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44Y1 - 공기 청정실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44Y1
KR0137544Y1 KR2019930011374U KR930011374U KR0137544Y1 KR 0137544 Y1 KR0137544 Y1 KR 0137544Y1 KR 2019930011374 U KR2019930011374 U KR 2019930011374U KR 930011374 U KR930011374 U KR 930011374U KR 0137544 Y1 KR0137544 Y1 KR 0137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cover
collect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63U (ko
Inventor
전수현
Original Assignee
안재학
삼성코닝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학, 삼성코닝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재학
Priority to KR2019930011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44Y1/ko
Publication of KR950000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작업실로 필터링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다수의 필터(50)를 사용해야 하는데 따른 비용의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필터(50)를 정확한 시기에 교체하지 않음에 따른 제품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실(51)에 밀폐 상태인 커버(2)를 설치하며, 상기한 커버(2)에 서로 대향되고 유입공기를 상향시키는 루버(3,4)를 설치하고, 상기한 루버(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함과 아울러 냉각시키도록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5)을 상기한 공기 청정실(51)의 내, 외부에 설치하며, 상기한 분사수단(5)에서 분사된 물을 집수하여 재사용하는 집수조(16)와, 상기한 집수조의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 수단(7)으로 구성된 워터 루버부(1)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워터 루버부(1)의 후방에 필터(50)를 설치함으로써 필터(5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실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워터 루버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워터 루버부 2 : 커버
3 : 제1루버 4 : 제2루버
5 : 분사수단 6 : 배수관
7 : 온도조절수단 8,9,10 : 노즐
11 : 공급순환수단 12 : 공급관
13 : 펌프 14 : 조절부재
15 : 가열부재 16 : 집수조
17 : 격벽 18 : 경사부
19 : 집수공 20 : 보충수
21 : 유입관 22 : 순환수 여과수단
23 : 집수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공기 청정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필터를 순차 배열하므로써 송풍기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데 다른 필터의 사용량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필터의 교체시기를 넘겼을 때 발생되는 유입 공기량의 감소와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용 패널 유리의 성형등가 같이 작업실이 먼지등 불순물이 배제되어야 하는 장소에는 성형용 금형 및 유리제품 등의 냉각을 위해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작업실로 공급하는 공기 청정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기 청정실은 외부의 공기를 다단계로 설치된 정화장치를 거쳐 먼지와 불순물 등을 제거한 후 작업실로 공급하게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된 공기에 소정의 습도와 온도를 갖게 함으로써 유리제품 등을 냉각시키고 작업실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공기 청정실에 배치된 다수의 필터들은 동일한 것 또는 상이한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작업실에 공급되는 공기는 소정의 습도와 온도를 갖도록 소정의 습도 및 온도조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필터를 공기 청정실 내부에 순차 배열하고 일측에서 송풍기로 공기를 강제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필터를 통과시켜 작업실로 이송시킴은 더러워진 다수의 필터를 교환하는데 따른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더러워진 필터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맞추지 못했을 때는 필터링이 불완전하게 되어 오염된 상태인 외부공기가 작업실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생산 제품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외기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필터링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 냉각공기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어 냉각용 공기를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관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과 사용 냉각공기의 유동량이 많아져 생산공정의 오염 요인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실로 필터링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다수의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따른 비용의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필터를 정확한 시기에 교체하지 않음에 따른 제품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실을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 청정실에 밀폐 상태인 커버를 설치하며, 상기한 커버에 서로 대향되고 유입공기를 흡입시키는 루버를 설치하고, 상기한 루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함과 아울러 냉각시키도록 물을 분산하는 분사구단을 상기한 공기 청정실의 내, 외부에 설치하며, 상기한 분사수단에서 분사된 물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과, 상기한 유입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워터 루버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워터 루버부의 후방에 필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한 필터는 기존의 설비보다 적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분사수단은 유입 공기의 통로를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여기서 분사되는 물이 공기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워터 커텐을 형성하게 된다.
