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95B1 -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95B1
KR0139595B1 KR1019940040257A KR19940040257A KR0139595B1 KR 0139595 B1 KR0139595 B1 KR 0139595B1 KR 1019940040257 A KR1019940040257 A KR 1019940040257A KR 19940040257 A KR19940040257 A KR 19940040257A KR 0139595 B1 KR0139595 B1 KR 013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horizontal
amplifier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135A (ko
Inventor
이석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4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95B1/ko
Publication of KR96002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수평 동기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킴에 있어서, 리미트 전압 발생부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비교 증폭부의 출력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출력 전압에 발생하는 떨림 현상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일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모티너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정류 회로부2:기준전압 발생부
3:비교 증폭부4:리미트 전압 발생부
5:수평 발진회로부6:전압 안정화부
IC1:동기신호 처리기IC2:수평 발진기
OP1,OP2:연산 증폭기Q1-Q3:트랜지스터
C1-C4:콘덴서D1,D2:다이오드
R1-R12:저항
본 발명은 모티너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수평 동기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킴에 있어서, 출력 전압에 발생하는 떨림 현상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정류하여 입력시키는 정류 회로부(10)와; 입력전압(Vcc)을 분배시킨 후 그 분배된 전압의 기준전압을 정형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20); 그 기준전압 발생부(20)에서 발생된 기준전압과 상기 정류 회로부(10)에서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비교 증폭부(30); 입력전압을 분배시켜 발생된 리미트 전압에 의해 상기 비교 증폭부(30)의 출력을 일정하게 스위칭 제어시키는 리미트 전압 발생부(40) 및; 그 리미트 전압 발생부(40)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상기 비교 증폭부(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평 발진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가 정류 회로부(10)의 동기신호 처리기(IC10)에 인가되면,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한 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저항(R20) 및 콘덴서(C10)의 시정수에 의해 적분되고, 상기 저항(R20) 및 콘덴서(C10)의 시정수에 의해 적분된 제어신호는 저항(R30)을 통해 콘덴서(C20)에 충전된다.
한편, 입력되는 전압(Vcc)은 기준전압 발생부(20)의 저항(R40,R50)에 의해 분배되고, 상기 저항(R40,R50)을 통해 분배된 전압은 저항(R60) 및 연산 증폭기(OP10)를 통해 정형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 증폭부(30)는 상기 콘덴서(C20)에서 방전된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0)의 연산 증폭기(OP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비교 증폭부(30)의 연산 증폭기(OP10)에 각각 인가되어 두 전압이 비교된 후, 저항(R70)만큼 증폭된다.
또한, 리미트 전압 발생부(40)에서는 입력된 전압(Vcc)이 저항(R80,R90)에 의해 분배되어 리미트 전압이 발생되고, 그 리미트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10)가 턴-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류 회로부(10)의 동기신호 처리기(IC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무신호이면,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0)의 분배 저항(R80,R90)에 의해 발생된 리미트 전압보다 상기 비교 증폭부(30)의 출력전압(Vo)이 낮아지므로,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0)의 다이오드(D20)가 도통되고, 다이오드(D20)의 도통에 의해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0)의 트랜지스터(Q10)를 턴-온시킨 리미트 전압이 상기 비교 증폭부(30)의 출력측에 인가되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전압(Vo)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동기신호 처리기(IC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리미트 전압이 비교 증폭부(30)에서 출력되어 수평 발진회로부(50)의 저항(R110)을 통해 수평 발진기(IC20)로 입력되어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회로는, 출력전압상에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평 발진기를 통해 수평 주사를 하는데 있어 수평성분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모니터의 수평 동기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킴에 있어서, 리미트 전압 발생부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비교 증폭부의 출력전압의 리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출력 전압에 발생하는 떨림 현상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일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기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정류하여 입력시키는 정류 회로부와, 입력 전압을 분배시킨 후 그 분배된 전압의 기준전압을 정형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 이 기준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전압과 상기 정류 회로부에서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비교 증폭부, 입력전압을 분배시켜 발생되니 리미트 전압에 의해 상기 비교 증폭부의 출력을 일정하게 스위칭 제어시키는 리미트 전압 발생부, 이 리미트 전압 발생부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상기 비교 증폭부의 출력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 안정화부 및, 이 전압 안정화부를 통해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평 발진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 처리기(IC1)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정류하여 입력시키는 정류 회로부(1)와; 입력전압(Vcc)을 분배시킨 후 그 분배된 전압의 기준전압을 정형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2); 이 기준전압 발생부(2)에서 발생된 기준전압과 상기 정류 회로부(1)에서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비교 증폭부(3); 입력전압을 분배시켜 발생된 리미트 전압에 의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을 일정하게 스위칭 제어시키는 리미트 전압 발생부(4); 이 리미트 전압 발생부(4)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 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 안정화부(6) 및; 이 전압 안정화부(6)를 통해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평 발진부(5)로 구성된다.
