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65B1 - 축열식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가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65B1
KR0135965B1 KR1019920020141A KR920020141A KR0135965B1 KR 0135965 B1 KR0135965 B1 KR 0135965B1 KR 1019920020141 A KR1019920020141 A KR 1019920020141A KR 920020141 A KR920020141 A KR 920020141A KR 0135965 B1 KR0135965 B1 KR 013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heating
temperatur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96A (ko
Inventor
미찌오 야나도리
유우이찌 게이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3002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마루) 또는 노반을 가열하는 축열식가열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종래의 축열식가열장치는 가열량의 제어를 할 수 없어, 필요 이상의 열이 쓸데없이 버려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것을 해결하는 데 있다.
축열체(3)를 수납한 탱크(2), 축열체(3)내에 설치한 히터(4), 공기순환용 덕트(5), 덕트(5)의 일부에 설치한 팬(6), 통(2)의 일부에 설치한 열교환기(8)로 구성된 축열장치(100)를 바닥(마루)(또는 노반)(1)과 열적으로 결합하고, 축열체(3)에 축열한 열을 필요량에 따라 바닥(마루)(또는 노반)(1)에 수송하고, 바닥(또는 노반)(1)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이 방법으로서 상기 열교환기(8)와 바닥(마루)(또는 노반)(1)부에 설치한 방열용 파이프(10)를 파이프(11)에 의하여 순환로를 구성하도록 연결하고, 그 내부에 넣은 액체의 순환량을 펌프(8)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바닥(마루) 또는 노반의 가열량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에너지가 절약되고, 쾌적감이 높아지고 바닥 및 노반의 변형도 없어져 실용적으로 공급되어 편리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축열식 가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에 나탄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13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14도는 제13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변형예의 구성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축열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입체사시도
제17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8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1도는 축열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3도는 제20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머니를 수축시킨 상태에서도 종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주머니 안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킨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5도는 축열소자를 방석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제26도는 축열소자를 구두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제27도는 축열서자를 조끼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제28도는 축열소자를 각로(脚爐)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제29도는 축열서자를 매트리스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루2 : 탱크
3 : 축열체4 : 히터
5 : 덕트6 : 팬
7 : 모터8 : 열교환기
9 : 펌프16 : 센서
17 : 혼합코크13 : 액체
24 : 탱크33,34,35 : 덕트
36 : 분출구37 : 흡기구
38 : 노즐40 : 응축기
41 : 액체리턴관42 : 증발기
43 : 히터44 : 탱크
45 : 액체46 : 상승관
47 : 증기이동관48 : 히터
49 : 액체리턴관50 : 연소기
60 : 뎀퍼61 : 밸브
70 : 신축주머니75 : 용기
82 : 탱크83 : 액체
74 : 압축기76 : 진공펌프
91 : 간막이판100 : 축열장치
200 : 열전달장치300 : 축열소자
305 : 밀착부306 : 보온재
307 : 주머니310 : 코드
311 : 구두창400 : 방석
401 : 구두402 : 조끼
403 : 각로(脚爐)404 : 매트리스
본 발명은 축열장치를 이용하여 마루(바닥)및 노반(路盤)을 가열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축열소자 및 그것을 이용한 방석, 구두, 조끼, 각로(脚爐), 매트리스 및 모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열장치로서는 융설용(融雪用)의 노반가열장치로서는, 일본 기계학회 제34회 특별강습회 텍스트(소화 54년 2월 20일)의 제37페이지 내지 제48페이지에 기재된 히터 파이프의 에너지 절약에의 응용인 것이 있다. 또, 마루(바닥)의 가열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 소59-18028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일본 기계학회 제34회 특별강습회 텍스트에 기재된 융설용의 노반가열장치 및 일본국 특개 소59-180285호 공보에 기재된 마루의 가열장치는 가열량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다량의 열량이 헛되게 버려지고 있고, 때로는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져 바닥 및 노반이 변형되기도 하고, 쾌적성의 면에서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가열량 제어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및 노반의 변형이 적고, 쾌적성이 좋은 축열식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일상품에 적용할수도 있으며 쾌적성이 좋은 축열소자 및 축열소자를 이용한 방석, 구두, 조끼, 각로, 매트리스 및 모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는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를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그 열전달장치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를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체의 열량의 상기 열전달장치에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에 열매체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열적으로 결합하는 열전달장치를 구비하고, 그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축열체로부터 상기 피가열체에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축열체와 그 축열체에 설치된 히터와 열전달장치의 일부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수납하고, 상기 팬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유로를 구성한 축열장치를 상기 축열체와 열전달장치의 일부에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 장치에 의하여 피가열체와 축열장치를 열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피가열체에 설치된 센서의 축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액체와 열전달장치의 일부를 수납하는 탱크와, 상기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축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피가열체와 축열장치를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열전달장치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신축주머니와 상기 피가열체와 신축 주머니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주머니를 수축, 팽창시키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까지는 축열체와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내의 기체의 봉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열체로 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와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도입, 배제, 강제순환하도록 구성하고, 그 액체의 순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를 수납하고, 또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상기 축열체로 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개재시킨 축열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축열장치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 파이프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도중에 설치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를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상기 축열장치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상기 축열장치와는 별체로 설치되어 액체를 수납한 탱크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 파이프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도중에 설치한 펌프와, 혼합코크를 구비한 것이로서, 상기 탱크의 액체를 상기 파이프에 의하여 한쪽은 상기 혼합코크에 직접 유입시키고, 다른 쪽은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피가열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그 조절기에 의하여 상기 축열장치내의 팬의 회전속도 제어와 상기 펌프의 유량제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탱크내의 액체가 보유하는 열을 팬코일유닛에 수송하여 난방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의 덕트와, 축열장치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용 덕트와, 그 덕트들에 온풍을 보내는 가변풍량형의 팬으로 구성된 장치로 한 것이다.
