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359Y1 -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59Y1
KR0136359Y1 KR2019960014910U KR19960014910U KR0136359Y1 KR 0136359 Y1 KR0136359 Y1 KR 0136359Y1 KR 2019960014910 U KR2019960014910 U KR 2019960014910U KR 19960014910 U KR19960014910 U KR 19960014910U KR 0136359 Y1 KR0136359 Y1 KR 0136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ocument
support
shaft
docu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695U (ko
Inventor
안종규
Original Assignee
안종규
주식회사엑토사무용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규, 주식회사엑토사무용품 filed Critical 안종규
Priority to KR2019960014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359Y1/ko
Publication of KR980004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11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document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여 각종 문서 작성시 서류를 지지하기 위한 서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할 경우에 고정앵글을 중심으로 한 서류 지지체의 여하한 선회위치에서도 참고서류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상태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서류 지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참고서류를 파지하여 지지할 수 있는 서류 지지체(1)와, 상기 서류 지지체(1)를 지지하도록 모니터에 부착되는 고정앵글(2)과, 그리고 양단이 차례로 상기 서류 지지체(1) 및 고정앵글(2)에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류 지지체(1) 및 고정앵글(2)을 상호 연결하는 이중관절아암(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서류 지지체(1) 또는 아암(3)을 잡고 아암(3)을 전후로 당기면, 고정앵글(2)의 제 2 축부(22)를 중심으로 한 아암(3)의 좌우선회와, 제 2 결합부(32)를 중심으로 한 서류 지지체(1)의 회동이 함께 일어나므로 참고서류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아암(3)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으로 분할함으로써, 서류 지지체(1)의 상하회동 및 아암(3)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좌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고정앵글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아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동 저면도.
제8도는 아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아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의 분해 및 결합을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를 사용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종래 서류 지지대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류 지지체 2 : 고정앵글
3 : 이중관절아암 11 : 지지판
12,22,43 : 축부 13 : 고정클립
14 : 비틀림스프링 21 : 수평플랜지
23 : 양면접착테이프 31,32,44 : 결합부
41 : 제1아암 42 : 제2아암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여 각종 문서 작성시 서류를 지지하기 위한 서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류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아암을 이중관절 형태로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류를 임의의 위치 및 방향에 놓고 볼 수 있도록 한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때에는 참고서류를 보면서 문서를 작성하는 하는 일이 많고, 이 때 대개의 경우 컴퓨터 본체의 좌우 또는 앞 위치에 참고서류를 펼쳐 놓고 문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성자는 참고서류를 보기 위하여 고개를 돌리거나 구부리는 일을 장시간 반복함으로써 눈이나 목의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참고서류를 바라보기 편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예컨대 책상 위에 여유공간이 충분할 때에는 독서대가 사용되고, 책상 위의 공간이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컴퓨터 모니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류 지지대가 사용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류를 지지하기 위한 도구 중에서, 컴퓨터 모니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서류 지지대로서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하여 모니터(5)에 부착되는 고정판(8)과, 상기 고정판(8)에 이것을 중심으로 90° 좌우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92)를 가진 지지판(91) 및 상기 지지판(91)의 상단에 비틀림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클립(93)으로 된 서류 지지체(9)로 구성된 것이 종래 대표적인 서류 지지대이다.
그러나, 상기한 서류 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통상 모니터(5)의 화면과 서류 지지체(9)의 앞면이 일직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서류 지지체(9)에 참고서류를 지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경우에는 참고서류가 모니터(5)의 화면을 가리는 경우가 많아 작업에 불편한 요소가 있었다.
