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425B1 -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25B1
KR0134425B1 KR1019950012341A KR19950012341A KR0134425B1 KR 0134425 B1 KR0134425 B1 KR 0134425B1 KR 1019950012341 A KR1019950012341 A KR 1019950012341A KR 19950012341 A KR19950012341 A KR 19950012341A KR 0134425 B1 KR0134425 B1 KR 013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pper drum
changer
workpiec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008A (ko
Inventor
오두환
장기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25B1/ko
Publication of KR96004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 외면에 단차부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양측면에는 림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캐비티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바들과;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이 안착되는 안착부들;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트레이에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의 탑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대차 및 이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 자체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서, 성형의 용이성 및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제1도는 일반적인 피가공물의 가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제2도는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드럼용 트레이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드럼용 트레이가 대차에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드럼용 트레이가 자동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되어 클램핑 수단을 통해 클램핑 되는 과정을 보인 배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퍼 드럼용)트레이 110 : 프레임
11 : 캐비티 112 : 테두리
112a,112b : 단차부 113,114 : 림(rim)
115,116 : 서포트 리드 115a,116a : 경사면
117,118 : 윈도우 119 : 표시부
120,130 : 수평 및 수직 거더들 140 : 서포트 바들
141 : 플랜지부 142 : 허브
150 : 안착부 200 : 자동트레이 체인저
300 : 대차
본 발명은 트레이(Tra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을 상태의 어퍼드럼을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하기 위한 자동 체인저(automatic tray changer)의 어퍼드럼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VCR)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의 헤드드럼(head drum)은,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러한 헤드드럼은 하나이상의 비디오헤드가 부착되는 어퍼드럼(upper drum)과 로워드럼(lower drum)이 축에 끼워져 장착되고, 이들사이에는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가 각각 개재된다. 그리고, 로워드럼의 하측에는 드럼모터(drum motor)가 설치되며, 이 드럼모터의 구동에 따라 어퍼드럼이 회전되면서 비디오헤드에 의해 재상 또는 기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드럼을 구성하는 어퍼 및 로워드럼의 가공 공정에 대한 하나의 예를 제1도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어퍼 및 로워드럼이 다이 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주조된 경우에는, 이를 기계적으로 가공해야 하는 피가공물, 즉 블랭크(blank)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어퍼 및 로워드럼의 피가공물은 황삭가공(荒削加工)에 의해 표면을 가공하고, 이를 드릴링(drilling)과 탭핑(tapping)에 의한 홀(hole)가공한다. 그리고, 홀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은 사상가공(仕上加工)후에 세척공정을 통해 표면에 오염된 절삭유나 오일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세척공정후에는 외관검사를 통해 불량품을 선별하고, 어퍼드럼의 피가공물은 테이프 버핑(tape buffing)가공과, 선택적으로 경질탄소막 코팅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가공공정을 통해 어퍼 및 로워드럼의 피가공물을 가공완성품으로 제작하여 헤드드럼 조립라인에 공급한다.