또, 상기 연결용 덕트의 일부에 흡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축열장치에 설치한 증발기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응축기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증기이동관과 액체리턴관과, 액체리턴관의 도중에 설치한 탱크와, 그 탱크와 상기 증발기 사이의 액체리턴관을 상승시킨 상승관과, 그것들의 내부에 봉입한 증발성 액체와, 상기 상승관의 밑에 설치한 히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센서의 출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그 조절기에 의하여 상기 상승관의 밑에 설치한 히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밀폐순환령 열사이펀인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히터 파이프인 것이다.
또, 상기 신축주머니를 수축, 팽창시키는 수단이, 상기 신축주머니에 밸브를 매개로 하여 접속된 압축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압축기를 운전함으로써 기체를 도입하여 신축주머니를 팽창시킴으로써 축열체를 평면부
를 가지는 피가열체에 밀착시키고,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신축주머니속의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축열체를 상기 피가열체로부터 떨어지게 함으로써 열흐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이, 상기 축열장치내에 축열체를 상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하고, 그 탱크 안에 기체를 도입하는 기구를 구비하여 탱크내의 기체의 기압을 변화시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가열체에 축열장치 상면이 접촉되게 한 것이다.
또,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이, 상기 축열장치내에 축열체를 상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하고, 축열장치내의 일부에 덕트와 기체순환용 팬을 설치하고, 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켜 피가
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상기 축열체의 상부에 간막이판을 설치하고, 바깥 간막이판의 단부에 분출구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는,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써,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제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2장의 외피사이에 축열재를 밀봉한 부분과, 축열재를 설치하지 않은 밀착부를 형성하고, 그 밀착부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축열소자의 외면이 보온재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외피의 외면에 히터를 설치한 것이다.
또, 상기 보온재의 내부, 보온재의 외표면에 히터를 설치한 것이다.
또, 상기 외피의 표면, 보온재의 내부, 보온재의 외표면에 주머니를 설치하고, 이 주머니내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상기 축열소자를 복수매 중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를 수납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그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위한 전기코드를 설치하여 방석을 형성한 것이다.
또, 구두창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그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위한 전기코드를 설치하기 위한 암컷(此佳)측 플러그를 설치하여 구두를 형성한 것이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조끼를 형성한 것이다.
또, 각로내의 바닥부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소자를 보온재로 둘러싸 각로를 형성한 것이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매트리스를 형성한 것이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모포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는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를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그 열전달장치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거나, 혹은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를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체의 열량의 상기 열전달장치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거나, 또는 피가열체와 축열체를 수납한 축열장치에 열매체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열적으로 결합시킨 열전달장치를 구비하고, 그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축열체로부터 상기 피가열체에의 열전달량을 제어하여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함으로써, 필요이상으로 바닥 또는 노반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또,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축열장치로부터 바닥 또는 노반으로의 열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 축열체와 그 축열체에 설치된 히터와 열전달장치의 일부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수납하고, 상기 축열체와 열전달장치의 일부를 상기 팬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유로를 구성한 축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피가열체와 축열장치를 열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피가열체에 설치한 센서의 출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닥 또는 노반의 온도 또는 방열량을 감지하여 이것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필요이상으로 바닥 또는 노반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또,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축열장치로 부터 바닥 또는 노반에의 열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축열장치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의 파이프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도중에 설치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열전달장치가 상기 축열장치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상기 축열장치와는 별체로 설치되어 액체를 수납한 탱크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 파이프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도중에 설치한 펌프와 혼합코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탱크의 액체를 상기 파이프에 의하여 한쪽은 상기 혼합코크에 직접 유입시키고, 다른 쪽은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것 또는 상기 피가열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그 조절기에 의하여 상기 축열장치내의 팬의 회전속도제어, 상기 펌프의 유량제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이기 때문에, 펌프의 유량, 팬에 의한 풍량을 제어하거나 혼합코크에 들어가는 고온과 저온의 열매체의 혼합비율을 제어함으로써 필요이상으로 바닥 또는 노반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게 할 수가 있고, 또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축열장치로부터 바닥 또는 노반으로의 열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축열체의 상부에 간막이판을 설치하고, 바깥 간막이판의 단부에 분출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공기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방열용의 덕트와, 축열장치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용 덕트와, 그 덕트들에 온풍을 보내는 가변풍량형의 팬으로 구성된 장치로 되어 있고, 또는 상기 연결용 덕트의 일부에 흡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피가열체로 보내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축열장치에 설치한 증발기와,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응축기와, 그것들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증기이동관과 액체리턴관과, 액체리턴관의 도중에 설치한 탱크와, 그 탱크와 상기 증발기와의 사이의 액체리턴관을 상승시킨 상승관고, 그것들의 내부에 봉입한 증발성액체와, 상기 상승관의 밑에 설치한 히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가열체부에 설치한 센서의 출력을 조절기에 입력하고 그 조절기에 의하여 상기 상승관의 밑에 설치한 히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상기 열전달장치가 밀폐순환형 열사이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열전달장치가 히터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팬 등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액체와 열전달장치의 일부를 수납하는 탱크와, 상기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축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장치에 의하여 피가열체와 축열장치를 열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열전달장치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탱크내의 액체가 보유하는 열을 팬코일유닛에 수송하여 난방을 행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외에, 탱크에 남은 액체를 이용하여 다른 부분의 난방에 이용할 수 있다.