둘째, 상기한 것과 같이 모니터(5)의 화면을 가리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서류 지지체(9)를 고정판(8)을 중심으로 앞으로 선회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경우에는 시야각이 서류 지지체(9)의 앞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기 때문에 참고서류를 정면으로 볼 수 없어 참고서류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고, 또한 글씨를 잘보기 위해서는 고개를 많이 돌려야 했으므로 눈, 고개 및 어깨가 피로해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셋째, 서류 지지대는 책 등의 두꺼운 것은 지지할 수 없으므로 책상의 서류 지지대 하부 위치에 참고서적을 지지하기 위한 독서대를 두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독서대의 상단과 서류 지지체(9)의 하단이 상호 간섭되어 독서대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서류 지지체(9)를 고정판(8)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아예 서류 지지대 자체를 모니터(5)로부터 분리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공간활용도의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류 지지체(9)의 지지판(91)이 대략 A4용지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류 지지대의 미사용시에는 시야를 가려 답답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할 경우에 서류를 임의의 위치 및 방향으로 놓고 볼 수 있도록 한 서류 지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목적은 미사용시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서류를 파지하여 지지할 수 있는 서류 지지체와, 상기 서류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모니터에 부착되는 고정앵글과, 그리고 양단이 차례로 상기 서류 지지체 및 고정앵글에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류 지지체 및 고정앵글을 상호 연결하는 이중관절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목적을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서류 지지체의 상부에는 제 1 축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아암의 일단에 상기 제 1 축부를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앵글의 상부에는 제 2 축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아암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축부를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서류 지지체가, 상단에 제 1 축부가 형성된 대략 A4용지 길이의 1/2 ∼ 1/4 정도의 중앙부 폭을 가진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류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부가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에 의하면, 모니터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부에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되는 고정앵글의 제 2 축부를 축으로 하여 아암이 360도 좌우선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서류 지지체도 아암의 제 1 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360도 좌우선회할 수 있다. 즉, 아암이 이중관절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의 화면과 서류 지지체의 앞면이 일직선상에 놓인 위치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모니터의 화면을 가려 불편을 느끼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서류 지지체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서류 지지체를 잡고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기만 하면, 제 2 결합부의 회동에 의한 아암의 선회와, 서류 지지체의 제 1 축부를 축으로 한 아암의 제 1 결합부의 회동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서류 지지체의 지지판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판의 앞면에 대한 시야각을 항상 직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서류 지지대를 미사용할 경우에는 아암을 모니터의 뒤쪽으로 선회시키면 모니터 옆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독서대 등을 책상의 모니터 옆 위치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동 정면도이며, 제3도는 동 좌측면도로서, 참조부호 1은 서류 지지체, 참조부호 2는 모니터(5)(제12도 참조)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고정앵글, 그리고 참조부호 3은 상기 서류 지지체(1) 및 고정앵글(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이중 관절아암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서류 지지체(1)는 상단에 제 1 축부(12)가 형성된 대략 A4용지 길이의 1/2 ∼ 1/4 정도의 중앙부 폭을 가진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상단에 비틀림 스프링(14)에 의하여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류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고정클립(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1)은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크도록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유선형으로 테이퍼진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참고서류(6)(제12도 참조)를 지지하였을 때, 참고서류(6)의 양단부가 뒤쪽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11)은 양단부가 호형을 그리면서 중앙부보다 앞쪽으로 굴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참고서류(6)를 지지하면, 참고서류(6)의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약간 앞으로 나오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축부(12)는 링부(121)와, 상기 링부(121)의 하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이 지지판(122)의 상단에 일체로 지지되는 외향 플랜지(122)와, 상기 링부(121)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123)(124)(125)(여기서는 3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3)(124)(125)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는 노치부(126)(127)(128)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향 플랜지(122)의 상면에는 다수의 호형 돌기(129)(여기서는 4개)(제1도 및 제3도 참조)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고정앵글(2)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플랜지(21)의 상면에 상기 제 1 축부와 동일한 형태의 제 2 축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 플랜지(21)의 하면에는 외면에 박리지(24)가 부착된 양면접착테이프(23)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박리지(24)를 제거한 후 모니터(5)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양면접착테이프(23)를 부착함으로써 고정앵글(2)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앵글(2)의 제 2 축부(22)는 링부(221)와, 상기 링부(221)의 하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이 상기 수평 플랜지(21)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외향 플랜지(222)와, 상기 링부(221)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223)(224)(225)(여기서는 3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223)(224)(225)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는 노치부(226)(227)(228)로 형성된다. 