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062Y1 - 식품가공기 - Google Patents

식품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062Y1
KR0133062Y1 KR2019960007293U KR19960007293U KR0133062Y1 KR 0133062 Y1 KR0133062 Y1 KR 0133062Y1 KR 2019960007293 U KR2019960007293 U KR 2019960007293U KR 19960007293 U KR19960007293 U KR 19960007293U KR 0133062 Y1 KR0133062 Y1 KR 0133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tor
push switch
bracket
foo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509U (ko
Inventor
조규남
서승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조규남
명성가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조규남, 명성가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0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062Y1/ko
Publication of KR970056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는 캡의 개폐동작에 의한 스위치돌기의 상하강 동작과 동시에 상하강 동작되면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모터를 지지하는 스위치브라켓을 구비한 식품가공기에 있어서, 침투된 물이 상면에 고임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양측단에 형성된 측면배수로(201)와, 상기 측면배수로(201)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양외측벽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60)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2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누름스위치내로 침투된 물이 모터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터의 하측 통풍구로 배출되도록 하여 누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가공기
제1도는 식품가공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식품가공기의 누름스위치를 분해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의 누름스위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스위치부
20 : 베이스판 30 : 용기
40 : 캡 42 : 스위치돌기
60 : 모터 110 : 베이스브라켓
50, 200 : 누름스위치 201 : 측면배수로
210 : 스위치브라켓 211 : 지지대
212 : 안내돌기
본 고안은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채류 등의 미가공물을 분쇄하여 액상가공물을 착즙할 때 용기 내의 물에 의한 누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름스위치와 스위치브라켓의 형상을 개선하여 모터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몸체(10)와 그 하부의 베이스판(20)이 나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미가공물을 수용하는 투명재질의 용기(3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용기(30)의 윗쪽에는 이를 덮어주도록 투명재질의 캡(40)이 갖추어지며, 상기 캡(40)의 연장부(41)내에는 스위치돌기(42)가 돌설되어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을 통해 그 내에 설치된 누름스위치(50)를 눌러 상기 누름스위치(50)의 상하 탄발작용에 의해 접점을 단속하여 전원을 ON/OFF시킴으로써 몸체(10)내에 설치된 모터(6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30) 내에는 상기 모터(60)의 회전력을 풀리(도시안됨)를 매개로 회전하는 회전축(61)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미가공물을 분쇄시키도록 된 커터(7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외측벽에는 그 내의 모터(60)를 공냉시켜 과열을 방지하도록 공기가 소통되는 통풍그릴(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풍그릴(80)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60)의 전원을 단속 및 연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선택스위치(9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20)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코드릴에 감겨진 전원코드(100)를 손으로 잡아당겨 사용하고 비사용시에 전원코드(100)를 놓으면 코드릴에 자동적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스위치부(11)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스위치(50)의 하단에는 상기 누름스위치(50)가 스프링(도시안됨)의 탄발작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양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단속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브라켓(51)이 상기 모터(60)가 결착된 베이스브라켓(110)에 양측 하단이 걸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누름스위치(50)는 상기 용기(30)내의 분쇄작용에 의하여 용기(30)의 외부로 소량 유출되는 물이 상기 캡(40)의 연장부(41)에 형성된 스위치돌기(42)를 통해 유입될 때 물이 흘러내리는 경사면(50a)과, 상기 경사면(50a)의 양면에 상기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을 통해 캡(40)의 스위치돌기(42)가 유입되어 누름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돌기부(50b)와, 그 양측면에 상기 스위치브라켓(51)의 측돌설판(51a)이 삽입되어 상기 누름스위치(50)가 탄발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50c)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브라켓(51)은 상기 모터(60)의 상부에 살기 누름스위치(50)의 경사부(50a)를 타고 흐르는 물이 아래로 낙하되어 그 양측면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유도부(51b)와, 그 양측하단에 상기 베이스브라켓(110)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품가공기는 먼저, 전원코드(100)을 잡아 당겨 도시되지 않은 콘센트에 꽂은 후, 식품가공기의 몸체(10)에 착탈식으로 된 용기(30)을 그 하면의 상부커플링(31)으로 상기 회전축(50)이 삽입되도록 안착한 후 그 용기(30)내를 통해 상기 커터(70)의 축부재(71)가 회전축(50)에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커터(70)의 칼날판(72)의 상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소채류등의 미가공물을 넣고, 상기 용기(30) 위에 캡(40)을 덮어 캡(40)의 연장부(41)를 손으로 지그시 눌러 연장부(41)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치돌기(42)가 몸체(10)의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내로 진입하면서 관통구멍(11a)내에 설치된 누름스위치(50)를 누르게 되고, 이 누름스위치(50)에 의해 접점을 ON시키게 되므로 전원이 모터(60)로 인가되게 된다.
상기 모터(60)의 회전 작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61)에 맞물린 커터(70)가 회전하면서 미가공물을 분쇄하게 된다.
이어 용기(30)의 내부에서 미가공물이 원하는 정토로 분쇄되게 되어 캡(40)의 연장부(41)로부터 손을 떼면 몸체(10)의 스위치부(11)내에 장착된 누름스위치(50)의 탄발력에 의해 캡(40)의 스위치돌기(42)가 관통구멍(11a)으로 부터 빠져 나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누름스위치(50)에 의해 접점이 OFF되면서 모터(60)로 공급되었던 전원이 차단되어 커터(70)의 분쇄동작이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가공물의 분쇄동작이 완료되면 캡(40)을 용기(30)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30)내의 커터(70)을 분리시키고 분쇄된 액상가공물이 담겨진 용기(30)를 그대로 조리용 용기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식품가공기는 상기 용기(30) 위에 캡(40)을 덮어 그 연장부(41)를 손으로 지그시 눌러 연장부(41)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치돌기(42)가 몸체(10)의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내로 진입하면서 관통구멍(11a)내에 설치된 누름스위치(50)를 통해 모터(60)에 전원이 인가되어 용기(30)내의 커터(70)가 회전하면서 소채류등을 분쇄하게 된다. 