또,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신축주머니와 상기 피가열체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주머니를 수축, 팽창시키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고, 또는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와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내의 기체의 봉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피가열의 온도를 제어하고 또는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와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도입, 배제, 강제 순환하도록 구성하고, 그 액체의 순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 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고, 또는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와, 가열수단을 가지는 축열체를 수납하고, 또한 상기 피가열체와 축열체와의 사이에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을 개재시킨 축열장치를 구비한, 또는 상기 신축주머니를 수축 팽창시키는 수단이, 상기 신축주머니에 밸브를 거쳐 접속된 압축기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압축기를 운전함으로써 기체를 도입하여 신축주머니를 팽창시킴으로써 축열체를 평면부를 가지는 피가열체에 밀착시켜, 상기 벨브를 개방함으로써 신축주머니속의 기체를 배출하여 축열체를 상기 피가열체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열흐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또는 상기 축열체로 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이, 상기 축열장치내에 축열체를 상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하고, 이 탱크 내에 기체를 도입하는 기구를 구비하여 탱크내의 기압을 변화시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피가열체에 축열장치 상면이 접촉되는 것이며, 또는 상기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이, 상기 축열장치내에 축열체를 상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하고, 축열장치내의 일부에 덕트와 기체순환 용팬을 설치하고, 팬을구동시키거나 정지시켜,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축체와 피가열체와의 사이에서 축열체를 바닥 또는 노반의 내면에, 기계적으로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거나 하여 열흐름을 제어하며, 또는 용기를 이용하여 이 용기를 진공으로 하거나 공기를 넣기도 하여 열흐름을 제어할 수가 있고, 더멀 스위치기구에 의하여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할 수 있어, 필요이상으로 바닥 또는 노반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게 할 수가 있고, 또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축열장치로 부터 바닥 또는 노반으로의 열흐름을, 완전하지는 않으나 차단시켜버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축열소자는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며 또는 2장의 외피사이에 축열재를 밀봉한 부분과, 축열재를 설치하지 않은 밀착부를 형성하고, 그 밀착부에서 접어 구부릴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외피의 외면에 히터를 설치한 것, 또는 상기 보온재의 내부, 보온재의 외표면에 히터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밀착부에서 용이하게 접어 구부려 사용할수가 있어, 축열재에 좋은 효율로 축열하여 운반할 수도 있어, 콤팩트한 축열소자가 된다.
또, 상기 축열소자의 외면이 보온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며, 또는 상기 외피의 표면, 보온재의 내부, 보온재의 외표면에 주머니를 설치하여, 이 주머니 속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에의 전달량을 적정하게 하여 표면온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축열소자를 복수매 중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접어 구부려도 쉽게 모양이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게 하였으므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그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코드를 설치하여 방석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온재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어 축열소자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고, 또 보온재가 쿠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접촉감이 쾌적한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구두창의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다른 쪽의 외피와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이외의 부분으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그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코드를 설치하기 위한 암컷측 플러그를 설치하여 구두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두창을 축열체에 축열된 열에 의하여 따뜻하게 할 수가 있어 쾌적한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보온재 속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조끼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온재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어, 축열소자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고, 쾌적한 온도를 실현 할 수 있다.
또, 각로내의 바닥부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른 쪽의 외피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소자를 보온재로 둘러싸서 각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발을 올렸을 때 접촉감이 좋고, 축열소자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어 쾌적한 온도를 실현 할 수가 있다.
또, 보온재 안에, 적어도 한쪽의 외피에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다른 쪽의 외피와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서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축열체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축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매트리스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축열소자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어 쾌적한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열식 가열장치의 일실시예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축열시 가열장치의 전체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2는 축열체(3)쇄석(碎石), 잠열축열재 봉입캡슐등)를 수납한 탱크이고, 이 탱크(2)내에는 축열체(3)부에 설치한 축열체(3)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 축열체(3)로 부터의 열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8), 모터(7)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팬(6)이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 순환용 덕트(5)가 형성되고, 덕트(5)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팬(6)에 의하여 탱크(2)내의 덕트(5), 축열체(3)부, 열교환기(8) 순으로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전체에 의하여 축열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8)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0), 도중에 펌프(9)를 설치한 파이프(11)가 접속되고, 바닥(또는 노반)(1)부분을 열매체(물, 기름 등)가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열교환기(8)와 바닥(또는 노반)(1)부분과는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바닥(또는 노반)(1)부분에는 바닥의 온도 또는 방열량의 센서(온도센서 또는 열흐름센서)(16)가 설치되어 있어, 이센서(16)의 출력은 리드선(12)을 거쳐 조절기(13)에 입력되고, 이 조절기(13)는 리드선(14)을 거쳐 펌프(9)에 또 리드선(15)을 거쳐 모터(7)에 피드백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심야 전력 등을 이용하여 히터(4)에 입력하고, 축열체(3)를 가열하여 축열을 하여 둔다. 