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295Y1 - 동 전해정련용 음극 - Google Patents

동 전해정련용 음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95Y1
KR0132295Y1 KR2019950047720U KR19950047720U KR0132295Y1 KR 0132295 Y1 KR0132295 Y1 KR 0132295Y1 KR 2019950047720 U KR2019950047720 U KR 2019950047720U KR 19950047720 U KR19950047720 U KR 19950047720U KR 0132295 Y1 KR0132295 Y1 KR 0132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hanger
copper
stainless steel
electro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074U (ko
Inventor
배은현
Original Assignee
홍준희
주식회사하나금속
주식회사탑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희, 주식회사하나금속, 주식회사탑하이텍 filed Critical 홍준희
Priority to KR2019950047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295Y1/ko
Publication of KR970039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1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전착박판(13)이 행가(10)에 직선상으로 용접될 수 있게 된 동 전해 정련용 음극에 관한 것임. 동 전해 정련용 음극은 행가(10)가 동파이프(11)와 동파이프 내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스틸봉(12)으로 구성되었고, 행가(10)저면에는 동 파이프(11)의 주벽을 관통하는 결합공(15)이 형성되었으며, 전착 박판(13)은 결합공(15)주연부에 용접 고정되었음. 결합공(15)은 동파이프에 형성된 장공(16)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스테인레스 스틸봉(12)에 형성된 슬로트(17)와 동파이프(11)에 형성된 장공(16)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

