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87B1 - Frame for a truck - Google Patents

Frame for a truck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87B1
KR0138987B1 KR1019900008603A KR900008603A KR0138987B1 KR 0138987 B1 KR0138987 B1 KR 0138987B1 KR 1019900008603 A KR1019900008603 A KR 1019900008603A KR 900008603 A KR900008603 A KR 900008603A KR 0138987 B1 KR0138987 B1 KR 013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dth
cross member
cross
riv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0561A (en
Inventor
카즈오 아오
타쯔아끼 하야시다
켄지 타나베
노리오 하나키우찌
쿠니오 하라
히레오 이찌오까
아끼노리 오이카와
토시하루 마쯔이
사토루 오오누마
요시아끼 타치바나
모또카즈 코바야시
유끼히꼬 야마자끼
다이지 무또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유이찌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난바 무네치카
미쯔비시지도오샤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314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79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63314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79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63314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795B2/en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유이찌,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난바 무네치카, 미쯔비시지도오샤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유이찌
Publication of KR92000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차량용 차대프레임Vehicle chassis frame

제1도는 제1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평며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2도는 그 제2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제3도는 그 제3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제4도는 제1도, 제23도, 제33도의 Ⅳ-Ⅳ선을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S. 1, 23, and 33 in an arrow direction.

제5도는 제4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마찬가지의 단면도.5 is a simil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6도는 제2도, 제24도, 제34도의 Ⅵ-Ⅵ선을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본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S. 2, 24, and 34 in an arrow direction.

제7도는 제3도, 제25도, 제35도의 Ⅶ-Ⅷ선을 따라 화살표시 방향으로 본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S. 3, 25, and 3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제8도는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重心)을 설명하는 선도.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quivalent center of plural rivets.

제9도는 그 제4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thereof.

제10도는 그 제5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10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thereof.

제11도는 그 제6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thereof.

제12도는 제4 내지 제6실시예(제2, 제3발명에 공통)에 있어서의 크로스멤버의 단면도.Fig. 1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rossmember in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common to the second and third inventions).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크로스멤버의 변형예를 표시한 마찬가지의 단면도(제2, 제3발명에 공통).FIG. 13 is a simil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ross member shown in FIG. 12 (common to the second and third inventions).

제14도는 그 제7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venth embodiment.

제15도는 그 제8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eighth embodiment.

제16도는 그 제9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thereof.

제17도는 제14도, 제29도, 제39도의 ⅩⅦ-ⅩⅧ선을 따라 화살표시 방향으로 본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S. 14, 29, and 39 in an arrow direction.

제18도는 제15도, 제30도, 제40도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S. 15, 30, and 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제19도는 제16도, 제31도, 제41도의 ⅨⅩ-ⅨⅩ선을 따라 화살표시 방향으로 본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S. 16, 31, and 41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제20도는 제17도 내지 제19도에 있어서의 악이입형(alligator Type) 크로스멤버(16)의 변형예를 표시한 부분적 측면도.FIG. 20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lligator type crossmember 16 in FIGS. 17 to 19. FIG.

제21도는 그 제10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1 is a plan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제22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크로스멤버(16)의 응력발생 태양을 제43도에 표시한 종전의 장치와 대비해서 표시한 선도(제2, 제3발명에 공통).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ess generation mode of the cross member 16 in the first embodimen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pparatus shown in FIG. 43 (common to the second and third inventions).

제23도는 제2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4도는 제2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5도는 제2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5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6도는 제2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6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7도는 제2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7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8도는 제2발명의 제6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8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9도는 제2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29 is a plan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0도는 제2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0 is a plan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1도는 제2발명의 제9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1 is a plan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2도는 제2발명의 제10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2 is a plan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3도는 제3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4도는 제3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5도는 제3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5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6도는 제3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6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7도는 제3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7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8도는 제3발명의 제6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8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39도는 제3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39 is a plan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40도는 제3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40 is a plan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41도는 제3발명의 제9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41 is a plan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42도는 제3발명의 제10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42 is a plan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43도는 종전의 차대프레임의 전형적 구성을 표시한 부분적 평면도.43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typical configuration of a previous chassis fram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차대(車坮)프레임(12):사이드레일(10): Undercarriage frame 12: Side rail

(16):크로스멤버(18):리벳(16): Cross member (18): Rivet

G:리벳(18)군의 등가중심G: Equivalent center of rivet (18) forces

본 발명은 트럭동차량용의 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ssis frame for truck-borne vehicles.

통상의 트럭은 차에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좌우1쌍의 각각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사이드레일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양끝을 상기 사이드레일에 고착된 복수개의 크로스멤버로 이루어지는 차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차대프레임에 각각 서스펜션장치를 개재해서 앞차측 및 뒤차측이 장착되고, 또 운전대, 엔진, 짐받이등이 걸쳐져 장착되어 있다.A typical truck has a chassis frame consisting of side rails each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left and right pair extending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car, and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each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ide rails. The front vehicle side and the rear vehicle side are mounted on the chassis frame via a suspension device, respectively, and a steering wheel, an engine, a carrier,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vehicle chassis frame.

상기 크로스멤버에는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부재 및 I형을 이루는 부재 및 사이드배열에 결합되는 양끝부분에 V자형상의 확개부를 갖춘 소위 악이입형크로스멤버등이 적당히 채용되고 있다.As the cross member, a so-called vice-cross type cross member having a V-shaped extension at both ends coupled to a groove-shaped member, an I-shaped member, and a side array is suitably employed.

트랙등의 차량이 예를들면 과적재상태로 심한 요철(凹凸)을 가진 험로룰 고속주행하는 경우, 차체프레임은 큰 비틀림하중이 작용하고, 그 크로스멤버에는 특히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부 부근에 큰 응력이 발생한다. 종래의 차대프레임에 있어서의 사이드레일 및 크로스멤버 결합부분의 전형적인 구성을 제43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면중 부호 (10)은 총괄적으로 차대프레임을 표시하고, 동차대프레임은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좌우 1쌍의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사이드레일(12)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좌측의 사이드배열만이 도시되어 있다.) 사이드레일(12)내에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거시트(gusset)(14)가 삽입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web)(14W)를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다수의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16)은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크로스멤버로서, 그 상하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도면에 있어서 Y방향)의 폭 Yo는 차폭방향(도면에 있어서 x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또한 각각 양끝부분을 상기 거시트(14)의 상하플랜지(14W)에 다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When a vehicle such as a track is driven at high speeds, for example, in a heavy load with heavy unevenness, the body frame has a large torsional load, and the cross member has a large stress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with the side rail. This happens. Referring to FIG. 43 for a typical configuration of the side rail and cross member coupling portions in the conventional chassis frame, reference numeral 10 in the drawing collectively denotes the chassis frame, and the chassis frame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 pair of left and right cross sections are provided with side rails 12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drawing, only the side array on the left side is shown.) A gusset 14 having a groove shape in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side rail 12, and the cohabitation sheet 14 has its web ( 14W)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by a plurality of rivets 20. Numeral 16 denotes a cross member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grooved, and the width Yo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Y direction in the drawing) is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two end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4W of the gusset 14 by a plurality of rivets 18, respectively.

