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13Y1 -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 Google Patents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13Y1
KR0138613Y1 KR2019960047596U KR19960047596U KR0138613Y1 KR 0138613 Y1 KR0138613 Y1 KR 0138613Y1 KR 2019960047596 U KR2019960047596 U KR 2019960047596U KR 19960047596 U KR19960047596 U KR 19960047596U KR 0138613 Y1 KR0138613 Y1 KR 0138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eam
hole
discharge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646U (ko
Inventor
문무영
Original Assignee
문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무영 filed Critical 문무영
Priority to KR2019960047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1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도중 몸체를 청소하기 위해 나선체결되어 있는 몸체와 변체를 분해시 작동관이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나선체결된 몸체(100)와 변좌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부(300)에 의해 안전변(41)이 받침턱(220)에 밀착되고 상단의 캡은 몸체의 중앙에 구성된 관통공(110)에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증기의 압력에 의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안전변이 상승되어 상기 안전변과 받침턱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증기배출밸브에 있어서, 캡(420)이 안전변(4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0)의 하부로부터 광통공(110)에 캡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의 상단부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본 고안은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도중 몸체를 청소하기 위해 나선체결되어 있는 몸체와 변체를 분해시 작동판이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는 뚜껑의 적당한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취사시 본체 내부의 증기압력이 일정압력 이상되면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해 밸브가 열려 본체의 내부 압력이 열려진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압력을 유지시켜 주면서 취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증기배출밸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측에 다수개의 배출공(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나선체결되도록 하여 내부 중앙에 통공(21)이 구성되고, 상기 통공의 상면에 호형의 받침턱(22)이 구성된 변좌(20)와, 상기 변좌의 중앙에 위치되어 탄성부(30)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증기를 배출시켜 주는 개폐부(40) 즉, 탄성부의 탄지된 상태에서 받침턱의 상면에 안치되어 통공을 밀폐시켜 주는 안전변(41)이 구성되고, 몸체의 상부로부터 광통공에 끼워져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에 요입된 요입흠(13)에 안치될 수 있도록 상단부 외주연에 걸림턱(43)이 구성되어 안전변에 나선체결되는 캡(42)이 구성되며, 상기 안전변과 캡을 관통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4)에 의해 탄지되는 표시봉(4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증기배출밸브는 몸체(10)와 변좌(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중앙의 관통공(11)으로 캡(42)을 관통시켜 주게 되면 상기 캡의 상단 외주연에 구성되어 있는 걸림턱(43)이 요입흠(13)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탄성스프링(44)이 씌워져 있는 표시봉(45)을 안전변(41)에 끼워준 뒤 탄성스프링의 외주연에 위치하도록 안전변의 상면에 탄성부(30)를 올린 상태에서 캡과 안전변을 나선체결에 의해 체결시켜 주게 되면 표시봉과 캡의 내부 상면에 탄지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표시봉의 상단부가 캡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로부터 변좌를 나선체결시켜 주게 되면 밸브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기배출밸브는 압력솥 내에 취사하고저 하는 내용물을 담아 준 상태에서 뚜껑을 덮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취사를 수행하게 되면 취사시 발생된 증기가 내부에서 서서히 높아져 일정한 압력이 되면 상기의 압력에 의해 표시봉이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승이 이루어져 몸체의 내부로 요입되어 있던 표시봉의 상단부가 상부로 출몰이 이루어져 출몰되는 표시봉의 높이에 의해 사용자가 음식물의 취사정도를 직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계속해서 가열되는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즉,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압력이 생성되면 이때부터 증기의 압력에 의해 받침턱에 밀착되어 있던 안전변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상부로 상승되어 안전변과 받침턱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증기가 통공을 거쳐 몸체의 상면에 구성된 배출공으로 배출이 이루어져 내부의 높은 압력을 낮추어주게 되는 것이며, 배출되는 증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변이 하강하여 받침턱에 안착됨으로서 증기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취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기배출밸브는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몸체와 변좌의 내부에 증기에 함유된 음식물찌꺼기가 묻어남에 따라 위생상 청결하지 않아 밸브를 분해시켜 놓은 상태에서 내부를 깨끗이 청소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몸체의 내부를 깨끗이 청소하기 위해서는 안전변을 분리시켜 놓은 뒤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안전변과 걸림턱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캡을 분리시켜 주어야만 캡을 몸체의 상부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몸체의 안전변의 내부만을 청소시켜 주기 위해서 개폐부 즉, 안전변과 캡을 분리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청소가 완료되면 완전히 분리된 개폐부를 전자의 조립순서에 따라 조립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몸체와 변좌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개폐부가 분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몸체의 내부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편리하면서 깨끗하게 제거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해되어 있는 밸브를 용이하게 조립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캡의 안전변과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로부터 관통공에 캡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의 상단부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증기배출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증기배출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관통공
200 : 변좌 400 : 개폐부
