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25B1 -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25B1
KR0132725B1 KR1019970029432A KR19970029432A KR0132725B1 KR 0132725 B1 KR0132725 B1 KR 0132725B1 KR 1019970029432 A KR1019970029432 A KR 1019970029432A KR 19970029432 A KR19970029432 A KR 19970029432A KR 0132725 B1 KR0132725 B1 KR 013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group
copolymer
bis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다까하시
세이이찌 이께야마
아끼라 도또
도시유끼 쓰쓰이
세이찌 오오따
하지메 이나가끼
Original Assignee
고다 시게노리
미쓰이세키유 가가쿠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30024815A external-priority patent/KR0132767B1/ko
Application filed by 고다 시게노리, 미쓰이세키유 가가쿠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다 시게노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특정 메탈로센화합물(b)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와,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로 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하여 이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투명성이 높고 고극적 재료에 대해 우수한 부착력을 지닌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에틸렌계 공중합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다른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에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각종 성형방법으로 성형되고 다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들의 특성에 대한 요구는 그 성형방법과 용도에 따라서 다르다.
예를들면 인플레이션 필름을 고속으로 성형할때에는 변형이나 버블로 인한 파열없이 고속으로 안정되게 성형을 행하기 위하여 그 분자량에 비해서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는 처짐이나 파열을 방지하고 또는 T-다이 성형에 있어서는 최소범위로 폭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마찬가지의 특성들이 요구된다.
일본국 특개소 56-90810호 공보 및 동60-106806호 공보에는 지그라형 촉매 특히, 티타늄형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들의 용융장력 및 다이/스웰비(die/swell ratio)를 향상시킴으로써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티타늄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특히 저밀도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통상 넓은 조성분포와 필름 등의 성형물의 끈적거림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지그라형 촉매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에틸렌계 공중합체중에서도 크롬계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것들이 비교적 용융장력이 우수하나 열안정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크롬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에틸렌계 공중합체들의 쇄말단이 불포화 결합이 되는 경향으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그라형 촉매들중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좁은 조성분포와 필름등의 성형물이 끈적거림이 적은 장점이 있음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소 60-35007호 공보에는 시클로펜타디에닐 유도체로 형성된 지르코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분자당 1개의 말단 불포화 결합을 포함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크롬계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와 마찬가지로 열안정성이 나쁠것이 예상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분자내에 극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원래 비극성이어서 금속이나 극성수지와 같은 고극성재료에는 부착강도가 불충분하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고극성재료와 접합할때에는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표면을 화염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프라이머 처리등과 같은 처리를 해야할 필요가 있어 복잡한 조작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용융장력, 양호한 열안정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고극성 재료에 대해 부착력이 좋은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은 공업적으로 가치가 클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극성 재료에 대한 높은 부착강도를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투명성과 양호한 성형성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A] (a) 유기알류미늄옥시화합물과 (b)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를 포함하는 주기율표 Ⅳ족 천이금속화합물로 된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얻고 그의 특성이
(ⅰ) 밀도가 0.850∼0.980g/㎤ 의 범위이고
(ⅱ) 하중 2.16kg하 온도 190℃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01∼200g/10분의 범위인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와,
[B]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중합체로 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와 상기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중합체[B]의 중량비 ([A]:[B])가 99.5:0.5∼60:40 범위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본 조성물로부터 투명성이 우수하고 기계적강도 및 고극성재료에 부착력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와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로 형성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고 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및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를 상세히 설명한다.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의 랜덤공중합체이다.
에틸렌과 공중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을 들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에 있어서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가 50∼10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5∼99중량%, 더바람직하기로는 65∼98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70∼96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요망되고 또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가 0∼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45중량%, 더 바람직하기로는 2∼35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4∼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의 조성은 통상 10mm직경의 시료관내의 헥사클로로부타디엔 1ml에 약 200mg의 이 공중합체를 균일하게 용해시켜 만든 시료의13C-NMR스펙트럼 분석을 측정온도 120℃, 측정주파수 25.05MHz, 스펙트럼 폭 1,500㎐, 펄스반복시간 4.2sec 및 펄스폭 6μsec의 조건하에 행하여 결정한다.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는 다음 특성 (ⅰ)-(ⅱ)를 갖고 더 바람직하게는 다음 특성 (ⅰ)-(ⅳ)를 갖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특성 (ⅰ)-(ix)를 갖는다.
(ⅰ) 밀도(d)가 통상 0.850∼0.980g/㎤, 바람직하기로는 0.880∼0.960g/㎤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980∼0.935g/㎤, 가장 바람직하게는 0.905∼0.930g/㎤이다.
밀도(d)는 하중 2.16kg하 190℃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MFR)측정시에 얻어진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12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고 1시간동안에 걸쳐서 서냉 처리한후 밀도구배관에 의해서 측정한다.
(ii) 멜트플로우레이트(MFR)은 통상 0.01∼2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5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10g/10분이다.
멜트플로우레이트(MFR)은 온도 190℃ 하중 2.16kg의 조건하에서 ASTM D1238-65T에 따라 측정한다.
(iii) 용융장력(MT(g))와 멜트플로우레이트가 MT2.2×MFR-0.84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바람직하게는 8.0×MFR-0.84MT2.3×MFR-0.84, 더 바람직하게는 7.5×MFR-0.84MT2.5×MFR-0.84의 관계를 만족시킴, 이러한 특성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는 공용융장력(MT) 때문에 양호한 성형성을 나타낸다.
용융장력(MT(g))는 용융된 공중합체를 일정한 속도로 연신했을때의 응력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즉 분체 중합체를 종래방법으로 용융시켜 이 용융된 중합체를 펠레트화하여 측정시료로 하였다.
그리고 시료의 MT를 수지온도가 190℃, 압출속도가 15mm/분, 권취속도가 10∼20mm/분의 조건하에서 노즐직경이 2.09mm, 노즐길이가 8mm인 MT측정장치(도오요오세이기세이사꾸쇼(주)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펠레트화하는 동안에 트리(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05중량%를 2차 항산화제로써 또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1중량%를 열안정제로써, 또 칼슘스테아레이트 0.05중량%를 염산흡수제로써 이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에 첨가했다.
(ⅳ) 190℃에 있어서의 용융 공중합체의 전단응력이 2.4×106dyne/㎠ 에 도달할때의 전단 속도에 의해서 정의되는 유동인덱스와 멜트 플로우레이트(MER)는
FI150×MFR
바람직하기로는 FI140×MFR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FI130×MFR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유동인덱스(FI)는 전단속도를 바꾸면서 수지를 캐필라리로부터 압출하여 전단응력이 상기 값에 도달할때의 전단속도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이 측정은 상기 MT측정에서 설명한 동일시료를 사용하여 190℃의 수지온도, 약 5×104-3×106dyne/㎠ 의 전단응력의 조건하에 캐필라리형 유동특성 시험기(도오요오세이끼세이사꾸쇼(주)사제)를 사용하여 행한다.
이 측정에 있어서 노즐(캐필라리)의 직경은 측정될 수지의 MFR(g/10분)에 따라 변경한다.