상기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10)에 대해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제22도에서 점선 S1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22도에 있어서, 종측은 발생응력 0kgf/㎟ 를 나타내고, 횡축은 크로스멤버(16)의 차체전후방향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수직면, 바꾸어말하면 차량 대칭면으로부터의 거리 X를 나타내고 있으며, X1은 상기 거시트(14)와의 교점을, 또 X2는 크로스멤버(16)의 차폭방향 바깥쪽끝을 각각 표시하였다. 상기 곡선 S1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플랜지(16f)의 끝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응력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밀어짐에 따라서 차차로 증가하여 거시트(14)와의 교점 X1에서 최대치에 달하고, 그후 차폭방향의 바깥쪽끝 X2으로 향함에 따라서 급속히 감소하나, 거시트(14)와의 교점 X1부근에 큰 응력이 발생하고, 이 부분에서 균열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 확인되었다.A tors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chassis frame 10 including the crossmember 16 to investigate the stres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 of the crossmember flange 16f,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S 1 in FIG.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In FIG. 22, the longitudinal side represents the generated stress 0 kgf / mm 2,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lin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cross member 16, in other words, the distance X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and X 1 is the above. The intersection with the gusset 14 and X 2 indicated the outer width direction outer edge of the cross member 16, respectively. As indicated by the curve S 1 , the stress generated at the end edge of the flange 16f increases gradually as it is pushed outward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the maximum value at the intersection X 1 with the gusset 14. After that, it rapid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edge X 2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ut a large stress is generated near the intersection X 1 with the gusset 14, and it is confirmed that defects such as cracks are likely to occur at this portion. .

본 제1~제3의 각 발명은 차대프레임의 크로스멤버에 있어서 사이드 레일과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해서 크로스멤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여, 차대프레임의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inventions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reduce the stress generated near the engaging portion of the undercarriage frame in the vicinity of the undercarriage frame, to effectively avoid the breakage of the crossmember,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undercarriage frame. It is for the purpo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크로스멤버의 차폭방향 양끝부분을 사이드레일에 거시트를 개재해서 개재하지 않고서 고착하는 복수개의 리벳에 관하여 「등가중심」이란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equivalent center" is defined as follow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rivets in which both end portions of the cross memb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fixed to the side rails without interposing a gusset.

즉, 제8도에 있어서, 임의계수(2개이상)의 리벳 R1, R2, …Ri…Rn의 가로탄성계수를 각각 G1, G2…Gi…Gn, 또 각 리벳의 단면적을 각각 a1, a2,…ai…an각 리벳의 X좌표 및 Y좌표를 각각 X1, X2…Xi…Xn및 Y1, Y2…Yi…Yn로 하였을때, 등가중심 G의 X좌표 Xg 및 Yg는각각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That is, in Fig. 8, rivets R 1 , R 2 ,... R i . The transverse elastic modulus of R n is G 1 , G 2 . G i … G n ,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rivet is a 1 , a 2 ,. a i … a n X and Y coordinates of each rivet are represented by X 1 , X 2 . X i … X n and Y 1 , Y 2 . Y i … When Y n , the X coordinates Xg and Yg of the equivalent center G ar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제1발명에 관한 차량용차대프레임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맴베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부근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 사이에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확개된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vehicle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s formed by fastening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a plurality of rivets. the cross revolving Vega vehicle mirror plan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a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in the vicinity of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plurality of rivet-based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Y B, and from the vehicle, the mirror plane with (Y B / Y A ) 2 = 1.5 to 2.5 when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A at the distance X A = X B / 2 is set to Y A , and the above P A and P B The free end edge has a planar shape extending linearly toward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본 제1발명에 의해 크로스멤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단부 부근의 평면형상을 상기 특수한 형상 즉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에서 근처의 위치 X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과 상기 위치 XB와의 사이의 2등분위치 X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인 관계가 있고, 또한 상기 위치 XA로부터 YB에 이르는 각 중간위치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YA로부터 YB에 직선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형상으로 하므로서, 크로스멤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대폭적으로 저감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shape near the end of the cross member with the side rail of the cross member is defined as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position X B near the special shape, that is,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plurality of rivets, and the vehicle symmetric surface (Y B / Y A ) 2 = 1.5 to 2.5 between Y and the width Y A in the vehicle body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bipartite position X A between the position X B and the position X A to Y Since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 and rear direction at each intermediate position reaching B is changed linearly from Y A to Y B , the maximum stress occurring near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ross member with the side rail is greatly reduced. .

본 제2발명에 관한 차량용 차대프레임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 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에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동차량 대칭면으로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대,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 사이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의 블록곡선형상을 이루는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vehicle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s formed by fastening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a plurality of rivets. , in the vehicle-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of a near equivalent center of the plurality of rivets, wherein the cross member is placed a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the mirror plane to the Y B, and since in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When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position P A at the distance X A = X B / 2 was Y A , and the distance from the symmetry plane of the vehicle to the equivalent center was L G , (Y B / Y a) 2 = 1.5 ~ 2.5, and also that has a planar shape that forms a block-shape curve of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ree end edges of the L-shaped G between the P a and P B It is characterized.

본 제2발명에 의해 크로스멤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단부 부근의 평면형상을 상기 특수한 형상 즉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위치근처의 위치 X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 대칭면과 상기 위치 XB와의 사이의 2등분위치 X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인 관계가 있고, 또한 상기 위치 XA에서 부터 XB에 이르는 자유단부가장자리의 평면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의 블록곡선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서, 크로스멤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대폭적으로 저감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e shape near the end of the cross member with the side rail of the cross member is defined as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X B near the equivalent center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rivets, and the vehicle symmetry plane. and between the width Y a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in the bisecting position X a of between the position X B, (Y B / Y a) and is a 2 = 1.5-2.5 relationship, and at the position X a Since the planar shape of the free end edge extending from XB to X B forms a block curve shape with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 the maximum stress occurring near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 of the cross member is greatly reduced.

본 제3발명에 관한 차량의 차대프레임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칭면에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의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동차량 대칭면에서 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 사이에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의 오목곡선 형상을 이루는 평면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hassis 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fastened to the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a plurality of rivets. according to made, the width of the cross-member is a vehicle body forward and backward at the position P B of a near equivalent center of said plurality of rivet-based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mirror plane direction to Y B, and since in the vehicle chingmyeon When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sition P A having almost X A = X B / 2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Y A , and the distance from the symmetry plane of the vehicle to the equivalent center is L G , and Y B / Y a) 2 = 1.5 ~ 2.5, and also that the shape of the free end edge in between the P a and P B having a planar shape forms a concave curved shape of a larger curvature than the curvature L G To be characterized.

본 제3발명에 의해, 크로스맴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단부부근의 평면형상을 상기 특수한 형상 즉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위치 근처의 위치 X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과 상기 위치 XB와의 사이의 2등분위치 X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인 관계가 있고, 또한 상기 위치 XA에서 부터 XB에 이르는 자유단부가장자리의 평면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의 얕은 오목곡선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서, 크로스멤버의 사이드레일과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대폭적으로 저감된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e shape near the end of the cross member with the side rail of the cross member is defined by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t the position X B near the equivalent center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rivets and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and between the width Y a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in the bisecting position X a of between the position X B, (Y B / Y a) and is a 2 = 1.5-2.5 relationship, and at the position X a Since the planar shape of the free end edge extending from XB to X B forms a shallow concave curve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 the maximum stress occurring near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ross member with the side rail is greatly reduced.

이하 본 제1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4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종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플랜지(16f)를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직각방향으로 꺾어 굽혀서 형성된 세로플랜지(16f')를 구비하고 동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벳(18)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등가중심 G와 차량대칭면 YO와의 사이의 거리 ℓG/2는 실질적으로 크로스멤버(16)의 차폭방향 즉 X방향의 전체길이의 1/2에 동등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members or part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3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First, shown in FIG. 1, FIG. 4 and FIG.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member 16 is provided with a vertical flange 16f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bend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having a vertical flange 16f. ')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s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Since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arranged on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the distance l G / 2 between the equivalent center G and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is substantiall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member 16. That is, it is equal to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X direction.

