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83Y1 -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 Google Patents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83Y1
KR0135783Y1 KR2019940017941U KR19940017941U KR0135783Y1 KR 0135783 Y1 KR0135783 Y1 KR 0135783Y1 KR 2019940017941 U KR2019940017941 U KR 2019940017941U KR 19940017941 U KR19940017941 U KR 19940017941U KR 0135783 Y1 KR0135783 Y1 KR 0135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core
reinforcing cor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721U (ko
Inventor
김규복
Original Assignee
김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복 filed Critical 김규복
Priority to KR2019940017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83Y1/ko
Publication of KR960003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통상의 운동화용 신발창의 내부에 굴곡형 보강심재를 내장하여 신발의 착화시 발바닥의 요입 경혈에 긴밀한 지압력을 가하게 하여 건강기능 신발로서 널리 실용화될 수 있도록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발포성 수지재로된 신발창(1)에 있어서, 신발창(1)의 저면에 전후 양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5)이 투설된 보강심재(2)를 인서트 몰딩하여 일체로 매입하되 상기 보강심재(2)는 중앙부에 융기부(3)를 융설하고 양측단부는 일정 각도(θ)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Description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심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로서,
(a)는 기본 상태도.
(b)는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창 2 : 보강심재
3 : 융기부 4 : 요입부
5 : 통공
본 고안은 통상의 EVA, PU(폴리우레탄)등 발포성 신발창 재질 내부에 중앙부측이 상향으로 융기된 경질의 보강심재를 내입하여 신발 착용시 발바닥에 대한 지압 효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창에도 지압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신발창의 상면 또는 깔창 상면에 요철돌기 등을 다수 돌설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대한 지압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 것 등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지압 신발은 발바닥의 전면과 뒷꿈치부의 표면 부위에만 지압력이 전달되어 효과적인 지압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신체의 자율 신경계를 자극하고 스트레스 해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발바닥의 요입경혈, 즉 용천혈(湧泉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기능성 지압 신발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포성 재질을 가진 신발창의 내부에 굴곡형의 보강심재를 내입하여 신발이 지면에 착지될 때 마다 발바닥의 용천혈이 집중적으로 자극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VA, PU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신발창(1)의 내부에 다수의 통공(5)이 천공된 보강심재(2)를 인서트 몰딩하여 상기 통공(5)을 통하여 신발창(1)의 수지 재질이 융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보강심재(2)는 중앙에 융기부(3)가 융설되고 그 양측으로는 요입부(4)를 요설한형의 굴곡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한 보강심재(2)는 경질의 합성수지제 또는 탄소섬유, 금속성 재질등 탄력성을 가진 재질이면 여하한 재질도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종 운동화류와 같은 일반 신발창에 적용하는 지압 신발창(1)에 관한 것으로서 연질 발포성수지로 이루어진 신발창(1) 내부에 보강심재(2)를 인서트 몰딩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신발창(1)으로 구성된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신발창(1)의 전체적인 쿳션력이 증대되어 보행시 경쾌한 착화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착용감 또한 극히 양호하다.
특히 본 고안의 신발창(1)을 사용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시에는 하기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발휘된다.
즉 발바닥의 하중이 신발창(1)에 미치지 않을시에는 신발창(1)의 중앙이 제4도(a)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신발창(1)의 하측은 전후에 경사각(θ)을 유지하여 공간부(C)를 형성하게 되나 발바닥의 하중이 신발창(1)에 가해져 착지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는 발바닥의 전방과 뒤꿈치 부분이 내장된 보강심재(2)의 전후측(A.B)을 하방으로 눌리게 되어 저면의 공간부(C)는 없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내장된 보강심재(2)의 전후측이 일직선으로 전개되면서 중앙의 융기부(3)가 한층 상부로 융기하면서 신발창(1)의 중앙부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발바닥의 용천혈(D)에 대해 긴밀한 지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행시 양말이 지면에 착지할때마다 신발창(1)의 중앙부(A)가 볼록하게 융기하여 양말의 용천혈(D)에 대한 지압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지압 효과로 인하여 자율 신경계를 자극하여 신진 대사와 혈액순환 등을 촉진시켜 건강 증진에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천혈에 대한 국부적인 지압이 아니라 용천혈이 위치하는 인접부 즉 발바닥중 요입부 전체를 쿳션감 있게 받쳐주면서 보행시 발의 피로를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발포성수지로 이루어진 통상의 신발창(1)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의 내부에 탄력성을 가지고 수개의 통공(5)이 형성된 보강심재(2)를 매설하되 상기 보강심재(2)는 중앙부에 융기부(3)를 돌설하고 양측단부는 일정 각도(θ)로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KR2019940017941U 1994-07-18 1994-07-18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KR0135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941U KR0135783Y1 (ko) 1994-07-18 1994-07-18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941U KR0135783Y1 (ko) 1994-07-18 1994-07-18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721U KR960003721U (ko) 1996-02-14
KR0135783Y1 true KR0135783Y1 (ko) 1999-02-01

Family

ID=1938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941U KR0135783Y1 (ko) 1994-07-18 1994-07-18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249A1 (ko) * 2010-10-12 2012-04-19 Lim Sung Jo 지압체를 갖는 신발창
KR20230067155A (ko) * 2021-11-09 2023-05-1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스터드 내장형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8032A1 (en) * 2021-12-21 2023-06-29 On Clouds Gmbh Sole plat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249A1 (ko) * 2010-10-12 2012-04-19 Lim Sung Jo 지압체를 갖는 신발창
KR20230067155A (ko) * 2021-11-09 2023-05-1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스터드 내장형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721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5538B2 (ja) 靴用外底
CA2523884C (en) Footwear construction
US5325611A (en) Comfort cradle system for footwear construction
KR960014888B1 (ko) 밑창이 포옴으로 되어 있는 운동화
JPH01151401A (ja) 靴底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0135783Y1 (ko)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
KR20080105649A (ko) 신발용 중창 및 허리쇠
KR101851760B1 (ko) 신발용 중창
JP2005185675A (ja) 履物
US3061952A (en) Shoe soles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2514616B1 (ko) 신발 깔창
KR200413705Y1 (ko) 맞춤형 신발 깔창
KR200274113Y1 (ko) 신발중창
CN214904224U (zh) 一种带有按摩功能的鞋垫
KR910000451Y1 (ko) 스포츠화
KR100329116B1 (ko) 절곡부위를 갖춘 신발용 밑창
CN217446855U (zh) 可调节足弓舒适度的鞋垫组
CN210299723U (zh) 一种鞋底及鞋
KR200456481Y1 (ko) 기능성 보조 깔창
KR200388177Y1 (ko) 신발내부 바닥창용 보조창
KR0114451Y1 (ko) 에어팩이 부설된 개량 샌들
KR200408733Y1 (ko) 신발깔창
CN210094838U (zh) 一种足弓矫形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