또한 이 제 2 축부(22)에서도 상기 외향 플랜지(222)의 상면에는 다수의 호형돌기(229)(여기서는 4개)를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암(3)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서류 지지체(1)의 제 1 축부(12)에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 및 고정앵글(2)의 제 2 축부(22)에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는 중앙에 결합코어(312)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부(12)의 링부(121) 또는 상기 제 2 축부(22)의 링부(22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링부(311)와, 상기 링부(121 또는 221)가 삽입되었을 때 회동에 의하여 제 1 축부(12)의 걸림턱(123)(124)(125) 또는 제 2 축부(22)의 걸림턱(223)(224)(22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부(311)의 하단 내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안쪽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313)(314)(315)(여기서는 3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313)(314)(315)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는 노치부(316)(317)(318)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부(311)의 하면을 따라 제 1 축부(12)의 호형 돌기(129) 또는 제 2 축부(22)의 호형 돌기(229)와 대응하는 호형 홈(319)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1 결합부(31)와 제 1 축부(12) 또는 제 2 축부(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 상호간의 회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31)의 상부는 상기 결합코어(3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31)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마개(33)로 착탈가능하게 덮인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32)는 상기한 제 1 결합부(3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 진 것으로서, 중앙에 결합코어(312)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부(12)의 링부(121) 또는 상기 제 2 축부(22)의 링부(22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링부(311)와, 상기 링부(121 또는 221)가 삽입되었을 때 회동에 의하여 제 1 축부(12)의 걸림턱(123)(124)(125) 또는 제 2 축부(22)의 걸림턱(223)(224)(22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부(311)의 하단 내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안쪽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313)(314)(315)(여기서는 3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313)(314)(315)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는 노치부(316)(317)(318)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부(311)의 하면을 따라 제 1 축부(12)의 호형 돌기(129) 또는 제 2 축부(22)의 호형 돌기(229)와 대응하는 호형 홈(319)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1 결합부(32)와 제 1 축부(12) 또는 제 2 축부(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 상호간의 회동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32)의 상부는 상기 결합코어(3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41)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마개(34)로 착탈가능하게 덮인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 지지체(1)를 사용하지 않는 위치 및 고정앵글(2)을 모니터(5)에 부착할 수 없는 위치, 즉 서류 지지체(1)의 지지판(11)의 앞면과 고정앵글(2)의 수평 플랜지(21)가 수직으로 만나는 위치에 놓일 때, 이들 서류 지지체(1), 고정앵글(2) 및 아암(3)을 상호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축부(12)의 걸림턱(123)(124)(125), 제 2 축부(22)의 걸림턱(223)(224)(225), 상기 제 1 결합부(31)의 걸림턱(313)(314)(315) 및 제 2 결합부(32)의 걸림턱(313)(314)(315)의 배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8도는 이중관절아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암(3)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으로 나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 1 아암(41) 또는 제 2 아암(42) 중의 어느 한 쪽 아암의 분할면에 상기한 축부들(12)(22)과 동일한 형태의 제 3 축부(43)를 형성하고, 다른 쪽 아암의 분할면에는 상기한 결합부들(31)(32)과 동일한 형태의 제 3 결합부(4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을 상호 착탈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눈높이와 참고서류의 지지 높이가 서로 다를 경우에, 서류 지지체(1) 쪽의 제 1 아암(41)을 상하로 회동하면 서류 지지체(1)가 상하로 선회하므로, 이 때도 또한 참고서류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가 설치된 높이에 따라 서류 지지체(1)를 알맞은 상하각도로 선회하여 첨부서류를 바라보기 좋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9도는 아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아암(3)은 상기 제 1 아암(41)의 제 3 축부(43)의 중앙에 축(45)을 형성하고, 반대로 제 2 아암(41)의 제 3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축(45)이 회동 및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공(46)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축(45)의 회동에 의하여 서류 지지체(1)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축(45)의 진퇴에 따라 아암(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앵글(2)에 부착된 양면접착테이프(23)의 박리지(24)를 제거한 다음,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앵글(2)을 모니터(5)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부에 부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를 설치한다.
