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73Y1 - 피리리드 - Google Patents
피리리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4973Y1 KR0134973Y1 KR2019960003071U KR19960003071U KR0134973Y1 KR 0134973 Y1 KR0134973 Y1 KR 0134973Y1 KR 2019960003071 U KR2019960003071 U KR 2019960003071U KR 19960003071 U KR19960003071 U KR 19960003071U KR 0134973 Y1 KR0134973 Y1 KR 01349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 pyridide
- arc
- instrument
- fit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피리의 관대에 끼워 사용하는 피리리드를 양악기중 리드악기용으로 제작된 리드를 이용하여 가공 제작함으로써 피리리드의 제작을 간편히 하는 동시에 연주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규격화된 피리리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표면일측에 가공부(02)를 형성한 공지의 양악기중 리드악기용 리드(01)의 이면을 일정곡률의 호형부(3)(3a)로서 가공한 리드본체(1)(1) 한쌍을 상기 호형부(3)(3a)가 서로 대향되도록 맞붙여 선2단에 리드공간부(5)를 이룬 상태에서 타단에 끼움부(2)를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슬리브(4)를 상기 끼움부(2)에 끼워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리드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는 기존 양악기중 리드악기용 리드의 사시도.
제6도는 종래 피리리드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드본체 2 : 끼움부
3,3a : 호형부 4 : 고정슬리브
5 : 리드공간부
본 고안은 피리리드(피리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피리의 관대에 끼워 사용하는 피리리드를 양악기중의 리드악기용으로 제작된 리드를 이용하여 가공 제작함으로써 피리리드의 제작을 간편히 하는 동시에 연주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규격화된 피리리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양질의 피리리드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악기로서의 피리에는 그 피리관대에 피리리드를 끼워 사용되는 것으로, 이 경우 지금까지의 상기 피리리드는 대나무나 갈대나무로 되는 하나 통체를 정성스레 가공하여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바와 같은 피리리드를 구성하는 것인바, 이와 같은 종래 피리리드(03)는 구성자체가 내부에는 공간부(04)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매우 얇은 리드부(05)를 납작하게 형성한 하나 통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제작을 위해서는 상당히 숙력된 기술자(匠人)가 대나무등을 잘라 힘들여 오랜시간 동안 제작 가공하여야만 하는 것이어서, 피리리드의 제작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피리연주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피리연주자가 피리리드를 구입한 후 자신의 음색과 취향에 맞도록 다시 가공해서 사용해야 하는 등 피리리드의 원할한 제작 및 공급에 장애가 되어 전통국악의 광범위한 보급을 막는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소재특성상 입에 물려지는 부분이 장시간 연주하다 보면 침에 불어 음색이 변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여 연주에 영향을 주게될 뿐만 아니라 그 만큼 피리리드의 수명도 짧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 피리리드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에 양악기중의 리드악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가공의 리드를 이용하여 우리이 전통피리에 맞게 피리리드로서 가공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고도의 가공 기술을 요하지 않고도 질좋고 수명이 긴 피리리드를 단시간내에 다량으로 생산가능하게 하여 염가로 양산토록 함으로써 전통국악의 보다 광범위한 보급을 가능하게 한 피리리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면 일측에 가공부(02)를 형성한 공지의 양악기중 리드악기용 리드(01)의 이면(裏面)을 일정곡률의 호형부(3)(3a)로서 가공한 리드본체(1)(1) 한쌍을 상기 호형부(3)(3a)가 서로 대향되도록 맞붙여 선단에 리드공간부(5)를 이룬 상태에서 타단에 끼움부(2)를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슬리브(4)를 상기 끼움부(2)에 끼워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리드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양 리드본체(1)(1)를 맞붙일때와 고정슬리브(4)를 끼움부(2)에 끼워 고정할 때 각 접촉 부위에는 접착제(6)를 도포하여 접촉부위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아줌으로써 보다 맑은 음색을 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피리리드의 가공 제작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피리리드는 제5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대나무나 갈대나무를 주재(主材)로 하여 관악기, 다시말해 양악기중의 리드악기용 리드로서 반가공 상태로 미리 제작되어 표면일측에 가공부(02)를 형성한채 기 사용되고 있는 리드(01)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리드(01)를 가공하여 두개를 한조로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피리리드로서 제작되는 것인바, 이는 제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공지의 리드(01) 이면을 일정곡률이 곡면형태로 가공하여 호형부(3)로서 가공하되, 리드(01)의 가공부(02) 선단측을 이루는 예리한 부분(입에 물리는 부분)의 이면가공은 열을 이용하여 역시 일정곡률의 호형부(3a)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면 전체에 걸쳐 호형부(3)(3a)를 형성한 리드본체(1)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 제작된 리드본체(1) 각각을 상기 호형부(3)(3a)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접착제(6)등으로 접착 고정한 후 ㅌ단에 끼움부(2)를 형성하여 동일 재질로 되는 별도의 고정슬리브(4)로서 끼워 고정하되 이때도 역시 접착제(6)를 각 접촉부위에 도포하여 피리리드에 있어 호형부(4a)(3a)의 축선방향 연통부를 제외한 내부와 외부와 틈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피리리드가 제작 완료되게 