상기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 즉 상하플랜지(16f)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차폭방향의 중간위치 PA까지는 차체전후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YA로 형성되고, 동위치 PA로 부터 차폭방향 바깥쪽단부에 가까운 위치 PB까지 차체전후 방향의 폭이 직선적으로 확대해서 YB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PB는 차폭방향에 관해서 상기 등가중심 G의 근처(물론 중심위치G를 포함함)에 설정되고, 중간위치 PA는 그 차량 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가 위차 PB의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B의 1/2, 바꾸어말하면 제1도에 있어서 직선 OPB의 2등분점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PA및 PB에 있어서의 폭 YA와 YB와의 사이에는 (YB/YA)2=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planar shape that is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16 is formed to be a of the vehicle body front and rear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up the intermediate position P A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s illustrated Y A, It is formed so that th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extends linearly to Y B from the same position P A to a position P B close to the outer end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detail, the position P B is set near the equivalent center G (including the center position G, of cours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P A differs from the distance X A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Y O. 1/2 of the distance X B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of P B , in other words, is set at the second half point of the straight line OP B in FIG. 1. Then, a relationship of (Y B / Y A ) 2 = 2 is formed between the widths Y A and Y B at the positions P A and P B.

상기 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제23도에 도시한 종전차대프레임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용력을 측정하였던 바, 제22도에 실선 S2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충분히 저감되고, 따라서 과부하상태에서의 험로주행에 대해서 안전성이 높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제5도는 상기 크로스멤버(16)을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리벳(18)에 의해 결합할때에, 크로스멤버(16)의 웨브(16W)에 세로플랜지(16W')를 형성하고 동새로플렌지(16W')를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결합된 제1실시예의 변형예이나, 이 구성에서도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최대응력을 제4도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The undercarriage frame having the crossmember 16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was subjected to a torsion tes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former undercarriage frame shown in FIG. 23, and wa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member. As the pressure was measur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S 2 in FIG. 22,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near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side rails 12 was sufficiently reduced, and thus the safety against the bad road driving under an overload condition was sufficiently reduced. It was confirmed that high, dur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5 shows the vertical flange 16W 'on the web 16W of the crossmember 16 when the crossmember 16 is coupl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means of rivets 18. ), And the maximum stress of the cross-member flange 16f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IG. 4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opper flange 16W 'is coupl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Similarly, it can be reduced.

또, 상기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 YA에 대하여 YB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서 시험을 행하였던 바, 상기 (YB/YA)2=2가 최적이고, 이 값이 2.5이상으로 되면 용력저감 효과는 한계에 도달하여 쓸데없이 중량증대를 초래할 불편이 있고, 한편 상기 값이 1.5이하가 되면 응력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강도상의 불안이 증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test was performed by varying Y B i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cross member flange 16f, where (Y B / Y A ) 2 = 2 is optimal, and this value is 2.5. When the above is reached, the force reduction effect reaches the limit and causes inconvenience to increase the weight unnecessar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is 1.5 or less, it is confirmed that the stress reduction effect is not sufficient and the strength anxiety increases.

다음에 제2도 및 제6도는 본 제1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2 and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ross-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has its upper and lower flanges. 16f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Distance from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substantially equal distance X B in the position P B flanges car width Y B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vehicle of (16f) in th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two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a bipartite position P A of 1/2 .

또, 제3도 및 제7도는 본 제1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 멤버(16)의 상하플랜지(16f)가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상기 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3 and 7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op and bottom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first embodiment are shown in this embodiment. ) Is secured by a plurality of rivets 18 to corresponding flanges 14f of the gusset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gussets 14 are formed on the side rails adjacent to the web 14W. It is fixed to the web 12W by the rivet 20.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X B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2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a distance X A = X B / 2. The dimension of is determined.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대하여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바, 모두 제22도의 곡선 S2에 근사한 결과를 얻게 되며,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근에 있어서 플랜지(16f)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torsion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respectively, and the stresse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s of the cross member flanges 16f were examined. Both of them obtained results close to the curve S 2 of FIG.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flange 16f near the engagement with the rail 12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제9도는 본 제1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I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하방향으로 꺽어굽혀서 형성한 제4도와 마찬가지의 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고착되어 있다.9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2 is used. The crossmember 16 has a vertical flange 16f 'similar to that of FIG. 4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and bend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rivets 18 for the side rail web 12W. Stuck to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로부터 약간 차량대칭면 YO쪽으로 위치하여 동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가 XB의 위치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거리한 위치 PA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f)가 직선적으로 확개하는 평면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ross member 16 is a vehicle body front and rear of the flange (16f) in the distance from the same plane of symmetry Y O located towards the plane of symmetry Y O some vehicle from the equivalent center G of a plurality of rivets 18 to the position P B of X B When the width in the direction is Y B and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A at a distance X A = X B / 2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Y O is Y A , Y The relationship between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2, is established between B and Y A , and a plane shape in which the flange 16f extends linearly between P A and P B. It is formed to represent.

상기한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분 부근이 바깥쪽으로 직선적으로 확개한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체전후 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상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대비하였던 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 멤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같은 종류의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 chassis frame including a cross 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having a flat shape near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s 12 extending outwardly and a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substantially equal to the entire length are conventional. A torsion test was carried out on the chassis frame having the cross member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and the generated stress at the free end edg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was prepared. A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ype of crossmember.

제10도는 본 제1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10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fourth embodiment has its upper and lower flanges 16f sided. A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rail 12.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substantially equal distance away from the width Y B, and a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X B X A = X B / 2 (Y B / Y a) between the two halves with a width Y position a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2 = 1.5 ~ 2.5 and preferably it is set to the second relationship is established.

또 제11도는 본 제1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홈형단면을 거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각각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또 동가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량의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관계가 성립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11 show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in which the cross-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s 14f of the gusset 14 having a grooved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respectively, and the movable sheet 14 has a web of side rails adjacent to the web 14W. 12W) is fixed by the rivet 20. From the symmetry plane Y O of the vehicle,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X B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the two-member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the distance X A = X B / 2. The dimensions are determined.

상기 제5 및 제6실시예에 대해서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 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여, 동플랜지(16f)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이 차폭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상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플랜지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과 비교하였던 바, 제22도의 곡선 S2및 S1에 거의 서로 닮은 결과를 얻게 되고,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현저히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소위 일체형의 I형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 대신에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홈형단면의 부재(16a) 및 (16b)를 동맞춤으로 해서 리벳(22)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I형 단면을 형성한 조립식의 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orsion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respectively, and the stresse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s of the cross member flanges 16f were exam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langes 16f was equal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Compared with the generated stresses of the flange free end edges of the crossmemb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ormal I-shaped cross section, which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hroughout, the results are almost similar to the curves S 2 and S 1 in FIG. 22, and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was effectively achieved. Also, instead of the cross member 16 having a so-called integral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2, the grooved cross-sectional members 16a and 16b as shown in FIG. 13 are match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also in the assembled crossmember 16 which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rivet 22 to form an I-shaped cross section.

