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373B1 -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373B1
KR0135373B1 KR1019940022359A KR19940022359A KR0135373B1 KR 0135373 B1 KR0135373 B1 KR 0135373B1 KR 1019940022359 A KR1019940022359 A KR 1019940022359A KR 19940022359 A KR19940022359 A KR 19940022359A KR 0135373 B1 KR0135373 B1 KR 013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weight
col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권종
박명삼
박홍근
Original Assignee
한동근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근,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한동근
Priority to KR101994002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373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특히 색조화장을 한 입술에 덧바르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색조화장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며 색조화장이 입술에 접촉하는 다른 물질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 차단물질 70 내지 99.9중량%, 소수성 실리카 0.01 내지 10.0중량%, 및 화장료용 영양성분 0.1 내지 20.0%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립스틱이나 립라이너 펜슬과 같은 색조 화장품을 바른 입술 피부에 덧발라 입술에 바른 색조화장품의 색상이 입술에 접하게 되는 다른 물건에 묻어나지 않도록 하는 차단기능을 갖고 동시에 색조화장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피마자유 등의 유성 물질에 유기 및 무기안료를 분산시키고 왁스상의 물질과 혼합하여 만드는데, 이러한 립스틱은 유성 물질에 의하여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음식물 등을 먹을때 입술에 접하게 되는 컵이나 그릇, 수저 등에, 또 부주의 할 경우 의복등에도 색소가 묻어나게 되어 미관상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입술의 화장이 쉽게 지워지게 되어 입술화장을 자주 고쳐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색조 화장품을 묻어나지 않게 하는 차단 효과를 갖고 동시에 피부에 발라진 색조화장품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예의연구한 결과, 색조 화장품을 바른 입술위에 피막을 형성하는 차단물질의 작용을 향상시키는 점중제를 배합하므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 차단물질 70 내지 99.9중량%, 소수성 실리카 0.01내지 10.0중량%, 및 화장료용 0.1 내지 20.0%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색조 화장위에 덧바르는 화장료로서 특히 립스틱 등의 색조화장료를 바른 입술위에 덧바르면 색조화장의 색상이 외부 자극에 의해서 지워지지 않으며, 연약하고 민감한 입술의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차단물질로 사용되는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내지는 메칠 실록 산은 동점도가 0.65~100.000인 것으로서, 이 물질을 매끄럽고 상쾌한 사용감, 통기성을 갖으면 내수 및 내유성이 강한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 피부보호 효과등의 특성을 갖은 화장품 원료로서 스킨 로숀이나 크림등과 같은 기초화장품 제품이나 두발 제품 및 메이컵 제품등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물질을 중합도에 따라 넓은 점도 범위를 갖으며 물리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투명한 유체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탄화 수소 화합물의 경우 부자량이 100.000정도가 되면 하드(hard)한 왁스의 제형을 갖는 반면 메칠 실록산의 경우는 높은 점도의 유체로써 내수 및 내유성이 강한 필름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물과 섞이지 않으며 또한 유성 물질과도 쉽게 혼합되지 않으며 도포면 위에 내수 및 내유성이 좋은 필름을 형성하는 이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색조화장 위에 덧바름으로써 색조화장의 색상이 외부 자극에 의해서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차단물질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9%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정한 동점도의 메칠실록산을 한 종류만 사용할 수도 있고 원하는 동점도를 얻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점도를 갖는 두가지 이상의 메칠실록산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차단물질의 사용에 의하여 색조화장을 보호되는 효과가 발휘되지만 그 정도에 있어서 아직 미약한 것을 주목하여 다른 첨가성분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차단물질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적당한 점중제로서 점중시킬 경우에 차단물질의 투명성이 유지되며 그 투명성으로 인하여 색조화장위에 덧 바를 경우 색조화장의 색상을 지우지 않고 오히려 색상의 선명함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이한 것은 점중되지 않은 차단제 성분만으로는 색조화장의 보호 효과가 미약한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차단제와 점중제는 반드시 공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중제는 메칠실록산을 고농도로써 화장품 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메칠실록산은 물과 섞이지 않으며 유성물질과도 상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점중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피부에 사용시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므로써 적당량을 덜어낼 수 있고 피부에 흘러내리지 않고 잘 부착되어 피부에 흡수되어야 하는 것은 어떤 물질을 화장료적으로 사용할 때 반드시 필요한 특성이지만 메칠실록산은 이러한 특성을 갖도록 만들기 힘들다. 더우기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차단제만으로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색조화장의 유지 효과가 미약하므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적당히 점증시키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나아가 차단 크림은 유효성분이 고농도로 유지되어야 차단성이 좋아지므로 메칠실록산의 농도는 높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 실리카를 점중제로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실리카는 미세한 크기의 실리카 겔로서 산과 이에 용해되는 실리케이트를 혼합하여 하이드로 겔을 만들고 이를 잘게 부셔서 세척하여 산과 염을 제거하고 화염 처리하여 겔의 넓은 표면적과 다공성을 유지시킨 것이다.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를 디메칠디클로로 실란과 반응시켜 소수성을 부여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칠실록산을 점증시키는 데 있어서 소수성 실리카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소수성 실리카는 중량비로서 0.1% 내지 10%의 양으로 사용되며, 특히 중량비로써 0.0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영양성분은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레이프씨오일, 당근유, 도인유, 동백기름, 라이스브란오일, 로즈마리오일, 면실유, 사플로워유, 마카데미아넛오일, 메드품시드오일, 면실유, 보리지오일, 월견초유, 팜오일, 팜커네오일, 해바라기오일, 피마자유, 호호바유 등과 같은 식물, 라놀린 오일, 밍크유 등과 같은 동물성 오일, 및 기타의 합성유를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동식물 유래의 단백질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영양성분의 사용량은 중량비로써 0.1% 내지 20%의 범위내에 있다. 그외에 필요에 따라 방부제, 색소, 향료,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의 첨가물을 배합하여 화장품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방법 : 원료 1을 전량이 100이 되도록 조정하고 2를 넣어 충분히 교반한 후 원료 3과 4를 혼합한다.
실시예 2
제조방법 : 원료 1을 전량이 100이 되도록 조정하고 2와 3을 충분히 교반한 후 원료 4와 5를 혼합한다.
실시예 3
제조방법 : 원료 1을 전량이 100이 되도록 조정하고 2와 3을 넣어 충분히 교반한 후 원료 4와 5를 혼합한다.
다음은 소수성 및 소유성이 탁월하다고 알려진 과불소화 에테르 중합체를 이용한 차단크림용 예시처방을 예를 들어 본 발명과 비교하도록 한다.
비교예 1
제조방법 : 원료 1에서 5까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하반하고 75℃로 가열한다. 원료 6과 7을 75℃로 가열하고 모두 혼합하여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원료 8을 가한다.
비교예 2
제조방법 : 원료 1과 2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3을 가하여 1시간동안 유화시킨다.
비교예 1과2는 과불소화 에테르 중합체의 제조원인 아시몬트(AUSIMONT)사의 화장품 처방집에서 인용한 것으로 비교예 1의 화장료는 범용의 차단크림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화장료보다 차단효과가 낮아서, 립스틱을 바른 입술위에 덧바르고 컵을 사용하여 음료수를 마셨을때 립스틱이 컵에 묻어났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료를 덧바르고 컵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컵에 전혀 립스틱이 묻어나지 않았다.
비교예 2는 프리믹스 처방으로 고농도의 과불소화 에테르 중합체를 유화시킨 예로써 인용한 것이다. 고농도의 과불소화 에테르 중합체를 유화시킨 예로써 인용한 것이다. 고농도의 차단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제조된 화장료는 백색의 크림상으로 만들어진다.
비교예 1과 2의 화장료는 모두 입술에 발랐을때 불투명한 백색의 막을 형성하여 바른 색조화장품의 색상을 흐리게 하였었다. 따라서 피부를 보호하는 차단크림으로서의 기능은 수행한다 할지라도 색조화장을 유지시키는 기능은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메칠실록산과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된 색조화장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더우기 그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고농도 함유된 메칠실록산의 기능에 의하여 화장한 색소가 다른 물건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위에 비교되어진 과불소화 에테르 중합체보다 탁월하였다.