되는 것인바, 이는 양 리드본체(1)(1)의 이면에 가공 형성된 호형부(3)(3a)의 존재에 의해 내부에는 일정곡률의 호형부(3)(3a)가 형성되고 선단의 예리한 부분(입에 물려지는 부분)에는 역히 호형부(3a)(3a)에 의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드공간부(5)가 형성되게 되므로 연주자로 하여금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상기 고정슬리브(4)를 피리관대에 끼운채로 즉시 피리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본 고안이 피리리드는 제작시 상기 호형부(3)(3a)의 곡률을 각기 다르게 가공제작하는 것에 의해 보다 다양한 음색을 낼 수 있는 피리리드로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피리연주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구입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피리리드의 번거로운 후 가공작업은 필요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피리리드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양악기중의 리드악기용 리드를 별도로 가공하여 두개를 한조로 결합하여 내부와 선단에 호형부가 형성된 피리리드로서 구성함으로써, 피리리드의 제작, 가공이 매우 간편할뿐만 아니라 종래 피리리드에서 처럼 하나의 통체를 가공해야 하는데 따른 고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으므로 규격화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염가로 피리리드를 제공할 수 있게되며, 또한 리드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호형부에 있어서도 다양한 곡률의 호형부로서 제작가능하여 다양한 음색의 연주가 가능한 피리리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연주자로 하여금 피리리드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그에 따른 국악의 저변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 표면일측에 가공부(02)를 형성한 공지의 양악기중 리드악기용 리드(01)의 이면을 일정곡률의 호형부(3)(3a)로서 가공한 리드본체(1)(1) 한쌍을 상기 호형부(3)(3a)가 서로 대향되도록 맞붙여 선단에 리드공간부(5)를 이룬 상태에서 타단에 끼움부(2)를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슬리브(4)를 상기 끼움부(2)에 끼워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리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3071U KR0134973Y1 (ko) | 1996-02-27 | 1996-02-27 | 피리리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3071U KR0134973Y1 (ko) | 1996-02-27 | 1996-02-27 | 피리리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2678U KR970052678U (ko) | 1997-09-08 |
KR0134973Y1 true KR0134973Y1 (ko) | 1999-03-30 |
Family
ID=1945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03071U KR0134973Y1 (ko) | 1996-02-27 | 1996-02-27 | 피리리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497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231B1 (ko) * | 2011-03-10 | 2012-06-14 | 구경환 | 색소폰용 리드 |
-
1996
- 1996-02-27 KR KR2019960003071U patent/KR013497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231B1 (ko) * | 2011-03-10 | 2012-06-14 | 구경환 | 색소폰용 리드 |
US8766072B2 (en) | 2011-03-10 | 2014-07-01 | Kyong Hwan KU | Reed for a saxo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2678U (ko) | 1997-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22839A1 (en) | Single reed woodwind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apparatus and method | |
MY104217A (en) | Sound reproducing apparatus. | |
KR0134973Y1 (ko) | 피리리드 | |
US6689943B2 (en) | Acoustic guitar with integral pickup mount | |
US5689082A (en) |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an acoustical guitar | |
US3558797A (en) | Recorder | |
US2248352A (en) | Mute for trumpets or like instruments | |
KR101405991B1 (ko) |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 |
US6087572A (en) | Adjustable receiver for brass musical instruments | |
KR100961435B1 (ko) | 관악기 | |
US3474698A (en) | Mouthpiece receiver for brass musical instruments | |
US4058046A (en) | Cylindrical head joint with acoustic wedging for concert flutes | |
US4649790A (en) | Foot-joint for a transverse flute | |
US4825742A (en) | Detachable fluidtight assembly system for two interengaging elements of the acoustic tube of a musical wind instrument | |
US2494231A (en) | Saxophone mouthpiece | |
US20020086608A1 (en) | Toy whistle structure | |
JP2021179540A (ja) | 吹き口装着型管楽器用消音器 | |
US20050072289A1 (en) | String re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 |
KR102275373B1 (ko) | 태평소 | |
US1767974A (en) | Mute | |
US11769474B2 (en) | Flute head joint, method of producing a flute head joint and flute | |
KR880002179Y1 (ko) | 향피리 및 세피리의 황의 결속장치 | |
Pirker | Pictorial documents of the music bands of the janissaries (mehter) and the Austrian military music | |
JP3233972U (ja) | 三線用集音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練習用三線 | |
TWM613778U (zh) | 吹嘴改良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