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10B1 -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10B1
KR0141010B1 KR1019950035105A KR19950035105A KR0141010B1 KR 0141010 B1 KR0141010 B1 KR 0141010B1 KR 1019950035105 A KR1019950035105 A KR 1019950035105A KR 19950035105 A KR19950035105 A KR 19950035105A KR 0141010 B1 KR0141010 B1 KR 014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noise
exhausted
dust collect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998A (ko
Inventor
천무갑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3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010B1/ko
Publication of KR97001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10B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한 것으로써,
팬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소음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팬모터를 감싸주는 모터케이스와, 상기 모터게이스내의 소음이 배기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소음이 집진되어 배기되는 집진배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유체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유체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관 및 음향필터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1차 배기집진실 및 1차 배기구의 사시도.
제7도의 (a)는 저역(low pass)음향필터 커브.
(b)는 전달계수(transmission)커브
제8도의 (a)는 고역(High pass) 음향필터 커브.
(b)는 전달계수 커브.
제9도는 밴드패스 필터 및 전달계수 커브.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팬모터102:집진실
102':필터103:모터케이스
104:배기관105:저역필터
106:고역필터107:밴드패스필터
108:1차 배기집진실109:1차 배기구
110:2차 배기집진실111:2차 배기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제1도와 같이 대중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높은 회전력을 가지는 팬모터(1)와, 상기 팬모터(1)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구(2)와, 상기 흡입구(2)로 흡입된 먼지가 이동하능 연장관(3)과 신축호스(4)를 구성하고, 상기 신축호스(4)로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5)와, 상기 집진실(5)에 집진되면서 공기만 빠져나오도록 하는 필터(6)와, 상기 필터(6)를 거친 공기는 배기구(7)를 통하여 배기 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1)의 진동과 절연을 위하여 모터패킹(8)과 방음고무(9)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가동시키면 팬모터(1)가 구도됨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대기중의 공기가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의 먼지들과 함께 흡입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연장관(3)과 신축호스(4)를 통하여 본체내에 형서된 필터(6)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집진실(5)에 먼지는 모아지고 공기는 필터(6)를 지나 팬모터(1)를 냉각시키면서 제2도와 같이 방음고무(9) 밖으로 빠져나와 뒷쪽의 배기구(7)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가 작동하게 되면 소음은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음과 배기소음으로 대별 할 수 있는데, 배기소음이 단순히 방음고무를 지나 뒷쪽 배기구로 직접 빠져나가 소음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로 인해 청소기 본체 소음중 배기소음으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이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팬모터의 소음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터케이스를 형성하고, 모터케이스에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크기가 각기 다른 배관을 형성하며, 배기관을 통한 소음이 집진되어 배기되는 집진배기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팬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의 제3도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높은 회전력을 가지는 팬모터를 구성하고, 상기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성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가 이동하는 연장관과 신축호스를 구성하고, 상기 신축호스로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102)와, 상기 집진실(102)에 집진되면서 공기만 빠져나오도록하는 필터(102')와, 상기 필터(102')를 거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팬모터(101)에는 방음고무(101')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팬모터(101)에서 발생되는 모터소음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팬모터(101)를 감싸주는 모터케이스(103)와, 상기 모터케이스(103)내의 소음이 배기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배기관(104)과, 상기 배기관(104)을 통하여 배기되는 소음이 집진되어 배기되는 집진배기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104)은 크기가 각각 다르게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크기가 다른 배기관(104)으로 지나는 소음이 다르게 나타나는 유체소음의 특성에 따라 제 1배기관에는 통과하는 소음의 저주파대역만 통과시키는 저역필터(105)와, 제2배기관에는 통과하는 소음의 고주파대역만 통과시키는 고역필터(106)와, 제3배기관에는 통과하는 소음의 원하는 대역의 소음을 제거시키는 밴드패스필터(107)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집진배기장치는 배기관(104)을 통하여 배기된 소음이 집진되는 1차 배기집진실(108)과, 상기 1차 배기집진실(108)에 모아진 소음이 배기되는 1차 배기구(109)와, 상기 1차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된 소음이 재차 집진되는 2차 배기집진실(110)과, 상기 2차 배기집진실(110)에 모아진 소음이 배기되고 1차 배기구(109)와 배기구멍이 엇갈리게 형성된 2차 배기구(111)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가 가동되면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필터(102')를 통과하는데 이때 공기속에 섞인 먼지드의 오물은 집진실(102)에 모아지게 되고 공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된다.
이와 같이 팬모터(101)가 구동하게 되면 팬모터(101)에서 발생된 소음에 팬모터(101)를 감싸고 있는 모터케이스(103)와 연결된 배기관(104)을 통하여 배기된다.
상기 배기관(104)을 통하여 배기된 소음은 1차 배기집진실(108)과, 1차 배기구(109)와, 2차 배기집진실(110)과, 2차 배기구(111)를 통하여 배기된다.