MFR20의 경우 ; 0.5mm
20≥MFR3인 경우 : 1.0mm
3≥MFR0.8인 경우 : 2.0mm
0.8≥MFR인 경우 : 3.0mm
(v) GPC에 의해서 측정한 분자량 분포 (Mw/Mn, Mw:중량평균 분자량, Mn:수평균분자량)는 1.5∼4범위이다.
상기 분자량 분포는 밀리포어(주)millipore Co.)제 GPC-150C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다음방법으로 측정했다.
이 측정은 140℃의 칼럼온도에서 직경 72mm, 길이 600mm인 TSK-GNH-HT의 칼럼을 사용하여 수행했다.
이 측정에서는 0.1중량%의 농도를 갖는 500㎕의 샘플을 유동상이 1.0㎖/분의 이동속도로 이동할 때 디클로로벤젠(와코 준야쿠고교(주)제)의 칼럼내에 도입한다. 유동상에 있어서 BHT(타케다 가가꾸(주)제) 0.25중량%를 항산화제로써 포함하고, 시차굴절계가 검출기로써 사용된다.
Mw1000과 Mw4×106의 표준 폴리스틸렌은 토소(주)사제를 사용하고, 1000Mw4×106의 표준 폴리스틸렌은 프레슈어케미칼(주)사제를 사용하였다.
(vi) MT/(Mw/Mn)과 FI/MFR은 0.03×FI/MFR-3.0의 값이 0이하일 때 0으로 한다는 조건하에서 MT/(Mw/Mn)0.03×FI/MFR-3.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바람직하게는 0.03×FI/MFR-2.8의 값이 0이하일 때 0으로 한다는 조건하에서 0.03×FI/MFR+1.0MT/(Mw/Mn)0.03×FI/MFR-2.8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더 바람직하게는 0.03×FI/MFR-2.5의 값이 0이하일 때 0으로 한다는 조건하에서 0.03×FI/MFR+0.8MT/(Mw/Mn)0.03×FI/MFR-2.5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Mw/Mn값의 증가에 따라 MT값이 커지게 되므로 Mw/Mn값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MT/(Mw/Mn)의 지수를 MT값에 사용한다.
이와같이 MFR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FI값이 커지게 되어 MFR값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FI값으로 FI/MFR지수를 사용한다.
(vii)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서 측정한 상기 공중합체의 흡열곡선이 최대피크를 나타낼때의 온도(Tm(℃)와 밀도(d)가 하기 관계를 만족한다.
Tm 400 × d - 250
바람직하게는 Tm 450 × d - 297
더 바람직하게는 Tm 500 × d - 344
특히 바람직하게는 Tm 550 × d - 391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서 측정한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의 흡열곡선이 최대피크를 나타내는 온도(Tm(℃))는 시료의 약 5mg을 알루미늄 팬내에 채우고 10℃/분의 속도로 시료를 200℃로 가열하고, 시료를 200℃에서 5분간 유지하고 온도를 20℃/분의 속도로 실온까지 저하시킨후 10℃/분의 속도로 가열함으로써 얻어진 흡열곡선에서 찾는다.
이 측정은 퍼킨엘머사제 DSC-7형 장치를 사용하여 행한다.
(viii) 실온 (230℃)에서 n-데칸 가용성분의 양(w(중량%))과 밀도(d)는 하기관계를 만족한다.
MFR ≤ 10g/10분의 경우
W80×exp(-100(d-0.88))+0.1,
바람직하게는 W60×exp(-100(d-0.88))+0.1,
더 바람직하게는 W40×exp(-100(d-0.88))+0.1,
MFR 10g/10분의 경우
W80×(MFR-9)0.26×exp(-100(d-0.88))+0.1이다.
에탈렌/α-올레핀공중합체의 n-데칸 가용성분양의 측정(가용성분양이 더 적은 중합체가 더 좁은 조성분포를 갖고 있다)은 상기 공중합체 약 3g을 n-데칸 450㎖에 가하고 이 공중합체를 145℃에서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23℃로 냉각하고 여과에 의해서 n-데칸 가용부를 회수함으로써 행한다.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흡열곡선이 최대피크를 나타내는 온도 (Tm)와 밀도(d)간의 상기 관계와 n-데칸 가용성분양(W)과 밀도(d)간에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는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는 좁은 조성분포를 가지고 있다.
(ix) 분자내에 존재하는 불포화 결합수는 1000탄소원자당 0.5이하이고 중합체 1분자당 1미만이다.
불포화결합의 수는13C-NMR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2중결합이외의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원자에 의해 주어지는 신호의 영역강도 즉 10∼50ppm범위의 신호의 영역강도와 2중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원자에 의해서 주어지는 신호의 영역강도 즉 적분곡선에서 찾은 105∼150ppm범위의 신호의 영역강도의 비로 불포화결합수를 결정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는 유기 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를 함유하는 주기율표 IV B족의 천이금속화합물(b)로 구성된 올레핀용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밀도는 0.850∼0.980g/㎤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는 유기 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를 함유하는 주기율표 IV B족의 천이금속화합물(b) 및 담체와 필요에 따라 (c) 유기알루미늄화합물로 구성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유기 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천이금속화합물(b) 적어도 2종류와 담체및 필요에 따라서 (c) 유기 알루미늄화합물(모든성분은 후술한다)로 구성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고중합활성도로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에 사용되는 각 촉매성분을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유기알류미늄화합물(a)을 설명하겠다.
유기알류미늄옥시화합물(a)(이후 성분(a)라고 함)는 공지의 벤젠 가용성 알루미노옥산 또는 일본국 특개평 2-276807호 공보에 개시된 벤젠-불용성의 유기알류미늄옥시화합물이라도 좋다.
상기 알루미노옥산은 예를들면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수 있다.
(1) 흡착수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류, 예를들면 염화마그네슘 수화물, 황산동수화물, 황산알류미늄수화물, 황산니켈수화물, 염화 제 1세리움 수화물 등의 탄화수소 용매 현탁액에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유기알류미늄옥시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서 탄화수소의 용액으로써 알루미노옥산을 회수하는 방법.
(2) 벤젠, 톨루엔, 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프란등의 용매중에서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유기알류미늄화합물에 직접 물이나 어름이나 수증기를 작용시켜서 탄화수소의 용액으로써 알루미노옥산을 회수하는 방법.
(3) 데칸, 벤젠, 톨루엔 등의 용매중에서 트리알킬알루미늄등의 유기알류미늄화합물에 디메틸석옥사이드, 디부틸석옥사이드 등의 유기주석산화물을 반응시켜 알루미노옥산을 회수하는 방법.
또 이 알루미노옥산은 소량의 유기금속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또 회수된 상기 알루미노옥산의 용액으로부터 용매 또는 미반응유기알류미늄화합물을 증류하여 제거한후에 용매에 재용해시켜도 좋다.
알루미노옥산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유기 알루미늄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sec-부틸알루미늄, 트리-tert-부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및 트리데실알루미늄 등의 트리알킬알루미늄 ; 트리시클로헥실알루미늄 및 트리시클로옥틸 알루미늄 등의 트리시크로랄킬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브로마이드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할라이드; 디에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메톡사이드 및 디에틸알루미늄에톡사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알콕사이드; 및 디에틸알루미늄 페녹사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아릴옥사이드를 들수 있다.
