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90Y1 -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90Y1
KR0137490Y1 KR2019960026693U KR19960026693U KR0137490Y1 KR 0137490 Y1 KR0137490 Y1 KR 0137490Y1 KR 2019960026693 U KR2019960026693 U KR 2019960026693U KR 19960026693 U KR19960026693 U KR 19960026693U KR 0137490 Y1 KR0137490 Y1 KR 0137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 door
stopper
slid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096U (ko
Inventor
장호
Original Assignee
조래승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래승,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래승
Priority to KR2019960026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멈춤장치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도어(100) 내측면(110)의 소정위치에 나사(400)체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도어스토퍼(200)는 전면에 체결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어스토퍼의 일측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도어(100)의 일측면으로 절곡된 절곡구(21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곡구(210)가 메일웨지의 기능을 하여 슬라이드 도어(100)가 레일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Slide)되어 바디패널(300)의 접촉면(310)에 접촉하여 결합할 때 슬라이드 도어(100)를 멈추게 하고 슬라이드 도어(100)가 바디패널(300)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슬라이드 도어(100)에 체결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하나의 부품으로 3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하도록 하여 도어스토퍼(200)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에 체결되어 도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멈춤장치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Door Stopp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스토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한꺼번에 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도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 도어(10)의 내측면(11)으로 도어스토퍼(20)가 소정의 위치에 나사(60)체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도어(10)의 일측면으로는 메일웨지(Male Wedge)(30)가 소정의 위치에 상,하로 나사(61)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일웨지(30)의 전면에는 안내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돌기(31)의 상·하로는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일웨지(30)와 대향되는 위치로 바디패널(Body Panels)(50)의 일측면에 나사(62)체결되어 있는 피메일웨지(Female Wedge)(40)는 전면에 안내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41)의 상,하로는 체결공(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는 슬라이드 도어(10)가 레일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 되어 바디패널(50)의 접촉면(51)에 접촉될 때 메일웨지(30)의 안내돌기(31)가 피메일웨지(40)의 안내홈(41)으로 삽입되어 결합하고, 슬라이드 도어(10) 내측면(11)에 나사(60)체결된 도어스토퍼(20)는 슬라이드 도어(10)가 바디패널(50)의 접촉면(51)에 접촉하여 결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에서는 슬라이드 도어에 체결되어 있는 메일웨지와 피메일웨지 그리고 도어스토퍼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시에 충격흡수와 멈춤장치의 같은 기능을 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에 체결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메일웨지와 피메일웨지가 결합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도어스토퍼의 일측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면으로 메일웨지의 기능을 하는 절곡구를 형성하고 절곡구가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도어스토퍼를 형성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3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스토퍼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라이드 도어 200 : 도어스토퍼
210 : 절곡구 220 : 체결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절개 분해사시도로서, 슬라이드 도어(100) 내측면(110)의 소정위치에 나사(400)체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도어스토퍼(200)는 전면에 체결공(220)을 형성하고 일측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도어(100)의 일측면으로 메일웨지의 기능을 하는 절곡구(210)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도어(100)의 일측면으로 나사(410)체결되어져 있는 절곡구(210)는 전면에 체결공(23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메일웨지와 피메일웨지 그리고 도어스토퍼(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어스토퍼(200)에 있어서 도어스토퍼(20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진 절곡구(210)가 메일웨지의 기능을 하여 슬라이드 도어(100)가 레일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Slide)되어 바디패널(300)의 접촉면(310)에 접촉하여 결합할때 슬라이드 도어(100)를 멈추게하고 슬라이드 도어(100)가 바디패널(300)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드 도어의 메일웨지와 피메일웨지 그리고 도어스토퍼의 기능을 갖는 일체형의 도어스토퍼를 형성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에 체결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하나의 부품으로 3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하도록 하여 도어스토퍼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본체에 부착되어 고정된 바디패널(300)의 일측면에서 레일의 안내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슬라이드 도어(100)의 소정 위치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된 도어스토퍼(200)를 포함하는 도어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토퍼(200)의 일측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구(210)가 슬라이드 도어(100) 일측의 고정안내홈에 적어도 2곳 이상이 면접촉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10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100)의 도어스토퍼(200) 구조.
KR2019960026693U 1996-08-30 1996-08-30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KR0137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693U KR0137490Y1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693U KR0137490Y1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096U KR19980013096U (ko) 1998-06-05
KR0137490Y1 true KR0137490Y1 (ko) 1999-04-01

Family

ID=194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693U KR0137490Y1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096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29349A (ja) 車両のランプ・ユニツト
KR0137490Y1 (ko)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도어스토퍼 구조
KR100535762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고정구조
CN211354576U (zh) 一种静音滑轨
CN110720766A (zh) 静音滑轨
KR950004341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방시의 스톱퍼장치
JP3946801B2 (ja) 調整ストライク
KR870011613A (ko) 도어조립체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9990019304U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댐퍼
KR100412514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930006524Y1 (ko) 지프승용차의 앞범퍼 적재함 장치
KR200352616Y1 (ko) 가구의 도어 스톱채널
JPH0610840Y2 (ja) スライド棚付き収納家具
KR100969022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선세이드 소음방지구조
KR0132607Y1 (ko) 완충용 클립을 구비한 콘솔 박스
KR970041696A (ko) 차량용 본네트의 충격흡수구조
KR940008130Y1 (ko) 카셋트의 도어 개방장치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200186003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댐퍼
KR970065175A (ko) 리어 콘솔
KR100558418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라인 구조
JP2965880B2 (ja) 車両のサンルーフ装置
KR100321609B1 (ko) 차량의 리어 시트 마운팅 구조
JPH055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