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94Y1 - 원수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원수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94Y1
KR0133394Y1 KR2019960003245U KR19960003245U KR0133394Y1 KR 0133394 Y1 KR0133394 Y1 KR 0133394Y1 KR 2019960003245 U KR2019960003245 U KR 2019960003245U KR 19960003245 U KR19960003245 U KR 19960003245U KR 0133394 Y1 KR0133394 Y1 KR 0133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upport plate
water
container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058U (ko
Inventor
임상준
Original Assignee
박창균
성신정수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균, 성신정수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창균
Priority to KR201996000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394Y1/ko
Publication of KR970051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장치는 지하수나 비교적 소용량의 저수조에 저수된 원수를 정수하는 데 사용되는 것임. 정수장치는 원수 유입구(16)와 배수구(17)을 갖고 있는 밀봉 용기동체(10)와 밀봉 뚜껑(11)으로된 밀봉용기(1)내부를 수직격판(23)에 의하여 여과실(3)과 2차처리실(4)로 분리하고 밀봉 용기내부 하방에는 통공(26),(28)을 갖고 있는 지지판(22)을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지지판 하방에 순환실(2)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여과실내에는 마이크로 필터관(30)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2차처리실에는 입상 흡착제용기(38)를 삽입하여서된 것임. 원수는 마이크로 필터관(30)의 주벽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면서 여과된다음 순환실을 거쳐 흡착제 용기(38)내부를 통하여 위로 흐르면서, 이취 물질등이 제거되게 되었음.

Description

원수 정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봉용기 2 : 순환실
3 : 여과실 4 : 2차 처리실
10 : 용기동체 11 : 뚜껑
12,13 : 플랜지 14 : 볼트
15 : 패킹링 16 : 유입구
17 : 배수구 18 : 용기저면
19 : 슬러지 배출구 20,21 : 소독기
22 : 지지판 23 : 수직격판
26 : 통공 27 : 배출공
28 : 통공 29 : 배출관
30 : 마이크로 필터관 31 : 중앙공
32 : 지지륜 33 : 덥개판
34 : 패킹 35 : 측벽
36 : 볼트 38 : 흡착제 용기
39 : 2차 처리기 40,40' : 망체
41 : 흡착제 42 : 투시창
43 : 밀봉격판
[기술분야]
본 고안은 비교적 소용량의 원수를 생활용수로 정수하기 위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지하수나 또는 소용량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식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정수장치에 관계되는 것이다.
[선행기술]
정수시설은 하천 표류수나 저수지의 물을 취수하여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원지에서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대용량의 상수도용 정수장치와 1차 정수시설을 거친 비교적 깨끗한 물을 식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2차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소용량의 가정용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정수시설은 하천 표류수나 저수지의 물과 같이 부유물질이 많이 함유되고 병원 생물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원수를 생활용수로 정수하는데 이용되는 시설이므로 부유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침전지, 여과지 등의 대형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반면 소용량의 정수장치인 가정용 정수기는 1차 정수시설에서 정수된 수도물과 같은 깨끗한 물을 식용수로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전술한 소형 정수장치는 내부에 고형물 여과용 필터가 1개 또는 2개정도 설치되어 있어서 물이 상수도의 수압으로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된 정수기와 상하 2개의 물통 사이에 활성탄 등의 흡착제통을 설치하여 물이 중력에 의하여 흡착제통을 통하여 하부 물통으로 낙하되도록한 정수기가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지하수나 또는 소형 저수조에 저수된 원수를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하는데 적당한 중형 정수시설은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지하수, 특히 지표수의 오염문제가 나타나 지하수와 소형 저수조에 저수된 물도 생활용수로 부적당한 것으로 인정되면서 이러한 물도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정수할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상수도가 연결되지 아니한 농촌이나 