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63Y1 -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63Y1
KR0140463Y1 KR2019960029492U KR19960029492U KR0140463Y1 KR 0140463 Y1 KR0140463 Y1 KR 0140463Y1 KR 2019960029492 U KR2019960029492 U KR 2019960029492U KR 19960029492 U KR19960029492 U KR 19960029492U KR 0140463 Y1 KR0140463 Y1 KR 0140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lug
blades
circuit board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196U (ko
Inventor
허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이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이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이알코리아
Priority to KR2019960029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블레이드와 일체로 성형된 플러그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핀을 아답터내의 회로기판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2개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플러그 몸체의 양측 하단부가 아답터 케이스에 형성된 2개의 두꺼운 절개홈 내로 삽입 정렬되게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답터 플러그를 회로기판과 결합시킨후 아답터 몸체와 결합되게 하는 구조에 의해 아답터 본체의 길이방향 크기가 축소되어 아답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아답터내의 회로기판과 플러그 단자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본 고안은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아답터 본체와 전원 플러그를 분리 제작하고 플러그의 블레이드가 회로기판과 직접 접속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아답타의 소형화 및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 플러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교류전원으로부터 휴대용 라디오 카세트 및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소형 전기기기에 소정의 저전압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아답터는 내부에 전원트랜스와 정류회로 소자들이 내장되고 교류입력을 위한 전원 플러가 본체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1도를 참고하여 종래 아답터의 전원 플러그 구조를 살펴보면, 플라스틱 몸체(1) 전면 상부의 돌출부위(2)로 소정간격을 가진 한쌍의 금속성 블레이드(4)가 매입 성형된다. 양 블레이드(4)의 일측 끝단은 밖으로 노출되고 여기에 땜납(7)으로 전원트랜스 입력측 도선이 접속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플러그 설치구조는 블레이드(4)가 확고히 고정되도록 얇은 플라스틱 몸체(1)의 내부 일부분으로 두껍게 돌출된 돌출부(2)를 형성하고 그 위로 납땜을 하고 있으므로 아답터 내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따라서 트랜스등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아답터의 길이가 커지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양쪽 블레이드 끝단에 전원트랜스의 입력도선을 끌어다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납땜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수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답터의 본체 크기를 저감시키고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2개의 블레이드와 일체로 성형된 플러그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핀을 아답터내의 회로기판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2개 블레이드를 에워사는 플러그 몸체의 양측 하단부가 아답터 케이스에 형성된 2개의 두꺼운 절개홈내로 삽입되게 한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2개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는 그 하단부에서 전기적 극성을 나타내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이 확장부는 블레이드 하단 원형구멍 주위에서 가로방향으로 확장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답터 본체의 길이방향 크기가 축소되어 아답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아답터내의 회로기판과 플러그 단자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를 보이는 부분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 플러그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답터 몸체 12 : 아답터 플러그
13 : 플러그 몸체 13a : 플러그몸체 하부의 협지부
14 , 15: 블레이드 14a, 15a : 돌출핀
14b : 블레이드 확장부 16 : 요홈
17 : 회로기판 18 : 관통공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 플러그(12)는 2개의 블레이드(14, 15)와, 이 블레이드를 소정간격으로 나란히 유지시키고 소정의 길이로 일체로 성형되고 일면 중앙으로 나사가 관통하기 위한 요홈(16)과 양측 하단부에 협지부(13a)가 형성된 플러그 몸체(13)로 구성된다.
상기 2개 블레이드 중 어느 한쪽, 즉 우측편 블레이드(14)는 그 하단부 원형구멍 주위에서 양측으로 확장된 확장부(14b)를 갖는다. 이 확장부는 공급전원의 극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콘센트 접속구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의 몸체(13) 상부로 블레이드(14,15)에서 상향 돌출된 핀(14a, 15b)은 아답터(10)에 수용되는 회로기판(17)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회로기판(17)은 상측부에는 상기 블레이드 돌출핀의 간격과 형상에 대응하여 2개의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기판(17)에 삽입된 돌출핀(14a, 15b)은 납땜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2개 블레이드(14, 15)를 에워싸는 플러그 몸체(13)의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양측 협지부(13a)는 아답터 케이스에 형성된 2개의 두꺼운 절개홈(11)내로 삽입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에서, 상기 회로기판(17)과 먼저 결합된 아답터 플러그(12)는 아답터 몸체의 절개홈(11)내로 충분히 삽입되고 나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를 사용하여 기판(17)의 소정 구멍을 관통하여 아답터 몸체(10) 내측으로 형성된 나사고정부(19)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나사고정부(19)의 원형돌기는 상기 아답터 플러그(12)중앙의 요홈(16)내로 정렬되어 꼭 끼워지게 되고, 이에 의해 아답터 케이스(10)와 플러그 몸체(13)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답터 플러그를 회로기판과 결합시킨후 아답터 몸체와 결합되게 하는 구조에 의해 아답터 본체의 길이방향 크기가 축소되어 아답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아답터내의 회로기판과 플러그 단자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만드는 특출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2개의 블레이드와 일체로 성형된 플러그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핀을 아답터내의 회로기판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2개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플러그 몸체의 양측 하단부가 아답터 케이스에 형성된 2개의 두꺼운 절개홈내로 삽입 정렬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플러그는 2개의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를 소정간격으로 나란히 유지시키고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성형되고 그 일면 중앙으로 요홈과 양측 하단부에 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블레이드 중 어느 일측 블레이드는 그 하단부 원형구멍 주위에서 양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플러그 고정구조.
KR2019960029492U 1996-09-16 1996-09-16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KR0140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92U KR0140463Y1 (ko) 1996-09-16 1996-09-16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92U KR0140463Y1 (ko) 1996-09-16 1996-09-16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96U KR19980016196U (ko) 1998-06-25
KR0140463Y1 true KR0140463Y1 (ko) 1999-05-15

Family

ID=1946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492U KR0140463Y1 (ko) 1996-09-16 1996-09-16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84A (ko) * 1999-12-08 2001-07-02 이형도 어댑터 플러그
KR101101553B1 (ko) * 2010-06-15 2012-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96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081A (en) Duplex electrical receptacle with voltage surge suppression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US6893274B2 (en) Structure of ground pin for AC inlet and process for fastening wire onto same
US6623281B2 (e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JP2003272785A (ja) 電気コネクタ
KR20010006268A (ko) 부동-유도된 커넥터 및 방법
US6293819B1 (en) Battery stage module
CN113571827A (zh) 电池包结构
KR0140463Y1 (ko)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JPH07128666A (ja) 液晶表示装置
US20010002346A1 (en) Battery connector
US5975923A (en) Electrical appliance with a metal plate for a grounding device
JP3313074B2 (ja) 変換コネクタ
JP2006005209A (ja) 電子回路基板と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3268518B2 (ja) 電気機器
EP0724782A1 (en) Gang modular jack
JP3034657U (ja) 電気コネクタ
CN215911641U (zh) 连接装置
US6796726B2 (en) Optical connector
JP2003059309A (ja) 照明器具
KR950012207B1 (ko) 카 오디오용 램프 고정구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KR200361452Y1 (ko) 소켓이 원터치로 결합되는 피씨비기판
US20030022561A1 (en) Auxiliary fixing device of plate type connector
JP3362111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