다음에, 서류 지지체(1)에 참고서류(6)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클립(13)의 상단을 눌러 고정클립(13)의 하단이 위쪽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지지판(11)과 고정클립(13)과의 사이를 벌린다. 그리고, 이 벌어진 틈 사이에 참고서류(6)의 상단을 넣은 다음 고정클립(13)의 상단을 놓으면, 비틀림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클립(13)의 하단이 다시 하향 선회하여 참고서류(6)의 상단을 협지하므로 참고서류(6)를 지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참고서류(6)를 지지한 상태가 모니터(5)의 화면과 일직 선상에 놓여 모니터(5)의 화면을 가리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나 상황에 따라 참고서류(6)의 지지위치를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서류 지지체(1) 또는 아암(3)을 잡고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을 앞쪽으로 당기거나 뒤쪽으로 밀면, 고정앵글(2)의 제 2 축부(22)를 중심으로 한 아암(3)의 좌우선회와, 제 2 결합부(32)를 중심으로 한 서류 지지체(1)의 좌우회동이 함께 일어나므로 참고서류(6)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참고서류(6)를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아암(3)을 이중관절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참고서류(6)를 항상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서류 지지체(1)를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아암(3)을 제8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의 이분할 구조로 채용했을 경우에는, 서류 지지체(1)의 높이와 눈높이가 다를지라도 서류 지지체(1) 쪽의 제 1 아암(41)을 상하로 회동하여 눈높이를 맞출 수 있으므로, 참고서류(6)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효과는 더욱 상승된다. 따라서, 지지되는 참고서류(6)를 항상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 고개 및 어깨 등이 피로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편안한 상태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암(3)을 축(45) 및 축공(46)에 의하여 중앙부를 회동 및 신축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눈높이 및 지지된 참고서류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라도 축(45)의 회동에 의하여 서류 지지체(1)를 상하 회동할 수 있으므로 이 때도 물론 참고서류(6)를 정면으로 바라보도록 할 수 있고, 폭이 넓은 참고서류에 의하여 모니터(5)의 화면이 가리는 경우에는 축(45)을 축공(46)으로부터 적당한 길이만큼 후퇴하면 모니터(5)의 화면을 가리는 일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서류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고 책상의 모니터(5) 옆의 위치에 예컨대 독서대 등을 놓고 여기에 지지되는 참고서적을 참조보면서 문서를 작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판(11)의 크기가 작으므로 독서대를 놓아도 독서대의 상단과 지지판(11)의 하단이 간섭되지 않으며, 만약 간섭된다 하여도 아암(3)을 뒤쪽으로 밀어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독서대와 지지판(11)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1)의 크기가 작고, 또한 모니터(5) 뒤쪽으로 서류 지지체(1)를 선회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미사용시에 서류 지지대의 뒤쪽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는 부가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에 제 1 축부(12)가 형성된 지지판(11), 참고서류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판(11)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1)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클립(13)을 가지는 서류 지지체(1)와; 상기 서류 지지체(1)를 지지하도록 모니터(5)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단에 제 2 축부(22)가 형성된 고정앵글(2)과; 그리고, 상기 제 1 축부(12) 및 제 2 축부(22)와 좌우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류 지지체(1) 및 고정앵글(2)을 상호 연결하도록 양단에 차례로 제 1 결합부(31) 및 제 2 결합부(32)가 형성된 이중관절아암(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3)은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으로 나뉘고, 또한 상기 제 1 아암(41)의 분할면에는 상기 축부들(12)(22)과 동일한 형태의 제 3 축부(43)가 형성되고, 제 2 아암(42)의 분할면에는 상기 결합부들(31)(32)과 동일한 형태의 제 3 결합부(4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아암(41) 및 제 2 아암(42)이 상호 착탈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축부(43)의 중앙에 축(45)이 형성되고, 제 3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축(45)이 회동 및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공(4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12)는 링부(121)와, 상기 링부(121)의 하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이 지지판(122)의 상단에 일체로 지지되는 외향 플랜지(122)와, 상기 