이들 화합물들중에서 트리알킬알루미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이소프레닐알루미늄도 유기알류미늄옥시화합물로 사용할수 있다.
(i-C4H9)xAℓy(C5H10)z
여기서 x, y 및 x는 각각 정의 수이고 z≥2x 이다.
상기 유기알루미늄화합물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 알루미노옥산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벤젠, 톨루엔, 키실렌, 쿠멘 및 시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헥사데칸 및 옥타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시클로 헥산, 시클로옥탄, 메틸시클로펜탄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휘발유, 등유, 경유 등의 석유 유분 또는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의 할로겐화물 특히 염소화물, 취소화물 등의 탄화수소용매를 들 수 있다.
또 에틸에테르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용매들중 방향족 탄화수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a)로써 사용되는 벤젠불용성의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은 60℃의 벤젠에 용해될수 있는 Aℓ성분이 Aℓ원자환산으로 10%이하, 바람직하기로는 5%이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2%이하이고 벤젠에 대해서는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다.
상기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의 벤젠에 대한 용해성은 100mg원자의 Aℓ에 상당하는 이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을 100㎖의 벤젠에 현탁시킨후에 교반하 60℃에서 6시간 혼합한후에 재킷이 장치된 G-5유리필터를 사용하여 60℃에서 여과하여 필터위에 분리된 고체부를 60℃의 벤젠 50㎖를 사용하여 4회 세정한 후의 전체 여액중에 존재하는 Aℓ원자의 존재량(Xmmoℓ)을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천이금속화합물 촉매성분(b)(이하 성분b라 한다)은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를 갖는 주기율표 IV B족의 천이금속화합물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성분(b)은 다음식[b-I] 및 식[b-II]로 표시되는 천이금속화합물이다.
ML1X [b-I]
[b-I]식에서 M은 주기율표 제 IV B족에서 선택한 천이금속원자, L1은 이 천이금속 원자에 배위되는 리간드이다. 적어도 2개의 L1은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기, 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기 및 탄소원자수 3∼10의 탄화수소기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에서 선택한 기이고,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이외의 L1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아랄옥시기, 할로겐원자, 트리알킬실릴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X은 천이금속원자(M)의 원자가이다.
ML2 X[b-II]
[b-II]식에서 M은 주기율표 제 IV B족에서 선택된 천이금속원자이고 L2은 이 천이금속 원자에 배위되는 리간드이고 적어도 2개의 L2은 메틸기와 에틸기에서 선택된 2-5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이고 이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이외의 L2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할로겐원자, 트리알킬실릴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X는 천이금속원자(M)의 원자가이다.
상기 식[b-I]또는 식 [b-II]로 표시되는 천이금속화합물들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식[b-I]에서 M은 주기율표 제 IV B족에서 선택된 천이금속원자이고 구체적으로는 지르코늄, 티타늄 또는 하프늄이고 바람직하기로는 지르코늄이다.
L2은 천이금속원자 M에 배위되는 리간드이고, 적어도 2개의 L1은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기, 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기 및 탄소원자수 3-10의 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로부터 선택된기이다.
각 리간드는 같아도 상이해도 좋다.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또는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이외의 L1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할로겐원자, 트리알킬실릴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는 2이상의 치환기들을 가질수도 있다. 각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다.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이 2이상의 치환기들을 가질때,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는 탄소원자수 3-10의 탄화수소기이고, 다른 치환기는 메틸기, 에틸기 및 탄소원자수 3∼10의 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된다. 탄화수소기를 예로들면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아랄킬기등이 있다. 그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및 데실기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및 시클로헥실기등의 시킬로알킬기; 페닐기 및 톨일기등의 아릴기; 벤질기 및 네오필기등의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이들중 알킬기가 좋고 특히 n-프로필기와 n-부틸기가 좋다.
본 발명에서 천이금속에 배위된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는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가 좋고, 탄소원자수 3이상을 갖는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펜타디에닐기가 더 좋고, 2치환기를 갖는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가 더좋고 1,3-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가 특히 좋다.
상술한 식[b-I]에서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또는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이외의 리간드 L1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트리알킬실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이다.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아랄킬기를 들수 있다.
그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및 데실기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및 시클로헥실기등의 시킬로알킬기; 페닐기 및 톨일기 등의 아릴기; 및 벤질기 및 네오필기등의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부톡시기, 펜톡시기, 헥소시기 및 옥톡시기를 들수 있다.
아릴옥시기의 예로는 펜녹시기등을 들수 있다.
트리알킬실릴기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및 트리페닐실릴기 등을 들수 있다.
할로겐원자의 예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드를 들수 있다.
아래에 기재한 것은 식 [b-I]로 표시되는 천이금속화합물의 예들이다.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헥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n-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브로마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메톡시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에톡시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부톡시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에톡사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메틸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벤질 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벤질,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페닐 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하이드라이드클로라이드,
위에 예시한 화합물들에서, 2-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는 1,2-와 1,3- 치환체를 포함하고 3-치환체는 1,2,3-과 1.2.4-치환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에 예시한 화합물들중 지르코늄 금속대신 티타늄금속 또는 하프늄금속을 사용하여 얻은 천이금속화합물들을 사용할수도 있다.
위에서 예시한 식[b-I]로 나타낸 천이금속화합물들중에서, 비스(n-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1-메틸-3-n-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비스(1-메틸-3-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가 특히 좋다.
상기식 [b-II]에 있어서 M은 주기율표 제 IV B족에서 선택한 천이금속이고 이 M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로는 지르코늄, 티타늄, 및 하프늄을 들수 있다. 물론 특히 바람직한 것을 지르코늄이다.
L2는 천이금속에 배위되는 리간드이고 그들의 적어도 2개가 메틸기 및 에틸기에서 선택된 2-5개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들이다. 각 리간드는 동일 또는 상이하다.
이들 치환시클로펜타디에닐기는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들, 바람직하기로는 2또는 3개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 특히 바람직한 것은 1,3-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이다. 각 치환기는 동일 하거나 상이해도 좋다.
