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56B1 - 윤곽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윤곽보정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56B1
KR0138356B1 KR1019930000460A KR930000460A KR0138356B1 KR 0138356 B1 KR0138356 B1 KR 0138356B1 KR 1019930000460 A KR1019930000460 A KR 1019930000460A KR 930000460 A KR930000460 A KR 930000460A KR 0138356 B1 KR0138356 B1 KR 013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signal
reference level
unit
cont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덕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56B1/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윤곽을 강조하는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입력영상신호를 지연시키고 기준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와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출력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입력영상신호나 지연된 영상신호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출력신호 값의 큰 변화를 방지하여 윤곽강조시 발생되는 흑백반전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되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윤곽보정회로
제1도는 종래의 윤곽보정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윤곽보정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제3도 각부의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딜레이부2:리미터
20:기준레벨 설정부30:제어부
40:선택부ADD1, ADD2:가산기
이 발명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곽강조시 흑백반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처리 장치의 윤곽보정 시스템에 있어서는 윤곽을 강하게 강조하거나 신호의 값 변화가 큰 신호의 윤곽보정시 흑백반전이 발생하여 영상화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제1도는 종래의 윤곽보정회로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영상신호 입력단(IN)으로부터의 제2도 (a)와 같은 파형의 입력영상신호를 딜레이부(1)를 통하여 일정시간 딜레이시켜 제2도(b)와 같은 파형의 신호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를 가산기(ADD1)에서 가산하여 윤곽부분을 추출한후, 리미터(2)에서 윤곽부분의 레벨을 조정하여 가산기(ADD2)에서 상기 최초 입력영상신호와 가산함으로써 제2도(E)와 같은 파형의 윤곽이 강조된 신호를 얻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신호와의 입력레벨의 차가 큰 경우와 리미터(2)의 출력레벨을 크게하여 윤곽을 강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윤곽보정된 신호의 윤곽부분에서 흑백반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흑백반전은 영상화면상에서 노이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시감에도 매우 거슬리게 되어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윤곽강조시 출력신호의 신호값의 크기 변화폭을 줄임으로써 흑백반전 현상을 방지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윤곽보정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영상신호입력단에 연결되어 입력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와, 윤곽보정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기준레벨 설정부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 및 딜레이부 및 기준레벨 설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딜레이부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와 기준레벨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 및 딜레이부 및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중에서 출력할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로 구성되는 윤곽보정회로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윤곽보정회로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영상신호 입력단(IN)에 입력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1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윤곽보정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기준레벨 설정부(20) 및 상기 딜레이부(10)에 제어부(30)를 연결시켜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와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출력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IN) 및 딜레이부(10) 및 제어부(30)에는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중에서 출력할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40)를 연결시키며, 이 선택부(40)는 스위치(SW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서 영상신호 입력단(IN)을 통해 제4도(a)와 같은 파형으로 입력된 입력 영상신호는 지연부(10)에 입력되어 제4도(b)와 같이 일정시간 지연된후 제어부(30) 및 선택부(40)로 입력되는 한편 제어부(30)에 지연되지 않은 형태로 입력된다.
그리고 기준레벨 설정부(20)에서 윤곽보정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레벨은 제어부(30)에 입력되어 상기 입력된 입력영상신호와 딜레이부(20)에 의해 일정시간 지연된 영상신호와 비교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지연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부(40)의 스위치(SW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기준레벨 이상으로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입력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부(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신호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는 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상 감소하는 경우에 출력신호에 입력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부(40)는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중에서 출력할 신호를 선택하게 되고, 이 선택된 신호가 윤곽보정된 신호로 출력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기준레벨의 값에 따라서 윤곽보정되는 정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선택부(40)의 스위칭에 의해 출력되는 윤곽보정신호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그 크기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흑백반전현상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이 발명은 윤곽보정회로에 있어서, 출력신호 값의 큰 변화를 막고 출력신호의 윤곽부분 변화를 빠르게 해줌으로써 윤곽부분의 주파수를 고주파로 확장시켜 윤곽부분을 주위신호에 비하여 뚜렷하게 보이게 함으로써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영상신호 입력단(IN)에 연결되어 입력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10)와,
    윤곽보정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기준레벨 설정부(20)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IN) 및 딜레이부(10) 및 기준레벨 설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딜레이부(10)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와 기준레벨 설정부(20)에 의해 설정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IN) 및 딜레이부(10) 및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지연된 영상신호중에서 출력할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40)로 구성되는 윤곽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40)는 스위치(SW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KR1019930000460A 1993-01-15 1993-01-15 윤곽보정회로 KR013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460A KR0138356B1 (ko) 1993-01-15 1993-01-15 윤곽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460A KR0138356B1 (ko) 1993-01-15 1993-01-15 윤곽보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8356B1 true KR0138356B1 (ko) 1998-05-15

Family

ID=1934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460A KR0138356B1 (ko) 1993-01-15 1993-01-15 윤곽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8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ise and fall time of a video signal
JPH04271669A (ja) 階調補正装置
JP2847653B2 (ja) キー装置
US4935806A (en) Chroma noise reduction and transient improvement
US20020167614A1 (en) Edge correction circuit
KR0138356B1 (ko) 윤곽보정회로
JP20061799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6937287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RE34176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ise and fall time of a video signal
JPH0818674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20010032B1 (ko) 영상처리 시스템에서의 영상휘도 신호의 변화 레벨 적응형 윤곽 보정방법 및 회로
JPH07274195A (ja) 色適応型利得制御回路
KR100263041B1 (ko) 휘도신호 흑, 백 레벨 보정회로
KR0150959B1 (ko) 적응형 화상윤곽 보정회로
KR0139155B1 (ko) 적응형 윤곽보정장치
US6670999B1 (en) Contour emphasiz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910009509B1 (ko) 디지탈 영상처리용 수평윤곽 보정회로
KR950004113B1 (ko) 윤곽 보정신호 발생장치
KR930003968B1 (ko) 영상신호의 윤곽 보정회로
JPH05316393A (ja) 輪郭補正回路
KR910008020B1 (ko) 디지탈 영상 신호처리용 코어링회로
JPH06622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40000981B1 (ko) 영상신호 윤곽보정시스템
KR0133869Y1 (ko) 보간기
KR19990066313A (ko) 선명도 조절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