공장등에서는 지하수나 하천수를 공동 저수조로 양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수도관을 통하여 식용수로 공급하고 있는 바, 이와같이 천연수를 양수하여 공동 저수조에 저장한 물은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수질에 따라서는 고형물이 수중에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수로 사용하려면 정수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공동 저수조의 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종래의 수원지에서 사용하는 정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비록 각개 정수시서를 소형화하여 사용한다해도 독립적인 정수시설을 설치하여 서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시설비용이 많이들고 설치면적이 넓어야하며 각개 독립된 시설물을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비교적 소용량의 원수를 정수할 수 있으면서 관리유지가 간편한 정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비교적 소용량의 원수를 식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할 수 있으면서 관리유지가 간편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상단주벽에 원수 유입구와 배수구를 갖고 있는 밀봉용기 동체, 밀봉용기 동체 상단에 분리할 수 있게 밀봉 결합되는 뚜껑, 밀봉 용기동체 내부하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통공을 갖고 있는 지지판, 지지판 상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빌봉용기 내부를 여과실과 2차처리실로 분리하도록 뚜껑과 밀봉 결합되는 수직밀봉격판, 여과실내의 지지판 상방에 하단부가 지지판의 통공을 통하여 지지판 하방의 순환실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중공 마이크로 필터관 및 지지판 상방의 2차 처리실내에 설치되는 상하단부가 망체로 구성된 용기내에 흡착제를 충전시켜서된 카트리지형 2차처리기를 포함하는 정수장치로 구성되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밀봉용기는 용기동체와 분리가능하게 용기 상단에 밀봉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뚜껑을 결합시켰을때는 뚜껑과 수직 격판이 서로 밀봉결합되어 여과실과 2차처리실이 서로 분리되게 되었다.
용기 내부하방의 지지판은 용기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필터관과 흡착제 수요용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여과실과 2차처리실 하방에 순환실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 지지판에는 필터관 내부 및 흡착제 수용 용기내부와 연통되는 통공을 갖고 있다. 그리고 여과실내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필터관은 하단이 지지판의 통공에 연통되게 되었으나 상단은 덥개판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되어 있어서 원수 유입구에서유입된 물이 필터관의 주벽을 통하여 필터관 내부로 유입된다음 용기 저부의 통공을 통하여 순환실로 배출되게 되었다. 그리고 2차처리기는 상하면이 망체로 형성된 용기 내부에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가 수용되어 있어서 순환실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흡착제를 통하여 상부로 유출되게 되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수 유입구를 통하여 여과실내로 유입된 물이 필터관에서 여과되어 고형물이 제거된다음 2차처리기 내의 흡착제를 통과할 때 이취물질, 미생물등 유해 물질이 제거된후 정수된 물은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전술한 여과실 덥개판은 필요에 따라 필터관을 청소 또는 교환할 때 분리할 수 있도록 볼트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좋으며 덥개판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밀봉용기 뚜껑은 용기상단에 볼트등으로 분리할 수 있게 밀봉결합되는바, 이 뚜껑은 내면이 수직격판과 밀봉결합되어야 한다. 특히 전술한 밀봉 결합은 덥개내면에 직접 밀봉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나, 덥개에 수직격판과 결합되는 수직격판을 설치하고 두 수직격판의 단부에 패킹을 설치하여 밀봉되게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전술한 뚜껑에 압력계를 설치하면 필터관이 폐쇄되어 여과실의 내부압력이 일정 수준이상 상승하였을 때 필터관의 교체시기를 알수 있게 된다.
[도면에 의한 상세한 설명]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T JF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정수장치는 원통형 용기동체(10)와 뚜껑(11)으로 구성된 밀봉용기(1)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동체(10)와 뚜껑(11)은 동체(10)와 뚜껑(11)의 연부에 형성된 플랜지(12),(13)에서 볼트(14)로 결합되며 두 플렌지 사이에는 패킹링(15)이 삽입 결합되었다. 용기 동체(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었고 상단 양측에 원수 유입구(16)와 배수구(17)을 갖고 있으며, 반원형으로된 동체 저면(18)에는 슬러지 배출구(19)가 형성되었다. 전술한 원수 유입구(16)와 배수구(17)에는 각각 요오드 소독기(20),(21)가 연결된다.