상기식 [b-II]에 있어서 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이외의 리간드(L2)는 상기식 [b-I]에서의 리간드(L2)와 마찬가지로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할로겐, 트리알킬실릴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일반식[b-II]로 표시되는 천이금속화합물의 예로는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디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브로마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메톡시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에톡시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부톡시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에톡사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메틸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벤질클로라이드,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벤질,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페닐클로라이드 및 비스(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하이드라이드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화합물중에서 2치환 시클로펜타디에닐기는 1,2 및 1,3치환체를 포함하고 3치환체는 1,2,3 및 1,2,4치환체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한 지르코늄 화합물의 지르코늄대신에 티타늄 또는 하프늄을 사용하여 얻은 천이금속 화합물들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b-II]에 의해서 표시되는 상기 천이금속 화합물중 특히 바람직한 것들의 예로는,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1,3-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1-메틸-3-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를 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이금속화합물(b)로서 상기식 [b-I]으로 나타낸 적어도 한 종류의 천이금속화합물과 상기식[b-II]으로 나타낸 적어도 한 종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비스(1,3-n-부틸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와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조합 비스(1,3-n-프로필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와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조합,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와,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식 [b-I]으로 나타낸 적어도 한 종류의 천이금속화합물[b-I]과 식 [b-II]로 나타낸 천이금속화합물(b-II)의 사용량을 몰비[(b-I)/(b-II)]로 99/1∼50/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97/3∼70/30, 좀더 바람직하게는 95/5∼75/25,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90/10∼80/20가 좋다. 식 [b-I]으로 나타낸 적어도 한종류의 천이금속화합물과(b-I)과 식 [b-II]으로 나타낸 적어도 한종류의 천이금속화합물(b-II)을 함유하는 천이금속화합물 촉매성분은 이후 종종 성분(b)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체는 입자크기가 10∼300㎛, 바람직하게는 20∼200㎛인 미립자 또는 과립의 고체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이다. 이 담체중 다공성산화물이 무기담체로써 바람직하다. 산화물담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SiO2, Aℓ2O3, MgO, ZrO2, TiO2, B2O3, CaO, ZnO, BaO, ThO2또는 SiO2-MgO, SiO2-Aℓ2O3, SiO2-TiO2, SiO2-V2O5, SiO2-Cr2O3및 SiO2--TiO2-MgO등과 같은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이들담체중 주성분으로써 SiO2와 Aℓ2O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무기산화물 또는 산화물은 소량의 Na2CO3, K2CO3, CaCO3, MgCO3, Na2SO4, Aℓ2(SO4)3, BaSO4, KNO3, Mg(NO3)2, Aℓ(NO3)3, Na2O, K2O 및 LiO2등의 탄산염, 황산염, 질산염 및 산화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 담체들은 형상과 제조방법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갖지만,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담체들은 50∼1000㎥/g, 바람직하게 100∼700㎥/g의 비표면적과, 3.0∼2.5㎠/g의 기공용적을 갖는다. 담체는 필요할 경우 100∼1000℃, 바람직하게는 150∼700℃의 온도로 소성 제조한다.
또한 이 담체는 1.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이하의 흡수량과, 1.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1.5∼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3.5중량%의 표면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이 요망된다.
흡수량(중량%)과 표면 히드록실기의 량(중량%)은 하기와 같이 구한다.
(흡수량)
시료를 200℃, 상압 및 질소기류중에서 4시간동안 건조시킨후 중량손실을 측정하여 흡수량을 구한다.
(표면히드록실기)
200℃, 상압 및 질소기류중에서 4시간동안 건조시켜 측정한 중량 X(g)과 건조된 담체를 1000℃에서 20분동안 소성하여 히드록실기가 소실된 소성품을 얻어 측정한 중량 Y(g)을 구하여 표면히드록실기의 양을 하기식으로 계산했다.
표면히드록실기(중량%) = [(X-Y)/X] × 100
또한 본 발명에서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담체로서는 10∼300㎛의 입도크기를 각각 갖는 고체 과립 또는 미립자상의 유기화합물들을 들수 있다. 이러한 유기화합물들을 예로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및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원자수 2∼1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비닐시클로헥산 또는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유기 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천이금속화합물(b') 적어도 2종류와 담체로 형성되고 또는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a)과 천이금속화합물(b) 및 담체로 형성되나, 각 촉매는 필요에 따라 유기알루미늄화합물(c)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 유기알루미늄화합물(c)[이후 성분(c)라고도 함)의 예로는 하기식[III]로 표시되는 유기알루미늄화합물을 들수 있다.
R1nAℓX3-n [III]
여기서 R1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이고 n는 1∼3이다.
상기식[III]에서 R1은 탄소원자수 1∼12의 탄화수소기 예를들면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그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펜틸, 헥실, 옥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페닐 및 톨일기를 들수 있다.
유기알루미늄화합물(c)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류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및 트리-2-에틸헥실알루미늄 등의 트리알킬알루미늄; 이소프레닐알루미늄 등의 알케닐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이소프로필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및 디메틸알루미늄브로마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할라이드류; 메틸알루미늄세스키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세스키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알루미늄세스키클로라이드, 부틸알루미늄세스키클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세스키브로마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세스키할라이드류; 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디브로마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디할라이드류; 및 디에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및 이디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류를 들수 있다.
또 유기알루미늄화합물 촉매성분(c)로써 하기식[IV]으로 표시되는 다른 유기알루미늄화합물들도 사용할수 있다.
R1nAℓY3-n [IV]
여기서 R1은 앞서 정의한 바와같다.
Y는
Figure kpo00001
또는
Figure kpo00002
는 1∼2, R2, R3, R4, 및 R8는 각각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시클로헥실 또는 페닐, R5는 수소,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페닐 또는 트리메틸실릴이고 R6및 R7은 각각 메틸 또는 에틸이다.
상기 유기알루미늄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합물을 들수 있다.
(1)식 R1nAℓ(OR2)3-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고 예를들면 디메틸알루미늄메톡사이드, 디에틸알루미늄에톡사이드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메톡사이드등이다.
(2)식 R1nAℓ(OSiR3)3-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고 예를들면 Et2Aℓ(OSiME3), (iSO-Bu)2Aℓ(OSiMe3) 및 (iSO-Bu)2Aℓ(OSiEt3)등이다.
(3)식 R1nAℓ(OAℓR4 2)3-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고, 예를들면 Et2AℓOAℓEt2및 (iSO-Bu)2AℓOAℓ(iSO-Bu)2등이다.
(4)식 R1nAℓ(NR5 2)3-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고, 예를들면 Me2AℓNEt2, Et2AℓNHMe, Me2AℓNHEt, Et2AℓN(SiMe3)2, (iSO-Bu)2AℓN(SiMe3)2등이다.
(5)식 R1nAℓ(SiR6 3)3-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고, 예를들면 (iSO-Bu)2AℓSiMe3이다.
Figure kpo00003
이들 상기 화합물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R1 3Aℓ, R1 nAℓ(OR2)3-n 및 R1nAℓ(OAℓR4 2)3-n이고, 상기식을 갖는 화합물중 R1이 이소알킬이고 n가 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의 제조시의 촉매는 성분(a), (b)와 담체와 필요에 따라서는 성분(c)를 접촉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a),(b),(c)와 담체간의 접촉은 임의의 순서에 따라 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먼저 담체를 성분(a)와 접촉시키고 그다음 성분(b)와 필요하다면 성분 (c)와 접촉시킨다. 또한 적어도 2종류의 천이금속화합물을 사전에 혼합하여 성분(b)를 형성하고 다음 성분 (b)을 다른 성분들과 접촉시킨다.
상기 성분들(a),(b),(c) 및 담체의 혼합접촉은 불활성 탄화수소용매중에서 행할 수 있다.
촉매를 제조하는 불활성 탄화수소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및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키실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에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및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그들의 혼합물을들 수 있다.
성분들(a),(b) 및 담체와 필요에 따라서 (c)를 혼합 접촉시키는데 있어서 성분 (b)는 통상 담체 1g당 5×10-6∼5×10-4㏖, 바람직하기로는 1×10-5∼2×10-4㏖의 양으로 또 성분(b)농도는 1×10-4∼2×10-2㏖(용매), 바람직하기로는 2×10-4∼1×10-2㏖(용매)로 사용한다.
성분(b)중의 천이금속에 대한 성분(a)중의 알루미늄의 원자비(Aℓ/천이금속)은 통상 10∼500, 바람직하기로는 20∼200이다.
