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295Y1 - 창문의 창문틀 - Google Patents

창문의 창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295Y1
KR0136295Y1 KR2019960000506U KR19960000506U KR0136295Y1 KR 0136295 Y1 KR0136295 Y1 KR 0136295Y1 KR 2019960000506 U KR2019960000506 U KR 2019960000506U KR 19960000506 U KR19960000506 U KR 19960000506U KR 0136295 Y1 KR0136295 Y1 KR 0136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rizontal
window
protrud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790U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60000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295Y1/ko
Publication of KR970049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창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수직부재(51)(53)에 삽입되도록 그 측부에 다수의 돌출코어(55a, 55a', 55a)(55b, 55b', 5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수직부재(51, 53)를 외측에서 밀착지지 하도록 상기 돌출코어(55a, 55a')(55b, 55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55g, 55g')( 55h, 55h·)가 형성되며, 배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돌출코어(55a, 55a', 55a)( 55b, 55b', 55b)가 이루는 내각측에 배수구멍(55f, 55f', 55i)이 형성된 연결구(55)를 그 모서리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평/수직부재와 연결구의 결합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의 창문틀
제1도는 일반적인 창문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 창문의 창문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 다른예에 의한 창문의 창문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의 창문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수평부재 53 : 수직부재
55 : 연결구 55e,55e' : 돌출부
55g,55g',55h,55h' : 돌기 55f,55f',55i : 배수구멍
본 고안은 창문의 창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1)이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창물틀(1)의 내부에는 창틀(3, 3')이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창틀(3)의 내부에는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이 투시되도록 창유리(5, 5')가 삽입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창문틀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수평부재(11, 11')와 수직부재(13, 13')의 양단이 서로 용착되어 사각테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창문틀은 상기 수평부재(11, 11')와 수직부재(13, 13')의 양단면을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45°)로 절단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용착함에 의해 제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용착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창문틀은 그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한번 제조된 창문틀은 분해가 불가능하므로 창문틀의 수리 및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21)와 수직부재(23)가 연결구(25)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케 연결된 창문틀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21)와 수직부재(23)의 내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창틀이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도록 다수의 안내레일부(21a, 23a)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안내레일부(21a)(23a)사이에는 다수의 요입공간(21b)(23b)이 수평부재(21)와 수직부재(2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재(21)와 수직부재(23)의 내부에는 중량을 줄임과 동시에 상기 연결구(25)의 후술하는 돌출코어가 삽입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1)의 안내레일부(21a)에는 그 내부에 흘러든 물을 유출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5)의 측부에는 상기 수평부재(21)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25a)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25)와 수평부재(21)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27)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5c)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25)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부재(23)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2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25b)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25)와 수직부재(23)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27)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5d)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코어(25a)와 돌출코어(25b)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안내레일부(21a)와 안내레일부(23a)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안내레일부(21a)와 안내레일부(23a)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높이 및 폭으로 된 돌출부(25e, 25e')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창문틀의 조립은 수평부재(21) 및 수직부재(23)의 단부를 상기 연결구(25)의 돌출코어(25a)(25b)에 외삽한 후, 연결구(25)의 관통구멍(25c)(25d)에 체결부재(27)(예를 들면 VIS)를 삽입하여 조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1) 및 수직부재(23)의 단부면에는 상기 체결부재(27)를 조임에 따라 나사구멍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멍은 그 내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나사부재에 의해 나사가 용이하게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PVC 등의 플라스틱재로 된 각종부재를 현장에서 결합하는 구멍이다.
그런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창문틀은 우천시나 창유리에 맺히는 이슬 등으로 인해 요입공간(21b, 23b)를 타고 흐르는 물을 상기 배수구멍(21c)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도록 창문의 시공시에는 상기 연결구(25)의 돌출부(25e, 25e')에 통로를 형성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21) 및 수직부재(23)는 압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외부치수는 정확한데 비해 내부치수는 정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돌출코어(25a)(25b)는 상기 수평부재(21) 및 수직부재(23)에 정착/견고히 내삽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장에서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배수가 용이하도록 그 연결구 자체에 배수구멍을 형성한 창문의 창문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돌출코어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수평 수직부재의 외면을 밀착지지함에 의해 상기 수평/수직부재와 연결구의 결합을 정착하고 견고하게 한 창문의 창문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창문의 창문틀은, 수평/수직부재에 삽입되도록 그 측부에 다수의 돌출코어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수직부재를 외측에서 밀착지지하도록 상기 돌출고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배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돌출코어가 이루는 내각측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연결구를 그 모서리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51)와 수직부재(53)는 연결구(55)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케 연결되어 창문틀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평부재(51)와 수직부재(53)의 내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창틀이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도록 다수의 안내레일부(51a)(53a)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안내레일부(51a)(53a)사이에는 다수의 요입공간(51b)(53b)이 수평부재(51)와 수직부재(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재(51)와 수직부재(53)의 내부에는 중량을 줄임과 동시에 상기 연결구(55)의 후술하는 돌출코어가 삽입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51)의 안내레일부(51a)에는 그 내부에 흘러든 물을 유출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구멍(5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55)의 측부에는 상기 수평부재(51)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55a, 55a', 5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55a, 55a', 55a)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55)와 수평부재(51)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57)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55c)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55)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부재(53)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55b, 55b', 5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55b, 55b')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55)와 수직부재(53)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57)가 삽입되는 관통구멍(55d)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코어(55a, 55a')와 돌출코어(55b, 55b')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안내레일부(51a)와 안내레일부(53a)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안내레일부(51a)와 안내레일부(53a)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높이 및 폭으로 된 돌출부(55e, 55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5e, 55e')의 하측부에는 상기 요입공간(51b, 53b)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배출시키도록 배수구멍(55f, 55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55)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수구멍(55f, 55f')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유출하도록 배수구멍(55i)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부재(51, 53)를 외측에서 밀착지지 하도록 상기 연결구(55)의 측부 및 상부에는 상기 돌출코어(55a, 55a')(55b, 55b')차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55g, 55g')(55h, 55h')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문틀의 조립은, 상기 수평 부재(51) 및 수직 부재(53)의 단부의 저면이 상기 돌기(55g, 55g')의 상측면 및 상기 돌기(55h, 55h')의 좌측면에 밀착하도록 수평 부재(51) 및 수직 부재(53)의 단부를 상기 연결구(55)의 돌출 코어(55a, 55a', 55a)(55b, 55b', 55b)에 외삽한 후, 연결구(55)의 관통 구멍(55c)(55d)에 체결 부재(5)(예를 들면 VIS)를 삽입하여 조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의 창문틀에 의하면, 수평/수직부재(51, 53)의 요입공간(51b, 53b)을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연결구(55)의 배수구멍(55f)(55f')(55i)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므로, 창문의 시공시에 현장에서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배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코어(55a, 55a')의 하측 및 상기 돌출코어(55b, 55b')의 우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55g, 55g')(55h, 55h')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수직부재(51, 53)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므로, 상기 수평/수직부재(51, 53)와 연결구(55)의 결합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의 장문틀에서는 연결구(55)의 배수구멍(55f, 55f') (55i)이 개방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내로 유입하는 공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필요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55f, 55f') (55i)중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커버부재를 배설한 구조도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문의 창문틀은 상기 돌출코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코어가 이루는 내각측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연결구를 그 모서리에 구비함에 의해, 현장에서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평/수직부재와 연결구의 결합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수평/수직부재(51)(53)에 삽입되도록 그 측부에 다수의 돌출코어(55a, 55a', 55a)(55b, 55b', 5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수직부재(51)(53)를 외측에서 밀착지지 하도록 상기 돌출코어(55a, 55a')(55b, 55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55g, 55g')(55h, 55h')가 형성되며, 배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돌출코어(55a, 55a', 55a)(55b, 55b', 55b)가 이루는 내각측에 배수구멍(55f, 55f', 55i)이 형성된 연결구(55)를 그 모서리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창문틀.
KR2019960000506U 1996-01-16 1996-01-16 창문의 창문틀 KR0136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506U KR0136295Y1 (ko) 1996-01-16 1996-01-16 창문의 창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506U KR0136295Y1 (ko) 1996-01-16 1996-01-16 창문의 창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90U KR970049790U (ko) 1997-08-12
KR0136295Y1 true KR0136295Y1 (ko) 1999-03-30