그런데, 피가공물의 황삭, 홀 및 사상가공에서 가공기는 주로 수치제어 공작기계가 사용되고 있는 바, 이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가동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채용한 자동화 라인에서는, 피가공물의 공급이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자동트레이 체인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동 트레이 체인저는 피가공물을 트레이에 탑재하여 각 가공공정에 따라 가공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는 통상적으로 트레이의 투입과 배출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이나 체인타입 버퍼(chain type buffer)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컨베이어 시스템이나 체인타입 버퍼는 트레이의 초기 투입과 배출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해야만 하므로, 제품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작업준비시간이 지연되므로 작업성 및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설비의 설치공간이나 과다하게 점유되어 설비의 효율적 이용이 제한되며,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저하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가공공정에 따라 가공기에 트레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대차가 필요하게 되고, 이 전용 대차의 이송과 대기에 불필요한 시간 및 장소가 많이 소요되어 체계적인 작업관리와 생산관리가 번거롭고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무인반송대차를 채택하여 통괄제어(統括制御)하는 군관리(direct numerical control)방식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군관리 방식은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과다하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1군의 가공기들에서 이상이 발생되면 전체적인 작업라인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작업의 유연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동일자출원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다수의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들을 투입실(21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투입수단과; 투입실(210)의 트레이들을 작업실(230)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팅수단과; 트레이들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하나의 트레이를 클램핑하는 수단과; 최상단의 트레이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순차적으로 가공기에 공급하는 로보트(240)와; 로보트(240)의 작동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이 최상단의 트레이에 다시 탑재가 완료되면, 이 트레이를 배출실(22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수단과; 배출실(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트레이들을 그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2리프팅수단과; 배출실(220)의 외부로 트레이들을 이송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전술한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에 있어서, 특히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바, 이는, 로보트(240)를 통해 트레이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그 가공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가공실로 이송시켜야 함은 물론이고, 탑재된 피가공물의 손상등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을 위하여 트레이는, 피가공물 즉, 어퍼드럼과 로워드럼(B)이 구별되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과, 로보트(240)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파손 및 변형의 방지가 요구된다. 이외에도 피가공물이 세척공정등을 거쳐야 함으로써, 세척물질에 대한 내구성등도 요구되고 있다.
제3도에는 이와같은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종래의 트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바닥판(1)의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재의 패드(2)가 전면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이 바닥판(1)과 패드(2)에는 각각 피가공물이 탑재될 수 있는 탑재홈(3)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된다. 이때 패드(2)를 에폭시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은 낙하층격등이 발생되었을시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가공실이 안착되어 로보트를 통해 탑재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로보트와 접촉되는 패드의 상면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로보트트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트레이를 다수 적층하여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투입실로 투입하는 것이어서, 적층된 상태의 무게에 의해 패드의 표면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공정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세척기의 행거를 통해 운반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운반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 및 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트레이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그 내면에 사각형상의 캐비티(11)를 형성하는 알루미늄재의 사각틀체(10)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 사각틀체(10)의 캐비티(11) 바닥면에는 예컨대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과 어퍼드럼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는, 로워드럼(B)과 어퍼드럼을 구획하여 장착 시키기 위한 안착부의 성형이 매우 어렵고, 또한 금속재(알루미늄)로 사가틀체를 성형하는 것이어서, 단가 상승을 초래하며, 그 무게또한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이를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세척공정시 세척물질에 의해 금속재의 사각틀체에 부식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피가공물의 적재가 용이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을 극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용이성 및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는,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 드럼을 적재하여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트레이에 있어서, 내면에 사각형사체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외면에 단차부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양측면에는 림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과; 상기 수평 및 수직 거더들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바들과; 상기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이 안착되는 안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워 드럼용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평면도이며, 제7도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제8도는 6도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제9도 및 제10도는 대차에 적층된 상태도이며, 제11도 및 제12도는 자동 트레이 체이저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자동 트레이 체인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케비티(111)가 형성된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전술한 프레임(110)의 상부 내, 외면에는 단차부(112a,112b)를 갖는 테두리(112)가 형성되며, 이 테두리(112)의 양측면에는 림(113,114)(rim)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사각형상체의 캐비티(111)의 내측면으로 부터는 서로 교차되어 격자(格子)형사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girder)이 마련된다.
또한 이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의 상부측 각 방향에서는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서포트 바들(140)(support bar)이 다수 마련된다.
이때 특히 서포트 바들(140)의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는 전술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가 마련된다.
전술한 림(113,114)의 하부측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서포트 리브(115,116)가 형성된다. 이때 서포트 리브(115,116)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클램퍼 수단 즉, 조(251)를 통해 클램핑 되는 부위이다. 이때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클램퍼 수단 즉, 조(251)를 통해 용이하게 클램핑 되도록 서포트 리브(115,116)의 각 외측면에는 외측을 경사진 경사면(115a,116a)을 갖는다.