성분(a)중의 알루미늄의 원자(Aℓ-a)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성분(c)중의 알루미늄의 원자(Aℓ-c)의 원자비(Aℓ-c/Aℓ-a)는 통상 0.02∼3, 바람직하기로는 0.05∼1.5이다.
성분들(a),(b)와 담체와 필요에 따라서 성분(c)는 통상 -50∼150℃, 바람직하기로는 -20∼120℃의 온도에서 1분∼50시간, 바람직하기로는 10분∼25시간의 접촉시간으로 혼합접촉한다.
또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의 제조하는 촉매가 상기 성분들(a),(b) 및 담체와 필요에 따라 (c)의 존재하에 올레핀의 예비중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예비중합된 촉매라도 좋다.
이 예비중합된 촉매는 성분(a), 성분(b), 담체 및 필요에 따라서 성분(c)의 존재하에서 불활성 탄화수소중에 올레핀을 도입하여 예비중합을 행함으로써 제조할수 있다.
예비중합할 수 있는 올레핀들의 예로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을 각각 갖는 α-올레핀 예를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및 1-테트라데센을 들수 있다.
이들중에서 중합시에 사용되는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비중합중에 성분(b)는 그 농도가 통상 1×10-6∼2×10-2mol/l(용매), 바람직하기로는 5×10-5∼1×10-2mol/l(용매)이고, 그 양이 담체 1g당 통상 5×10-6∼5×10-4mol, 바람직하기로는 1×10-5∼2×10-4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성분(b)중의 천이금속에 대한 성분(a)중의 알루미늄의 원자비(Al/천이금속)는 통상 10∼500, 바람직하기로는 20∼200이다.
성분(a)중의 Aℓ원자(Aℓ-a)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성분(c)중의 Aℓ원자(Aℓ-C)의 비(Aℓ-C/Aℓ-a)는 통상 0.02∼3, 바람직하기로는 0.05∼1.5이다. 이 예비중합은 -20∼80℃, 바람직하기로는 0∼60℃의 온도로 0.5∼100시간, 바람직하기로는 1∼50시간동안 행한다.
예비중합된 촉매는 하기와 같은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담체를 불활성탄화수소중에서 현탁시킨다. 이 현탁액에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성분(a))을 도입하여 소정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이어서 상등액을 제거하여 얻은 고체성분을 불활성 탄화수소중에서 재현탁시킨다.
이계내로 천이금속화합물(성분(b))를 첨가하여 소정시간동안 반응시킨다. 그런후에 상등액을 제거하여 고체촉매성분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는 고체촉매성분을 유기알루미늄화합물 촉매성분(성분(c))를 함유하는 불활성 탄화수소중에 첨가한다.
예비중합에서 생성되는 올레핀공중합체의 양은 담체 1g당 0.1∼500g, 바람직하기로는 0.2∼300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200g의 양이 요망된다. 예비중합된 촉매에 있어서 성분(b)는 담체 1g당 천이금속원자로써 5×10-6∼5×10-4그램원자, 바람직하기로는 1×10-5∼2×10-4그램원자의 양으로 담지되는 것이 요망되고; 성분(b)로부터 유래된 천이금속원자(M)에 대한 성분(c)와 성분(a)로부터 유래된 알루미늄원자[Aℓ]의 몰비(Aℓ/M)는 통상 5∼200, 바람직하기로는 10∼150이다.
예비중합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의 어느것으로도 또 감압, 상압, 가압하에 행할 수 있다. 예비중합은 적어도 135℃의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0.2∼7㎗/g, 바람직하게는 0.5∼5㎗/g를 갖는 예비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수소를 존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1-에이코센 등의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을 상기 올레핀중합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공중합시켜 얻는다.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은 기상 또는 슬러리상 등의 액상으로 행하며 이 슬러리 중합에 있어서는 용매로써 불활성탄화수소 또는 올레핀자체를 사용해도 좋다.
이 불활성탄화수소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탄, 이소부탄, 펜탄, 헥산, 옥탄, 데칸, 도데칸, 헥사데칸 및 옥타데칸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들;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및 시클로옥탄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들; 벤젠, 톨루엔 및 키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들; 및 휘발유, 등유 및 가스오일 등의 석유류분을 들수 있다.
이들 불활성 탄화수소중에서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 및 석유류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을 슬러리법 또는 기상법으로 행할때에 올레핀 중합촉매는 천이금속화합물의 농도가 중합반응계내의 천이금속으로 통상 10-8∼10-3그램원자/ℓ(용매), 바람직하기로는 10-7∼10-4그램원자/ℓ(용매)가되는 양을 사용한다.
또 본중합에 있어서는 성분(a)및/또는 유기알루미늄화합물(c)과 같은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을 첨가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천이금속화합물(b)(또는 천이금속화합물(b'))로부터 유래된 천이금속원자(M)에 대한 유기알루미늄옥시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알루미늄원자(Aℓ)의 원자비(Aℓ/M)는 5∼300, 바람직하기로는 10∼20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150이다.
슬러리중합에 의해서 제조할때에 중합온도는 통상 -50∼100℃, 바람직하기로는 0∼90℃이다.
기상중합에 의해서 제조할때에 중합온도는 통상 0∼120℃, 바람직하기로는 20∼100℃이다.
중합은 통상 상압 -100kg/㎠, 바람직하기로는 2∼50kg/㎠의 가압상태에서 행한다.
중합은 회분식, 반연속식 또는 연속식중의 어느식으로도 행할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다른 반응조건을 갖는 두 개이상의 단계로 행할수 있다.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는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극성단량제로 그라프트 변성시킴으로써 얻을수 있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에서, 공중합체중 에틸렌 대 α-올레핀(에틸렌/α-올레핀)의 몰비는 사용된 α-올레핀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1/99∼99/1이고 바람직하게는 50/50∼99/5이고 α-올레핀이 프로필렌일때는 몰비가 50/50∼9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이 탄소원자수가 4이상일때는 몰비는 80/20∼95/5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중합체는 135℃의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4∼7㎗/g, 바람직하게는 0.5∼5㎗/g을 갖는다.
에틸렌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2-메틸-1-부텐, 3-메틸-1-부텐, 1-헥센,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3-디메틸-1-부텐, 1-헵텐, 메틸-1-헥센, 디메틸-1-펜텐, 트리메틸-1-부텐, 에틸-1-펜텐, 1-옥텐, 메틸-1-펜텐, 디메틸-1-헥센, 트리메틸-1-펜텐, 에틸-1-헥센, 메틸-1-펜텐, 디에틸-1-부텐, 프로필-1-펜텐, 1-데센, 메틸-1-노넨, 디메닐옥텐, 트리메틸-1-헵텐, 에틸-1-옥텐, 메틸에틸-1-헵텐, 디에틸-1-헥센, 1-도데센, 헥사도데센 및 그의 혼합물이다. 이들중 탄소원자수 3∼10의 α-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 또는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외에 상기 에틸렌(공)중합체는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 중합할 수 있는 다른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화합물의 예는 쇄상폴리엔화합물, 환상폴리엔화합물, 환상모노엔화합물등이다.
이 폴리엔은 적어도 2개의 공역 또는 비공역 올레핀성 2중결합을 가진 것이다.