제14도는 본 제1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양끝부분을 제외한 전체길이의 대부분이 해트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위쪽부재(16u)와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지는 아래쪽부재(16ℓ)을 다수의 리벳(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양끝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체길이를 폐쇄단면구조로 하고, 양끝부분에서는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을 V자 형상으로 확개해서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형성한 악이입형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동크로스멤버(16)은 상기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웨브(12W)에 체결되므로서 동사이드레일(1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멤버(16)의 아래쪽부재(16ℓ)을 위쪽부재(16u)와 마찬가지로 해트형단면의 부재로 하고, 양자를 대향시켜서 리벳(24)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크로스멤버(16)을 형성하는 일도 있다.)FIG. 14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member 16u has a hat-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most of the entire length except for both ends thereof is hatched as shown in FIG. ) And the lower member (16ℓ) consisting of a flat plate are integrally joined by a plurality of rivets 24, and almost the entire length except for both ends is of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t both ends,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part An erecting crossmember 16 is used in which the member 16L is expanded into a V shape and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are formed at the respective leading ends thereof. The copper cross member 16 is fixed to the verb rail 12 by fastening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to the side rail web 12W by a plurality of rivets 18. (In addition, the lower member 16L of the cross member 16 is formed as a hat-shaped cross-section member similarly to the upper member 16u, and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rivet 24 so as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cross member 16 can be connected. It may form a.)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B를 둔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 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연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평면형상이 직선적으로 확개하여 V자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Wherein the cross member 16 and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equivalent center G of a plurality of rivets (18) and placed a distance X B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to Y B, between the Y B and Y a when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tance X a = X B / 2 by a distance P a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to Y a (Y B / Y a ) 2 = 1.5 to 2.5, and preferably a second soft association establishment, also has the planar shape of the cross member is formed to indicate a to linearly widening in a V-shape in between P a and P B.

상기한 바와같은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갖춘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똑같은 통상의 악이입형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 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 및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본실시예에서는 종전의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이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torsion frame with the cross member 16 having the plana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undercarriage frame with the conventional vice-indented cross membe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are twisted in almost the same condition. The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crossmembers. As in the case of the crossmembers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rossmembers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the maximum stress was remarkable in this embodimen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was achieved, and thus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were achieved.

제15도 및 제18도는 본 제1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체결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15 and 18 show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end portion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of the erect cross-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rivets 18.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16 is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with substantially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equal distance P B to Y B,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apart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and preferably two Relationships are formed.

또, 제16도 및 제19도는 본 제1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그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 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16 and 19 show a ninth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member of the vice-cross type cross member 16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 16u) and the end portio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16L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 14f of the gutter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respectively. ) Is fixed to the web 14W by the rivet 20 to the web 12W of the adjacent side rail. The cross member 16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equivalent center G substantially the position P B to the equal distance X B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the Y B, and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distance from the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a position apart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two is established.

상기 제8실시예 및 제9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상기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분 부근에 있어서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종래보다 대폭적으로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은 모두 위쪽부재(16u)와 아래쪽부재(16ℓ)이 크로스멤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고 차폭방향 양끝의 V자형 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폐쇄단면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비틀림강성을 가자게 되는 것이나,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래쪽부재(16ℓ)이 위쪽부재(16u)의 끝부분에만 고착되어서 V자형의 한쪽부분(接手部)을 형성하고 따라서 크로스멤버의 중간부분은 개방단면의 위쪽부재(16u)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틀림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the torsion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crossmembers.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s 12 was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retard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In addition, in the erode cross member 16 shown in FIGS. 17 to 19, both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ross member, and the V-shap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Closed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except the part to give relatively high torsional stiffness, but as shown in FIG. 20, the lower member 16L is fixed only to the end of the upper member 16u so that the V-shaped Since the middle part of the cross member is formed only by the upper member 16u of the open end surface by forming one side part, the same effect is substantially the same also in the erode cross member 16 with a relatively low torsional rigidity. Can be obtained.

다음에, 제21도에 도시한 본 제1발명의 제10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을 차체전후방향으로 간격 C를 두고 2개 병설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 C는 예를들면 30㎜~80㎜이다. 각 크로스멤버(16)은 각각의 상하플랜지(16f)를 단면 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공통의 거시트(14)의 상하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다수의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Next,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shown in FIG. 21, two crossmembers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C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s one thing, the said space | interval C is 30 mm-80 mm, for example. Each cross member 16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by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4f of the common gusset 14 having a cross-sectional groove shape. The web 14W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by a plurality of rivets 20.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을 제3도에 도시한 제3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므로서, 각각의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각각 저감할수 있어, 크로스 멤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병설된 크로스멤버(16)을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체결하고, 또는 제2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을 각각 제1도, 제2도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0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each cross member 16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 so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 of each cross member flange 16f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ross member from being damaged, thereby improving its durabil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two parallel members 16 are fasten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the planar shape of each cross member 16 is respectively first. Also, by 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FIG. 2, the same effects as in the ten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기어장치나 플로펠러샤프트등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크로스멤버(16)을 상하방향으로 만곡시켜도 상기 본 제1발명의 효과 및 이점은 실질적으로 불변하다.In addition,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even if the cross member 16 is bent upward and downwar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fferential gear device, floppler shaft, or the like,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firs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unchanged.

이상과 같이 본 제1발명에 관한 차량용 차대프레임은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사이의 자유단부끝부분의 형상이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확개한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차량의 주행중 특히 과부하상태에서의 험로 고속주행시에 크로스멤버에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해서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 나아가서는 차대프레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s formed by fastening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by a plurality of rivets. The distan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X A = X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is Y B as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near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plurality of rivets having the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symmetry plane. B / 2-based position when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to Y a, (Y B / Y a) 2 = 1.5 ~ 2.5 , and also the free end end between the said P a and P B The shape of the part has a flat shape that extends linearly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t can be ever reduced to prevent the breakage, cross member furth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hassis frame.

다음에, 제2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3~제32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Examples 23 to 32 of the secon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2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본 제2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플랜지(16f)를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직각방향으로 꺾어 굽혀서 형성된 세로플랜지(16f')를 구비하고, 동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벳(18)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등가중심 G와 차량대칭면 YO와의 사이의 거리 LG는, 실질적으로 크로스멤버(16)의 차폭방향 즉 X방향의 전체길이의 1/2에 동등하다.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shown in FIGS. 23 and 4, the cross member 16 is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bending them at right angles. The vertical flange 16f 'is provided, and the vertical flange 16f'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s shown in FIG. Since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arranged on the web 12W of the side rails 12, the distance L G between the equivalent center G and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is substantially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member 16. It is equal to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X direction.

상기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 즉 상하플랜지(16f)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차폭방향의 중간위치 PA까지는 차체전후의 폭이 실질적으로 똑같이 YA로 형성되고, 동위치 PA로 부터 차폭방향 바깥쪽단부에 가까운위치 PB까지 는, 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인 완만한 볼록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PB는 차폭방향에 관하여 상기 등가중심 G의 근처(물론 중심위치 G를 포함함)에 설정되고, 중간위치 PA는 그 차량 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가 위차 PB의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B의 1/2, 바꾸어말하면 제23도에 있어서 직선 OPB의 2등분점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PA및 PB에 있어서의 폭 YA와 YB와의 사이에는 (YB/YA)2=1.5~2.5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cross member 16, the planar shape that is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being formed of a vehicle-width intermediate position P A of the vehicle body front and rear width is substantially the same Y A as by the direction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s shown, the copper From the position P A to the position P B close to the outer en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shape of the free end edge of the flange 16f is formed so as to form a gentle convex curve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P B is the distance X A from the equivalent center is set near (of course including a center of gravity G) of G, an intermediate position P A is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with respect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cha P distance from the vehicle-Y plane of symmetry O of the B X B 1/2, in other words, it is set to the bisecting point of the straight line OP B according to claim 23 degrees. The relationship of (Y B / Y A ) 2 = 1.5 to 2.5 is formed between the widths Y A and Y B at the positions P A and P B.