Claims (4)

  1. 색조화장을 한 입술 피부위에 덧바르는 화장료로서 차단물질로서 메칠실록산을 그리고 차단물질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로서 표면의 실라놀기를 디메칠디클로로실란과 반응시켜 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한 소수성 실리카 분말을 조성물 총중량의 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하기 일반식을 갖는 차단물질 70 내지 99.9중량%, 소수성 실리카 0.01 내지 10.0중량%, 및 화장료용 영양성분 0.1 내지 20.0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를 디메칠디클로로실란과 반응시켜 소수성을 부여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색조화장을 한 입술 피부에 덧바르는 것으로서 색조화장이 묻어나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색조화장의 색상을 선명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40022359A 1994-09-06 1994-09-06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013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359A KR0135373B1 (ko) 1994-09-06 1994-09-06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359A KR0135373B1 (ko) 1994-09-06 1994-09-06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5373B1 true KR0135373B1 (ko) 1998-04-23

Family

ID=1939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359A KR0135373B1 (ko) 1994-09-06 1994-09-06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3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430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処理粉体基材、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基材を含有する化粧料
JP3034490B2 (ja) 弗素含有化合物またはシリコーンを含有し、改善された快適感を呈する転移しない局所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1756885B1 (ko)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 메이크업 화장료와 탑코팅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키트
TWI757283B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0548694B2 (en) Oil-ba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US4906458A (en) Water-in-oil-type cosmetic
CN102666645B (zh) 嵌段共聚物和酯封端聚酯酰胺组合物及其用途
JPH03115211A (ja) 化粧料
JP2011506296A (ja) ポリアミド樹脂、グルセリルエステルおよび無極性ワックス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5894784B2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0135373B1 (ko)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3543838B2 (ja) 水中油型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0152554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JP3506948B2 (ja) 化粧料
KR102289867B1 (ko) 화장품용 실리콘 프리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970010811B1 (ko) 입술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N111096926A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直链型乳化剂、及表面有涂层的颜料的化妆用化妆品组合物
JP3197755B2 (ja) 油性リップコート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34854B1 (ko) 알로에가 함침된 화장료용 실리카조성물과 그를 함유한 화장료 및 알로에를 이용한 화장료제조방법
KR101912514B1 (ko) 케라틴 표면에 장기 지속성 필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조성물
JP2602445B2 (ja) 二層型化粧料
JP2571098B2 (ja) 油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