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897B1 -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 Google Patents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897B1 KR0138897B1 KR1019920013085A KR920013085A KR0138897B1 KR 0138897 B1 KR0138897 B1 KR 0138897B1 KR 1019920013085 A KR1019920013085 A KR 1019920013085A KR 920013085 A KR920013085 A KR 920013085A KR 0138897 B1 KR0138897 B1 KR 0138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tion
- signal
- audio
- video
- micro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레이져 디크스 플레이어와 같이 비디오와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는 장치에서 자막이 표시되고 있을때 소리를 차단시키기 위한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가 기술되는바, 이는 캡션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자막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동안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외부로부터의 캡션키이신호에 의해 상기의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캡션기능시 오디오신호를 뮤팅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의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캡션 디코더의 출력 파형도.
제3도는 캡션기능시 오디오를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캡션 디코더2:단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
3:마이크로프로세서4:오디오 블럭
5:키이매트릭스6:합성회로
7:비디오블럭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레이저 디스크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뮤트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션기능을 갖는 장치에서 자막이 표시되고 있을때 오디오 신호만을 뮤트시키기 위한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캡션(Caption) 기능이란 청각장애 해소 목적으로 오디오와 함게 비디오를 시청할 경우 오디오에 해당하는 음성, 의해어, 및 의성어 등을 영상화면위에 표시해주는 것인바, 이는 음성, 자막(및/또는 영상)의 형태로 동시에 표시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막(및/또는 영상)만을 보고자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자막이 표시될때 오디오 신호만을 뮤트시켜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혼자서만 비디오 화면을 즐길 수 있으며, 어학테이프(또는 디스크)의 경우 음성 또는 자막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도록한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자막신호를 발생하는 캡션디코더를 구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팅회로로서, 이는 상기의 캡션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자막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동안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외부로부터의 캡션 키이신호에 의해 상기의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캡션기능시 오디오 신호를 뮤팅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시 오디오 뮤팅회로도인 바, 엔코딩된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저역필터에 의해 크로마성분이 제거되어 캡션디코더(1)에 인가된다. 캡션디코더(1)는 내부의 로직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캡션신호를 그의 출력단자(OUT)를 통해 출력하는바, 이 신호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아날로그의 문자신호(즉, 캡션신호)이다.
다시말하면 캡션 기능시나 텍스트 온 상태에서 글씨가 나타날때 캡션디코더(1)의 출력은 제2도에 도시되었는바, 하이구간에서 자막이 실리게 된다.
캡션디코더(1)에서 출력된 신호는 단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2)에 입력되는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는 박스 블랭크 아웃 하이구간을 이용하여 하이상태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단언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을 인식하고, 하이신호가 입력될때 오디오 뮤트신호를 오디오블럭(4)에 제공함으로써 캡션기능이 수행될때 음성신호를 뮤트시키게 된다.
그러나, 자막과 자막사이의 표시시간이 상당히 길어질경우, 캡션디코더(1)의 출력은 로우상태이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3)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오디오가 뮤트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변하는 순간에서부터 카운트를 일정시간 동안 수행한 다음 그래도 로우이면 마이컴(3)의 출력이 로우로되면 음성의 자막이 있고 없음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거나 프로그램에 따라 오디오 뮤트가 오프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키이매트릭스(5)에서 입력되는 키이 신호를 인식하여 캡션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캡션 기능시에 오디오뮤트를 할것인가 안할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비디오와 캡션신호를 혼합하는 합성회로(6)를 제어하여 비디오 블럭(7)으로 하여금 모니터(도시하지 않았음)에 비디오신호 및/또는 자막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캡션키이 입력과 함께 강제로 오디오 뮤트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은 리모콘 또는 셋트에 있는 캡션키이를 사용하여 캡션온시 오디오 뮤트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서 송출함으로써 자막만 표시하고 소리를 강제적으로 뮤팅시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캡션키이를 1회 누르면 캡션기능이 온되는데, 이경우 모니터에서 자막과, 음성 및 영상이 표시되고, 캡션키이를 2회 누르면 텍스트온되어 텍스트화면만이 표시되고, 3회 누르면 캡션기능이 오프되어 일반화면이 표시되고, 4회 누르면, 자막과 영상만이 출력되고 음성(소리)은 뮤팅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내부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캡션기능시 오디오를 뮤트시켜 자막신호와 영상신호를 볼 수 있도록한 제어 플로우챠트인바, 캡션모드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단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2)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바(스텝 S101),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상태일경우(스텝 S102),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오디오 뮤트단자를 하이상태로 하여 오디오블럭(4)으로 하여금 오디오를 뮤트시켜 모니터에는 영상신호와 자막신호가 표시되고, 오디오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스텝 S103).