링부(121)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걸림턱들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축부(22)는 링부(221)와, 상기 링부(221)의 하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이 수평 플랜지(21)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외향 플랜지(222)와, 상기 링부(221)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걸림턱들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치부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31) 및 제 2 결합부(32)는 제 1 축부(12)의 링부(121) 또는 상기 제 2 축부(22)의 링부(22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링부(311)와, 상기 링부(121 또는 221)가 삽입되었을 때 회동에 의하여 제 1 축부(12)의 걸림턱(123)(124)(125) 또는 제 2 축부(22)의 걸림턱(223)(224)(22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부(311)의 하단 내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안쪽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걸림 턱들에 의하여 이것들의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치부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플랜지(122)(222)의 상면에는 다수의 호형 돌기 (129)(229)가 반경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31) 및 제 결합부(32)의 링부(311)의 하면에는 상기 호형 돌기(129 또는 229)와 대응하는 호형 홈(319)이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KR2019960014910U 1996-06-04 1996-06-04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KR0136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910U KR0136359Y1 (ko) 1996-06-04 1996-06-04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910U KR0136359Y1 (ko) 1996-06-04 1996-06-04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695U KR980004695U (ko) 1998-03-30
KR0136359Y1 true KR0136359Y1 (ko) 1999-03-30

Family

ID=1945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910U KR0136359Y1 (ko) 1996-06-04 1996-06-04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3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93A (ko) * 2002-11-25 2003-07-28 문경태 컴퓨터용 카피홀더
KR20030064579A (ko) * 2002-01-28 2003-08-02 박재우 컴퓨터 장착 이중 서류클립 액세서리
KR20200000797U (ko) * 2018-10-11 2020-04-21 김용태 모니터용 선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79A (ko) * 2002-01-28 2003-08-02 박재우 컴퓨터 장착 이중 서류클립 액세서리
KR20030063093A (ko) * 2002-11-25 2003-07-28 문경태 컴퓨터용 카피홀더
KR20200000797U (ko) * 2018-10-11 2020-04-21 김용태 모니터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695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890B2 (en) Foldable table for notebook-computer
JP4531263B2 (ja)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US6260486B1 (en) Stand for supporting and securing items such as a portable computer
US7458555B2 (en) Multi-positional universal book holder
TW393597B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rticulated display
US5927673A (en) Adjustable viewing stand
US5154391A (en) Multi-purpose document support stand
CN210716804U (zh) 支撑装置
US20120068043A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holder systems
US5080315A (en) Work station organizer and copyholder
US20030226947A1 (en) Keyboard support with retractable auxiliary support platforms
KR0136359Y1 (ko) 이중관절아암을 구비한 모니터용 서류 지지대
WO1990001422A1 (en) Draft/copy holder
US6050201A (en) Swiveling automotive kneeboard
US6874736B1 (en) Keyboard support
US6264156B1 (en) Multi-function computer work aiding board
WO2005069798A2 (en) Computer mounted file folder apparatus
US5098128A (en) Computer monitor pad holder
US6027218A (en) Viewing system for lap top computers
JPH05503473A (ja) ドローイング装置
JP4678908B2 (ja) アームスタンド
KR200232596Y1 (ko) 컴퓨터 모니터용 서류취부클립
JPH03161816A (ja) コンピュータ
CN219643946U (zh) 电子设备支架
JPS60244188A (ja) ヘツ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1031

Effective date: 200207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