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80B1 -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80B1
KR0133480B1 KR1019940004704A KR19940004704A KR0133480B1 KR 0133480 B1 KR0133480 B1 KR 0133480B1 KR 1019940004704 A KR1019940004704 A KR 1019940004704A KR 19940004704 A KR19940004704 A KR 19940004704A KR 0133480 B1 KR0133480 B1 KR 013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spring
movable member
camshaft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917A (ko
Inventor
데루오 오오사와
마사아쓰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이다가끼 유끼오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가끼 유끼오,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이다가끼 유끼오
Publication of KR94002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8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 F02D1/10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4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chanical means dependent on engine speed, e.g. using centrifugal governors
    • F02D1/045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chanical means dependent on engine speed, e.g. using centrifugal govern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springs or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2001/000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entrifugal governors
    • F02D2001/002Arrangement of governor springs
    • F02D2001/0025Arrangement of governor springs having at least two springs, one of them being id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2001/000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entrifugal governors
    • F02D2001/0045Arrangement of means for influencing governor characteristics by operator
    • F02D2001/0055Arrangement of means for influencing governor characteristics by operator varying pivotal point of linkages between governor sleeve and pump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설명된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에서는 거버너축(30)에 제 1 스프링받이(31), 제 2 스프링받이(32), 가동부재(25)가 이러한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받이, 가동부재는 거버너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받이는 스토퍼(35)에 의하여 가동부재로 향하는 이동을 스토퍼(35)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다. 조속기추(12)와 아이들 스프링(17)에 의한 아이들 제어시에 있어서, 가동부재(25)와 규제위치에 있는 제 2 스프링받이(32)와는 서로 떨어져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제1도는 내연기관과 연료분사펌프와 본 발명에 관한 기계식 거버너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상기 기계식 거버너의 실시예를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아이들 제어시의 기계식 거버너의 작용을 설명하는 주요부분 단면의 개략도.
제4도는 종래의 기계식 거버너의 주요부분 단면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축 2 : 조절부재
10 : 하우징 12 : 조속기추
16 : 시프터 17 : 아이들 스프링
20 : 제 1 연휴수단 25 : 가동부재
25a : 환형의 돌기 30 : 거버너축
31 : 제 1 스프링받이 32 : 제 2 스프링받이
33 : 거버너 스프링 35 : 스토퍼
본 발명은 디이젤 엔진 등의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기계식 거버너에 관한 것이다.
거버너(governer)는 내연기관의 회전속도와 가속페달 조작량에 기초하여 내연기관으로의 연료공급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거버너는 연료분사펌프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거버너의 하우징의 내부에는 연료분사펌프의 캠축과 제어랙(조절부재)의 일단이 각기 면하고 있다. 캠축은 엔진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연료분사에 이용된다. 제어랙은 연료분사펌프에서 엔진으로의 연료분사량을 조절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소 60-60932호(미국 특허 제4754734호, 독일 특허 제3630671호, 한국 특허공개 공보 87-3293호에 대응하는)에는 상기 거버너가 게재되어 있다. 이 거버너의 구조를 제4도에 따라서 간단히 설명하면, 캠축(1')의 일단에는 여러개의 조속기추(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열리어 시프터(16')를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시프터(16')는 아이들 스프링(17')에 의하여 왼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른 한편,거버너축(30')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있다. 이 거버너축(30')에는 좌단부에 스프링받이(31')가 고정되어 있고, 우단부에는 가동링(25')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링(25')은 인장레버(20')로 상기한 스프터(16')에 연관되어 있다. 또, 가동링(25')에는 도면에 없는 협동기구를 게재하여 제어랙이 연결되어 있다. 가동링(25')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랙은 연료증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스프링받이(31')와 가동링(25')의 사이에는 지름이 다른 거버너 스프링(33',3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1개의 거버너 스프링밖에 게제되어 있지 않으나 2개의 거버너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주지되고 있다. 가동링(25')이 아이들 제어위치에 있을 때에, 이 가동링(25')과 스피링받이(31') 사이의 간격은 거버너 스프링(33',34')의 자연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더우기, 거버너 스프링(33')의 자연길이는 거버너 스프링(34')의 자연길이 보다 길다.