한편, 입력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이 로우상태일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내부의 카운터를 작동시켜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스텝 S104), 여기에서 카운트 횟수는 30초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카운트를 하도록 프로그램은 스텝(S105)에서 스텝(S104)으로 리턴되지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상태인가를 감시하게 되는데(스텝 S106), 입력신호가 하이상태일경우 오디오 뮤트신호를 하이상태로하여 오디오 블럭으로 하여금 오디오 신호를 차단시킨다(스텝 S107), 그러나 입력신호가 로우일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오디오 뮤트신호를 로우상태로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스텝 S108).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캡션기능 수행시 오디오 신호만을 뮤트시키고, 자막신호와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타인에게 방행를 주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학 테이프의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어학 공부를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자막신호를 발생하는 캡션디코더를 구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에 있어서: 상기의 캡션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자막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동안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외부로부터의 캡션 키이신호에 의해 상기의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캡션기능시 오디오신호를 뮤팅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3085A KR0138897B1 (ko) | 1992-07-22 | 1992-07-22 |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3085A KR0138897B1 (ko) | 1992-07-22 | 1992-07-22 |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2829A KR940002829A (ko) | 1994-02-19 |
KR0138897B1 true KR0138897B1 (ko) | 1998-06-01 |
Family
ID=1933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3085A KR0138897B1 (ko) | 1992-07-22 | 1992-07-22 |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8897B1 (ko) |
-
1992
- 1992-07-22 KR KR1019920013085A patent/KR01388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2829A (ko) | 199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12922B2 (en)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
KR0138897B1 (ko) | 캡션기능시 오디오 뮤트회로 | |
KR100233643B1 (ko) | 성인용 영상 프로그램의 시청 방지방법 및 방지장치 | |
KR200147280Y1 (ko) | 강제리세트시 영상팝노이즈 제거회로 | |
KR0179973B1 (ko) | 시청시간 표시방법 | |
KR100413809B1 (ko) | 브이시알의 구간 반복 재생방법 | |
KR940010182B1 (ko) | 캡션테이프 판단결과에 따른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방법 | |
KR970057111A (ko) | 텔레비디오에서 비디오모드시 시청상태 확인방법 | |
KR100213479B1 (ko) | 성인용 영상프로그램의 시청 방지장치 | |
JPH05244505A (ja) | 字幕映出装置 | |
JPS636975A (ja) | 字幕ス−パ−消去手段付きav機器 | |
KR950009619Y1 (ko) | 캡션 디코우터(caption decoder)동작시 음성신호 뮤트(mute)회로 | |
KR100608255B1 (ko) | Vcr의 오기록 방지방법 | |
KR100361676B1 (ko) | 음성메시지자동재생방법 | |
KR960001259B1 (ko) | Ldp에서의 초기화면 표시방법 | |
KR940008579Y1 (ko) | 영상재생기의 재생영상신호 레벨 표시회로 | |
KR970057024A (ko) | 텔레비전수상기의 vcr 플레이시 vcr모드로의 자동전환방법 | |
KR970025008A (ko) | Tvcr의 재생시 osd 겹침 방지장치 및 방법 | |
JPH08317350A (ja) | 字幕表示装置 | |
KR19980060774U (ko) | 재생계 비디오 신호 전환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 |
KR970017290A (ko) | 일시정지(still) 모드시 모드절환방법 | |
KR970029479A (ko)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막 가림 장치 | |
KR960006559A (ko) | 비디오/오디오 신호 입력 선택회로 | |
KR19990013002A (ko) | 브이.시.알.에서의 재생시 자막 음성 표출 장치 | |
KR970057691A (ko) | 비디오테이프 재생시 일정 부분 가림기능을 갖춘 텔레비디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