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29Y1 -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 Google Patents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29Y1
KR0135829Y1 KR2019960006327U KR19960006327U KR0135829Y1 KR 0135829 Y1 KR0135829 Y1 KR 0135829Y1 KR 2019960006327 U KR2019960006327 U KR 2019960006327U KR 19960006327 U KR19960006327 U KR 19960006327U KR 0135829 Y1 KR0135829 Y1 KR 0135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ashing machine
upper plate
cover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804U (ko
Inventor
임장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06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29Y1/ko
Publication of KR970054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부판과 덮개에 일치되게 형성한 힌지공들에는 대경의 힌지몸통부와 이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소경의 힌지몸통부를 갖는 힌지몸체를 헐겁게 삽입하여, 그 덮개가 상부판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형성하고, 힌지몸체의 선단부위에는 상부판의 힌지공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된 슬릿과 걸림턱들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덮개판과 상부판과의 힌지결합 및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덮개판과 상부판의 힌지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1-1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가 채용된 세탁기를 제1도의 1-1선 방향과 동일방향에서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덮개 3 : 제1힌지공
4 : 돌출벽부 5 : 제2 힌지공
20 : 힌지 22 : 힌지몸체
24 : 슬릿 26 : 걸림턱
27 : 걸림단부
본 고안은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의 결합구조를 개량변형시킨 것에 의해 덮개판과 상부판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는 덮개판들을 회동가능하게 힌지하기 위한 힌지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세탁기의 일예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힌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를 표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1-1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세탁기(1)의 덮개판(2)에는 제1 힌지공(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미도시)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벽부(4)에는 제1 힌지공(3)에 대응하는 제2 힌지공(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공들(3, 5)에는 나사체결공(7)을 갖는 힌지본체(8)이 관통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부판의 돌출벽부(4)에도 나사체결공(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본체(8)에 일치되는 힌지공(3, 5)들에 결합하게 되면 힌지본체(8)에 형성된 나사체결공(7)과 제2 힌지공(5)에 형성된 나사체결공(9)는 상호일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치되는 나사체결공들(7, 9)로는 고정나사(10)이 삽입되어져서 체결되고, 이로인해 상부판의 돌출벽부(4)에는 덮개판(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힌지구조는 양측 모두가 동일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쪽 부분만을 일예로들어 설명하였다. 이처럼, 종래의 덮개판(2)의 힌지구조는 나사(10) 체결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덮개(2)의 이상으로 인한 분해결합시 자주 나사를 해체 혹은 결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나사공의 마모가 심하게 되어 덮개판을 못쓰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나사는 금속제로 이루어짐에 비하여 나사공의 부위는 연약한 수지물로서 사출형성 되어 있기 때문에 마모현상은 더욱 심하여 상기와 같은 폐단은 자주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고, 상부판과 덮개판의 힌지결합구조를 개량 변형한 것에 의해, 덮개판과 상부판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덮개판의 수명을 연장시킨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 회동용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저수조가 내장되는 외상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힌지공을 갖는 상부판과, 그 상부판의 제1 힌지공에 대응하는 제2 힌지공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힌지공의 결합으로 인해 외상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도록 된 덮개로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제1, 제2 힌지공들을 통해 상부판과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대경의 힌지몸통부와 그 대경의 힌지몸통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된 소경의 힌지몸통부로 된 힌지몸체; 및 그 힌지몸체의 소경의 몸통부에 형성되며, 제1 힌지공과 제2 힌지공들을 통한 결합시 상부판의 제2 힌지공 부위에 결합되는, 소경의 몸통부에 길게 형성된 슬릿과, 그 슬릿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들을 포함하는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 회동용힌지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원 고안에 따른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 회동용 힌지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덮개판의 힌지결합에 사용되는 본원고안에 따른 힌지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제4도는 제1도의 1-1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보아 그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부분확대도를 표시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20)은 제1 힌지공(3)에 삽입되는 대경몸통부(21)과, 이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제2 힌지공(5)에 삽입되는 소경몸통부(23)로 이루어진 힌지본체(22)를 구비하고 있다. 그 힌지본체(22)의 소경몸통부(23)에는 선단부로부터 길게 형성된 슬릿(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릿(24)로 인하여 소경몸통부(23)은 신축작용을 하게 되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소경몸통부(23)의 선단부위는 제2 힌지공(5) 측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주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주면 부위에는 걸림턱(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6)은 돌출벽부(4)의 제2 힌지공(5)에 마련된 걸림단부(27)에 걸리게 된다.
상기 실시에에서는 덮개판(2)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힌지(20)의 구조가 동일하여 어느 하나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고안의 작용효과를 다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표시와 같이, 세탁기(1)의 덮개판(2)를 상부판(미도시)의 돌출벽부(4)에 결합하게 되면 덮개(2)의 제1 힌지공(3)과 돌출벽부(4)의 제2 힌지공(5)는 서로 일치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치되는 힌지공들(3, 5)의 내부로는 걸림턱(26)을 힌지공들(3, 5)의 방향으로 향하게 한 힌지(20)을 삽입한다. 이때, 대경몸통부(22)는 제1 힌지공(3)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2 힌지공(5)의 내부로는 소경몸통부(23)이 삽입되어져서 위치하게 된다. 소경몸통부(23)에는 슬릿(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힌지공(5)를 통과하게 될시 슬릿(24)의 간격만큼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소경몸통부(23)은 제2 힌지공(5)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 힌지공(5)를 통과하게 되는 소경몸통부(23)은 그 힌지공(5)를 통과하게 되는 순간에는 수축된 상태로 있게 되지만 통과를 한 후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상태로 복귀되므로 걸림턱(26)은 제2 힌지공(5)의 걸림단부(27)측에 걸리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덮개(2)는 돌출벽부(4)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상태로서 결합하게 된다. 분해시에는 상부판(미도시)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돌출벽부(4)의 저부에서 걸림단부(27)을 형성되게 하는 공간부(28)측으로 소정의 공구들을 넣어 소경의 몸통부(23)을 누르게 되면 슬릿(24)에 의하여 몸통부위는 수축되면서 걸림턱(26)은 걸림단부(27)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힌지(20)을 힌지공(2, 5)로부터 밀어서 이탈시키게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고안에 의하면 덮개와 상부판과의 결합을 탄성결합단부를 갖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성에 의해, 덮개와 상부판과의 결합을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수지로 형성한 힌지에 의한 덮개와 상부판을 결합함에 의해 종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킨 힌지보다는 부품수를 감소되게 하는 효과와 아울러 마모를 적게 하여 그만큼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2)