상기 구성의 기계식 거버너에 있어서 아이들 제어시에는 엔진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조속기추(12')의 가압력과 아이들 스프링(17')의 힘의 균형에 의하여 가동링(25')의 위치가 결정되며, 또한 연료분사량이 결정된다. 이 경우, 거버너 스프링(33',34')의 힘이 가동링(25')에 작용하는 일은 없다.
엔진회전속도가 소정의 회전속도를 초과하는 제어의 경우에는 조속기추(12')의 힘으로 가동링(25')이 도면중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가동링(25')과 스프링받이(31') 사이의 간격이 거버너 스프링(33')의 자연길이 보다 짧아진다. 그 결과, 거버너 스프링(33')의 가압력이 가동링(25')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엔진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조속기추(12')의 가압력이 거버너 스프링(33')의 힘의 균형에 의하여 가동링(25') 위치가 결정되며, 나아가서는 연료분사량이 결정된다. 또한, 엔진회전속도가 커지면 다른 거버너 스프링(34')의 힘도 가동링(25')에 작용한다.
상기 종래의 기계식 거버너에 있어서는 아이들 제어가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아이들 제어시에는 거버너 스프링(33',34')의 힘이 가동링(25')에 작용하는 일은 없으나, 거버너 스프링(33',34')의 자연길이가 스프링받이(31')와 가동링(25')의 간격보다 짧으므로 거버너 스프링(33',34')은 거버너축(30')의 축선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엔진진동에 따라 가동링(25')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충돌의 충격으로 가동링(5)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료분사량이 일시적으로 증대한다. 그래서 엔진회전속도가 증대하여 조속기추(12')의 가압력이 세어지므로 가동링(25')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료분사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거버너 스프링(33',34')이 가동링(25)에 닿을 때마다 연료분사량의 증감이 반복되기 때문에 회전속도가 일정한 아이들 회전속도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서 불안정하게 된다.
또, 아이들 제어에 있어서, 거버너 스프링(33',34')이 가동링(25')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회전속 상승에 응답하여 가동링(25')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가동링(25')이 거버너 스프링(33',34')을 동반하여 이동하게 되어, 이 거버너 스프링(33',34')의 질량때문에 단독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동링(25')의 이동속도가 저하한다. 이것도 아이들 제어를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식 거버너(G)는 디이젤 엔진(E)(내연기관용)에 연료(F)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분사펌프(P)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연료분사펌프(P)는, 예컨대 열형(列型)이라 일컫는 분사펌프이며,캠축(1)과 가늘과 길죽한 제어랙(2)(조절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캠축(1)의 회전력은 분사펌프(P)로부터의 연료(F)를 엔진(E)에 분사하기 위한 동력으로 된다. 제어랙(2)은 분사펌프(P)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서 분사펌프(P)로부터의 연료분사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캠축(1), 제어랙(2)의 일단은 거버너(G)의 하우징(10)내에 면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은 극히 주지의 것으로 모든 열형의 거버너(G)에 공통하는 것이다.