상기 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제43도에 도시한 종전의 차대프레임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측정하였던 바, 제22도에 실선 S2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충분히 저감되고, 따라서 험로주행에 대해서 안전성이 높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undercarriage frame having the crossmember 16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was subjected to a torsion tes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revious undercarriage frame shown in FIG. 43, and at the free end edg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member. As the generated stress was measur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S 2 in FIG. 22,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near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side rail 12 was sufficiently reduced, and thus the safety and the durability against the rough road driving were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 상기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 YA에 대하여 YB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서 시험을 행한바, 상기 (YB/YA)2=2가 최적이고, 이 값이 2.5이상으로 되면 응력저감효과는 한계에 달하여 쓸데없이 중량증대를 증가하는 불편이 있으며, 한편 상기 값이 1.5이하가 되면 응력저감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상기 볼록곡선형상 끝가장자리의 곡율이 LG보다 작으면 중량증대에 비해서 응력저감의 효과가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test was performed by varying Y B with respect to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cross member flange 16f, wherein (Y B / Y A ) 2 = 2 is optimal, and this value is 2.5 or more. When the stress reduction effect reaches the limit, it is inconvenient to increase the weight increase unnecessar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is less than 1.5, the stress reduction effect is not sufficient, and the curvature of the convex curve edge is smaller than L G.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was inferior to weight gain.

다음에, 제24도 및 제6도는 본 제2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Next, FIGS. 24 and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ross 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has its top and bottom sides. The flange 16f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Distance from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substantially equal distance X B in the position P B flanges car width Y B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vehicle of (16f) in th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Y B / YA)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2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bipartite position P A of 1/2 .

또, 제25도 및 제7도는 본 제2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 멤버(16)의 상하플랜지(16f)가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상기 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랭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25 and 7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op and bottom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first embodiment are shown in this embodiment. ) Is secured by a plurality of rivets 18 to corresponding flanges 14f of the gusset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gussets 14 are formed on the side rails adjacent to the web 14W. It is fixed to the web 12W by the rivet 20.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distance X B substantially from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from the cold symmetrical surface Y O, and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2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a distance X A = X B / 2. The dimension of is determined.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대해서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모두 제22도의 곡선 S2에 근사한 결과를 얻게되고,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에 있어서 플랜지(16f)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 and the performing the respective torsion test with respect to the third embodiment obtained stunning results in the bar, all the 22-degree curve S 2 were examined the generation stress of the free end edge of the cross member flange (16f), the s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flange 16f in the vicinity of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rail 12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제26도는 본 제2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I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향방향으로 꺾어 굽혀서 형성한 제4도와 마찬가지의 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고착되어 있다.FIG. 26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in which a cross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2 is used. The cross member 16 has a vertical flange 16f 'similar to that of FIG. 4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and bending it in an upward direction to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form a side rail web 12W. Stuck on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로부터 약간 차량대칭면 YO쪽에 위치하고 동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가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f)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면 완만한 볼록곡선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ross member 16 is located slightly on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from the equivalent centers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the distance from the co-symmetrical surface Y O is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X B. the width in Y B, and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a distance hayeoteul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flange (16f) of the P a to Y a, Y B and Y A relationship between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2, is established between A and the shape of the flange 16f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L G between P A and P B. It is formed to show a smooth convex curve shape.

상기한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부근이 바깥쪽으로 볼록곡선형상으로 확개된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거쳐서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시질적으로 동등한 통상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 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대비하였던 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동일종류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히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a chassis frame having a cross 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in which a portion adjacent to the side rail 12 is extended outwardly convexly curved, and a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entire length is substantially The undercarriage test was carried out on a chassis fram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normal I-shaped cross section equal to, and the stress at the free end of the top and bottom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was prepared in the groove type. As in the case of the cross-member of the cross s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cross member.

제27도는 본 제2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FIG. 27 show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A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Distance from the vehicle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plane of symmetry Y O The rivet group equivalent center G and substantially equidistant flanges (16f) at the position P B of X B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YB, and a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between two equally divided positions between the width a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Y of the P a, and is formed such that (Y B / Y a) 2 = 1.5 ~ 2.5, preferably from 2 relationship is satisfied.

또 제28도는 본 제2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홈형단면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렌지(14f)에 각각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또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량의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거리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28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s 14f of the gutter seat 14 having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nd the cohabitation sheet 14 has a web of side rails adjacent to the web 14W. 12W) is fixed by the rivet 20. From the symmetrical surface Y O of the vehicle,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distanc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X B substantially equal to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a distance X A = X B / 2 Each part is dimension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제5 및 제6실시예에 대하여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 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여, 동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차폭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사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플랜지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과 비교하였던바, 제22도의 곡선 S2 및 S1에 거의 서로 닮은 결과를 얻게되고,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소위 일체형의 I형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 대신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홈형단면의 부재(16a) 및 (16b)를 동맞추기 해서 리벳(22)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I형 단면을 형성한 조립식 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orsion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respectively, and the stresse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s of the cross member flanges 16f were exam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copper flange 16f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as in the entire length of the vehicle-width direction. Compared with the generated stress at the edge of the flange free end of the cross memb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he result is almost similar to the curves S2 and S1 in FIG. 22, and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ffectively achieved. In addition, instead of the cross member 16 having a so-called integrated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2, the grooved end faces 16a and 16b as shown in FIG. It was confirmed that substantially similar effects can be obtained also in the assembled crossmember 16 which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rivet 22 to form an I-shaped cross section.

제29도는 본 제27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실시예에서는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끝부분을 제외한 전체길이에 대부분이 해트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위쪽부재(16u)와 아래쪽부재(16ℓ)을 다수의 리벳(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양끝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체길이를 폐쇄단면구조로 하고, 양끝부분에서는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을 V자 형상으로 확개해서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형성한 악이입형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동크로스멤버(16)은 상기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웨브(12W)에 체결되므로서 동사이드 레일(1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멤버(16)의 아래쪽부재(16ℓ)을 위쪽부재(16u)와 마찬가지로 해트형 단면의 부재로 하고, 양자를 대향시켜서 리벳(24)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크로스멤버(16)을 형성하는 일도 있다.)FIG. 29 shows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27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upper member (most of which has a hat-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most of its length except for both ends)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are integrally combined by a plurality of rivets 24, and almost the entire length except the ends is of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are provided at both ends. ), The vice-versus crossmember 16 is used in which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are formed at each tip end thereof in a V-shape. The copper cross member 16 is fixed to the copper side rail 12 by fastening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to the side rail web 12W by a plurality of rivets 18. (The lower member 16L of the cross member 16 is a member having a hat-shaped cross section similarly to the upper member 16u, and is integrally joined by the rivets 24 so as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cross member 16 can be integrated. It may form a.)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B를 둔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연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평면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이 완만한 볼록곡선형상을 이루어져 확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Wherein the cross member 16 and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equivalent center G of a plurality of rivets (18) and placed a distance X B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to Y B, When Y A is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A separated by the distance X A = X B / 2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between Y B and Y A 1.5 to 2.5 Preferably, a two-way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nd between P A and P B , the planar shape of the cross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is formed to have a gentle convex curve shape.

상기한 바와같은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갖춘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똑같은 통상의 악이입형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 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 및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본실시예에서는 종전의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이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torsion frame with the cross member 16 having the plana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undercarriage frame with the conventional vice-indented cross membe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are twisted in almost the same condition. The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crossmembers. As in the case of the crossmembers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rossmembers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the maximum stress was remarkable in this embodimen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was achieved, and thus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were achieved.

제30도 및 제18도는 본 제2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체결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30 and 18 show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end portion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of the erect cross-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rivets 18.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16 is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with substantially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equal distance P B to Y B,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apart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and preferably two Relationships are formed.

또, 제31도 및 제19도는 본 제2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그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 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31 and 19 show a ni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member (1) of the erode cross member 16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 16u) and the end portio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16L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 14f of the gutter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respectively. ) Is fixed to the web 14W by the rivet 20 to the web 12W of the adjacent side rail. The cross member 16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equivalent center G substantially the position P B to the equal distance X B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the Y B, and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distance from the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a position apart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two is established.