이와 같이 하면 축열체(3)는 열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때에 모터(7)를 구동하여 팬(6)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가 탱크(2)내를 순환하고, 축열체(3)가 보유하고 있는 열을 공기를 거쳐 열교환기(8)에 전달할 수가 있고, 열교환기(8)를 가열할 수가 있다. 그후, 펌프(9)를 구동하여 열매체를 바닥(또는 노반)(1)부분에 순환시킴으로써 가열된 열교환기(8)의 열을 파이프(10,11)를 거쳐 바닥(또는 노반)(1)에 이송할 수가 있어 바닥(또는 노반)(1)을 가열한다. 이때, 바닥(1)의 온도 또는 방열량은 센서(16)에 의하여 검지하고, 그 신호를 리드선(12)을 거쳐 조절기(13)로 보낸다. 이 신호에 의하여 조절기(13)는 조작량을 리드선(14)을 거쳐 펌프(9)에 보내어 펌프(9)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온-오프 운전을 하여 바닥(또는 노반)(1)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 온도 또는 방열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신호를 리드선(15)을 거쳐 모터(7)에 보내어 팬(6)의 회전수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 펌프(9)에 의한 제어와 팬(6)에 의한 제어를 병용하면, 더욱 양호한 온도, 또는 가열량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2도,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축열장치(100)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이나, 열전달장치(200)로서 증발성의 액체(45)(물, 알코올, 플론 등)을 사용한 밀폐순환형의 열사이펀을 사용하여 축열장치(100)와 바닥(또는 노반)(1)부를 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열전달장치(200)는 축열장치(100)를 구성하는 탱크(2)하부에 설치한 증발기(42), 바닥(또는 노반)(1)부에 설치한 응축기(40), 그것들을 루프형태로 연결하는 증기이동관(47), 액체리턴관(41), 내부에 넣은 액체(45)로 이루어져 있다. 증발기(42)내의 액체(45)는 팬(6)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에 의하여 축열체(3)로 부터의 열을 받아 증발하고, 증기압차에 의하여 증기 이동관(47)내를 통하여 이동한다. 그후, 바닥(또는 노반)(1)부에 위치하는 응축기(40)부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응축열을 방출하여 액화한다. 이 응축열은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되고, 바닥(또는 노반)(1)을 가열한다. 이 응축한액체(45)는 액체리턴관(41)을 통하여 증발기(42)내로 되돌아가고, 앞에서와 같은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 동작에 의하여 바닥(또는 노반)(1)을 난방할 수가 있다. 센서(16)의 신호는 조절기(13)를 거쳐 모터(7)에 전달되고, 팬(6)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바닥(또는 노반)(1)의 온도를 제어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열전달장치(200)로서 히터 파이프를 이용한 것이다. 히터 파이프는 파이프의 일단을 증발기(42), 타단을 응축기(40)로서 이용하고, 그 내부에 증발성의 액체(45)를 봉입한 것으로, 제2도에 나타낸 열전달장치(200)와 같은 증기이동관(47), 액체리턴관(41)은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시공성이 좋다고 하는 이점을 발생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축열장치(100)에 덤퍼(60)와 밸브(61)를 설치하고 있어, 팬(6)에 의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순환하고, 바닥(또는 노반)(1)의 상면으로부터도 가열할 수 있게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축열식 가열장치는 축열장치(100)가 탱크(2)안에 축열체(3)와 축열체(3)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6)으로 구성되고, 바닥(또는 노반)(1)의 하부에는 축열체(3)를 통과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닥트(35)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분출구(36)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2)안의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을 팬(6)을 구동함으로써 온풍으로 변화시켜 덕트(33,34,35)를 통하여 바닥(또는 노반)(1)을 가열할 수가 있다. 공기분출구(36)를 설치한 경우는, 이 부분으로부터 고온공기를 바닥(또는 노반)(1)위로 분출하여 상부로 부터도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도에는 특별히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6), 조절기(13)를 설치하여 팬(6)의 회전수를 제어하나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바닥(또는 노반)(1)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5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34)의 도중에 노즐(38)과 흡기구(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바닥(또는 노반)(1)의 단부의 분출구(36)이외에, 도중에도 분출구(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노즐(38)에서 분출하는 고온공기의 이젝터 작용에 의하여 흡기구(37)로 부터 저온도의 공기가 유입(주입)되어 고온공기와 저온공기가 혼합되어 온도조절할 수가 있다. 또, 바닥(또는 노반)(1)의 단부의 분출구(36)이외에도 도중의 분출구(36a, 36b)로 부터 온풍이 분출되어 그 상면측으로부터의 가열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제6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38)의 주위에 넓은 흡기구(37)를 설치하고, 그 근방에 팬(39)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팬(39)에 의한 송풍량을 변화시켜 바닥(또는 노반)(1)의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7도,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탱크(24)의 내부에는 액체(23)가 수납되고, 그 액체(23)중에는 증발기(42)와 히터(43)가 잠기고, 이들에 의하여 축열장치(100)가 구성되어 있다. 축열장치(100)와 바닥(또는 노반)(1)과는 열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열전달장치(200)에 의하여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축열장치(100)부에 설치한 증발기(42), 바닥(또는 노반)(1)부에 설치한 응축기(40)는 증기이동관(47), 액체리턴관(41, 49), 상승관(46)에 의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루프를 구성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액체리턴관(41,49)의 사이에는 액체(45)(물, 알콜, 플론 등)를 수납하는 탱크(44)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승관(46)의 밑부분에는 히터(48)가 설치되어 있다. 열전달장치(200)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개평 3-2558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기술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는 특히 열전달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증발기(42)가 응축기(4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는 본 장치를 설치시공할 때 공사성이 극히 좋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히터(48)에 입력되면 그 내부의 액체(45)는 비등하고, 발생한 기포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관(46)내를 상승한다. 이 때 주위의 액체(45)를 퍼올리면서 상승한다. 이 액체(45)는 상승관(46)의 정상부를 넘어 흘러나와, 증발기(42)내로 유입된다. 증발기(42) 내에 유입된 액체(45)는 탱크(24)내의 액체(23)가 보유하는 열을 받아 증발하고, 증기압차에 의하여 증기이동관(47)을 통하여 응축기(40)부에 도달하여 응축열을 방출하여 응축한다. 이 열은 바닥(또는 노반)(1)에 전해져 이것을 가열한다. 한편, 응축기(40)부에서 응축한 액체(45)는 액체리턴관(41)을 통하여 탱크(44)에 리턴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사이클을 반복한다. 센서(16)로 부터의 신호량을 리드선(12)을 거쳐 조절기(13)에 보내고, 그것에 의한 조작량을 리드선(14,15)을 거쳐 히터(48)에 입력하여 히터(48)의 발생량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탱크(44)내에서 퍼올려지는 액체(45)의 양이 변하고, 증발기(42)로부터 응축기(40)로의 열수송량이 조절된다. 이에 의하여 바닥(또는 노반)(1)의 온도가 적정치로 제어된다.