상기 쇄상폴리엔 화합물의 예를들면,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2,4,6-옥타디엔, 1,3,7-옥타트리엔, 1,5,9-데카트린엔 및 디비닐벤젠을 포함한다.
상기 환상폴리엔화합물의 예를 들면 1,3-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5-에틸-1,3-시클로헥사디엔, 1,3-시클로헵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넨, 5-비닐-2-노르보넨, 5-이소피리덴-2노르보넨, 메틸하이드로인덴, 2,3-디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넨 및 2-프로페닐-2, 5-노르보나디엔을 포함한다.
상기 환상 모노엔 화합물의 예를들면 시클로프로펜,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3-메틸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데센, 시클로도데센, 테트라시클로데센, 옥타시클로데센 및 시클로에이코센 등의 모노시클로알켄' 노르보넨, 5-메틸-2-노르보넨, 5-에틸-2-노르보넨, 5-이소부틸-2-노르보넨, 5,6-디메틸-2-노르보넨, 5,5,6-트리메틸-2-노르보넨 및 2-보르넨 등의 바이시클로알켄' 2,3,3a,7a-테트라하이드로-4, 7-메타노-1H-인덴 및 3a,5,6,7a-테트라하이드로-4, 7-메타노-1H-인덴 등의 트리시클로알켄; 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메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에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프로필-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헥실-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스테아릴-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3-디메틸에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메틸-3-에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클로로-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브로모-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2-플로로-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및 2,3-디클로로-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등의 테트라시클로알켄; 및 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 헵타데센-4, 펜타시클로[8,8,12.9,14.7,111.18,0,03.8,012.17]헨에이코센-5 및 옥타시클로[8,8,12.9,14.7,111.18,0,03.8,012.17]도코센-5 등의 폴리시클로알켄을 포함한다.
에틸렌(공)중합체는 스틸렌 또는 치환스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엔 성분은 단일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수 있다. 상기 폴리엔성분의 함량은 통상 1-20몰%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15몰%이다.
본 발명의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그라프트변성에틸렌(공)중합체[B]는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후술하는 극성단량체와 에틸렌(공)중합체를 반응시켜 얻을수 있다.
극성단량체를 예로들면 히드록실기함유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 아미노기함유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 에폭시기함유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카본산, 이들 산의 유도체들, 비닐에스테르화합물 및 비닐클로라이드등이 있다.
히드록실기 함유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의 구체적인 것을 예로들면,
히드록시에틸(메드)아크릴에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드)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드)아크릴에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드)아크릴에이트,
3-클로로-3-히드록시프로필(메드)아크릴에이트,
글리세롤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펜타이리드리롤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테트라메틸올에탄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부탄디올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드)아크릴에이트, 및 2-(6-히드록시헥산오일옥시)에틸아크릴에이트, 등의 (메드)아크릴에이트와, 10-운데센-1-올, 1-옥텐-3-올, 2-멘탄올 노르보넨, 히드록시스티렌, 히드록시에틸 비닐에테르, 히드록시부틸에테르, N-메틸올아크릴 아미드, 2-(메드)아크릴오일옥시에틸 인산염, 글리세롤 모노알릴 에테르, 알릴알콜, 알릴옥시 에탄올, 2-부텐-1, 4-디올 및 글리세롤 모노알콜 등의 기타 화합물등이 있다.
아미노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에틸렌성 이중결합과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그러한 화합물의 일예는 하기식으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미노기를 갖는 비닐단량체이다.
Figure kpo00004
상기 식중 R1은 수소,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2는 수소, 탄소원자수 1∼12, 바람직하게는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6∼12, 바람직하기로는 6∼8의 시클로알킬기이다. 이 알킬 및 시클로알킬기들은 치환기를 더 가질수도 있다.
그러한 아미노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적인 것을 예로들면 아미노에틸(메드)아크릴에이트, 프로필아미노에틸(메드)아크릴에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에이트아미노프로필(메드)아크릴에이트, 패닐아미노에틸메타크릴에이트 및 시클로헥실아미노에틸메타크릴에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에이트형 또는 알킬메타크릴에이트형 유도체와, N-비닐디에틸아민과 N-아세틸비닐아민 등의 비닐아민형 유도체와, 알릴아민, 메타크릴아민, N-메틸아크릴아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의 알릴아민형 유도체와, 아크릴아미드와 N-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아밀드형 유도체와, P-아미노스트렌등의 아미노 스티렌과, 6-아미노헥실 석신아미드와 2-아미노에틸석신아미드드의 기타 화합물등이 있다.
에폭시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1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와 중합가능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이다.
그러한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적인 것을 예로들면 하기와 같다.
글리시딜 아크릴에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에이트와, 모노글리시딜 말레에이트 디글리시딜 말레에이트, 모노글리시딜 휴말에이트, 디글리시딜 휴말에이트, 모노글리시딜 크로톤에이트, 디를리시딜 크로톤에이트, 모노글리시딜 테트라히드로프탈에이트, 디글리시딜 테트라히드로프탈에이트, 모노글리시딜 이타콘에이트, 디글리시딜 이타콘에이트, 모노글리시딜 부텐트리카복실에이트, 디글리시딜 부텐트리카 복실에이트, 모노글리시딜 시트라콘에이트, 디글리시딜 시트라콘에이트, 엔도-시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복실산(나딘산TM)의 모노글리시딜에스테르, 그의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엔도-시스-비시클로[2,2,1]헵트-5-엔-2-메틸-2,3-디카복실산 (메틸나딘산TM), 그의 디글리시딜모노글리시딜 알릴석신에이트 및 디글리시딜알릴설신에이트와 같은 디카복실산의 모노 및 알킬글리시딜 에스테르(모노글리시딜 에스테르의 경우에 알킬기의 탄소원자수:1∼12)와, 알킬글리시딜 P-스티렌카복실에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에테르, 스티렌-P-글리시딜 에테르, 3,4-에폭시-1-부텐, 3,4-에폭시-3-메틸-1-부텐, 3,4-에폭시-1-펜텐, 3,4-에폭시-3-메틸-1-펜텐, 5,6-에폭시-1-헥센 및 비닐시클로헥센 모녹사이드.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예로들면 하기식으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5
상기 식중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원자수 1∼3의 알킬기(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이고, R3는 탄소원자수 1∼3의 탄화수소기(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또는 할로겐원자(구체적으로, 염소, 브롬, 또는 요드)이고, n은 0∼5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5의 정수이다.
그러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0-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P-클로로메틸스티렌, 4-비닐피리딘, 2-비닐피리딘, 5-에틸-2-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2-이소프로페닐피리딘, 2-비닐퀴노린, 3-비닐이소퀴노린, N-비닐카바졸 및 N-비닐피로리돈등이 있다.
불포화 카본산을 예로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휴마린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노보르넨디카본산 및 비시클로[2,2,1]헵트-2-엔-5,6-디카본산과 같은 불포화 카본산과, 이들 산무수물, 이들 산유도체(예, 산할라이드류, 아미드류, 이미드류 및 에스테르류)등이 있다.