[작용]
송풍기로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되면 상기한 공기는 워터 루버부를 통과함과 아울러 상기한 워터 루버부의 후방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여 작업실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한 워터 루버부를 외부공기가 통과시 표면이 수분에 젖은 상태의 제1,2루버에 의해 공기가 여과 유입되고 분사수단에서 분사되어 형성되는 워터 커텐에 의해 외부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이 집수조에 워터와 함께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상기한 워터 커텐을 통과한 공기는 1차 필터링된 상태로 워터 루버부를 통과하여 필터에 의해 다시 필터링됨으로서 완전히 청정공기가 된다.
특히, 워터 커텐에 의해 1차 필터링된 공기는 냉각되는 바, 이는 하절기에 외부공기의 온도가 높을 경우 냉각 효율이 낮아져 사용 공기의 량이 많아지게 되는 요인을 감소하게 됨으로써 생산 공정의 오염 요인의 감소와 함께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실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워터 루버부(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후면에는 2개의 필터(50)가 순차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송풍기(5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워터 루버부(1)는 커버(2)로 둘러 쌓여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밀폐된 공간 즉, 공기 청정실(51) 내부에 필터(50)와 같이 순차배치되어 있다.
송풍기(52)를 통해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되면 제1루버(3)를 통해 외부공기가 커버(2) 내부로 유입되는 바, 선단이 하향된 제1루버(3)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며, 분사수단(6)으로 인해 제1루버(3) 표면이 젖어 있으므로 유입 공기중의 먼지가 여과된다.
물론, 상기한 제1,2루버(3,4)는 설치하지 않아도 먼지 제거는 가능하지만 그 효과가 미약하게 된다.
이때, 커버(2)의 내, 외부 상부에 설치된 분사수단(5)으로 분사되는 물이 워터 커텐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공기속에 함유된 먼지 등이 여과됨과 아울러 워터 루버부(1)를 통과하여 후방에 설치된 필터(50)에 의해 재차 여과된다.
여기서, 상기한 워터 루버부(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의 대향측면에 설치된 제1,2루버(3,4)와, 상기한 커버(2)의 내,외 상부에 설치된 분사수단(5)과, 상기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6)과, 집수조(16)에 모아진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분사수단(5)은 커버(2)의 내, 외부에 설치된 제1,2,3노즐(8,9,10)과, 상기한 각 노즐(8,9,1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순환수단(11)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제1노즐(8)은 커버(2)의 외부 즉, 제1루버(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3노즐(9,10)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공급수단(11)은 다수의 노즐(8,9,10)과 연결된 공급관(12)과, 상기한 공급관(12)으로 물을 압송하는 펌프(13) 및 물을 집수하여 순환재 사용하는 유입관(21), 유입관(21)에 설치된 순환수 여과수단(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온도조절수단(7)은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4)와, 상기한 조절부재(14)에 연결되고 집수조(21)의 저면에 넓게 배치된 가열부재(15)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가열부재(15)로 온수 또는 냉수 등을 통과시켜 커버(2)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특히, 동절기 등에 분사수단(5)을 통해 분사된 물이 동결되지 않게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2)의 내, 외부에 다수의 노즐(8,9,10)을 배치함은 외부공기에 함유된 먼지 제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나 커버(2)의 내부에 하나만 설치하여도 된다.
여기서, 공기 청정실(51)의 외부에 설치된 제3노즐(10)을 통해 분사된 물은 제2루버를 통해 커버(2) 외부로 튀어나갈 경우 커버(2)에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된 집수수단(23)을 통해 집수조(16)로 집수되는 바, 상기한 집수수단(23)은 물이 집수수단(23)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17)과, 상기한 격벽(17)에 의해 차단된 물이 공기 청정실(5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사부(18)와, 공기 청정실(51) 내부의 격벽(17)을 연결해 주는 집수공(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집수공(19)과 경사부(18)에 의해 제3노즐(10)에서 분사되어 제2루버(4)의 외부로 튀어 나간 물은 집수수단(23)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집수조(16)로 집수후 공급순환수단(11)에 의해 재사용된다. 이때 유입관(21)에 설치된 순환수 여과수단(22)에서 필터링되어 압송된다.
물론, 상기한 제1,2,3노즐(8,9,10)의 길이는 커버(2)의 공기 유입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게 된다.
커버(2)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한 제1,2,3노즐(8,9,10)에서 분사된 물 즉, 워터 커텐에 의해 먼지등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2루버(4)를 통과하여 필터(50)로 유입된다.