다음에, 거버너(G)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거버너(G)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공지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는 간단히 설명하던가, 또는 설명이나 도해를 생략하도록 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서 캠축(1)의 일단에는 캠축(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호울더(11)의 중앙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호울더(11)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조속기추(12)(제2도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낸다)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각 조속기추(12)는 추(錘)부분(12a)과, 이 추부분(1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작용부(12b)(제2도에서는 한편만 나타내었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한쌍의 교차부가 캠축(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핀(13)에 따라, 호울더(11)의 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작용부(12b)의 선단에는 원형의 가압판(1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울더(11)에는 캠축(1)에서 떨어지면, 즉 우측의 면의 중앙에 캠축(1)과 같은 축으로 뻗은 원통부(도면에 없음)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부에는 슬리이브(15)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15)의 캠축(1)측의 단면, 즉 좌단면에는 상기 가압판(14)이 접하고 있다. 슬리이브(15)의 우단에는 시프터(16)가 부착되어 있다. 시프터(16)의 도면속의 오른쪽 면에는 구멍(16a)이 형성되었고, 이 구멍(16a)에는 아이들 스프링(17)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아이들 스프링(17)의 타단부는 하우징(10)에 비틀어 박힌 나사(18)의 단면(端面)의 구멍(도면에 없음)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 스프링(17)은 시프터(16) 및 슬리이브(15)를 항상 왼쪽 방향으로 가압하고, 나아가서는 조속기추(12)를 핀(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캠축(1)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한쌍의 조속기추(12)의 추부분(12a)은 서로 접근하도록 닫혀져 있으며 슬리이브(15)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상기한 시프터(16)는 인장레버(20)(제1연휴수단)의 하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레버(20)는 상방으로 뻗어 있고, 길죽한 제1포오크부(20a)와, 그 보다 위에 위치하는 짧은 제2포오크부(20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포오크부(20a)의 하단에 시프터(16)에 들어가서 핀(21)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포오크부(20a)의 상부에는 하우징(10)에 지지된 축(22)이 관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장레버(20)는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부분에 대하여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장레버(20)의 제2포오크부(20b)에는 가동링(25)(가동부재)이 들어가 있어, 한쌍의 핀(2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링(25)에는 캠축(1)과 평행으로 뻗은 거버너축(30)이 관통하고 있다. 이 거버너축(30)은 하우징(10)에 양단을 지지하고 있고, 가동링(25)의 회전운동 궤적(원호를 그린다)의 대략 접선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레버(20)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동링(25)은 거버너축(30)의 축선에 대략 잇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거버너축(30)의 좌단부에는 링형상의 제1스프링받이(31)가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제1스프링받이(31)는 거버너축(30)에 대하여 축방향의 이동 불능으로 되어 있으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스냅링(snap ring) 등으로 왼쪽 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스프링받이(31)는 큰 지름부분(31a)과 그 우측에 형성된 작은 지름부분(31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거버너축(30)에는 가동링(25)과 제1스프링받이(31)의 사이에서 링형상의 제2스프링받이(32)가 축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2스프링받이(32)는 큰 지름부분(32a)과, 그 좌측에 형성된 작은 지름 부분(32b)과, 큰 지름부분(32a)의 우측에 형성된 통부(筒部)(32c)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버너축(30)에는 스냅링(35)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스냅링(35)에 제2스프링받이(32)의 통부(32c)의 우단이 닿음에 따라, 제2스프링받이(32)는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상기한 제1,2스프링받이(31,32)사이에는 거버너축(30)에 감겨진 2개의 지름이 다른 거버너 스프링(33,34)이 배치되어 있다(제2도에서는 지름의 큰 거버너 스프링(34)만 나타내었다). 안쪽의 지름이 작은 거버너 스프링(33)의 양단은 스프링받이(31,32)의 작은 지름부분(31b,32b)의 단면과 배치하고 있다. 바깥쪽 지름이 큰 거버너 스프링(34)의 양단은 스프링받이(31,32)의 큰 지름부분(31a,32a)의 단면과 대치하고 있다.