상기 정류 회로부(1)는 입력되는 전압(Vcc)을 풀업(Pull-Up)시키는 저항(R1) 및 다이오드(D1)와,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동기신호 처리기(IC1)와, 이 동기신호 처리기(IC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시정수에 의해 적분하여 파형 정형화시키는 저항(R2,R3) 및 콘덴서(C1,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는 입력되는 전압(Vcc)을 전압 분배하는 저항(R4,R5)과, 상기 저항(R4,R5)을 통해 분배된 전압의 기준전압을 정형화시키는 연산 증폭기(OP2) 및 저항(R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교 증폭부(3)는 상기 정류 회로부(1)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에서 발생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연산 증폭기(OP1)와, 이 연산 증폭기(OP1)의 증폭도를 결정하는 저항(R7) 및 상기 연산 증폭기(OP1)에서 증폭된 전압의 수평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해 콘덴서(C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는 입력되는 전압(Vcc)을 전압 분배하여 리미트 전압을 발생시키는 저항(R8,R9)과, 상기 저항(R8,R9)의 분배에 의해 발생된 리미트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의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R10) 및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통과한 리미트 전압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전압(Vo)보다 큰 경우 도통되어 이 리미트 전압이 상기 비교 증폭부(3)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압 안정화부(6)는 상기 비교 증폭부(3)에서 출력된 비교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달링톤(Darlington) 접속된 트랜지스터(Q2,Q3)와, 이 트랜지스터(Q2,Q3)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의 리플(Ripple)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4) 및 저항(R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가 정류 회로부(1)의 동기신호 처리기(IC1)에 인가되면,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한 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저항(R2) 및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해 적분되고, 상기 저항(R2) 및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해 적분된 제어신호는 저항(R3)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된다.
한편, 입력되는 전압(Vcc)은 기준전압 발생부(2)의 저항(R4,R5)에 의해 분배되고, 상기 저항(R4,R5)을 통해 분배된 전압은 저항(R6) 및 연산 증폭기(OP1)를 통해 정형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 증폭부(3)는 상기 콘덴서(C2)에서 방전된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의 연산 증폭기(OP2)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비교 증폭부(3)의 연산 증폭기(OP1)에 각각 인가되어 두 전압이 비교된 후, 저항(R7)만큼 증폭된다.