필터(50)로 유입된 공기는 재차 필터링됨으로써 작업실에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제1,2루버(3,4)가 분사수단(5)에서 분사된 물에 젖을 경우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소량 함유된 먼지 등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물을 분사하여 워터 커텐을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중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한 후 필터로 다시 필터링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냉각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커버(2)와, 상기 커버(2)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필터(50)와, 상기 필터의 전면에 워터 커텐을 형성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5)과, 상기 분사수단에서 분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6)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실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5)은, 커버(2)의 내부에 설치된 제1,2노즐(8,9)과, 상기 커버(2)의 외부에 설치된 제3노즐(10)과, 상기 각 노즐(8,9,1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11)과, 상기 제3노즐(10)에서 분사된 물을 커버(2) 내부의 집수조(16)로 집수시키는 집수수단(2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실.
  2. 제1항에 있어서, 집수수단(23)은, 제3노즐(1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집수수단(23) 밖으로 튀지 않게 하는 격벽(17)과, 상기 격벽(17)의 저면을 배수관(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부(18)와, 상기 커버(2)와 격벽(17)을 연결하는 집수공(19)으로 구성되고, 공급수단은 다수의 노즐(8,9,10)과 연결된 공급관(12)과, 물을 압송하는 펌프(13), 물을 집수하여 순환 재사용하는 유입관(21), 유입관(21)에 설치된 순환수 여과수단(21)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실.
KR2019930011374U 1993-06-25 1993-06-25 공기 청정실 KR0137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374U KR0137544Y1 (ko) 1993-06-25 1993-06-25 공기 청정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374U KR0137544Y1 (ko) 1993-06-25 1993-06-25 공기 청정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63U KR950000563U (ko) 1995-01-03
KR0137544Y1 true KR0137544Y1 (ko) 1999-03-20

Family

ID=1935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374U KR0137544Y1 (ko) 1993-06-25 1993-06-25 공기 청정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39B1 (ko) *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408859B1 (ko) * 2012-06-29 2014-06-19 주식회사 혜천산업 공장의 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물질의 제거를 위한 더스트 박스
KR101483498B1 (ko) * 2013-03-11 2015-01-16 디에스엔텍주식회사 산업용 난방설비에 적합한 배기가스 정화 세정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70A (ko) * 2001-05-15 2002-11-23 김원빈 수막형 공기 정화기
CN108262929A (zh) * 2018-03-16 2018-07-10 贺州市宜居船木工艺装饰有限公司 一种编织袋的拉丝生产车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39B1 (ko) *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408859B1 (ko) * 2012-06-29 2014-06-19 주식회사 혜천산업 공장의 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물질의 제거를 위한 더스트 박스
KR101483498B1 (ko) * 2013-03-11 2015-01-16 디에스엔텍주식회사 산업용 난방설비에 적합한 배기가스 정화 세정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63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9135B (zh) 空调器室内机、空调器室外机及空调器
KR100482926B1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KR0137544Y1 (ko) 공기 청정실
KR20150061127A (ko) 백필터의 탈진 및 건조를 위한 집진기
JPH0364779B2 (ko)
CN110449431B (zh) 一种液晶模组显示屏在加工过程中的除尘装置
CN218358084U (zh) 一种厂房降温除尘装置
JP3868189B2 (ja) エアワッシャ
JPH0440205A (ja) 循環水の浄化装置
KR200388725Y1 (ko) 분진집진기
CN112815439B (zh) 一种通风除尘系统
CN112238093A (zh) 一种超声波清洗装置
CN214211465U (zh) 一种智能装备零配件生产车削除尘设备
KR20060018566A (ko) 냉,난방장치
KR0165286B1 (ko) 클린부스 장치
JP2004245438A (ja) 冷水塔
JP4730586B2 (ja) 汚染物質除去装置
CN219934701U (zh) 一种糕点立式冷却塔
CN214307570U (zh) 一种空调制冷设备的防尘装置
CN210584233U (zh) 一种应用在纺织车间中的空气净化系统
CN219186327U (zh) 一种废气喷淋清洗柜
CN215236258U (zh) 一种箱体往返式清洗机
CN214406336U (zh) 一种化妆品车间用除尘换气装置
CN213026937U (zh) 一种具有除湿和净化功能的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