제8도에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는 제7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24)내의 액체(23)에 축열하는 열원으로서, 히터(43)대신 버너 등의 연소기(50)로 부터 발생하는 불꽃(51)의 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불꽃(51)으로부터 탱크(24)로의 전열방법으로서는 복사 또는 대류가 이용된다. 제8도에는 특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온도제어방법으로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16), 조절기(13)를 이용하여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7도, 제8도에 나타낸 축열장치(100) 대신으로, 제1도에 나타낸 축열장치(100)를 이용하여도 좋고, 또 히터를 내장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축열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축열식 가열장치에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1a)의 상부에 신축주머니(직물, 가죽, 비닐 등)(70)를 설치하여 두고, 그 위에 축열체(3)를 얹고, 다시 그 상부에는 간극을 두고 바닥(또는 노반)(1)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축열체(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히터 등을 이용하여 이를 가열하고 축열하여 이용한다. 또, 신축주머니(70)에는 파이프(71)를 설치하여 밸브(72), 파이프(73)를 거쳐 압축(74)와 접속하고 있다. 또, 파이프(71)에는 도중에 밸브(77)를 설치한 파이프(7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신축주머니(7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축열체(3)를 바닥(또는 노반)(1)에 밀착 또는 접촉시키지 않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즉 바닥(또는 노반)(1)의 가열이 불필요한 때는 밸브(77)를 개방하여 파이프(78)를 거쳐 배재신축 주머니(70)내의 가압기체를 뽑아내고 신축주머니(70)를 수축시켜, 축열체(3)가 바닥(또는 노반)(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바닥(또는 노반)(1)의 가열이 필요한 때는 압축기(74)를 구동하여 밸브(72)를 개방시키고, 파이프(73,71)를 거쳐 기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축열체(3)를 바닥(또는 노반)(1)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신축주머니(7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축열체(3)를 바닥(또는 노반)(1)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접촉되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바닥(또는 노반)(1)의 난방을 제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압축기(74)는 강력한 송풍기라도 좋다.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판(1a)의 상부에 용기(75)를 개재시켜 축열체(3)를 얹고, 다시 그 상부에 바닥(또는 노반)(1)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개재시킨 용기(75)에는 파이프(71)가 설치되어 있고, 밸브(72), 파이프(73)를 거쳐 진공펌프(76)에 접속되어 있고, 파이프(71)에는 밸브(77)를 설치한 파이프(7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용기(75)를 진공으로 할 때는 밸브(72)를 개방하고 진공펌프(76)를 구동하여 내부의 기체를 파이프(71,73)를 거쳐 진공배출할 수가 있고, 그후 밸브(72)를 폐쇄시켜 둠으로써, 용기(75)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은 용기(75)의 진공단열에 의하여 바닥(또는 노반)(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또,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을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하고, 그것을 가열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77)를 개방하여 기체를 파이프(78,71)를 거쳐 용기(75)내에 외부의 기체를 도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용기(75)내의 기체의 열전도와 대류에 의하여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이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되고, 그것을 가열할 수가 있다.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75)의 일단에는 파이프(71)가 설치되어 있고, 파이프(73), 밸브(72)를 거쳐 펌프(9)에접속되고, 펌프(9)의 타단측은 탱크(82)에 수납된 액체(83)속에 잠겨 있고, 파이프(71)에는 밸브(77)가 설치된 파이프(78)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75)의 타단에는 도중에 밸브(80)가 설치된 파이프(79)가 설치되어 있고, 탱크(82)에 수납된 액체(83)속에 잠겨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77)를 폐쇄하고 펌프(9)를 구동하면 탱크(82)내의 액체(물, 기름 등)(83)는 밸브(72), 파이프(71)를 거쳐 용기(75)내에 주입된다. 밸브(72), 밸브(80)를 폐쇄하여 두면,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은 용기(75)내의 액체(83)위 자연대류에 의하여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된다. 또, 밸브(72,80)를 개방하여 펌프(9)를 구동하면, 액체(83)의 강제대류에 의하여,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은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되기 때문에, 바닥(또는 노반)(1)의 난방을 행할 수가 있다. 또, 바닥(또는 노반)(1)의 가열이 불필요할 때는, 펌프(9)의 구동을 정지하고 밸브(80)를 개방하여, 펌프(78,81)를 거쳐 용기(75)내의 액체(83)를 탱크(82)내로 되돌린다. 파이프(71)에 접속되어 있는 파이프(78)부의 밸브(77)를 개방하면, 상기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기(75)내에 액체(83)
를 주입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2도 내지 제1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식 가열장치에서 바닥(또는 노반)(1)의 밑에 축열장치(100)를 설치하고 있고, 이 축열장치(100)는 축열체(3)를 수납한 탱크(2), 축열체(3)부에 설치한 히터(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축열체(3)는 탱크(2)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충전되어 있다. 또 탱크(2)는 파이프(71), 밸브(72) 부착의 파이프(73)를 거쳐 진공펌프(76)와 접속되어 있고, 파이프(72)에는 밸브(77)부착의 파이프(78)가 접속되어 있다. 심야전력등을 이용하여 히터(4)에 입력하여 축열체(3)에 전열하여 축열하여 둔다. 바닥(또는 노반)(1)을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는 진공펌프(76)를 구동하고, 파이프(71), 밸브(72), 파이프(73)을 거쳐, 탱크(2)안의 공간부(90)의 기체를 배제하여 진공으로 하고, 축열체(3)의 열이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열체(3)는 탱크(2)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충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닥(또는 노반)(1)을 가열하고 싶을 때는 밸브(77)를 개방하여 파이프(78,71)를 거쳐 기체를 탱크(2)안으로 도입한다. 밸브(77)를 조절하여 탱크(2)안으로 주입하는 기체의 양을 가감하면 진공도가 변하여 축열체(3)로부터 바닥(또는 노반)(1)으로의 전열량을 제어할 수 있어, 바닥(또는 노반)(1)의 가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제13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바닥(또는 노반)(1)의 하부에 축열체(3)를 넣은 탱크(2)를 설치하고, 탱크(2)내의 일부에는 바닥(또는 노반)(1)측에 덕트(5)를 설치하고, 공기가 축열체(3)를 순환하도록 팬(6)을 설치한 것이다. 히터(4)에 입력하여 축열체(3)에 축열하고, 이 열을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하고 싶을 때는 팬(6)을 구동하여 내부의 기체를 순환시킨다. 기체를 순환시킴으로써 기체의 강제대류에 의하여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탱크(2)의 상면을 거쳐 바닥(또는 노반)(1)에 전달하여, 난방을 행할 수가 있다.