그러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것을 예로들면 말레닐 클로라이드, 말레닐 이미드, 말레인산 무수물, 이타콘산무수물, 시트라콘산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무수물, 비시클로[2,2,1]헵트-2-엔-5,6-디카본산무수물, 디메틸말레에이트, 모노메틸말리에이트, 디에틸말리에이트, 디에틸휴말에이트, 디메틸이타콘에이트, 디에틸시트라콘에이트, 디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에이트, 디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5,6-디카보테이트, 히드록시에틸(메드)아크릴에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드)아크릴에이트, 글리시딜(메드)아크릴에이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에이트 및 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에이트등이 있다.
이들중, (메드)아크릴산, 말레인산무수물, 히드록시에틸(메드)아크릴에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에이트 및 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에이트가 좋다.
비닐에스테르화합물을 예로들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온에이트, 비닐 n-부틸에이트, 비닐이소부틸에이트 비닐피발에이트, 비닐카프로에이트, 비닐버사테이트, 비닐라우레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벤조에이트, 비닐 p-t-부틸벤조에이트, 비닐 살리실에이트 및 비닐시클로헥산카복실에이트등이 있다.
극성단량체는 에틸렌(공)중합체 100중량부당통상1∼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80중량부가 사용된다.
라디칼 개시제로서 유기퍼옥사이드와 아조화합물을 사용할수 있다.
유기퍼옥사이드를 예로들면 디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신-3,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1,-(t-부틸퍼옥시)밸러레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아세틸퍼옥사이드, 이소부티릴 퍼옥사이드, 옥탄오일퍼옥사이드, 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오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m-토루일 퍼옥사이드등이다.
아조 화합물을 예로들면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및 디메틸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등이 있다.
라디칼 개시제는 에틸렌(공)중합체 100중량부당 0.001∼1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라디칼 개시제는 에틸렌(공)중합체 및 극성단량체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소량의 유기용매중에 함유된 용액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한 유기용매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라디칼 개시제를 용해시킬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수 있다.
그러한 유기용매들을 예로들면, 벤젠, 토루엔 및 크시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와,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및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소계 용매와,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및 데카히드로나프탈렌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용매와,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메티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계 용매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및 tert-부탄올 등의 알콜계용매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계 용매와,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메틸 프탈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와,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n-아밀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휴란 및 디옥시아니솔 등의 에테르형 용매등이 있다.
에틸렌(공)중합체의 그라프트변성에 있어서 환원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환원제는 생성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내의 그라프트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환원제는 예를들어 철(II)이온, 크로뮴이온, 코발트이온, 니켈이온, 팔라듐이온, 설파이트, 히드로실아민, 히드라진 및 -SH, SO3H, -NHNH2 또는 -COCH(OH)-를 함유하는 화합물등이있다.
그러한 환원제의 구체적인 것을 예로들면 염화 제1철, 포타시움비크로메이트, 코발트 클로라이드, 코발트 나프텐에이트, 팔라듐클로라이드,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N,N-디메틸아니린, 히드라진, 에틸머캅탄, 벤젠설폰산 및 P-토루엔설폰산등이 있다.
환원제는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통상 0.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중량부가 사용된다.
에틸렌(공)중합체의 그라프트 변성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에틸렌(공)중합체를 유기용매중에 용해한후, 그 용액에 극성단량체, 라디칼 개시제 등을 첨가하여 0.5∼15시간, 바람직하게는 1∼10시간동안 70∼200℃, 바람직하게는 80∼190℃에서 반응을 행한다.
에틸렌(공)중합체의 그라프트 변성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는 에틸렌(공)중합체를 용해시킬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어느 유기용매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들면, 벤젠, 토루엔 및 크시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와,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등이 있다.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는 또한 에틸렌(공)중합체를 아무런 용매도 사용하지 않고 압출기등에서 극선당량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반응온도는 일반적으로 에틸렌(공)중합체의 융점 이상 구체적으로 120∼250℃이고, 반응시간은 일반적으로 0.5∼10분이다.
위에서 제조한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에서 극성기로부터 유도된 그라프트기의 그라프트량은 통상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30중량%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와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로 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와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간의 중량비 ([A]:[B])는 99.5:0.5∼60:40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99:1∼70:30범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예를들어 내후안정제, 열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슬립방지제, 블로킹방지제, 흐림방지제, 활제, 안료, 염료, 핵제, 가소제, 노화방지제, 염산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물들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공지방법, 예를들어 하기 방법들로 제조할수 있다.
(1)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 및 필요에 따라서 기타 임의의 성분들을 압출기, 혼련기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블렌딩하는 방법.
(2)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임의의 성분들을 양호한 (용매(예, 헥산, 헵탄, 데칸,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용매)중에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3)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공)중합체[B]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임의의 성분을 적정 용매중에 독립적으로 용해시켜 용액을 얻고, 그 용액들을 혼합하여 생성된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4) 상기 방법(1)∼(3)을 조합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일반 공냉팽창성형, 2단계의 공냉팽창성형, 고속팽창성형, T-다이필름성형, 수냉팽창성형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필름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상기 성형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은 투명성과 기계적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열밀봉특성, 열점착성, 내블록킹과 같은 일반 LLDPE고유의 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현저하게 좁은 조성물분포를 가지므로 상기 필름은 표면 끈적거림이 없다.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은 필름은 표준백, 설탕백, 유성제품용 포장백, 습윤성 제품용 포장백, 농산품용백과 같은 다양한 포장용백에 적합하다.
또한 나일론, 폴리 에스테르, 금속호일 등에 대해 부착강도가 높으므로 상기 필름을 이들 기판상에 적층하여 다층필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이러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투명성과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고극성재료에 부착특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설명하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필름들의 물성을 하기방법으로 평가한다.
[헤이즈]
0.5mm두께의 압축쉬트를 조성물로부터 제조하고, 상기 압축쉬트를 ASTM-D-1003-61에 의해서 헤이즈를 측정했다.
이 측정값에 대한 쉬트표면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압축쉬트를 벤질알콜로 충전된 석영제의 광학 셀중에서 침지된 상태에서 헤이즈 즉, 내부 헤이즈를 측정했다.
[부착강도]
두께 100㎛의 변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압축쉬트를 샘플로 사용하였다.
이 샘플을 2종류의 각각의 피접착재로 가열밀봉하고 박리강도를 부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측정했다. 하나의 피접착재는 두께 0.5mm인 알루미늄호일이었고, 다른 피접착재는 두께 1.0mm의 6-나일론 쉬트이었다.
상기 압축쉬트와 상기 피접착재의 가열밀봉은 200℃, 1kg/㎠의 하중 및 60초동안 가열밀봉기를 사용하여 행하였고, 가열밀봉후 피접착재를 갖는 압축쉬트를 폭 25mm,길이 150mm의시료로 잘랐다. 상기 시료의 2층(변성폴리프로필렌 조성물층과 피접착재층)간의 부착강도는 200mm/분의 박리속도에서 변성중합체층에 대해 180°방향에서 상기 접착재를 박리함으로써 측정했다.
[제조예 1]
[촉매성분의 제조]
250℃에서 10시간동안 건조한 실리카 5.0kg을 톨루엔 80ℓ중에 현탁하고 그 생성 현탁액을 그 생성 현탁액을 0℃로 냉각했다. 다음 상기 현탁액에 메틸알루미녹산(Aℓ:1.33moℓ/ℓ)의 톨루엔용액 28.7ℓ를 1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첨가하는 동안에 계의 온도는 0℃로 유지했다. 다음 반응을 0℃에서 30분동안 계속해서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계의 온도를 1.5시간에 걸쳐 95℃로 승온하여 이 온도에서 20시간동안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 반응계의 온도를 60℃로 낮추고 상등액을 기울여 제거했다.