상기의 규제 위치에서의 제2스프링받이(32)의 작은 지름부분(32b)과, 제1스프링받이(31)의 작은 지름부분(31b) 사이의 간격은 안쪽의 거버너 스프링(33)의 자연길이와 같거나, 이보다 짧다. 따라서, 이 거버너 스프링(33)은 항상 작은 지름부분(31b,32b)의 단면에 접하고 있다. 바깥쪽의 거버너 스프링(34)의 자연길이는 큰 지름부분(31a,32a)의 단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 가동링(25)은 안지름이 제2스프링받이(32)의 통부(32c)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부(32c)를 수용하고 있다. 가동링(25)의 제2스프링받이(32)측의 면에는 환형의 돌기(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5a)의 단면 형상은 반원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가동링(25)과 제어랙(2)을 연휴하는 주지된 연휴기구(40)(제2연휴수단)를 간단히 설명한다.이 연휴기구(40)는 가이드레버(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레버(41)의 하단부는 인장레버(20)를 지지하는 축(22)에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버(41)는 상방으로 뻗어 있고, 축(22)에 감겨진 해제 스프링(42)에 의하여 한쌍의 축(23)의 한편에 닿아서 인장레버(20)와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링(25)이 거버너축(30)에 잇따라서 이동함에 따라서 가이드레버(41)가 회전운동한다.
상기한 가이드레버(41)는 유동레버(43)를 게재하여 제어랙(2)에 연휴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동레버(43)는 양단부에 포오크부(43a,43b)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편의 포오크부(43a)에는 가이드레버(41)의 상단에 설치된 보울 조인트(ball joint)(44)가 삽입되어 있다. 다른 편의 포오크부(43b)에는 브래킷(46)의 선단에 설치된 보울 조인트(45)가 삽입되어 있다. 이 브래킷(46)은 제어랙(2)에 고정되어서 제어랙(2)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버(41)가 회전운동하면 유동레버(43)가 수평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제어랙(2)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유동레버(43)의 회전받침점(43x)은 제어레버(5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제어레버(50)의 일단은 하우징(10)의 상부를 관통하는 축(51)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가속페달(도면에 없음)에 링크기구를 게재하여 연휴되어 있다. 이 제어레버(50)의 회전운동은 축(51) 및 링크기구(52)를 게재하여 유동레버(43)의 회전운동받침점(43x)에 전하여지고, 이 회전운동받침점(43x)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어레버(50)는 하우징(10)에 설치된 지속 스토퍼 보울트(50a)의 전속 스토퍼 보울트(50b)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들 제어에 있어서의 거버너(G)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이들 제어시에는 제어레버(50)가 지속 스토퍼 보울트(50a)에 닿게 되고, 유동레버(43)의 회전운동받침점(43x)의 위치가 결정된다. 캠축(1)의 회전에 따라 조속기추(12)의 추부분(12a)이 원심력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열리며, 이에 따라 작용부(12b)의 선단의 가압판(14)이 슬리이브(15)를 오른쪽 방향으로 누른다. 이 조속기추(12)의 가압력과 아이들 스프링(17)의 가압력이 균혀이 되도록 시프터(16)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 시프터(16)의 위치에 따라 가동링(25)의 위치 및 인장레버(20)의 회전운동 위치가 결정되며, 나아가서는 가이드레버(41) 및 유동레버(43)의 회전운동 위치가 결정되고, 최종적으로 제어랙(2)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 결과, 일정한 아이들 회전속도에 대응한 연료분사량을 분사펌프(P)에서 엔진(E)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아이들 제어에 있어서, 엔진(E)의 회전속도가 저하하면, 조속기추(12)에 의한 가압력이 약하여지므로, 시프터(16)가 아이들 스프링(17)에 눌려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장레버(20)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가동링(25)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버(1), 유동레버(43)를 게재하여 제어랙(2)이 왼쪽 방향, 즉 연료증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엔진회전속도가 상승하여 원래의 아이들 회전속도로 복귀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엔진회전속도가 상승하면 조속기추(12)의 가압력이 강하여지므로 시프터(16)가 아이들 스프링(17)에 저항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장레버(20)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가동링(25)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어랙(2)이 오른쪽 방향, 즉 연료감소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엔진회전속도가 저하하여 원래의 아이들 회전속도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아이들 제어의 경우에는 엔진회전속도의 약간의 변동에 따라서, 시프터(16) 및 가동링은 소정위치를 중심으로 미소량의 왕복이동을 하면서, 아이들 회전속도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들 제어시의 가동링(25)은 제2스프링받이(32)에서 떨어져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가동링(25)은 거버너 스프링(33,34)의 힘이 작용하지 않아서 아이들 회전속도는 아이들 스프링(17)과 조속기추(12)의 힘의 균형만으로 제어된다.