이때 전술한 프레임(110)이 테두리(112)는 그 모서리의 2부분이 라운딩부(112c)를 이루고 나머지 모서리 2부분이 모따기부(112d)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트레이(100)를 다수적층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조립위치를 한방향으로 일치 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윈도우(117,118)와 행거홀(H)(hanger hole)을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윈도우 (117,118)를 통해서는 다수의 트레이(100)를 적층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트레이가 적층되었을 시 즉, 예컨데 로워드럼용용 레이가 적층되었을 시 이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행거홀(H)은,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의 행거가 끼워 삽입되는 부위로써, 이를 통해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 즉, 어퍼드럼(B)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원도우(117,118)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본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로워드럼용 트레이의 탑재여부를 확실히 분별하기 위함이다.
한편,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의 구조를 보면, 서포트 바(140)들의 교차지점의 상부에는 어퍼드럼을 구성하는 피가공물(B)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공부(151a)를 갖는 보스부(151)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 보스부(151)들과 대응되는 서포트 바(140)들의 교차지점 하부에는 다른 트레이가 적층됨에 있어서, 직하방에 위치된 어퍼드럼을 구성하는 피가공물의 외경을 지지하는 중공부(152a)를 갖는 플랜지부(152)가 연장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프레임(110)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그리고 서포트 바들(140) 및 안착부(152)들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PS; POLYPHENYLENE SULFIDE RESINS)의 재질로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벤젠고리를 골간(骨幹)으로 한 단순구조의 고결정성 쇄상(鎖狀)고분자로 모든 환경(내유성, 내화학성, 내열성등)에서 대단히 우수하고 안정된 소재특성을 보이는 고기능수지(Super EP)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일체로 성형하게 되면, 충격이나 로보트(240)등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8도는 본 발명의 트레이(100)를 다수 적층 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돌출 설치된 허브(142)의 외경에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의 축구멍을 끼워 삽입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트레이(100)들을 다수 적층하여 예컨대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에 투입실(210)로 공급함에 있어서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차(300)를 통해 다수 적층하여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며, 트레이(100)들을 대차(300)의 적재부(320)에 다수 적층 시킨다. 이때 최하단의 트레이(100)는 대차(300)의 레일부(310)의 롤러(311)에 의해 이송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이때 트레이(100)들의 적층시에는 프레임(110)의 하부가 테두리(112)의 단차부(112a,112b)에 지지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트레이(100)들은 테두리(112)의 라운딩부(112c)와 모따기부(112d)에 의해 안정되게 적층된다. 즉, 트레이(100)들은 사출 성형시 사출오차등에 의해 어긋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이때 대차(300)의 레일부(310)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트레이(100)를 적층함에 있어서는, 프레임(110)에 형성된 윈도우(117,118)에 의해 다른 트레이(100) 예컨대 어퍼드럼이 탑재된 트레이의 탑재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윈도우(117,118)를 통해 다른 트레이의 탑재시 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트레이(100)가 다수 적층된 대차(300)를 바퀴(330)와 핸들부(340)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대기장소 또는 자동트레이 체인저(200)의 투입실(210)로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을 공급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 전술한 대차(300)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레일부(310)에 적층된 트레이(100)중 최하단에 위치된 트레이(100)는 대차(300)의 스톱퍼 수단(350)을 통해 그 유동이 용이하게 방지되게 된다.