상기 제8실시예 및 제9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상기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분 부근에 있어서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종래보다 대폭적으로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악이입형 크로스멤버(16)은 모두 위쪽부재(16u)와 아래쪽부재(16ℓ)이 크로스멤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고 차폭방향 양끝의 V자형 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폐쇄단면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비틀림강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나,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래쪽부재(16ℓ)이 위쪽부재(16u)의 끝부분에만 고착되어서 V자형의 한쪽부분을 형성하고 따라서 크로스멤버의 중간부분은 개방단면의 위쪽부재(16u)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틀림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the torsion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crossmembers.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s 12 was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retard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In addition, in the erode cross member 16 shown in FIGS. 17 to 19, both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ross member, and the V-shap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The closed section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except the part to have a relatively high torsional rigidity, but as shown in FIG. 20, the lower member 16L is fixed only to the end of the upper member 16u so that one side of the V-shape is formed. Thus,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ross member is composed of only the upper member 16u of the open end face, so tha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substantially in the erecting cross member 16 having a relatively low torsional rigidity.

다음에, 제32도에 도시한 본 제2발명의 제10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을 차체전후방향으로 간격 C를 두고 2개 병설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 C는 예를들면 30㎜~80㎜이다. 각 크로스멤버(16)은 각각의 상하플랜지(16f)를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공통의 거시트(14)의 상하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다수의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Next,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shown in FIG. 32, two crossmembers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C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s one thing, the said space | interval C is 30 mm-80 mm, for example. Each cross member 16 is fix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by the plurality of rivets 18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4f of the common gusset 14 having a cross-sectional groove. The web 14W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by a plurality of rivets 20.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은 제25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므로서, 각각의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각각 저감할수 있어, 크로스 멤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병설된 크로스멤버(16)을 제2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체결하고, 또는 제24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을 각각 제23도, 제24도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0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each cross member 16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25, so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 of each cross member flange 16f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durability of the cross memb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two parallel members 16 are fasten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4, even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the planar shape of each cross member 16 is respectively mad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ten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forming 23 degrees and almost the same as that of FIG. 24.

또한, 상거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기어장치나 플로펠러샤프트등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크로스멤버(16)을 상하방향으로 만곡시켜도 상기 본 제2발명의 효과 및 이점은 실질적으로 불변하다.In addition, in al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ross member 16 is bent upward and downwar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fferential gear device, floppler shaft, or the like,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unchanged.

이상과 같이 본 제2발명에 관한 차량용 차대프레임은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동차량대칭면으로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사이의 자유단부 끝부분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의 볼록곡선형상을 이루는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험로고속주행시에 크로스멤버에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해서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 나아가서는 차대프레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s formed by fastening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to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near the equivalent center of the plurality of rivets having the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symmetry surface is Y B , and the distan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symmetry surface X A = When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A at X B / 2 is Y A , and the distance from the same vehicle symmetric surface to the equivalent center is L G , (Y B / Y A ) 2 = 1.5 to 2.5, and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ree end between P A and P B has a planar shape that forms a convex curve of curvature larger than curvature L G , Sin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member can be effectively reduced to prevent the break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ross member, and further, the chassis frame, can be improved.

다음에, 제3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3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본 제3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플랜지(16f)를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직각방향으로 꺾어 굽혀서 형성된 세로플랜지(16f')를 구비하고, 동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벳(18)이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등가중심 G와 차량대칭면 YO와의 사이의 거리 LG는, 실질적으로 크로스멤버(16)의 차폭방향 즉 X방향의 전체길이의 1/2에 동등하다.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shown in FIGS. 33 and 4, the cross member 16 is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bending them at right angles. The vertical flange 16f 'is provided, and the vertical flange 16f'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s shown in FIG. Since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arranged on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the distance L G between the equivalent center G and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is substantially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member 16, that is, X It is equal to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direction.

상기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 즉 상하플랜지(16f)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차폭방향의 중간위치 PA까지는 차체전후의 폭이 실질적으로 똑같이 YA로 형성되고, 동위치 PA로 부터 차폭방향 바깥쪽끝에 가까운 위치 PB까지는, 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인 완만한 볼록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PB는 차폭방향에 관한여 상기 등가중심 G의 근처(물론 중심위치 G를 포함함)에 설정되고, 중간위치 PA는 그 차량 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가 위차 PB의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B의 1/2, 바꾸어말하면 제23도에 있어서 직선 OPB의 2등분점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PA및 PB에 있어서의 폭 YA와 YB와의 사이에는 (YB/YA)2=1.5~2.5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cross member 16, the planar shape that is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being formed of a vehicle-width intermediate position P A of the vehicle body front and rear width is substantially the same Y A as by the direction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s shown, the copper From the position P A to the position P B close to the outer edg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shape of the free end edge of the flange 16f is formed so as to form a gentle convex curve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P B is set near the equivalent center G (including the center position G of cours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P A differs from the distance X A from the vehicle symmetry plane Y O. 1/2 of the distance X B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of P B , in other words, in FIG. 23, is set at the bisecting point of the straight line OP B. The relationship of (Y B / Y A ) 2 = 1.5 to 2.5 is formed between the widths Y A and Y B at the positions P A and P B.

상기 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제43도에 도시한 종전의 차대프레임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측정하였던 바, 제22도에 실선 S2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충분히 저감되고, 따라서 험로주행에 대해서 안전성이 높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undercarriage frame having the crossmember 16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was subjected to a torsion tes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revious undercarriage frame shown in FIG. 43, and at the free end edg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member. As the generated stress was measur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S 2 in FIG. 22,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near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side rail 12 was sufficiently reduced, and thus the safety and the durability against the rough road driving were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 상기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에 대하여 YB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서 시험을 행한바, 상기 (YB/YA)2=2가 최적이고, 이 값이 2.5이상으로 되면 응력저감효과는 한계에 도달하여 쓸데없이 중량증대를 증가하는 불편이 있으며, 한편 상기 값이 1.5이하가 되면 응력저감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상기 볼록곡선형상 끝가장자리의 곡율이 LG보다 작으면 중량증대에 비해서 응력저감의 효과가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test was performed by varying Y B in the width Y A of the cross member flange 16f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value (Y B / Y A ) 2 = 2 was optimal, and this value was 2.5 or more. When the stress reduction effect reaches the limit, it is inconvenient to increase the weight increase unnecessar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is less than 1.5, the stress reduction effect is not sufficient, and the curvature of the convex curve edge is larger than L G. When it was sm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was inferior to the weight increase.

다음에, 제34도 및 제6도는 본 제3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X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34 and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ross 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The flange 16f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G is substantially the distance from the equal distance X B in the position P B flange and the width Y B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16f), the vehicle in the plane of symmetry Y O X A =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2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of X B / 2.

또, 제35도 및 제7도는 본 제3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홈형단면의 크로스 멤버(16)의 상하플랜지(16f)가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상기 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랭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35 and 7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cross member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first embodiment are shown in FIG. 16f is fixed by a plurality of rivets 18 to a corresponding flange 14f of the gutter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 section, the gutter 14 being a side rail adjacent the web 14W. Is fixed to the web 12W by the rivet 20.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distance X B substantially from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from the cold symmetrical surface Y O, and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2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a distance X A = X B / 2. The dimension of is determined.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대해서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바, 모두 제22도의 곡선 S2에 근사한 결과를 얻게되고,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에 있어서 플랜지(16f)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 and the performing the respective torsion test with respect to the third embodiment obtained stunning results in the bar, all the 22-degree curve S 2 were examined the generation stress of the free end edge of the cross member flange (16f), the s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flange 16f in the vicinity of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rail 12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제36도는 본 제3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I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멤버(16)은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향방향으로 꺾어 굽혀서 형성한 제4도와 마찬가지의 세로플랜지(16f')를 복수개의 리벳(18)에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고착되어 있다.FIG. 36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which a cross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12 is used. The cross member 16 has a vertical flange 16f 'similar to that of FIG. 4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utward and bending it in an upward direction to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form a side rail web 12W. Stuck on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로부터 약간 차량대칭면 YO쪽에 위치하고 동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가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f)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 곡률면 완만한 볼록곡선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ross member 16 is located slightly on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from the equivalent centers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the distance from the co-symmetrical surface Y O is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X B. the width in Y B, and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a distance hayeoteul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flange (16f) of the P a to Y a, Y B and Y A relationship between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2, is established between A and the curvature of the flange 16f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between P A and P B. It is formed to show a smooth convex curve shape.