이 경우, 가동링(25)은 거버너 스프링(33,34)에서 떨어져 있어 항상 단독으로 이동하므로 가동링(25)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엔진회전속도의 변동에 대한 응답성을 잘 할 수 있고, 아이들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더우기, 엔진(E)의 진동이 거버너(G)에 부여되어도 거버너 스프링(33,34)은 제2스프링받이(32)에 의하여 가동링(25)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가동링(25)에 거버너 스프링(33,34)에 닿는 경우가 없고, 상기 아이들 스프링(17)과 조속기추(12)의 힘의 균형상태를 흩뜨리는 일이 없으므로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아이들 제어를 안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가속페달의 조작에 따라 제어레버(50)가 아이들 위치로부터 회전운동하면, 이에 따라서 유동레버(43)의 회전운동받침점(43x)이 이동하여 제어랙(2)은 연료증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엔진회전속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조속기추(12)의 가압력이 세어져서 아이들 스프링에 극복되기 때문에 인장레버(20)가 반시계 회전으로 회전운동하여 가동링(25)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엔진회전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하면 가동링(25)의 돌기(25a)가 제2스프링받(32)에 닿는다. 또한, 엔진회전속도가 상승하면 가동링(25)이 제2스프링받이(32)를 가압하기 때문에 가동링(25)은 안쪽의 거버너 스프링(33)의 힘을 받는다. 그 결과, 가동링(25) 및 제어랙(2)의 위치는 엔진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조속기추(12)의 가압력과 거버너 스프링(33)의 힘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엔진회전속도가 상승하면 바깥쪽의 거버너 스프링(34)의 힘도 가동링에 부여하게끔 되며, 이 경우에는 조속기추(12)의 힘과 2의 거버너 스프링(33,34)의 합성력에 의하여 가동링(25) 및 제어랙(2)의 위치가 제어된다. 더우기, 아이들 스프링(20)의 힘은 거버너 스프링(33,34) 보다 훨씬 작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거버너 스프링은 1개라도 좋다. 이 경우, 제1스프링받이와 규제위치에서의 제2스프링받이와의 간격은 거버너 스프링의 자연길이와 같거나 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4)

  1. 내연기관에 의하여 회전하고, 거버너 회전력이 연료분사에 사용되는 캠축(1)과, 연료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 등을 구비한 연료분사펌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내연기관용 거버너이고, (a) 상기 연료분사펌프의 캠축(1)과 조절부재(2)의 일단이 면하는 내부 공간을 지닌 하우징(10)과, (b) 하우징에 수용되어서 지지된 거버너축(30)과, (c) 거버너축에 설치된 스프링받이(31)와, (d) 거버너축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프링받이와 떨어져 대치하는 가동부재(25)와, (e) 가동부재와 스프링받이 사이에 게재된 거버너 스프링(33)과, (f) 추부분(12a)과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작용부(12b) 등을 구비하여, 그 교차부가 캠축(1)의 일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캠축의 회전속도가 상승하면 추부분이 열리고, 캠축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추부분이 닫히는 여러개의 조속기추(12)와, (g) 조속기추의 추부분이 열렸을 때에, 조속기추의 작용부에 눌려서 캠축(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프터(16)와, (h) 시프터를 캠축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아이들 스프링(17)과, (i) 시프터(16)와 가동부재(25)를 연휴시켜 시프터가 캠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가동부재를 거버너축(30)의 축선에 잇따라서 스프링받이(31)에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터가 캠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가동부재를 거버너축의 축선에 잇따라서 스프링받이에서 멀어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연휴수단(20)과, (j) 가동부재(25)와 조절부재(2) 등을 연휴하게 가동부재(25)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조절부재를 연료감소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동부재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조절부재를 연료증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휴수단등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거버너에 있어서, 거버너축(30)에는 가동부재(25)와 거버너 스프링(33)의 사이에서 제2스프링받이(32)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고, 또한 이 거버너축에는 제2스프링받이(32)가 가동부재(25)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35)가 설치되어 있어, 이 규제위치에 있는 제2스프링받이(32)가 아이들 제어시의 가동부재(25)에서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거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최초에 설명한 스프링받이(31)와, 스토퍼(35)에 의하여 규제된 위치에서의 제2스프링받이(32) 사이의 간격이 거버너 스프링(33)의 자연길이와 같거나 그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재(25)는 원형의 링형상을 하였고, 그 안지름이 거버너축(30)의 안지름보다 크며, 제2스프링받이(32)는 가동부재(25) 들어가는 통부(32c)를 구비하였고, 이 통부의 선단이 스토퍼(35)에 걸리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거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재(25)는 제2스프링받이(32)에 대치하는 면에 환형의 돌기(25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거버너.
