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488Y1 -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488Y1
KR0136488Y1 KR2019950018690U KR19950018690U KR0136488Y1 KR 0136488 Y1 KR0136488 Y1 KR 0136488Y1 KR 2019950018690 U KR2019950018690 U KR 2019950018690U KR 19950018690 U KR19950018690 U KR 19950018690U KR 0136488 Y1 KR0136488 Y1 KR 0136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indicator
lock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699U (ko
Inventor
이세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8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488Y1/ko
Publication of KR970007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조립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원격제어기의 광수신부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인디케이터(30)의 수평부(36) 저면에 록킹돌기(32)가 형성되고, 프론트 캐비넷(50)에 록킹돌기(32)가 록킹되는 록킹구멍(5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인디케이터(30)의 수직부(35)에 가이드 구멍(33)이 형성되고 프론트 캐비넷(50)에 그 가이드 구멍(33)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5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 장치
제1도는 광수신부가 채용된 통상의 전자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광수신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 수신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인디케이터 32 : 록킹돌기
37 : 가이드리브 40 : 수광소자
50 : 프론트 캐비넷 52 : 가이드돌기
본 고안은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디케이너(indicator)의 조립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텔레비젼등의 전자제품의 프론트 캐비넷(20)에는 원격제어기(미도시)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 수신부(10)가 마련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캐비넷(20)의 내부에는 수광소자(11)가 회로기판(1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20)에 형성된 관통구멍(22)에는 인디케이터(1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측에 각각 나사고정용 고정구멍(13b)과 프론트 캐비넷(20)에 지지되기 위한 결합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20)의 내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13)가 고정되는 보스(23)와, 상기 결합구멍(13a)이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13)는 상기 결합구멍(13a)을 가이드돌기(21)에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구멍(13b)을 통하여 고정나사(15)로서 보스(23)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조립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립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광 수신부 장치는, 고정나사(15)를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고정나사(15)의 사용에 따른 부품관리 및 원가상승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 수신부의 인디케이터의 조립이 간단하고 원가절감등에 유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관통구멍이 형성된 캐비넷 내부에 수용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와 대응되는 캐비넷에 소정의 조립수단에 의해서 조립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원격제어기의 광수신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수신창이 형성된 수직부와, 그 저면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넷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록킹되는 록킹구멍이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 수신부장치는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구멍에 정위치로 록킹될 수 있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넷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장공을 형성하여 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부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에 상기 가이드구멍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사이에 보강을 위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광 수신부장치는 인디케이터의 조립을 종래와 같이 고정나사로서 고정하지 않고, 록킹돌기를 형성하여 록킹구멍에 탄력적으로 록킹시켜 고정함으로써 그 조립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 수신부장치를 나타낸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제품의 프론트 캐비넷(50) 내부에는 원격제어기로부터 조작되는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소자(40)가 회로기판(41)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40)와 대향되는 상기 프론트 캐비넷(50)에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캐비넷(50)의 내측에는 소정의 조립수단에 인디케이터(30)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조립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기 인디케이터(30)는 상기 관통구멍(51)에 삽입되는 수신창(34)이 형성된 수직부(35)와, 그 저면에 록킹돌기(32)가 형성된 수평부(36)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50)에는 상기 록킹돌기(32)가 록킹되는 록킹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창(34)을 관통구멍(51)에 진입시킴과 동시에 록킹돌기(32)를 프론트 캐비넷(50)의 저면에 슬라이딩 시키면서 록킹구멍(53)에 록킹시킨다. 이때 록킹돌기(32)는 록킹구멍(53)의 가장자리에 강제적으로 그리고 탄력적으로 진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돌기(32)가 상기 록킹구멍(53)에 정위치로 록킹될 수 있도록 상기 인디케이터(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평부(36)의 저면에 가이드리브(37)를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50)에 상기 가이드리브(3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장공(5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37) 및 가이드 장공(54)은 상기 인디케이터(30)의 조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가이드수단에 의해서 인디케이터(30)의 수신창(34)이 관통구멍(51)에 정확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됨과 동시에 록킹돌기(32)가 록킹구멍(53)에 정확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35)에 가이드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50)에는 상기 가이드구멍(33)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인디케이터(30)가 상기 록킹돌기(32)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고정하고, 가이드 돌기(52)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35)와 수평부(36)사이에는 보강용 리브(31)가 형성되어서, 수평부(36)와 수직부(35)를 가지는 인디케이터(30)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광수신부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즉, 인디케이터(30)는 상기 록킹돌기(32)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돌기(52)에 결합되는 가이드 구멍(33)에 의해서 상항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그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하며, 종래에서와 같이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5)

  1. 관통구멍이 형성된 캐비넷 내부에 수용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와 대응되는 캐비넷에 소정의 조립수단에 의해서 조립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수신창이 형성된 수직부와, 그 저면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넷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록킹되는 록킹구멍이 형성되어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구멍에 정위치로 록킹될 수 있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넷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장공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에 상기 가이드구멍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사이에 보강용 리브가 더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KR2019950018690U 1995-07-26 1995-07-26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KR0136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690U KR0136488Y1 (ko) 1995-07-26 1995-07-26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690U KR0136488Y1 (ko) 1995-07-26 1995-07-26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99U KR970007699U (ko) 1997-02-21
KR0136488Y1 true KR0136488Y1 (ko) 1999-05-01

Family

ID=1941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690U KR0136488Y1 (ko) 1995-07-26 1995-07-26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4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99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32376A (ja) テレビ受像器の筐体
KR0136488Y1 (ko) 원격제어기의 광 수신부장치
KR950008079Y1 (ko) 텍트 스위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연동버턴 취부장치
KR0133881Y1 (ko) 가전제품의 잭 커버장치
KR100463728B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판넬체결장치
KR0132089Y1 (ko) 복합tv의 브이씨알 취부구조
JPH0630941Y2 (ja)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受光素子搭載板の取付構造
KR0129063Y1 (ko) 스마트 카드 케이스의 장착구조
JPH09210737A (ja) 計器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JP3562291B2 (ja) 液面検出ユニットの固定構造
KR0117508Y1 (ko) Vcr의 안테나보드 장착구조(antenna board mounting structure of vcr)
KR100221406B1 (ko) 개선된 피씨비 프레임을 구비하는 티브이씨알 결합 구조물
JPH021956Y2 (ko)
KR19990023657U (ko) 전자제품의 보조 인쇄회로기판 결합장치
KR0120857Y1 (ko) Vcr의 접지구조
KR0121386Y1 (ko)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물 체결장치
KR0133402Y1 (ko) 메인샤시없는 가전기기의 세트 조립장치
KR930006491Y1 (ko) 캐비넷의 고정장치
KR01338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그라운드 장치
KR950002306Y1 (ko) 자기 기록 재생기의 카세트 하우징 고정장치
KR19980023270U (ko) 텔레비젼(tv)용 인쇄회로기판(pcb)의 수직 설치구조
KR0126844Y1 (ko) 모니터용 엘이디 비임의 취부구조
KR19990000835U (ko) 모니터의 시그날케이블 고정구조
KR20010108908A (ko) 엘시디모니터의 회로기판 고정장치
KR19980059857U (ko) 랙(rack)의 프론트 및 리어 패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