상기에서 얻은 고체성분을 톨루엔으로 2회 세정하고 그 다음 다시 80ℓ의 톨루엔으로 현탁했다. 이 반응계에 비스(1,3-n-부틸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Zr:34.0mmoℓ/ℓ)의 톨루엔 용액을 6.6ℓ,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Zr:28.1mmoℓ/ℓ)의 톨루엔 용액 2.0ℓ를 80℃에서 30분에 걸쳐 적하하고, 반응을 80℃에서 2시간동안 더 행하였다.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잔유물을 헥산으로 2회 세정하여 고체촉매 1g당 3.6㎎의 지르코늄을 함유한 고체촉매를 얻었다.
[예비중합된 촉매의 제조]
트리이소부틸알류미늄 1.7moℓ을 함유한 헥산 85ℓ에 상기에서 얻은 고체촉매 0.85kg과 1-헥센 255g을 첨가했다. 이 생성 혼합물을 35℃에서 12시간동안 에틸렌과 예비중합하여 폴리에틸렌이 고체촉매 1g당 10g예비중합된 예비중합된 촉매를 얻었다.
이 에틸렌 중합체의 극한점도[η]는 1.74㎗/g이었다.
[중합]
연속식 유동상 중합기내에 에틸렌을 전압 20kg/㎠-G와 중합온도 80℃에서 1-헥센과 공중합시켰다.
상기 중합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예비중합된 촉매를 지르코늄원자환산으로 0.18mmoℓ/h의 공급속도로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10mmoℓ/h의 공급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에틸렌, 1-헥센, 수소 및 질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중합시키는 동안에 가스조성(가스조성 : 1-헥센/에틸렌=0.030, 수소/에틸렌=5.5×10-4, 에틸렌농도=25%)을 일정하게 유지했다.
이렇게 해서 에틸렌/1-헥센공중합체(A-1)를 6.0kg/h의 양으로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밀도는 0.923g/㎤이고, MFR은 2.1g/10분이었다.
상기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A-1)의 물성은 표1에서 나타냈다.
[제조예2]
[변성 폴리에틸렌의 제조]
폴리에틸렌 750g(시판 티타늄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 밀도:0.965g/㎤, MFR:15.0g/10분)을 160℃에서 반응용매로써 5.7ℓ의 톨루엔에 용해했다.
다음, 이 생성용액에 무수말레인산의 톨루엔용액(44.1g/250㎖)과 디커밀 펄옥사이드(DCP)(3.6g/50㎖)의 톨루엔용액(3.6g/40㎖)를 4시간에 걸쳐 서로 다른도관을 거쳐서 서서히 첨가했다.
이 첨가의 완료후에, 반응을 160℃에서 30분동안 더 계속 행했다. 그후 계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반복하여 세정하고 감압의 80℃에서 하루밤낮동안 건조하여, 목적하는 변성된 폴리에틸렌(B-1)을 얻었다.
상기 변성 폴리에틸렌(B-1)을 원소분석하여, 무수말레인산의 그라프트양을 결정하였다.
그결과, 상기 변성폴리에틸렌에서 무수말레인산을 변성폴리에틸렌의 100g당 2.3g의 양으로 그라프트 중합했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65g/㎤이고 MFR은 4.1g/10분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상기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A-1)(밀도: 0.923g/㎤, MFR: 2.1g/10분)와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변성 폴리에틸렌(B-1)을 중량비95/5[(A-1)/(B-1)]로 블렌딩하여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했다.
생성된 블렌드에 제2산화방지제로 (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05중량%와 내열안정화제로서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1중량% 및 염산흡수제로써 스테아린산칼슘 0.05중량%를 첨가했으며 이 양들은 각각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것이다.
다음 생성된 혼합물들은 180℃설정온도에서 원추형2축압출기(Haake Buchler Instrument Inc.제)에 의해서 혼련하여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상기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0.925g/㎤이고, MFR은 2.2g/10분이었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용융특성 및 기타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압축쉬트의 성형]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200℃에서 10분동안 가압성형기로 가열했다.
그후 상기 공중합체조성물을 3분동안 100kg/㎠의 압력하에서 유지시키고 또한 20℃의 냉각 가압기를 사용하여 5분동안 100kg/㎠의 압력하에 유지시켜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을 압축쉬트로 성형했다.
상기 압축 쉬트의 투명성과 알루미늄호일 및 6-나일론쉬트에 대한 부착강도 등의 각종 특성을 측정했다. 이 결과는 표2에 나타냈다.
표2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조성물은 훌륭한 투명성을 갖고 있고 고용융장력 때문에 높은 성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조성물은 알루미늄과 나일론 같은 고극성 재료에 대해 우수한 부착강도를 갖고 있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1: 2.2×MFR 의 값
*2: 150×MFR의 값
*3: 0.03×FI/MFR-3.0의 값(0미만인 경우에 그 값은 0으로 함)
Figure kpo00008

Claims (1)

  1. [A] (a) 유기 알류미늄옥시화합물과 (b)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를 포함하는 주기율표 Ⅳ족 천이금속화합물로 된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얻고, 그의 특성이 (ⅰ) 밀도가 0.850∼0.980g/cm3범위이고 (ⅱ) 하중 2.16kg하 온도 190℃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01∼200g/10분의 범위인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와, [B]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중합체로 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A]와 상기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변성 에틸렌 중합체[B]의 중량비 ([A]:[B])가 99.5:0.5∼60:40 범위인 것이 특징인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KR1019970029432A 1993-11-19 1997-06-3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KR0132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815A KR0132767B1 (ko) 1992-11-19 1993-11-19 에틸렌계공중합체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725B1 true KR0132725B1 (ko) 1998-04-13

Family

ID=19368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435A KR0132722B1 (ko) 1993-11-19 1997-06-3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KR1019970029432A KR0132725B1 (ko) 1993-11-19 1997-06-3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435A KR0132722B1 (ko) 1993-11-19 1997-06-3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327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722B1 (ko) 199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3236A (en)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US5708080A (en) Graft modified ethylene/α-olefin copolymer
KR0142071B1 (ko) 올레핀 중합용 촉매, 그것을 사용한 올레핀 중합방법, 에틸렌/알파-올레핀공중합체 그라프트 변성 에틸렌/알파-올레핀공중합체 및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US6183863B1 (en) Adhesive ethyl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and laminates using the same
US6001941A (en) Ethylene α-olefin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ethylene with an α-olefin
JP3365661B2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3455768B2 (ja) グラフト変性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および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3455767B2 (ja) グラフト変性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H07309982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3483171B2 (ja) グラフト変性エチレン系重合体
JPH06207062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KR0132725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JPH07309983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H0987603A (ja) 接着性エチレン系共重合体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積層体
JP2006161059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38A (ja) グラフト変性エチレン系重合体
JP3483172B2 (ja) グラフト変性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
JPH07309981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KR0132723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