상기한 바와같이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 부근이 바깥쪽으로 볼록곡선형상으로 확개된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구비한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상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 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상하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대비하였던 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동일종류크로스멤버를 구비한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히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a chassis frame including a cross 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 12 is extended outwardly in a convex curve shape, and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length thereof. The undercarriage of the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of the normal I-shaped cross section was subjected to a torsion test under almost the same conditions to prepare the generated stress at the free end edg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of the cross member. As in the case of the cross member, the maximum stress wa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ross member of the same type, and thus, durabil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제37도는 본 제3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플랜지(16f)를 사이드레일(12)의 대응하는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부터의 거리 XA=XB/2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FIG. 37 show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A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substantially equal distance away from the width Y B, and a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X B X A = X B / 2 between the two halves with a width Y position a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Y B / Y a) 2 = 1.5 ~ 2.5, and preferably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relation is satisfied.

또 제38도는 본 제3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16)이, 그 상하의 플랜지(16f)를 홈형단면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렌지(14f)에 각각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또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차량의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플랜지(16f)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 YB와, 차량대칭면 YO로 부터의 거리 XA=XB/2 인 2등분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되도록 각부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38 show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member 16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s 14f of the gutter seat 14 having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nd the cohabitation sheet 14 has a web of side rails adjacent to the web 14W. 12W) is fixed by the rivet 20. From the symmetrical surface Y O of the vehicle, from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the width Y B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f the flange 16f at the position P B of the equidistant distance X B and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Y B / Y A ) 2 = 1.5 to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dth Y 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ipartite position P A having a distance X A = X B / 2 The dimensions of each part are determined.

상기 제5 및 제6실시예에 대하여 각각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 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여, 동플랜지(16f)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차폭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사의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플랜지자유단부 가장자리의 발생응력과 비교하였던바, 제22도의 곡선 S2및 S1에 거의 서로 닮은 결과를 얻게되고,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소위 일체형의 I형 단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 대신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홈형단면의 부재(16a) 및 (16b)를 등맞추기 해서 리벳(22)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I형 단면을 형성한 조립식 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Torsion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respectively, and the stresse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s of the cross member flanges 16f were exam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copper flange 16f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as in the entire length of the vehicle-width direction. Compared with the generated stress of the flange free end edge of the cross memb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he result is almost similar to the curves S 2 and S 1 in FIG. 22, and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ffectively achieved. Further, instead of the cross member 16 having a so-called integral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2, the members 16a and 16b of the groove-shaped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It was confirmed that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also in the assembled crossmember 16 which integrally couple | bonded with the rivet 22 and formed the I-shaped cross section.

제39도는 본 제3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끝부분을 제외한 전체길이에 대부분이 해트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위쪽부재(16u)와 아래쪽부재(16ℓ)을 다수의 리벳(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양끝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체길이를 폐쇄단면구조로 하고, 양끝부분에서는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을 V자 형상으로 확개해서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형성한 악이입형 크로스멤버(16)이 사용되고 있다. 동크로스멤버(16)은 상기 장착플랜지(16u') 및 (16ℓ')를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사이드레일웨브(12W)에 체결되므로서 동사이드레일(1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멤버(16)의 아래쪽부재(16ℓ)을 위쪽부재(16u)와 마찬가지로 해트형 단면의 부재로 하고, 양자를 대향시켜서 리벳(24)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크로스멤버(16)을 형성하는 일도 있다.)FIG. 39 shows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upper member (most of which has a hat-shaped cross-sectional shape at most of its entire length except for both ends)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are integrally combined by a plurality of rivets 24, and almost the entire length except the ends is of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are provided at both ends. ), The vice-versus crossmember 16 is used in which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are formed at each tip end thereof in a V-shape. The copper cross member 16 is fixed to the verb rail 12 by fastening the mounting flanges 16u 'and 16l' to the side rail web 12W by a plurality of rivets 18. (The lower member 16L of the cross member 16 is a member having a hat-shaped cross section similarly to the upper member 16u, and is integrally joined by the rivets 24 so as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cross member 16 can be integrated. It may form a.)

상기 크로스멤버(16)은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B를 둔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 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연 관계가 성립하고, 또한 PA및 PB사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평면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이 완만한 오목곡선형상을 이루어서 확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ross member 16 is Y B as a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P B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equivalent center G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and having a distance X B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Y O , between the Y B and Y a when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tance X a = X B / 2 by a distance P a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to Y a (Y B / Y a ) 2 = 1.5 to 2.5, and preferably two, open relationship is satisfied, there is also formed so that the planar shape of the cross member widening yirueoseo a curvature concave curved shape by L G is the larger curvature gradually in between P a and P B.

상기한 바와같은 평면형상을 가진 크로스멤버(16)을 갖춘 차대프레임과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체전후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똑같은 통상의 악이입형 크로스멤버를 구비한 차대프레임에 대해서, 거의 동일조건으로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상기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 및 I형 단면의 크로스멤버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본실시예에서는 종전의 것보다 최대응력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따라서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이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With regard to the chassis frame having the cross member 16 having the plana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hassis frame having the general vice-versus cross membe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out the entire length, The torsion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crossmember. As in the case of the crossmember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rossmember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stress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markably reduced, and thus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were achieved.

제40도 및 제18도는 본 제3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체결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 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리벳군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40 and 18 show an eigh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end portion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of the erect cross-member 16 having a planar shape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rivets 18.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16 is equivalent to the center of the rivet the group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G with substantially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equal distance P B to Y B,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apart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and preferably two Relationships are formed.

또, 제41도 및 제19도는 본 제3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그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평면형상을 가진 악이입형크로스 멤버(16)의 위쪽부재(16u) 및 아래쪽부재(16ℓ)의 차폭방향의 끝부분이 각각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홈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거시트(14)의 대응하는 플랜지(14f)에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인접하는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6)은 차량대칭면 YO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벳(18)의 등가중심 G와 실질적으로 등거리 XB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 YO로부터 거리 XA=XB/2 만큼 떨어진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였을때, YB와 YA와의 사이에 (YB/YA)2=1.5~2.5 바람직하게는 2인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41 and 19 show a ni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member (1) of the erode cross member 16 having the same planar shape as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 16u) and the end portio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16L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 14f of the gutter 14 having a groove-shaped cross s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18, respectively. ) Is fixed to the web 14W by the rivet 20 to the web 12W of the adjacent side rail. The cross member 16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Y O a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equivalent center G substantially the position P B to the equal distance X B of the plurality of rivets 18 to the Y B, and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distance from the Y O X a = X B / 2 time as much as hayeoteul a position apart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of the P a to Y a, (Y B / Y a) between the Y B and Y a 2 = 1.5 ~ 2.5 Preferably, a relationship of two is established.