축열체(3)가 보유하는 열을 바닥(마루)(또는 노반)(1)에 그다지 전달하고 싶지 않을 때는팬(6)을 정지시킨다. 내부에서 기체는 자연대류를 일으키나, 강제대류시와 비교하면 열저항은 현저하게 커져, 축열체(3)의 열은 바닥(마루)(또는 노반)(1)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제14도는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축열식 가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제14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 구성이나, 축열체(3)의 상부에 간막이판(91)을 설치하고, 그 단부에 분출구(92)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바닥(또는 노반)(1)을 골고루 똑같이 가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축열식 가열장치는 바닥(마루)또는 노반의 가열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여 왔으나, 이것 이외에 가옥의 천정이나 측벽, 목욕탕의 바닥, 자동차의 좌석시트, 선반안의 바닥이나 갑판, 쇼파, 의자, 침대, 모포, 비행기의 날개, 세면대, 변기, 카페트 등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5도 내지 제2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마루바닥(또는 노반)(1)에 깔때 적합한 축열소자의 구조 및 방석, 신발, 조끼, 각로, 매트리스, 모포 등에 이용한 경우의 적용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300)의 입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축열소자(300)는 비닐,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외피(301, 302 303)와, 그 속에 봉해져 있는 축열재(304)(염화칼슘 6수염, 폴리에틸렌글리콜, 파라핀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외피(302)의 일부에는 히터(4)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은 축열재(304)를 가열하여 축열하기 위한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피(302)는 평면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외피(303)는 내측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축열재(304)를 그 내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피(301)는 외피(303)와 연결되어 있으나, 오목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피(302)와 직접 접촉하고 있고, 열압착 등에 의하여 밀봉되어 밀착부(305)를 형성하고 있다. 축열재(304)의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축열재(304)에의 축열 및 축열재(304)로 부터의 방열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오목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축열재(304)를 외피(302)와 외피(303)내에 밀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열재(304)를 수납하는 외피(303)와 그보다 모양이 작은(303a)의 단면형상은 짧은 모양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원통형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제17도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나타낸 축열소자(300)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축열재(304)가 들어있지 않은 밀착부(30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부분을 용이하게 접어 구부려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축열소자(300)를 자유롭게 접어 사용하려면, 히터(4)는 코드히터, 면상히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18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303)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피(301)에 의하여 밀착부(305)를 구성하고, 축열재(304)를 그 내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외피(303)내에 히터(4)를 배설하고, 그 주위에 보온재(유리솜, 직물(천), 종이, 가죽 등)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히터(4)로 부터 축열재(304)에의 축열효율을 좋게 할 수가 있다.