이와 같이 소음이 배기될 대 제 1 배기관에는 저역필터(105)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저주파대역만 통과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 7도에서와 같이 전달계수(Transmission Coefficient)(Tπ)는
전달율(전달계수)이 1이라는 것은 Ti=Tt 즉, 입사한 소리나 진동이 반사되지 않고 모두 통과한다는 의미로서 입력되는 소리나 진동이 모두 투과(통과)하여 전달된다는 것이다.
만약 전달을(전달계수)이 0이면 Tt=0이 되어 입력되는 소리나 진동이 통과하지 못하고 모두 반사된다는 것이다.
제3배기관에서 원하는 대역의 소음의 제거란
Tπ=0 이되는 W는
의 주파수에서 0이 되므로
전달계수가 0이 되어 소리나 진동을 전달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W=2πf
참고로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란 일정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이고, 제3배기관은 압축기에 장착되어 있는 헴홀츠(HelmhoLtz)공명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7도내지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진동수 커브는 Tπ가 1.0이면, 그때의 주파수를 모두 통과시킨다는 것을 의미하고 Tπ값이 낮아지면 질수록 그때의 주파수는 통과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제3도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를 냉각시킨 공기가 모터케이스에 설치된 배기관을 통해 빠져 나갈때 각 배기관의 위치, 직경등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유체소음을 적절하게 필터링 시켜 1차로 음향필터로 저감시키고, 이들은 다시 1차 배기집진실에 집진하고 1차 배기구를 통과시키고, 다시 2차 배기집진실과 2차 배기구를 통과시킴으로서 유체의 속도 및 손실을 크게하여 배기소음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모터케이스의 각 부분에서 다수의 배기관을 뽑아내고 각 배기관을 지나는 유체소음의 특성에 따라 각 배기관에 음향필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킨후 1차, 2차 배기집진실 및 서로 엇갈되는 배기구를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를 줄이고 손실을 크게하여 청소기에서 발생하는 배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팬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소음이 분산되는 거슬 방지하도록 팬모터를 감싸주는 모터케이스와, 상기 모터케이스내의 소음이 배기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소음이 집진되어 배기되는 집진배기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처소기의 소음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기관은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배기관으로 지나는 소음이 다르게 나타나는 유체소음의 특성에 따라 제1배기관에 통과하는 소음의 저주파대역만 통과시키는 저역필터와, 제2배기관에 통과하는 소음의 고주파대역만 통과시키는 고역필터와, 제3배기관에 통과하는 소음의 원하는 대역의 소음을 제거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집진배기장치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된 소음이 집진되는 1차 배기집진실과, 상기 1차 배기집진실에 모아진 소음이 배기되는 1차 배기구와, 상기 2차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되는 소음이 재차 집진되는 2차 배기집진실과, 상기 2차 배기집진실에 모아진 소음이 배기되고 1차 배기구와 배기구멍이 엇가리게 형성된 2차 배기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KR1019950035105A 1995-10-12 1995-10-12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KR014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105A KR0141010B1 (ko) 1995-10-12 1995-10-12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105A KR0141010B1 (ko) 1995-10-12 1995-10-12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98A KR970019998A (ko) 1997-05-28
KR0141010B1 true KR0141010B1 (ko) 1998-07-01

Family

ID=6658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105A KR0141010B1 (ko) 1995-10-12 1995-10-12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70B1 (ko) * 2005-10-05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챔버
KR20210107569A (ko) * 2014-12-26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70B1 (ko) * 2005-10-05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챔버
KR20210107569A (ko) * 2014-12-26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98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443A (en) Noise suppressor for vacuum sweepers and the like
US5502869A (en) High volume, high performance, ultra quiet vacuum cleaner
JP2934598B2 (ja) 騒音減少システムを備えた真空掃除機
JP2010185289A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WO2004052165A1 (fr) Dispositif d'insonorisation utilise dans un appareil de depoussierage
KR0141010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7711A (ko)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5899399B2 (ja) 電気掃除機
US2330701A (en) Suction cleaner
JPH09236093A (ja) 吸引装置の冷却方法及び吸引処理装置
JP3319646B2 (ja) 電気掃除機の消音装置
JP2844987B2 (ja) 電気掃除機
JPH0716176A (ja) 電気掃除機
JP2579239Y2 (ja) 排気消音器
KR100236012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 장치
JPH0355020A (ja) 電気掃除機
JP2887354B2 (ja) 超無騒音真空掃除機
CN219242234U (zh) 一种真空发生器
JPH053841A (ja) 掃除機
JP2892522B2 (ja) 電気掃除機
KR100484845B1 (ko) 청소기
JPH0638906A (ja) 電気掃除機
SU1743579A1 (ru) Пылесос
JPH1026384A (ja) クリーンル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