또한, 리미트 전압 발생부(4)에서는 입력된 전압(Vcc)이 저항(R8,R9)에 의해 분배되어 리미트 전압이 발생되고, 그 리미트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류 회로부(1)의 동기신호 처리기(IC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무신호이면,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의 분배 저항(R8,R9)에 의해 발생된 리미트 전압보다 상기 비교증폭부(3)의 출력전압(Vo)이 낮아지므로,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의 다이오드(D2)가 도통되고, 다이오드(D2)의 도통에 의해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의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킨 리미트 전압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측에 인가되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전압(Vo)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전압(Vo)은 전압 안정화부(6)의 트랜지스터(Q2,Q3)를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된 후 방전됨으로써, 리플 성분이 제거된 일정한 전압을 저항(R12)을 통해 수평 발진회로부(5)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동기신호 처리기(IC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비교 증폭부(3)에서 출력된 리미트 전압은 전압 안정화부(6)에서 리플성분이 제거된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되어 수평 발진회로부(5)의 저항(R11)을 통해 수평 발진기(IC2)로 입력됨으로써,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안정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평 동기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킴에 있어서, 리미트 전압 발생부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비교 증폭부의 출력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출력 전압에 발생하는 떨림 현상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일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동기신호 처리기(IC1)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정류하여 입력시키는 정류 회로부(1)와; 입력전압(Vcc)을 분배시킨 후 그 분배된 전압의 기준전압을 정형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2);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에서 발생된 기준전압과 상기 정류 회로부(1)에서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비교 증폭부(3); 입력전압을 분배시켜 발생된 리미트 전압에 의해 상기 비교 증폭부(3)의 출력을 일정하게 스위칭 제어시키는 리미트 전압 발생부(4); 상기 리미트 전압 발생부(4)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상기 비교증폭부(3)의 출력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 안정화부(6) 및; 상기 전압 안정화부(6)를 통해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주사를 하는데 필요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평 발진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증폭부(3)는 상기 정류 회로부(1)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2)에서 발생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증폭시키는 연산 증폭기(OP1)와, 이 연산 증폭기(OP1)의 증폭도를 결정하는 저항(R7) 및 상기 연산 증폭기(OP1)에서 증폭된 전압의 수평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해 콘덴서(C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부(6)는 상기 비교 증폭부(3)에서 출력된 비교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달링톤(Darlington) 접속된 트랜지스터(Q2,Q3)와, 이 트랜지스터(Q2,Q3)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의 리플(Ripple)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4) 및 저항(R1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1019940040257A 1994-12-31 1994-12-31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013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257A KR0139595B1 (ko) 1994-12-31 1994-12-31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257A KR0139595B1 (ko) 1994-12-31 1994-12-31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135A KR960028135A (ko) 1996-07-22
KR0139595B1 true KR0139595B1 (ko) 1998-06-15

Family

ID=1940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257A KR0139595B1 (ko) 1994-12-31 1994-12-31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135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31450A (ko) 주파수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수신기(Frequency Converter and Radio Receiver Using the Same)
KR0139595B1 (ko) 수평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940006348A (ko) D/a 변환장치 및 a/d 변환장치
EP0644655A4 (en) TIMED CIRCUIT.
KR910003547B1 (ko) 삼각파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회로
SE0201774D0 (sv) An Arrangement for low power clock generation
KR960015189A (ko)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보호 장치
KR0172697B1 (ko)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브 듀티제어회로
KR940017706A (ko)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KR0155943B1 (ko) 초음파 발진 제어회로
KR100246341B1 (ko) 전압 제어 발진기
KR0123835B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구동 듀티 제어 회로
KR0140373B1 (ko) 자동주파수 발진 제어회로
KR0137066Y1 (ko) 멀티싱크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브 전압 공급회로
KR930022731A (ko) 자동 주파수 발진 제어회로
KR930012059B1 (ko) 프린트헤드의 쵸핑전류 보상회로
KR20020014652A (ko) 전원전압 변동을 부정하는 펄스폭 변조회로
KR940003628B1 (ko) 모니터의 신호검출 및 변환회로
KR920007509Y1 (ko)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KR930003568Y1 (ko) 컬러 모니터의 모드별 수평진폭 제어회로
KR0120835B1 (ko) 모니터의 주파수 전압 변환회로
KR910008284Y1 (ko) 수직 귀선 전압 발생장치
KR970068153A (ko) 인버터 회로 및 구동방법
KR920003613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고속제어 시스템
KR970006129Y1 (ko)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