으로 연결 로드(24)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상하이동된다. 또한, 셔틀(28)은 가동 프레임(34)에 대하여 전후 방향 즉,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구(制御機構)에 의해 모터(35)가 적절히 구동되면, 셔틀(28)은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와 급냉 스테이지(S2)와의 사이를 왕복운동 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기 성형장치(100)작용을 설명한다.
하기의 기술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단계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구에 의해 반송로울러(10), 승강부재(3), 상형(2), 셔틀(28)등을 적절히 구동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최초에 링 몰드(7)는 승강부재(3)의 받침부(6)에 위치 결정하여 얹어놓여진 상태에서 반송 로울러(10)의 상면 레벨 보다도 낮은 위치의 대기 위치(Ⅰ)로 하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셔틀(28)은 상하방향에서 링 몰드(7)와 가지런히 맞추도록 링 몰드(7)보다도 약간 아래쪽의 대기 위치로 하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가열로(1)내어서 가열된 판유리(G)는 반송로울러(10)에 의해 예비 성형되면서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까지 반송된다. 판유리(G)가 링 몰드(7)와 가지런히 맞추는 위치까지 온 것이 적절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면, 반송 로울러(10) 회전은 정지되고 판유리(G)이동은 정지된다. 다음에는 링 몰드(7)를 상기 대기위치(Ⅰ)로 부터 최상위의 프레스 굽힘 성형우치(Ⅱ)까지 상승시키도록 승강부재(3)가 상승이동된다. 링 몰드(7)가 성형위치(Ⅱ)까지 상승되면 승강부재(3)의 상부로의 동작은 정지된다. 이와같이 링 몰드(7)가 상승이동되는 도중에, 링 몰드(7)의 지지링(9)은 반송로울러(10)로 부터 판유리(G)를 받는다.
성형위치(Ⅱ)에서는, 상형(2)을 하강시킴으로써 링 몰드(7)와 상형(2) 사이에서 판유리(G)의 굽힘 성형이 실시된다. 이 굽힘 성형처리가 실시되는 동안에 셔틀(28)은 소정 레벨까지 상승이동된다. 즉, 셔틀(28)은 링 몰드를 받는 위치(Ⅲ)에서, 셔틀(28)의 크로스 바(30), (30)가 링몰드(7)를 승강부재(3)로부터 받는 위치까지 상승이동된다.
판유리(G)의 굽힘 성형처리가 종료되면, 승강부재(3)는 저속도로 그 최하위 위치가지 하강된다. 성형된 판유리(G)의 하면(下面) 둘레부에는 여전히 링 몰드(7)의 지지링(9)으로 지지되고 있다. 승강부재(3)가 하강하는 경우, 그 부재(3)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링 몰드(7)는 승강부재(3)와 일체적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판유리(G)를 담지(擔持)한 링 몰드(7)는 상기 링 몰드를 받는 우치(Ⅲ)에서 승강부재(3)로부터 셔틀(28)의 지지편(31)의 2개의 가랑이 형상 받침부(32)에 대하여 받아 넘겨진다. 상세하게는 링 몰드(7)의 틀 몸체(8)가 지지편(31)의 받침부(32)에 끼워 넣어진다. 이러한 받아넘김은 승강부재(3)와 셔틀(28)과의 상하방향의 상대 이동만으로 실시된다.
그후,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링 몰드(7)를 받은 셔틀(28)은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로부터 급냉 스테이지(S2)까지 이동된다.
이와같이 하여 판유리(G)를 얹어놓은 링 몰드(7)는 상하의 냉각 공기 분출장치(13a), (13b) 사이에 얹어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상하노즐(17a), (17b)부터는 냉기가 판유리(G)로 향하여 분출되며, 따라서 판유리(G)는 급냉 강화된다.
뒤이어, 하측의 냉각 공기 분출장치(13b)의 상자 (16b)가 하강되고, 다시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가동 프레임(34)이 내려진다. 이것에 의해서 셔틀(28)상 링 몰드(7)상의 강화를 끝낸 판유리(G)는 반송로울러(18)상에 받아 넘겨진다. 그후, 판유리는 다시 하류의 들어올림 스테이지(도시하지 않음)가지 반송된다.
그후, 가동프레임(34)은 일단 위로 움직여져서, 셔틀(28)이 위로 움직이고, 다음에 셔틀(28)은 급냉 스테이지(S2)로부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까지 이동된다. 또한, 가동프레임(34)이 하강되고 셔틀(28)은 최초의 대기위치까지 하강된다. 이와같이 내려가는 도중에서 링몰드(7)는 셔틀(28)로부터 승강부재(3)의 받침부(6)로 받아 넘겨진다.
