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256Y1 - 용지 낱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낱장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256Y1
KR0134256Y1 KR2019930004950U KR930004950U KR0134256Y1 KR 0134256 Y1 KR0134256 Y1 KR 0134256Y1 KR 2019930004950 U KR2019930004950 U KR 2019930004950U KR 930004950 U KR930004950 U KR 930004950U KR 0134256 Y1 KR0134256 Y1 KR 013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e
sheet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291U (ko
Inventor
박찬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30004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256Y1/ko
Publication of KR940022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빔프린터, 복사기등에 있어 종이를 낱장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평탄수평이동시켜 용지를 공급하는 방식에서 종이를 구부려서 첫째장의 종이와 다음장의 종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하나의 롤러에 의해 낱장공급이 가능케한 것이며 이는 탄성체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고 용지의 선단을 안내하는 압력판을 갖는 제1케이스와, 용지를 수직으로 가압하는 압력판을 갖는 제2케이스와,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하여서 될 것이다.

Description

용지 낱장공급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용지낱장급지장치를 보인 것으로,
(a)는 턱분리방식의 사시도.
(b)는 패드분리방식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에 의한 종래의 턱분리방식의 낱장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에 의한 종래의 패드분리방식 낱장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용지 낱장공급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용지 낱장공급장치에 있어 용지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용지 낱장공급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용지 낱장공급장치를 펼친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연결부재
3 : 제1케이스 4 : 제2케이스
5,5' : 받침판 6 : 탄성채
7 : 록킹레버 8 : 홈
9 : 로울러 10 : 레지스터 로울러
본 고안은 레인저빔프린터, 복사기등에 용지를 낱장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탄하게 쌓아 공급하는 방식에서 공급되는 종이를 구부려서 첫째장의 종이와 다음장의 종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하나의 롤러로 낱장공급이 가능하게한 것이다.
일반적인 용지 낱장공급장치는 제1도의 (a)(b)에서 보인 바와 같이 턱(Jaw)분리 방식과 패드(Pad)분리방식으로 나뉘어진다.
(a)는 턱분리방식으로서 턱(20)에 의한 분리방식은 종이의 양쪽끝을 어느정도 규제하여 종이의 강성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어 진다.
(b)는 패드분리 방식으로 패드분리방법은 분리하고자하는 아래부분의 종이에 패드(21)로 마찰력을 줌으로서 두장이 동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턱분리방식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적재된 종이의 하단에서 일정압력으로 종이를 받치고 있어 상측의 고무로울러(9')에 압력을 가해주고 있다.
이때, 고무로울러(9')가 화살표방향인 A방향으로 회전하면 최상위의 종이가 로울러(9')와의 마찰력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종이 앞단의 양쪽에 분리조가 있어서 종이의 강도(Stiffness)에 따라 종이의 루프(Roop)가 발생되어 이 루프로 인해 아랫장의 종이와 분리되어 1장씩 이송된다.
그리고, 패드분리방식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로울러(22)와 마찰패드(21)로 이루어져 있고 로울러(22)와 최상위 로울러 사이의 마찰력이 다음장과 패드(21)와의 마찰력 보다 커서 이 부분에서 종이가 낱장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용지를 낱장공급하는데 있어서 제2도와 같은 턱분리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신뢰성 있게 낱장공급수행 기능을 제공하지만 용지폭, 사이즈가 제한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낱장 공급하는데 문제가 있고 하축스프링 힘에 의한 환경변화로 용지의 정확한 낱장공급이 지켜지기 어렵다.
그리고, 마찰패드분리방식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앙에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어 용지사이즈의 변화에 유리하지만 마찰패드(21)가 마모되면 마찰력이 균일하지 못하고 마찰마모분인 종이가루, 고무분진등으로 토오크가 상승하여 용지급지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턱분리방식에서 실시곤란한 용지사이즈의 제한으로 부터 임의의 종이를 넣어도 턱이 없이 분리하여 용지 사용제한을 없애기 위한 낱장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를 구부린 상태에서 급지를 진행시켜 종이의 강도에 의한 굴곡부의 방사방향 힘을 이용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레이저빔프린터, 복사기등에 용지를 낱장으로 공급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낱장공급장치는 제4도 내지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의 원고급지부에 급지되는 용지의 앞부분을 적재하는 제1케이스(3)와, 본체(1)의 록킹레버(7)에 걸릴 수 있고 용지의 뒷부분을 적재하는 제2케이스(4)와, 상기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로 구성된 카세트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1케이스(3)는 본체(1)측 급지안내부에 정착되고 상부에 급지수단인 급지로울러(9)가 있고 하측에 탄성체(6)에 의해 탄력에 의하여 받쳐지고 용지를 받쳐주는 받침(5)을 설치하였다.
상기 제2케이스(4)는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을 갖는 받침판(5')이 존재하고 본체(1)의 록킹레버(7)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부재(2)는 내측에 대수의 홈(8)을 갖고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4)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다.
미설명부호 10은 레지스터로울러이고 11은 전사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용지낱장급지장치는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지를 수용하는 카세트이다.
본 고안의 낱장급지장치인 카세트는 주요부분이 본체(1)의 급지 안내부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3)와, 본체(1)상에 구부러진 형상으로 고정되는 제2케이스(4)와, 상기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스(3)는 종이(12)의 선단부분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탄성체(6)에 지지되고 용지를 받쳐주는 받침판(5)를 내장하고 있으며, 제2케이스(4)는 종이(12)의 뒷부분을 적재하고 이를 받쳐주는 받침판(5')을 갖고 있어 종이의 뒷부분을 잡고 끌어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의 바람직한 재질은 고무재릴(Rubber)이 바람직하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홈(8)이 형성되며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4)를 연결하였다.
본 고안 낱장급지장치의 작동원리는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로울러(9)가 화살표 방향 A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최초의 급지용지인 첫째장 P1은 고무로울러(9)에 의해 이송되어 둘째장 P2로부터 떨어지는데, 이때 P2종이는 화살표 B방향으로 펴지려는 힘을 갖는다.
이 힘은 종이의 강도에 의한 것으로 첫째장 종이 P1은 유연하게 라운딩(Rounding)된 연결부재(2)의 내면상에서 이격되고, 둘째장 종이 P2와의 상대적 접촉력이 적어지면서 서로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카세트의 형상과 구조는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결부재(2)는 유연성있게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4)를 연결하고 제7도에서와 같이 카세트 개방상태에서 용지를 위에서 부터 넣어 적재한다.
이와 같이 적재가 끝나면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에 제1,2케이스(3)(4)를 결합하는데, 이때 고무로울러(9)와 받침판(5)이 작동하여 최상부 용지가 로울러(9)에 물린다.
용지가 본체(1)의 급지안내부에 안내되면 연결부재(2)를 둥글게 말아올려 본체(1)이 록킹레버(7)에 제2케이스(4)를 걸어놓는다.
이 과정에서 연결부재(2)는 유연성있게 라운딩이 형성되면서 본체(1)측에 정착되고 용지는 복사기등의 본체(1)측으로 낱장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낱장공급장치 카세트는 용지를 구부렸을 경우 용지의 강도에 의해 굴곡부의 방사방향 힘을 이용하여 용지를 분리함으로서 종래의 턱분리방식에서 지적되었던 실시곤란한 용지사이즈의 제한으로 부터 벗어날 수 있다.
즉, 임의의 용지를 넣게 되면 턱이 없이 분리하므로 용지제한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드분리방식에 필요한 분리용패드를 없애 신뢰성을 향상 시키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 낱장공급이 가능하며 용지의 약 1/2을 접은 상태에서 용지가 공급되므로 카세트가 점유하는 면적을 축소시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탄성체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고 용지의 앞부분을 받쳐주는 받침판을 갖는 제1케이스와, 상기 용지를 수직으로 가압하고 용지의 뒷부분을 받쳐주는 받침판을 제2케이스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낱장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케이스는 본체측 급지안내부에 장착되고, 제2케이스는 본체측에 연결부재의 유연성으로 라운딩형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낱장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구부러지기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홈을 갖는 고무로된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낱장공급장치.
KR2019930004950U 1993-03-30 1993-03-30 용지 낱장 공급장치 KR013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950U KR0134256Y1 (ko) 1993-03-30 1993-03-30 용지 낱장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950U KR0134256Y1 (ko) 1993-03-30 1993-03-30 용지 낱장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291U KR940022291U (ko) 1994-10-19
KR0134256Y1 true KR0134256Y1 (ko) 1999-05-01