  1. 저수조가 내장되는 외상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힌지공을 갖는 상부판과, 그 상부판의 제1 힌지공에 대응하는 제2 힌지공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힌지공의 결합으로 인해 외상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도록 된 덮개로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제1, 제2 힌지공들을 통해 상부판과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대경의 힌지몸통부와 그 대경의 힌지몸통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된 소경의 힌지몸통부로 된 힌지몸체; 및 그 힌지몸체의 소경의 몸통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힌지공과 제2 힌지공들을 통한 결합시 상부판의 제2 힌지공 부위에 결합되는, 소경의 몸통부에 길게 형성된 슬릿과, 그 슬릿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들을 포함하는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 회동용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제2 힌지공은 걸림턱들이 걸리도록 된 턱을 이루며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 회동용힌지.
KR2019960006327U 1996-03-29 1996-03-29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KR0135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327U KR0135829Y1 (ko) 1996-03-29 1996-03-29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327U KR0135829Y1 (ko) 1996-03-29 1996-03-29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04U KR970054804U (ko) 1997-10-13
KR0135829Y1 true KR0135829Y1 (ko) 1999-05-15

Family

ID=1945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327U KR0135829Y1 (ko) 1996-03-29 1996-03-29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0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1032372U (es) Lavadora de ropa con portilla perfeccionada.
KR0135829Y1 (ko) 전자동세탁기의 덮개판회동용 힌지
KR200386372Y1 (ko) 문짝 개폐용 경첩구조
KR0127279Y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장치
US2660273A (en) Laundry appliance control panel construction
KR101073905B1 (ko) 건조기의 도어구조
KR102450026B1 (ko) 사물함 경첩장치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JP2000310080A (ja) 7軸型蝶番
KR20000016870U (ko) 옷장용 경첩의 안전커버
KR100510292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KR960009215Y1 (ko) 세탁물기의 체결용 힌지 구조
KR950010228Y1 (ko) 세탁기의 뚜껑 힌지
KR0122509Y1 (ko) 세탁기의 상부판 결합구조
KR950002343Y1 (ko) 냉장고의 도아 처짐방지구조
KR970000143Y1 (ko) 이중회전식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도어
KR0123541Y1 (ko) 세탁기의 도어결합장치
KR0116209Y1 (ko) 세탁기의 도어 결합장치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JPS61234896A (ja) 洗濯機の蓋装置
KR19990004033U (ko) 경첩
KR19990013165U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960006232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악보받침대
KR19980033346U (ko) 상용차의 보드와 도어 결합 구조
KR970038594A (ko) 보관함이 형성된 시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