제19도는 제18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밀착부(305)를 구성하는 외피(301)의 일부에 히터(4)를 설치한 것이다. 축열재(304)에의 전열을 좋게 하려면, 외피(301, 302, 303)에 알루미늄 증착을 시행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동 등의 금속박을 그 표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좋다. 또 히터(4)는 외피(303)와 외피(301)가 형성하는 구석에 밀착시키면 전열성이 향상되고, 또 히터(4)의정지가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0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오목부를 형성하면 외피(303)와, 오목부를 갖는 외피(303b)를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면 대칭형상으로 마주보게 하여 외피(301)와 외피(302)를 이용하여 밀착부(305)를 만들고, 외피(303)와, 외피(303)와의 내측에 축열재(304)를 봉입한 것이다. 또, 히터(4)를 외피(303b)의 표면에 복수개 설치하고, 그 주변에 보온재(306a)를 시설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1도는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외피(303)와 외피(303b)에 의하여 단면형상이 계란형의 형상으로 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속에 축열재(304)를 봉입한 것이다. 외피(303)와 외피(303b)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축열재(304)는 보온재(306,306c 또는 306c, 306b)에 의하여 보온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란형상의 오목부를 교대로 배치하여 그 오목부에 축열재(304)를 수납함으로써 접어구부려도 전체의 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콤팩트하게 정력된 축열소자(300)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제22도는 제20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외피(303,306b)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축열재(304)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바와 같이 6각형으로 외피(303,303b)의 외면 형상을 형성한 것이다. 이 6각형 모양의 외면을 이용하여 축열재(304)를 교대로 조합시킴으로써, 접어구부렸을 때 전체의 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콤팩트하게 정리된 축열소자(300)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제22도는 제20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외피(303,303b)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축열재(304)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바와 같이 6각형으로 외피(303,303b)의 외면형상을 형성한 것이다. 이 6각형 모양의 외면을 이용하여 축열재(304)를 교대로 조합시킴으로써, 접어구부렸을 때 전체의 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콤팩트하게 정리된 축열소자(300)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제23도, 제26도는 각각 제20도에 나타낸 축열소자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23도는 주머니(비닐, 직물등)(307, 307a)속의 공기가 제거되어 있어 주머니(307, 307a)는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고, 제24도는 주머니(307, 307a)속에 공기를 도입하여 팽창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축열소자(300)는 외피(303,303b)부분의 각각에 축열재(304)에 인접하도록 히터(4)를 배치하고, 축열재(304)를 둘러싸고 있는 보온재(306)사이에 온도제어용 주머니(307, 307a)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 주머니(307,307a)속에는 그것에 연결된 파이프(308,308a)가 설치되어 있고, 다시 파이프(308 308a)의 외단부에는 코크(309, 309a)를 설치하고 있, 그 코크(309, 309a)를 거쳐 공기를 도입하여 그 내압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열재(304)가 보유하는 열은 보온재(2306)와 주머니(307, 307a)를 통하여 용이하게 방열한다. 보온재(306)로 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열량을 제어하여 그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주머니(307, 307a)속에 각각 연결된 파이프(308,308a)를 거쳐 공기를 도입하여, 그 내압을 변화시킴으로써 방열량을 제어 할수가 있다. 즉, 파이프(308, 308a)의 외단부에는 코크(309, 309a)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코크를 빼어 내부에 공기를 도입하고, 축열재(304)로 부터 외부에의 열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방열량을 제어하고, 이로써 보온재(306)의 표면온도를 소망
의 값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코크(309, 309a)로 부터 주머니(307,307a)에 공기를 도입하고, 그 내압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인위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팬,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 이 실시예에서 주머니(307, 307a)를 설치하는 위치로서는 보온재(306)의 외표면 또는 외피(303, 303b)와 보온재(306)와의 사
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주머니(307, 307a)가 팽창했을 때를 위하여 보온재(306)는 신축성 있는 스펀지 직포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제25도 내지 제29도는 상기 제15도 내지 제24도에 나타낸 축열소자(300)를 바닥(마루) 또는 노반 이외에 응용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5도는 방석에 적용한 경우, 제26도는 구두에 적용한 경우, 제27도는 조끼에 적용한 경우, 제28도는 각로에 적용한 경우, 제29도는 매트리스 또는 모포에 응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5도는 방석에 축열소자를 응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보온재(306)(면, 스펀지 등)속에 제15도 등에 나타낸 축열소자(300)를 수납하여 축열용 전기코드(310)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보온재(306)의 두께를 가감함으로써 축열소자(300)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보온재(306)는 쿠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접촉감도 좋게 된다.
제26도는 구두에 축열소자를 응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구두 바닥(311)속에 축열소자(300)를 수납하여 축열용의 전기코드(310)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코드(310)를 밖으로 내고 있으나, 암컷측의 플러그를 구두의 일부에 설치하여 두면 보행시에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두를 전기슬리퍼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7도는 조끼에 축열소자를 응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보온재(306)속에 유연성의 축열소자(300)를 넣었기 때문에, 활동시에 위화감이 없다. 또한, 축열소자(300)는 완전하게 보온재(306)에 의하여 둘러싸여지지 않아도 좋고, 그 일부에는 예를 들면 속열성(速熱性)을 좋게 하기 위하여 조끼의 내측표면을 이용하도록 하고, 표면에 노출시켜도 좋다.
제28도는 각로에 축열소자를 응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각로내의 저부에 보온재(306)로 둘러싸인 축열소자(300)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발을 딛었을 때 쿠션성이 있어, 접촉감이 좋아진다.