상기 제8실시예 및 제9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비틀림시험을 행하여 크로스멤버의 전후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발생응력을 조사하였던 바, 상기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와의 결합부분 부근에 있어서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종래보다 대폭적으로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은 모두 위쪽부재(16u)와 아래쪽부재(16ℓ)이 크로스멤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있고 차폭방향 양끝의 V자형 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폐쇄단면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비틀림강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나,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래쪽부재(16ℓ)이 위쪽부재(16u)의 끝부분에만 고착되어서 V자형의 한쪽부분을 형성하고, 따라서 크로스멤버의 중간부분은 개방단면의 위쪽부재(16u)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틀림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악이입형크로스멤버(16)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the torsion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ted stresses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crossmembers.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ide rails 12 was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retard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In addition, in the erode cross member 16 shown in FIGS. 17 to 19, both the upper member 16u and the lower member 16L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ross member, and the V-shap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The closed section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except the part to have a relatively high torsional rigidity, but as shown in FIG. 20, the lower member 16L is fixed only to the end of the upper member 16u so that one side of the V-shape is formed. Since the middle portion of the cross member is formed of only the upper member 16u of the open end fac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substantially in the erecting cross member 16 having a relatively low torsional rigidity. .

다음에, 제42도에 도시한 본 제3발명의 제10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홈형단면의 크로스멤버(16)을 차체전후방향으로 간격 C를 두고 2개 병설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 C는 예를들면 30㎜~80㎜이다. 각 크로스멤버(16)은 각각의 상하플랜지(16f)를 단면형상이 홈형을 이루는 공통의 거시트(14)의 상하플랜지(14f)에 복수개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되고, 동거시트(14)는 그 웨브(14W)를 사이드레일의 웨브(12W)에 다수의 리벳(20)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Next,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shown in FIG. 42, two crossmembers 16 of the groove-shaped cross se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provided with a space C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s one thing, the said space | interval C is 30 mm-80 mm, for example. Each cross member 16 is fix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6f by the plurality of rivets 18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4f of the common gusset 14 having a cross-sectional groove. The web 14W is fix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by a plurality of rivets 20.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을 제3도에 도시한 제3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므로서, 각각의 크로스멤버플랜지(16f)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각각 저감할수 있어, 크로스멤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병설된 크로스멤버(16)을 제3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웨브(12W)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 체결하고, 또는 제34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레일(12)의 상하플랜지(12f)에 복수의 리벳(18)에 의해서 고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크로스멤버(16)의 평면형상을 각각 제33도, 제34도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10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each cross member 16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 so that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at the free end edge of each cross member flange 16f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of the cross member, thereby improving its durabil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two parallel members 16 are fastened to the web 12W of the side rail 12 by a plurality of rivets 18,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33, when the plurality of rivets 18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f of the side rails 12, the planar shape of each cross member 16 is respectively shown in FIG.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ten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Fig. 34.

또한,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기어장치나 플로펠러샤프트등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크로스멤버(16)을 상하방향으로 만곡시켜도 상기 본 제3발명의 효과 및 이점은 실질적으로 불변하다.Further,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even if the cross member 16 is bent upward and downwar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fferential gear device, floppler shaft or the like,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unchanged.

이상과 같이 본 제1발명에 관한 차량용 차대프레임은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 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의 거리 XA=XB/2를 둔 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등차량대칭면으로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사이의 자유단부 끝부분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의 오목곡선형상을 이루는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험로주행시에 크로스멤버에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해서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 나아가서는 차대프레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astening both ends of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a plurality of rivets to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body distan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width to Y B, and from the vehicle, the mirror plane of at the position P B of a near equivalent center of said plurality of rivet-based distance X 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plane of symmetry X a = When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A at X B / 2 is Y A , and the distance from the equilateral vehicle symmetry surface to the equivalent center is L G , (Y B / Y A ) 2 = 1.5 to 2.5 a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free end between the ends of the P a and P B has a planar shape forms a concave curved shape of a larger curvature than the curvature L G, and off-highway driving in a cross To effectively redu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server can be prevented from its breakage, cross-member furthermore has the advantage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hassis frame.

Claims (2)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 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에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A=XB/2를 둔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동차량대칭면으로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 사이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직선적으로 확개한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대프레임.Wherein both ends of the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fastened by a plurality of rivets, respectively, to the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cross members have a distance X B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of a near equivalent center of the rivet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at a Y B, and wherein the vehicle mirror plane distance X a = X B / 2 based position P a vehicle body front and rear of the When the width of the direction is Y A and the distance from the same vehicle symmetric surface to the equivalent center is L G , (Y B / Y A ) 2 = 1.5 to 2.5, and between P A and P B Vehic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 end edge of the vehicle has a flat shape extending linearly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사이드레일에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크로스 멤버의 양끝부분을 각각 복수의 리벳에 의해 체결해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대칭면으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B를 둔 상기 복수의 리벳의 등가중심 근처의 위치 PB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폭을 YB로 하고, 상기 차량대칭면에서 부터 차폭방향으로 거리 XA=XB/2를 둔위치 PA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폭을 YA로 하고, 또 동차량 대칭면으로부터 상기 등가중심까지의 거리를 LG로 하였을때, (YB/YA)2=1.5~2.5이고, 또한 상기 PA와 PB와의 사이의 자유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곡률 LG보다 큰곡률의 볼록곡선형상을 이루는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대프레임.Wherein both ends of the cross members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fastened by a plurality of rivets, respectively, to the s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cross members have a distance X B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vehicle symmetrical surface.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P B of a near equivalent center of the rivet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at a Y B, and wherein the vehicle mirror plane distance X a = X B / 2 based position P a vehicle body front and rear of the When the width in the direction is Y A and the distance from the symmetry plane of the vehicle to the equivalent center is L G , (Y B / Y A ) 2 = 1.5 to 2.5, and between P A and P B The shape of the free end edge of the vehicle chassis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anar shape forming a convex curve of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L G.
KR1019900008603A 1988-12-13 1990-06-12 Frame for a truck KR01389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14392A JPH0790796B2 (en) 1988-12-13 1988-12-13 Vehicle undercarriage frame
JP63314393A JPH0790797B2 (en) 1988-12-13 1988-12-13 Undercarriage frame for vehicle
JP63314391A JPH0790795B2 (en) 1988-12-13 1988-12-13 Undercarriage frame for vehicle
JP63-314392 1998-12-13
JP63-314393 1998-12-13
JP63-314391 199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61A KR920000561A (en) 1992-01-29
KR0138987B1 true KR0138987B1 (en) 1998-06-01

Family

ID=273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603A KR0138987B1 (en) 1988-12-13 1990-06-12 Frame for a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61A (en)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473B2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US4163578A (en) Main frame assembly for road vehicles
KR100333889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having a member for reinforcing a frame for a motor vehicle
US4401341A (en)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construction
US7032928B2 (en) Vehicle frame
KR0138987B1 (en) Frame for a truck
KR0138988B1 (en) Frame for a truck
KR0138983B1 (en) Frame for a truck
JP2790001B2 (en) Underframe for vehicle
JP3039207B2 (en) Underframe for vehicle
KR20070032133A (en) Structure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rear engine rear drive
KR100204456B1 (en) Chassis frame of truck
CN219487577U (en) Vehicle front floor lower longitudinal beam structure and vehicle
JPH0790795B2 (en) Undercarriage frame for vehicle
JPH0790796B2 (en) Vehicle undercarriage frame
JPH078366Y2 (en) Chassis frame cross members
JP2508688Y2 (en) Vehicle chassis frame
JPH0790797B2 (en) Undercarriage frame for vehicle
KR102386501B1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KR0138985B1 (en) Frame for a truck
KR100271688B1 (en) Lateral rod fix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KR100320867B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front body for bus
JPH0676067B2 (en) Truck undercarriage frame
JP2000190745A (en) Fuel tank supporting structure
JP2508689Y2 (en) Undercarriage frame for trucks,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