Family

ID=1935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950U KR0134256Y1 (ko) 1993-03-30 1993-03-30 용지 낱장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2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291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517A (en) Paper feeding apparatus of printing device
JPH05105245A (ja) シート分離/送り装置
US6135438A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from two separate sources
JPH11222328A (ja) 給紙装置
EP0333485B1 (en) Sheet feeder
KR0134256Y1 (ko) 용지 낱장 공급장치
KR960002761Y1 (ko) 용지공급장치
US5269505A (en) Friction retard feeder with a stepped retard pad
JP3349635B2 (ja) 給紙カセット
KR100402796B1 (ko) 정전기 제거수단을 구비한 급지장치
KR20030047569A (ko)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EP036720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100449103B1 (ko) 인쇄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KR200149599Y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기록용지 자동급지장치
JP2596027Y2 (ja) 給紙装置
KR19980055355U (ko) 용지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프린터 장치
KR100465327B1 (ko) 중송방지기능을 구비한 용지급지장치
KR100580916B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KR100426086B1 (ko) 사무용기기의 마찰패드를 갖는 용지분리장치
KR940007340B1 (ko) 선별기능을 갖는 복사지 자동급지장치
JPH10258946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字方法
KR20000006230U (ko) 화상 형성 기기의 중송급지 방지 장치
JPH04354740A (ja) 給紙装置のシ−ト分離装置
JPH0618345U (ja) 自動給紙装置
KR101051461B1 (ko) 인쇄기기용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