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03Y1 - 건조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03Y1
KR0133403Y1 KR2019950047634U KR19950047634U KR0133403Y1 KR 0133403 Y1 KR0133403 Y1 KR 0133403Y1 KR 2019950047634 U KR2019950047634 U KR 2019950047634U KR 19950047634 U KR19950047634 U KR 19950047634U KR 0133403 Y1 KR0133403 Y1 KR 0133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heater unit
washing machine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157U (ko
Inventor
이제열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47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03Y1/ko
Publication of KR970039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히터에 의한 풍량손실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기켜줄 수 있도록 한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장치(300)는 상부판(20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1)가 구성되고, 타단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구성된 덕트(310)와, 상기 덕트(31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이를 후방측으로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320)과, 상기 송풍팬(320)의 직 후방에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는 히터부(330)로 구성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30)의 일측에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송풍팬(320)에 의하여 발생된 냉풍이 히터부(33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송풍될 수 있도록 히터부(330)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는 회전수단(4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세탁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 : 상부판 300 : 건조장치
310 : 덕트 311 : 유입구
312 : 배출구 320 : 송풍팬
330 : 히터부 400 : 회전수단
410 : 회전축 420 : 모터
본 고안은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히터에 의한 풍량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한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를 갖는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된후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이를 고온의 열기로 가열하여 준 뒤 상기 가열된 열기를 세탁조 내로 송풍시켜 주어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상부판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성되고, 타단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성된 덕트과, 상기 덕트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이를 후방측으로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직후방에는 이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열교환시켜 주는 히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세탁물의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송풍팬이 가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구를 통해 덕트내로 강제로 흡입한 후 배출구측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송풍팬의 가동과 동시에 히터부가 가동되어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이의 직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부를 거치면서 고온의 열기로 열교환된 뒤 배출구를 통해 세탁조 내로 송풍이 되어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실크류나 순모류와 같은 세탁물을 건조할때는 세탁물의 보호를 위하여 히터부로 공기를 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냉한 바람을 배출구를 통해 세탁조내로 송풍시켜 상기 냉풍으로 세탁물을 건조시켜주고 있는데,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발생된 냉풍이 히터부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냉풍의 송풍량이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의 건조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세탁물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히터에 의한 풍량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조장치는 상부판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성되고, 타단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성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이를 후방측으로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직 후방에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는 히터부로 구성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의 일측에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송풍팬에 의하여 의하여 발생된 냉풍이 히터부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송풍될 수 있도록 히터부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는 회전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외체(100)의 상부에 세탁물이 투입될수 있는 도어를 갖는 상부판(200)과,
상기 상부판(20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고온의 열기를 송풍시켜 주어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는 건조장치(300) 즉,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1)가 구성되고, 타단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구성된 덕트(310)와,
상기 덕트(31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이를 후방측으로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320)과,
상기 송풍팬(320)의 직 후방에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는 히터부(330)로 구성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30)의 일측에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송풍팬(320)에 의하여 의하여 발생된 냉풍이 히터부(33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송풍될 수 있도록 히터부(330)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는 회전수단(4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410)은 히터부(330)의 일측에 이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도록 회전시켜주는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의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이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주는 모터(4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히터부(330)의 하단 일측 모서리는 회전축(410)의 회전에 의하여 히터부(330)가 용이하게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라운드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세탁물을 건조하려면 건조장치(300)의 송풍팬(320)이 가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구(311)를 통해 덕트(310)내로 강제로 흡입한후 배출구(312)측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송풍팬(320)이 가동과 동시에 히터부(330)가 가동되어 송풍팬(32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이의 직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부(330)를 거치면서 고온의 열기로 가열시켜준 뒤 배출구(312)를 통해 세탁조내로 송풍이 되어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건조장치로 실크류나 순모류와 같은 세탁물을 건조할때는 히터부(330)의 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송풍팬(320)이 가동되어 다량의 냉풍을 발생시켜주는데,
이때, 회전수단(400)의 모터(42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420)가 구동되어 회전축(410)을 일방향으로 소정횟수만큼 돌려주고, 상기 회전축이 (4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히터부(330)를 일측으로 회전시켜주어 히터부(330)의 일측면을 제3도의 점선의 위치와 같이 덕트(310)의 바닥면에 눕혀주게 되며, 상기 히터부(330)가 일측으로 덕트(310)의 바닥면에 눕혀지면서 히터부(330)의 상면에 발생된 공간으로 송풍팬(320)에 의하여 발생된 다량의 냉풍이 이송되어 배출구(312)를 통해 원활하게 세탁조내로 송풍되므로 히터부(33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풍량손실이 줄어들게 되면 이로 인하여 그 만큼 송풍량이 증가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건조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히터부의 일측에 이를 일방으로 회전시켜줄수 있는 회전수단을 구성함으로서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히터부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준다.

Claims (2)

  1. 건조장치(300) 상부판(20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1)가 구성되고, 타단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구성된 덕트(310)와, 상기 덕트(31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이를 후방측으로 송풍시켜주는 송풍팬(320)과, 상기 송풍팬(320)의 직 후방에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는 히터부(330)로 구성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30)의 일측에 냉풍으로만 건조할 때 송풍팬(320)에 의하여 의하여 발생된 냉풍이 히터부(33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송풍될수 있도록 히터부(330)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는 회전수단(4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0)은 히터부(330)의 일측에 이를 일측으로 눕혀줄 수 있도록 회전시켜주는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의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이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주는 모터(4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
KR2019950047634U 1995-12-26 1995-12-26 건조세탁기 KR0133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634U KR0133403Y1 (ko) 1995-12-26 1995-12-26 건조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634U KR0133403Y1 (ko) 1995-12-26 1995-12-26 건조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157U KR970039157U (ko) 1997-07-29
KR0133403Y1 true KR0133403Y1 (ko) 1999-04-15

Family

ID=1943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634U KR0133403Y1 (ko) 1995-12-26 1995-12-26 건조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15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758B1 (ko) 의류 건조기
KR0133403Y1 (ko) 건조세탁기
JP2005205179A (ja) 衣類乾燥機
KR100421374B1 (ko) 의류 건조기의 공기흡입구 구조
JP2004008546A (ja) 洗濯乾燥機
KR200146552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흡배기장치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200254346Y1 (ko) 회전 온풍기
KR200148962Y1 (ko) 건조세탁기의 세탁물 건조장치
KR20050058016A (ko) 의류 건조기
KR101635748B1 (ko) 혼합형 리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41876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JP3521175B2 (ja) 浴室暖房・乾燥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浴室暖房乾燥装置及びそれ用のコントローラ
JPS6223440Y2 (ko)
KR101241874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JPH0515699A (ja) 乾燥機
KR0124465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배출장치
KR200157231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송풍장치
KR100438600B1 (ko) 의류 건조기의 공기 순환 장치
JPH10305197A (ja) 回転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0329267B1 (ko) 드럼식 건조겸용 세탁기
KR100438599B1 (ko) 의류 건조기의 공기흡입구 구조
KR0128633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송풍장치
JPH10328495A (ja) 衣類乾燥機
JP2004163093A (ja) 浴室換気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