한편, 제11도에 및 제12도에는 대차(300)에 의해 자동트레이 체인저(200)의 투입실(210)에 공급되고, 리프팅 수단에 의해 작업실(230)로 공급된 트레이(100)를 클램핑 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이는, 리프팅 수단에 의해 작업실(230)로 공급된 최상단의 트레이(100)의 위치여부가 클램핑 플레이트(252)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센서(253)에 의해 감지되게 되면, 실린더가 작동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 블록이 가동 플레이트측을 향하여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클램핑 플레이트(252)가 이송되면서 조(251)의 상층면에 림(113,114)의 하측면이 각각 받쳐져 트레이(100)가 클램핑된다. 이때, 조(251)의 경사면(251a)은 조(251)와 테두리(112)의 단차부(112a.112b)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고, 하부측의 조(251)의 경사면(251b)은 조(251)와 트레이(100)의 테두리(112)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251b)의 요홈(251c)은 림(113,114)의 끝부분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조(251)의 경사면(251a)은 서포트 리브(115,116)의 경사면 (115a,116a)에 접촉되어 트레이(1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클램핑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54)와 서포트 플레이트(255)는 트레이(100)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견고하게 잡아주므로 트레이(10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00) 로보트(240)는 트레이(100)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컨베어이 시스템의공급라인으로 운반시키고 가공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가공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이 탑재된 트레이(100)는 윈도우(117,118)의 양측면에 형성된 행거홀(H)을 통해 세척기의 행거가 삽입됨으로써, 이를 통해 가공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세척과정에서 절삭유나 오일 세척액등에 의한 변형은 그 자체의 재질이 내유성,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재질로 성형되어 있어 그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에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의 탑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대차 및 이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 자체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서, 성형의 용이성 및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을 적재하여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된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에 있어서,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1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 외면에 단차부(112a,112b)를 갖는 테두리(112)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112)의 양측면에는 림(113,114)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캐비티(11)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 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상기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바들(140)과; 상기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어퍼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들;을 포함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113,114)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5a,116a)을 갖는 서포트 리브(115,116)가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드럼용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2)는 모서리의 2부분에 라운딩부(112c)가 각각 형성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모따기부(112d)가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윈도우(117,11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117,118) 양쪽에 헹거홀(H)이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50)는, 상기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어퍼드럼을 구성하는 피가공물이 안착되도록 중공부(151a)를 갖는 보스부(151)와; 상기 보스부(151)와 대응되는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어퍼드럼을 구성하는 피가공물의 외경을 지지하는 중공부(152a)를 갖는 플랜지부(152);를 구비하는 자동트레이 체인저용 트레이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서포트 바들(140), 안착부(150)들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트레이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KR1019950012341A 1995-05-18 1995-05-18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KR013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41A KR0134425B1 (ko) 1995-05-18 1995-05-18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41A KR0134425B1 (ko) 1995-05-18 1995-05-18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008A KR960041008A (ko) 1996-12-17
KR0134425B1 true KR0134425B1 (ko) 1998-04-21

Family

ID=1941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341A KR0134425B1 (ko) 1995-05-18 1995-05-18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008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488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
KR0151471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대차
KR0159656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반전장치
EP2246136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chining crankshaft ends
JPH03503747A (ja) 工作機械のモジュラー型マルチ工作物取り付けシステム
JPH07110463B2 (ja) 自動テーブル交換工作機械
US20220371132A1 (en) Machine arrangement and mechanical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metal
US20210107102A1 (en) Production l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duction line
US5505083A (en) Split station modular balancing and correction machine allowing early removal of workpiece
JP5380953B2 (ja) 生産ラインのワーク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0134425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어퍼 드럼용 트레이
KR0144213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
JPH0464818B2 (ko)
JP3379115B2 (ja) 加工システム
US5706568A (en) Automated chamfe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106667A (ko) 공작기계용 슬라이딩 커버
JP5282490B2 (ja) 生産ラインのワーク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2864155B2 (ja) パレット交換装置
KR0151477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대차 클램핑장치
JP2550071Y2 (ja) Fmsのパレットおよびワークの搬送装置
JP2001198762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KR0171134B1 (ko)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트레이 리프팅장치
US5984608A (en) Automated chamfering apparatus and method
KR0174922B1 (ko) 자동 가공물 교환기
JPH01178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