동체(10)내의 원통형 주벽 하단에는 지지판(22)이 횡방향으로 설치 고정되어 지지판 하방에 순환실(2)이 형성되었으며, 지지판(22)의 상면에는 수직 격판(23)이 수직으로 용접 고정되어 용기내부를 원수유입구측 여과실(3)과 배수구측 2차처리실(4)로 분리하게 되었다. 전술한 지지판(22)은 여과실(3)측에 여과된 물이 하향 유출되는 통공(26)과 여과실내의 여과잔재물이 배출되는 배출공(27)을 갖고 있고 2차처리실(4)측에는 통공(28)을 갖고 있다. 전술한 여과 잔재물 배출공(27)에는 용기저면(18)을 관통하는 배출관(29)이 부착되었다. 주벽이 다공성으로된 다수의 마이크로필터관(30)이 여과실(3)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이 필터관(30)들은 통공(26)의 주연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륜(32)내에 중앙공(31)이 통공(26)과 연통되게 설치되었다. 이 필터관(30)의 상단은 덥개판(33)으로 폐쇄되는바, 덥개판(33)은 주연부에 상향돌출된 측벽(35)에서 용기 동체(10)와 수직 격판(23)에 볼트(36)로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어서 필터관(30)을 세척 또는 교체할 때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더개판(33)에는 필요에 따라 통공(37)을 형성하여 원수가 덥개판(33)위까지 순환되게 할 수도 있다.
2차처리실(4)내에는 흡착제 용기(38)내에 흡착제(41)가 수용된 카트리지형 2차처리기(39)가 삽입되어 있는바, 이 흡착제 수용용기(38)는 상하면이 망체(40)(40')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같은 입상 흡착제(41)가 수용되어 있어서 순환실(2)내의 물이 통공(28)을 통하여 밑에서 위로 유통되게 되었다. 이 용기(38)동체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용기동체(10)의 측벽에 형성된 투시창(42)을 통하여 흡착제(41)의 오염상태를 정수장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정수장치에서는 뚜껑(11)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었고 내면에 밀봉격판(43)이 돌출형성되었으며, 이 밀봉격판(43)이 수직격판(23)과 패킹(34)을 사이에 두고 밀봉 결합되게 되었다. 그러나 뚜껑(11)에 격판(43)을 형성하지 않고 격판(23)을 뚜껑과 직접 접촉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뚜껑(11)의 내주면이 직접 격판(23)과 밀봉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저수장치는 동체(10)하단 외주에 지지다리(44)가 부착되어 있어서 요구하는 지지기반에 설치 고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필요에 따라서는 뚜껑(11)의 여과실측에 압력계를 부착하여 내부압력을 계량하므로서 필터관(30)의 세공이 폐쇄되어 여과실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 필터교환시기를 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작용효과의 설명]
전술한 본 고안의 정수장치는 지하수 또는 저수조의 원수를 정수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펌프(도시하지 않았음)로 압송되는 원수가 요오드 소독기(20)를 통하여 여과실(3)내로 유입된다음 필터관(30)의 주벽을 통하여 중앙공(26)내로 유입되면서 고형물들이 제거되게 된다. 고형물이 제거된 물은 중앙공(31)과 통공(26)을 통하여 지지판 하방의 순환실(2)로 유출된다음 2차처리실(4)내의 카트리지형 흡착제용기(38)내의 입상 흡착제(41)를 통하여 상부로 유출되면서 이취물질, 유해 미생물들이 흡착제거된 후 요오드 소독기(21)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여과시스템과 소독 시스템이 단일 장치내에 결합되어 있고 필터관(30)과 2차처리기(39)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뚜껑(11)을 열고 필터관(30)과 흡착제(41)를 교체 또는 세척하기 쉽고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지하수나 비교적 소형 저수조의 물을 간단하게 정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상단주벽에 원수 유입구와 원수 배출구를 갖고 있는 밀봉용기 동체(10), 밀봉용기 상단에 밀봉 결합되는 뚜껑(11), 밀봉 용기동체 내부하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통공(26),(28)을 갖고 있는 지지판(22), 지지판 상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빌봉용기 내부를 여과실(3)과 2차처리실(4)로 분리하도록 뚜껑(11)과 밀봉 결합되는 수직격판(23), 여과실내의 지지판 상방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단부는 폐쇄되고 하단부는 지지판의 통공을 통하여 지지판 하방의 순환실(2)에 연통되게 설치된 중공마이크로 필터관(30) 및 2차처리실내의 지지판 상방에 설치되는 상하단부가 망체(39),(40)로 구성된 흡착제 용기(38)내에 흡착제(41)를 충전시켜서된 2차처리기(39)를 포함하는 원수 정수장치.