투 스테이지 타입의 상기 판유리 굽힘 성형장치(100)에서는 판유리(G)의 하면을 지지하는 링몰드(7)가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 및 급냉 스테이지(S2)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가 회피된다. 또한 하나의 링 몰드로부터 다른 링몰드로 판유리를 받아 넘길 필요가 없으므로, 판유리 둘레부에 금이가거나 비틀림이 생길 가능성이 가급적 감소된다.
또한, 반송지그로서의 셔틀(28)과 성형용 링몰드(7)가 기계적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즉, 링몰드(7)는 셔틀(28)의 지지편(31)상에 단순히 얹어 놓여져 있을 뿐이다. 따라서, 가령 셔틀(28)이 온도 변화에 의해 변형되었다고 하더라도, 링모드(7)가 변형되는 일은 적다.
또한, 승강부재(3)와 셔틀(28) 사이에서의 링몰드(7)의 받아넘김은 양쪽 부재(3), (28)의 상하방향의 상대이동만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링몰드(7)에는 아무런 기계적, 강제적인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이 점에 있어서도 링몰드(7)의 변형이 가급적 방지된다.
또한, 셔틀(28)의 형식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크로스 바(30, (30)를 생략하고, 양측의 메인 바(29), (29)에 지지편을 각각 장치하며, 또한 이러한 지지편에 의해 링몰드(7)의 양측부를 받도록 해도 좋다. 그렇게하면 최초에 셔틀을 링몰드(7)의 밑으로 대기시켜둘 필요는 없다.

Claims (5)

  1. 가열로(1)의 하류쪽에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를 배치하고, 이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의 하류쪽에 급냉 스테이지(S2)를 배치한 판유리(G)의 굽힘 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에는 판유리(G)의 하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링몰드(7)를 얹어 놓음과 동시에 이 링몰드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부재(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와 급냉 스테이지(S2)와의 사이에는 상기 링몰드(7)를 유지하여 양쪽 스테이지(S1,S2) 사이를 왕복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3)와의 사이에서 링몰드(7)를 받고 받아넘김을 행하는 셔틀(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G)의 굽힘 성형장치.
  2. 판유리(G)를 가열하는 가열로(1)와,
    그 가열로(1) 하류에 설치된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와,
    그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 하류에 설치된 급냉 스테이지(S2)와,
    상기 가열로(1)에서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까지 판유리(G)를 수평상태로 반송하는 제 1 반송기구(10)와,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에서 판유리의 하면 둘레부를 지지하듯이 상기 제 1 반송기구(10)로부터 판유리를 받는 링몰드(7)와,
    그 링몰드(7)와 협동(協同)하여 판유리의 프레스 굽힘 성형을 행하는 상형(2)과,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에서 성형된 판유리를 담지(擔持)하는 링몰드를 상기 급냉 스테이지까지 반송하는 제 2 반송기구(19-27,28,29-30)와,
    상기 급냉 스테이지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를 급냉 경화처리하는 급냉장치(13a,13b)와,
    상기 급냉 스테이지에 있어서, 경화처리된 판유리를 링몰드로부터 받고, 판유리를 급냉 스테이지 하류로 반송하는 제 3 반송기구(18)로 구성되며,
    상기 링몰드는 상기 급냉 스테이지에서 상기 제 3 반송기구에 판유리를 받아넘긴 후, 상기 제 2 반송기구에 의해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까지 이동되고,
    또한 상기 제 2 반송기구(19-27,28,29-39)는 링몰드(7)를 밑에서부터 담지하는 지지부(31,32)를 갖는 셔틀(28)을 갖추어서 구성되는 판유리(G)의 굽힘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성형장치(100)는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기구(10)밑에서 부터 상기 링몰드(7)를 위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판유리(G)를 상기 제 1 반송기구(10)로부터 상기 링몰드로 받게하는 승강부재(3)를 갖추어서 구성하는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28)의 상기 지지부(31,32)는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스테이지(S1)에 있어서, 상기 링몰드(7)의 부분적 개소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굽힘 스테이지(S1)의 상기 승강부재(3)는 상기 제 1 반송기구(10)상에 있는 상기 판유리(G)보다도 낮은 대기위치(Ⅰ)에서 상기 승강부재(3)보다도 상위의 프레스 굽힘 성형위치(Ⅱ)까지 상기 링몰드(7)를 위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판유리(G)를 상기 제 1 반송기구(10)로부터 상기 링몰드(7)로 받아 넘기게 하고, 또한 프레스 굽힘 성형후에 승강부재(3)는 링몰드를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 위치로부터 하강시키고,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3)에 의해 링몰드(7)가 하강되는 도중에 상기 셔들(28)은 상기 프레스 굽힘 성형우치(Ⅱ)와 상기 제 1 반송기구(10) 사이의 받는 위치(Ⅲ)에서 상기 링 몰드(7)를 상기 승강부재(3)로부터 받는 판유리 굽힘 성형장치.