KR1019940004704A 1993-03-10 1994-03-10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KR0133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76136 1993-03-10
JP5076136A JPH06264775A (ja) 1993-03-10 1993-03-10 内燃機関用機械式ガバ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917A KR940021917A (ko) 1994-10-19
KR0133480B1 true KR0133480B1 (ko) 1998-04-22

Family

ID=1359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704A KR0133480B1 (ko) 1993-03-10 1994-03-10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64775A (ko)
KR (1) KR0133480B1 (ko)
DE (1) DE440770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39B1 (ko) * 1997-01-24 2000-01-15 박상록 디젤 연료분사펌프의 기계식 가바나용 플라이웨이트의 리프트 조정장치
TW201219677A (en) * 2010-11-11 2012-05-16 shi-zhou Wen capable of controlling accuracy for stage-less transmission and achieving required multi-stage speed
US8656795B2 (en) * 2010-12-16 2014-02-25 Shih-Chou Wen Easily switchable automatic transmission eccentric shaft
FR3034807B1 (fr) 2015-04-13 2017-04-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 raccordement d’un carter-cylindre a un turbocompresseur pour sa lub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744B2 (ja) * 1985-09-10 1994-11-16 株式会社ゼクセル ガバナの始動増量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7703A1 (de) 1994-09-15
JPH06264775A (ja) 1994-09-20
KR940021917A (ko) 1994-10-19
DE4407703C2 (de) 199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6642A (en) Diesel engine starting control
KR0133480B1 (ko) 내연기관용 기계식 거버너
US4148290A (en) Centrifugal regulator system for fuel injection combustion engines
US4132202A (en) Variable drive coupling for a fuel injection pump
JPS5912869B2 (ja) ナイネンキカン ノ デイストリピユ−タ ノ エンシンシキチヨウセイソウチ
JPH0438902B2 (ko)
US4164924A (en) Centrifugal speed govern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10406A (ko) 연료분사 펌프용 조속기
KR0163374B1 (ko) 연료분사펌프의 조속기
JPH0245011B2 (ko)
JPS5833234Y2 (ja) デイ−ゼル機関用遠心力式調速機
KR900010224Y1 (ko) 디젤엔진용 연료분사펌프의 원심조속기
JPS59185826A (ja) 内燃機関用ガバナの速度変動率可変装置
JP2646619B2 (ja) 内燃機関用遠心力式調速機
US3370579A (en) Control apparatus for fuel-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33086Y2 (ko)
JP4184106B2 (ja) ガバナー付きエンジン
JP2507070Y2 (ja) デイ−ゼル機関用燃料噴射装置のガバナ
JPH0191046U (ko)
GB1559555A (en) Centrifugal speed govern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00009307Y1 (ko) 디젤 엔진용 원심력 조속기의 앵글라이히 장치
JPS632587Y2 (ko)
JPS581632Y2 (ja) 機械式オ−ルスピ−ドガバナ
JP2917518B2 (ja) 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遠心力式メカニカルガバナ
KR790001700B1 (ko) 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