  2. 청구범위 1항에서, 흡착제 용기(38)가 투명재질로 형성되었고 밀봉용기 동체(10)의 측벽에 투시창(42)이 형성되어 흡착제 용기(38)내부를 외부에서 투시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정수장치.
  3. 청구범위 1항에서, 지지판(22)과 밀봉 용기동체 저면(18)이 각각 슬러지 배출구(29),(19)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정수장치.
  4. 청구범위 1항에서, 마이크로 필터관(30)의 상단이 덥개판(33)에 의하여 폐쇄되게 되었고 이 덥개판(33)은 용기동체(10)와 수직 격벽(23)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정수장치.
  5. 청구범위 1항에서, 용기 뚜껑(11)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판(43)을 갖고 있고 이 격판(43)이 수직 격판(23)과 밀봉 결합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정수장치.
KR2019960003245U 1996-02-27 1996-02-27 원수 정수장치 KR0133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245U KR0133394Y1 (ko) 1996-02-27 1996-02-27 원수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245U KR0133394Y1 (ko) 1996-02-27 1996-02-27 원수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058U KR970051058U (ko) 1997-09-08
KR0133394Y1 true KR0133394Y1 (ko) 1999-01-15

Family

ID=1945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245U KR0133394Y1 (ko) 1996-02-27 1996-02-27 원수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59B1 (ko) * 2019-08-02 2020-10-07 효림산업주식회사 유도용액과 희석액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정삼투막 여과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706B1 (ko) * 2010-08-12 2011-03-30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여과관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59B1 (ko) * 2019-08-02 2020-10-07 효림산업주식회사 유도용액과 희석액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정삼투막 여과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058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4857B1 (en)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US6120686A (en) Water treatment device with drinking water filter, regeneration device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drinking water
US5536403A (en) Liquid purification system with microfiltration means, disinfection means and adsorption means
CN10376457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JPH04265193A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S60220107A (ja) 浄水器
CN107973439A (zh) 便于泥水分离的污水净化装置
US2005024204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wastewater systems
CN108423881A (zh) 一种污水净化设备
KR0133394Y1 (ko) 원수 정수장치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RU2125974C1 (ru)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и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RU97114629A (ru)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и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CN209923098U (zh) 一种污水过滤杀菌装置
RU167817U1 (ru) Картридж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210528678U (zh) 一种环境保护用污水净化装置
KR102652172B1 (ko)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0157785Y1 (ko) 생활용수 정수장치
CN218579707U (zh) 一种新型多介质过滤器
CN2215480Y (zh) 一种净水消毒罐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6303531U (zh) 一种具有净水功能的灭菌供水装置
RU202364U1 (ru) Безнапорный фильтр
CN211770595U (zh) 一种具有排污装置智能家用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