Family

ID=1944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506U KR0136295Y1 (ko) 1996-01-16 1996-01-16 창문의 창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98B1 (ko) * 2002-01-26 2004-10-15 용 해 이 창틀 프레임의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03Y1 (ko) * 2002-02-05 2002-05-17 용 해 이 창틀 프레임의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98B1 (ko) * 2002-01-26 2004-10-15 용 해 이 창틀 프레임의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90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508518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体
EP0428589A4 (en) Connection system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0136295Y1 (ko) 창문의 창문틀
US4688619A (en) Expandable screen
US5013105A (en) Screwless electronic instrument enclosure
JPS6313357Y2 (ko)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JP2006348569A (ja) 浴室用窓接続枠
KR200438493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KR20210138430A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 및 이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2030411B1 (ko) 창호 시스템
KR0175995B1 (ko) 창문의 체결장치
JPH11287069A (ja) 片引戸枠
GB2248648A (en) Sliding door and window frame joints and packing elements for such joints
KR200144935Y1 (ko) 창문틀의 연결장치
KR0114550Y1 (ko) 방창틀용 코너연결구
KR200167092Y1 (ko) 창문용 골조
KR200258013Y1 (ko) 샤시 모서리 조립구조
JPH0423186Y2 (ko)
JPH0523750Y2 (ko)
KR200163146Y1 (ko) 오목형 창문틀용 연결구
JPH017815Y2 (ko)
JP6723902B2 (ja) 建具
JPH10238232A (ja) 合成樹脂製の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