410 : 안전변 420 : 캡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증기배출밸브의 단면도로서, 상면 중앙에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측에 다수개의 배출공(12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나선체결되도록 하여 내부 중앙에 통공(210)이 구성되고, 상기 통공의 상면에 호형의 받침턱(220)이 구성된 변좌(200)와, 상기 변좌의 중앙에 위치되어 탄성부(300)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증기를 배출시켜 주는 개폐부(400) 즉, 탄성부의 탄지된 상태에서 받침턱의 상면에 안치되어 통공을 밀폐시켜 주는 안전변(410)이 구성되고, 상기 안전변에 나선체결되어 몸체의 관통공에 선단부가 끼워지는 캡(420)이 구성되며, 상기 안전변과 캡을 관통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30)에 의해 탄지되는 표시봉(44)으로 구성된 증기배출밸브에 있어서, 캡(420)이 안전변(4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0)의 하부로부터 관통공(110)에 캡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의 상단부를 민자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시봉(440)에 탄성스프링(430)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캡(420)을 덮어씌워 준 상태에서 상기의 캡과 안전변을 결합시켜 줌으로서 개폐부(400)가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의 외주연부에 탄성부(300)를 씌워주어 상기 탄성부의 하단부가 안전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안전변의 하부를 변좌(200)의 내부에 구성된 받침턱(220)에 받쳐지도록 안치시켜 준 뒤 몸체와 변좌를 나선체결시켜 주게 되면 캡의 상단부가 몸체의 상단 중앙에 구성된 관통공(110)에 끼워진 상태로 하여 몸체와 변좌가 나선체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캡(420)의 외주연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하단면이 안전변의 상면에 얹혀져 있는 탄성부(300)의 상단면이 몸체의 내면 상단에 접지되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으로 인해 캡이 임의로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변(410)이 받침턱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증기배출밸브는 압력솥 내에 취사하고져 하는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뚜껑을 덮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취사를 수행하게 되면 취사시 발생된 증기가 내부에서 서서히 높아져 일정한 압력이 되면 상기의 압력에 의해 표시봉이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승이 이루어져 몸체의 내부로 요입되어 있던 표시봉의 상단부가 상부로 출몰이 이루어져 출몰되는 표시봉의 높이에 의해 사용자가 음식물의 취사 정도를 직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계속해서 가열되는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즉,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압력이 생성되면 이때부터 증기의 압력에 의해 받침턱(22)에 밀착되어 있던 안전변(410)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상부로 상승되어 안전변과 받침턱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증기가 통공을 거쳐 몸체의 상면에 구성된 배출공으로 배출이 이루어져 내부의 높은 압력을 낮추어주게 되는 것이며, 배출되는 증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변이 하강하여 받침턱에 안착됨으로서 증기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취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몸체의 내면이나 배출공(120) 등에 음식물찌꺼기가 끼어 위생상 청결하지 않아 청소를 하고져 할 경우 몸체(100)와 변좌(200)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상단부 외주연부가 일면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300)에 의해 탄지되어 있던 개폐부(400) 즉, 캡(420)이 관통공(110)의 하부로 빠지게 되어 있어 개폐부를 분해시켜 주지 않는 상태에서도 캡이 몸체(100)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져 상기 몸체만을 청소하고져 할 경우 개폐부를 분리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의 내면이나 배출공(120)에 묻어있는 음식물찌꺼기를 깨끗이 제거시켜 줄 수 있게됨은 물론, 음식물의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중앙에 구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개폐부의 캡을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캡을 안전변과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로부터 관통공에 끼워준 뒤 몸체와 변좌를 결합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개폐부의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확히 맞추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 사용 도중 몸체의 내면 및 배출공에 묻어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시켜 주고져 할 경우 몸체와 변화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광통공에 단순히 끼워져 있는 캡이 몸체의 하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개폐부를 분리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로부터 캡을 분리시켜 줌에 따라 몸체를 편리하면서도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나선체결된 몸체(100)와 변좌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부(300)에 의해 안전변(410)이 받침턱(220)에 밀착되고 상단의 캡은 몸체의 중앙에 구성된 관통공(110)에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증기의 압력에 의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안전변이 상승되어 상기 안전변과 받침턱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증기배출밸브에 있어서, 캡(420)이 안전변(4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0)의 하부로부터 관통공(110)에 캡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의 상단부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2019960047596U 1996-12-11 1996-12-11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0138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596U KR0138613Y1 (ko) 1996-12-11 1996-12-11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596U KR0138613Y1 (ko) 1996-12-11 1996-12-11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646U KR19980034646U (ko) 1998-09-15
KR0138613Y1 true KR0138613Y1 (ko) 1999-03-20

Family

ID=1947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596U KR0138613Y1 (ko) 1996-12-11 1996-12-11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646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192B2 (en) Frying pan
AU2004237932A1 (en) Waste outlet plug
US5490616A (en) Teakettle
KR0138613Y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US4193166A (en) Knob for a pan cover
KR0138612Y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19990000231U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안전장치
KR200422882Y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EP1216641A1 (fr) Appareil de cuisson comportant un couvercle pivotant équipé d'un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des condensats
KR200211172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200171229Y1 (ko) 조리용 기름비산방지판
KR200190006Y1 (ko) 증기 배출 장치
KR0131848Y1 (ko) 이쑤시개통
KR100223292B1 (ko) 압력솥의 압력표시 밸브
KR200339237Y1 (ko) 개폐 가능한 기름 배출부를 가지는 구이 판
CN217338206U (zh) 一种防溢阀及压力锅具
KR102207170B1 (ko) 싱크 배수장치
KR200277098Y1 (ko) 전기 쿠커
KR200495922Y1 (ko)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된 조리용팬
US20050155499A1 (en) Culinary nozzle
KR19990010582U (ko) 전기밥솥의 속뚜껑 착탈구조
KR20160099176A (ko) 화력 조절 타이밍을 알려주는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20230151230A (ko)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KR200279292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KR900011248Y1 (ko) 압력솥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