제29도는 매트리스나 모포에 축열소자를 응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보온재(306)속에 축열소자(300)를 넣었기 때문에 몸을 뒤척였을 때 접촉감이 좋아 각로를 대신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로 바닥(마루) 또는 노반의 가열에 있어서 그것에 주어지는 열량을 제어할 수가 있어, 필요이상의 다량의 열을 쓸데없이 버리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또, 필요이상으로 바닥(마루) 또는 노반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기 때문에, 그것들을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쾌적감이 높아지고, 또 바닥(마루)의 변형, 노반에 균열이 생기는 일도 없어지고, 또 가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축열장치로부터 바닥(마루) 또는 노반에의 열흐름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에 도움이 되어 편리한 축열식 가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로, 밀착부에서 용이하게 접어구부려 이용할 수가 있어 축열재에 효율좋게 축열하여 운반할 수도 있고, 접촉감도 좋은 콤팩트한 축열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표면으로의 열전달량을 적정하게 하여 표면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접어 구부려도 형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고, 보온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축열소자로 부터의 방열량을 조정할 수 있어 인체에 대한 접촉감, 쾌적한 온도를 실현할 수 있는 방석, 신발, 조끼, 각로, 매트리스, 모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축열체와 피가열체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기충과, 상기 축열수단을 이동하여 상기 공기층의 틈을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축열체의 이동수단을 구동하고, 상기의 공기층의 틈을 변화시켜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2.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축열체와 피가열체와의 사이에 삽입된 기체도입용기와, 이 기체도입용기에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체도입수단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기체도입수단을 구동시키고, 기체도입용기 내의 기체의 도입량을 조절하여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3.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축열체와 피가열체와의 사이에 삽입된 액체도입용기와, 이 액체도입용기에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액체도입수단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액체도입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액체도입용기 안으로의 액체의 도입, 액체도입용기로부터의 액체의 배출, 혹은 액체도입용기로의 액체의 순환량을 조절하여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4.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이 축열체를 포위하는 덕트와, 이 덕트 내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수단과, 상기의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덕트와 피가열체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의 증발작용을 이용한 히터 파이프 혹은 루프 형태의 열사이펀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순환수단을 구동시키고, 이공기순환수단의 구동에 의해 공기의 순환량을 변화시켜,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내에 수열용(受熱用)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피가열체에 방열용 열교환기를 설치하며, 이들 양 열교환기를 파이프에 의해 루프형태로 결합시키고, 이 루프 형태의 파이프의 일부에 액체순환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루프 내에 액체를 넣고,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에 근거하여 액체순환수단 혹은 공기순환수단을 구동시키고, 액체순환량이나 공기순환량을 변화시켜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6.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축열체부에 설치한 수열용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대상부에 설치한 방열용 열교환기와, 이들 양 열교환기를 잇는 증기이동관 및 액체리턴관과, 이 액체리턴관의 일부에 설치된 액체수납 탱크와, 상기 액체리턴관의 일부에 형성된 역 U자형의 상승관과, 이들을 결합하여 밀폐하는 밀폐순환로 내에 봉입된 증발성 액체와, 상기의 상승관의 밑부분(原)에 설치한 히터를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상승관 밑부분의 히터로의 입력량을 조절하고,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7.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의 축열체를 포위하는 덕트와, 이덕트와 피가열체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가열된 공기를 상기 피가열체로 수송하기 위한 공기수송수단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수송수단에 의해 수송되는 공기의 수송량을 조절하고,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8. 피가열체와,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축열체를 포위함과 동시에 그 일면이 피가열체에 접촉하고 또한 축열체를 피가열체의 용기접촉면 쪽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하여 충전한 용기와, 이 용기내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축열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용기내의 공기량조절수단을 구동시키고, 이 공기량 조절수단의 구동에 의해 공기량을 조절하고,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공기 순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용기를 축열체쪽으로부터 피가열체와의 접촉면쪽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구조로 하고,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체의 온도를 근거로 하여 공기순환수단을 구동하고, 이 공기량조절수단의 구동에 의해 공기의 순환량을 조절하고, 축열제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10. 제1∼6,7,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는 마루바닥 또는 노반(도로의 지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11. 축열수단을 설치한 축열체와, 이 축열체를 수납하는 용기와 이 용기의 주위를 덮는 보온재와, 이보온재에 수축팽창성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도입용기와, 이 기체도입용기 안으로의 기체 도입량을 조절하는 기체도입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축열시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기체도입량 조절수단에 의해 기체도입용기 안으로의 기체도입량을 조절하여, 축열체로부터 피가열체로의 열전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체를 수납한 용기는 시이트 형태이며, 또한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시 가열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석, 구두창, 혹은 조끼, 일본식 난방시설, 매트리스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열장치.
KR1019920020141A 1992-05-06 1992-10-30 축열식 가열장치 KR013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36892A JP3309423B2 (ja) 1992-05-06 1992-05-06 蓄熱式加熱装置
JP92-113368 1992-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96A KR930023696A (ko) 1993-12-21
KR0135965B1 true KR0135965B1 (ko) 1998-04-25

Family

ID=1461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141A KR0135965B1 (ko) 1992-05-06 1992-10-30 축열식 가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09423B2 (ko)
KR (1) KR0135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549Y2 (ja) * 1992-05-25 1999-07-05 株式会社細川製作所 発熱器具
CN104654846B (zh) * 2013-11-17 2017-11-07 成都奥能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蓄热器换热器的热管再生系统及可再生热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12411A (ja) 1993-11-22
KR930023696A (ko) 1993-12-21
JP3309423B2 (ja) 200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8702A (en) Means for cooling and heating a seat structure
KR102233447B1 (ko) 미세발열체 및 온수관을 이용한 모듈형 냉, 온열 매트리스
KR20060124553A (ko) 온도조정매트
KR0135965B1 (ko) 축열식 가열장치
KR101036136B1 (ko) 사계절 냉난방 보일러
US3844338A (en) Method of operating public bath and the like
CN202354923U (zh) 一种可冷热调节的沙发
KR101161642B1 (ko) 침대 매트리스 및 이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 히팅 시스템
US4240404A (en) Heat pump having a timer activated furnace
KR20190002339U (ko) 캠핑용 온수 보일러
KR200240435Y1 (ko) 가습기와 찜질팩을 구비한 휴대용 온수보온매트
KR200380248Y1 (ko) 오일을 이용한 온열매트
JPS5995322A (ja) 暖房パネル
CN210227369U (zh) 一种节能舒适性衣柜
KR200184695Y1 (ko) 다용도 온수 순환장치
JPH11299582A (ja) 空気循環布団
JP2004176983A (ja) 床構造
JP2007321997A (ja) 局所暖房システム
KR101992175B1 (ko) 코어 내부의 열전달 유체 및 에너지 절감형 저전력 난방장치
JP6991496B2 (ja) 冷暖房システムおよび熱交換冷暖房システム
KR20210048470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매트리스 장치
KR20230174109A (ko) 열전소자 냉각 부동액 순환 방식 냉 매트
JP2000273706A (ja) 熱搬送装置
JP2866773B2 (ja) 蓄熱装置
KR101842367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저전력 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