KR1019900006696A 1989-05-11 1990-05-11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KR0141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241 1989-05-11
JP1118241A JPH02296741A (ja) 1989-05-11 1989-05-11 板ガラスの曲げ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35A KR900017935A (ko) 1990-12-20
KR0141095B1 true KR0141095B1 (ko) 1998-06-01

Family

ID=1473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696A KR0141095B1 (ko) 1989-05-11 1990-05-11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59234A (ko)
EP (1) EP0397502B1 (ko)
JP (1) JPH02296741A (ko)
KR (1) KR0141095B1 (ko)
CA (1) CA2016530C (ko)
DE (1) DE690078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7610D0 (en) * 1994-04-15 1994-06-08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200A (en) * 1967-12-18 1971-09-21 Permaglass Apparatus for conveying glass sheets through adjacent bending and tempering stations
US3573889A (en) * 1969-06-16 1971-04-06 Permaglass Method for shaping,tempering and laminating glass sheets
US4185986A (en) * 1978-10-25 1980-01-29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handling glass sheets during shaping and cooling
IT1209156B (it) * 1979-12-07 1989-07-10 Siv Soc Italiana Vetro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curvare e temperare lastre di vetro particolarmente di spessore sottile.
IT1138266B (it) * 1981-04-06 1986-09-17 Siv Soc Italiana Vetro Apparecchiatura per la curvatura e la tempera di lastre di vetro di spessore sottile
US4433993A (en) * 1982-05-05 1984-02-28 Ppg Industries, Inc. Glass sheet shaping and tempering using multiple cooling stations
US4470835A (en) * 1982-11-15 1984-09-11 Ppg Industries, Inc. Shaping sheets of glass or other deformable material to a complicated curvature
US4575390A (en) * 1984-11-23 1986-03-11 Glasstech, Inc. Apparatus for forming glass sheets
US4662925A (en) * 1985-12-09 1987-05-05 Ppg Industries, Inc. Horizontal press bending of heat softened glass sheets
JPS62182124A (ja) * 1986-02-03 1987-08-10 Nippon Sheet Glass Co Ltd 型交換装置を備えた板ガラスの成形装置
IE59803B1 (en) * 1986-03-14 1994-04-06 Glasstech Inc Glass sheet press bending system
CA1306608C (en) * 1986-03-18 1992-08-25 Kazuo Yamada Ring mold unit for shaping and tempering glass sheet
DE3715151A1 (de) * 1987-05-07 1988-11-17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4883526A (en) * 1989-03-30 1989-11-28 Libbey-Owens-Fo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and conveying glass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7850T2 (de) 1994-07-28
EP0397502A1 (en) 1990-11-14
JPH02296741A (ja) 1990-12-07
EP0397502B1 (en) 1994-04-06
CA2016530A1 (en) 1990-11-11
CA2016530C (en) 2000-02-01
US5059234A (en) 1991-10-22
KR900017935A (ko) 1990-12-20
DE69007850D1 (de) 199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894B1 (ko) 유리시이트 굽힘 방법 및 장치
CN1037260C (zh) 用于使玻璃板在水平位置上弯曲的方法和设备
EP0677491B1 (en)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4282026A (en)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RU209246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теклянного лис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44378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glass sheets
EP0003391A1 (en)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JPH06115960A (ja) ガラスシートを成形する装置と方法
KR0133082B1 (ko) 유리판의 볼록구부림 방법 및 장치
US20040244424A1 (en) Bending system, bending method and curved roller for a glass sheet
US4218232A (en) Method of shaping moving sheets on roll forming apparatus
KR0141095B1 (ko) 판유리의 굽힘 성형장치
US4368065A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move bent, tempered glass sheets from a cooling station
US4517001A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JP2000327350A (ja) ガラス板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0119376B1 (ko) 판유리의 성형방법
KR920000668B1 (ko) 만곡(灣曲)유리 제조장치
US4430111A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move sharply bent, tempered glass sheets from a cooling station
EP0677490B1 (en) Bending glass sheets
US43647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heated glass sheets
RU20810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 отпуска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EP1041045A2 (en) Device for positioning a vitreous sheet in correspondence of a moulding station in plants for glass panel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plan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