이 때, 용기(30)내에 형성된 물이 상기 캡(40)를 통해 그 연장부(41)의 스위치돌기(42)를 따라 상기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내로 흘러 들어온 물이 그 내의 누름스위치(50)의 경사면(50a)를 미끄러져 내려와 그 하단 유도부(51b)와 양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데 상기 누름스위치(50)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브라켓(51)의 유도부(51b)의 양측 하단이 그 하부에 설치된 모터(60)를 완전히 커버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브라켓(51)을 측면에서 볼 때 I자형으로 곧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S자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어 대부분의 물이 상기 모터(60)측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누전현상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스위치내로 유입된 물이 모터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터의 하측 통풍구로 배출되도록 하여 누전현상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킨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는, 캡의 개폐동작에 의한 스위치돌기의 상하강 동작과 동시에 상하강 동작되면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모터를 지지하는 스위치브라켓을 구비한 식품가공기에 있어서, 침투된 물이 상면에 고임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누름스위치의 양측단에 형성된 측면배수로와, 상기 측면배수로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의 양외측벽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의 누름스위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200은 상기 몸체(10)의 스위치부(11)내에 설치되어 상기 캡(40)의 스위치돌기(42)의 누름 및 탄발작용에 의해 접점을 단속하여 모터(6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상기 스위치돌기(42)을 통해 유입된 소량의 물이 모터(6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누름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하단에는 그 누름스위치(200)가 스프링(도시안됨)의 탄발작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양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단속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브라켓(210)이 상기 모터(60)가 결착된 베이스브라켓(110)에 그 양측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는, 캡(40)의 개폐동작에 의한 스위치돌기(42)의 상하강 동작과 동시에 상하강 동작되면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누름스위치(200)와,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모터(60)를 지지하는 스위치브라켓(210)을 구비한 식품가공기에 있어서, 침투된 물이 상면에 고임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양측단에 형성된 측면배수로(201)와, 상기 측면배수로(201)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양외측벽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60)로 침투퇴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2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측면배수로(201)가 상부를 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안내돌기(2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돌기(212)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측면배수로(201)가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상하동될 때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2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가공기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용기(30) 위에 캡(40)을 덮어 캡(40)의 연장부(41)를 손으로 지그시 눌러 연장부(41)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치돌기(42)가 몸체(10)의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내로 진입하면서 관통구멍(11a)내에 설치된 누름스위치(200)를 통해 모터(60)에 전원이 인가되어 용기(30)내의 커터(70)가 회전하면서 소채류등을 분쇄하게 된다. 이 때, 용기(30)내에 형성된 물이 상기 캡(40)를 통해 그 연장부(41)의 스위치돌기(42)를 따라 상기 스위치부(11)의 관통구멍(11a)내로 흘러 그 내의 누름스위치(200)로 침투된 물이 그 양측면의 측면배수로(201)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측면배수로(201)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211)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60)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려 통풍구(도시안됨)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고, 일부는 모터(60)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식품가공기에 의하면, 침투된 물이 상면에 고임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누름스위치의 양측단에 형성된 측면배수로와, 상기 측면배수로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의 양외측벽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누름스위치내로 침투된 물이 모터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터의 하측 통풍구로 배출되도록 하여 누전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캡의 개폐동작에 의한 스위치돌기의 상하강 동작과 동시에 상하강 동작되면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모터를 지지하는 스위치브라켓을 구비한 식품가공기에 있어서, 침투된 물이 상면에 고임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양측단에 형성된 측면배수로(201)와, 상기 측면배수로(201)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양외측벽의 표면장력에 따라 모터(60)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양외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구배를 가진 지지대(2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브라켓(210)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스위치(200)의 측면배수로(201)가 상부를 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안내돌기(2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KR2019960007293U 1996-04-04 1996-04-04 식품가공기 KR0133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293U KR0133062Y1 (ko) 1996-04-04 1996-04-04 식품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293U KR0133062Y1 (ko) 1996-04-04 1996-04-04 식품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09U KR970056509U (ko) 1997-11-10
KR0133062Y1 true KR0133062Y1 (ko) 1998-12-01

Family

ID=194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293U KR0133062Y1 (ko) 1996-04-04 1996-04-04 식품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09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7575A (en) Juice extractors with splash prevention
EP1123480B1 (en) Centrifugal pellet dryer
US4572445A (en) Household appliance for treating fruit and vegetables
US5784954A (en) Juice extractor
US20050035231A1 (en) Juice extractor
KR1007928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US2409497A (en) Juice extractor
GB2387768A (en) Homogenized blender capable of steam cooking food
KR0133062Y1 (ko) 식품가공기
KR102478662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040082201A (ko) 냉풍기
US10863847B2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with cleaning feature
US10524618B1 (en) Blender with vertically movable blades
US1993337A (en) Fruit juice extractor
JPH0530680Y2 (ko)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KR10255065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161324Y1 (ko) 다목적 주스 추출기
CN219352979U (zh) 果蔬自动削皮装置
KR20150019923A (ko)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900007759Y1 (ko) 커피 제조기
JP3850936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02345801B1 (ko) 길이방향으로 이등분 절단하는 생고추 자동 절단기
KR20160118016A (ko) 채소류 절단장치
CA1088858A (en) Integral fill system for humidif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