Description

동 전해정련용 음극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동 전해정련용 음극의 한 형태를 보인 저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동 전해정련용 음극의 종단면 부분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동 전해정련용 음극의 다른 형태를 보인 종단면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행가 11 : 동파이프
12 : 스테인레스 강봉 13 : 전착박판
14 : 구멍 15 : 연결용 구멍
16 : 구멍 17 : 홈
18, 19 : 용접부 20, 21 : 지지부
22 : 구멍 23 : 용접부
본 고안은 동 전해 정련용 음극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전기 전도체로 된 지지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지지되는 행가와 이 행가에 부착되어 전해 액속으로 삽입되는 스테인레스강 전착박판으로 구성된 동 전해정련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동 전해정련시에는 다수의 비정련 동으로된 양극 박판과 음극 전착박판을 수평으로 되게 전해액속에 삽입하여 양극판과 음극 전착박판에 전류를 통하므로서 양극 박판에서 동이 용출되어 음극 전착박판에 전착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극 박판과 음극 전착박판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행가에 지지하여 전해액속에 삽입하는데 전해액속에서 양극 박판과 음극 박판이 서로 접촉하면 회로 단락을 일으키므로 가능한한 협소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평행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전술한 동 전해정련용 음극은 얇은 동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된 전착박판을 전기 전도성 행가에 결합시켜 구성하는데, 전착박판과 행가는 클램프를 이용한 리베이트 결합방법 또는 용접방법에 의하여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클램프를 이용한 리베이트 결합방법은 사용중에 리베이트 결합부분이 부식되어 느슨하게 되므로 전착박판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어려워서 최근에는 행가와 전착박판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행가와 전착박판을 용접 결합시킬 때 원형, 4각 단면 또는 레일상단면의 행가 저면에 전착박판의 상단을 용접시켰으므로 용접할 때 용접부위가 일직선으로 되도록 용접하기 곤란하였다. 그리고 행가와 전착박판중의 하나 또는 모두가 동으로 되었을때는 용접시 동으로된 행가 또는 전착박판이 변형되어 전착박판을 전해액속에 설치할 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설치하기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하여 최근에는 전착박판을 스테인레스강판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행가는 동봉 또는 동 도금된 스테인레스강 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테인레스강 파이프내에 동봉을 삽입하여 형성한 행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봉으로된 행가는 스테인레스강 박판과 용접결합시킬 때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변형되므로 전해욕에 삽입할 때 전착박판가의 간격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스테인레스강 파이프 외주에 동도금한 행가는 수차례 반복 사용할 때 동도금층이 마손되어 전기적인 접촉 불량사태가 나타나고 도금 공정에 따른 제작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스테인레스강 파이프내에 동봉을 삽입한 행가는 행가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동 파이프가 직접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강의 저면을 절취하여 절취된 부분에서 동봉이 스테인레스강 파이프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동 전해정련용 음극들은 모두 전착박판의 상단연부가 행가의 평평한 표면에 용접고정되어 있는바, 이와같은 용접고정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착박판을 직선상으로 용접하는데 정밀한 기술을 필요할 뿐 아니라 용접 공정중에 전착박판이 뒤틀리게 되어 전착박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행가와 전착박판의 결합이 완전한 직선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이루지는 동 전해정련용 음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동 파이프내에 스테인레스강봉을 삽입하여 형성한 행가의 저면에 동 파이프의 주벽을 관통하는 연결용 구멍을 형성하고 전착박판의 상단을 전술한 구멍속으로 삽입하여 전술한 구멍의 주연부에서 동 파이프 및/또는 스테인레스강봉에 용접고정시킨 본 고안의 동 전해정련용 음극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동 전해정련용 음극은 동 파이프내에 스테인레스강봉을 삽입하여 형성한 행가에 전착박판을 용접 고정시켜서 된 동 전해정련용 음극에 있어서, 행가의 저면에 전착박판의 길이보다 긴 연결용 구멍이 동 파이프의 주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전착박판의 상단이 전술한 연결용 구멍내에 삽입되어 동 파이프 및/또는 스테인레스 강봉의 연결용 구멍의 주연부에 용접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행가를 구성하는 동파이프는 4각단면, 원형, 다각형 등의 외주단면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될수 있고 스테인레스 강봉은 전술한 동파이프 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동 파이프의 내주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갖는 봉상체로 구성된다. 행가 저면의 연결용 구멍은 동 파이프의 측벽에만 형성될수도 있고 스테인레스 강봉의 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될수도 있다. 전술한 연결용 구멍의 길이와 폭은 전착박판의 길이 및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전착박판이 전술한 연결용 구멍속으로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결용 구멍이 스테인레스 강봉의 내부까지 연장된 경우에는 동 파이프의 저면에는 측벽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강봉에는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는데, 이 경우 스테인레스 강봉에 형성된 슬로트는 전착박판의 두께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형성하여 전착박판이 삽입되었을 때 전착박판과 밀착되도록하고 동 파이프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의 길이와 폭은 스테인레스 강봉의 저면에 형성된 홈의 길이와 폭보다 약간 길고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착박판을 스테인레스 강봉에 용접할수 있다. 그리고 동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의 길이는 전체행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행가의 좌우면에 동파이프의 주벽으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전기한 전착박판은 행가의 연결용 구멍에 밀착되게 삽입된 다음 용접 고정되는바, 동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이 전착박판과 밀착되도록 된 경우에는 동 파이프의 구멍 주연부를 전착박판의 외주면에 용접시키고 동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이 전착박판의 길이와 두께보다 크고 전착박판이 스테인레스 강봉의 홈속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봉과 전착박판을 용접 고정시키고 동파이프와 스테인레스 강봉 사이도 용접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전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착박판이 행가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에 직선상으로 삽입된 다음 연결용 구멍 주연부와 전착박판의 외주연부를 용접시키므로 특수한 용접기술이 없어도 전착박판이 직선상으로 유지되도록 용접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시 전착박판 또는 행가의 휘임이 방지되어 전착박판의 전해액속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현수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동 전해 정련용 음극음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파이프(11)내에 스테인레스 강봉(12)을 삽입하여서된 행가(10)와 전술한 행가(10)의 외주 저면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15)에 결합 고정된 구멍(14)을 갖고 있는 전착박판(13)으로 구성되었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와 제3도에 따르면 행가(10)는 저면에 동파이프(11)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의 구멍(16)과 스테인레스 강봉(12)에 형성된 홈(17)으로 구성된 연결용 구멍(15)을 갖고 있는바, 전술한 연결용 구멍(15)의 양측에는 동파이프의 저면으로 이루어진 전기 접속 지지부(20)(21)가 형성되었다. 동파이프(11)의 구멍(16)의 길이와 폭은 전착박판(13)의 길이와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었고 스테인레스 강봉(12)의 홈(17)은 전착박판(13)이 밀착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었다. 전기한 전착박판(13)의 홈(17)에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된 전착박판(13)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었으며 전술한 스테인레스 강봉(12)은 용접부(18)에서 전착박판(13)과 용접고정되었고 용접부(19)에서 동파이프(11)와 용접 고정되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스테인레스강 전착박판(13)이 행가(10)를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강봉(12)의 홈(17)내에 삽입되어 동일한 재질사이에 용접이 이루어 지므로 용접시 변형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전착박판(13)이 일직선상으로 결합되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행가(10)의 연결용 구멍(15)이 동파이프(11)에 형성된 구멍(22)만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구멍(22)은 전착박판(13)이 밀착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었다. 전착박판(13)은 구멍(22) 주변의 용접부(23)에서 동파이프(11)에 용접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착박판(13)이 행가(10)에 직선상으로 용이하게 용접 고정되게 된다.

Claims (2)

  1. 동파이프(11)내에 스테인레스 강봉(12)을 삽입하여 형성한 행가(10)에 전착박판(13)을 용접 결합시켜서 된 동 전해정련용 음극에 있어서, 행가(10)의 저면에 전착박판(13)의 길이와 두께보다 큰 길이와 폭을 갖는 전착박판 삽입용 연결용 구멍(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착박판(13)이 연결용 구멍(15)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구멍(15)의 주변에서 행가(10)에 용접 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하는 동 전해정련용 음극.
  2. 청구범위 1항에서, 연결용 구멍(15)이 전착박판(13)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스테인레스 강봉(12)에 형성된 홈(17)과 전기한 홈(17)보다 큰 폭으로 되게 동 파이프(11)에 형성된 구멍(16)으로 구성되고, 스테인레스 강봉(12)은 동파이프(11)와 전착박판(13)에 용접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 전해 정련용 음극.
KR2019950047720U 1995-12-26 1995-12-26 동 전해정련용 음극 KR0132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20U KR0132295Y1 (ko) 1995-12-26 1995-12-26 동 전해정련용 음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20U KR0132295Y1 (ko) 1995-12-26 1995-12-26 동 전해정련용 음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074U KR970039074U (ko) 1997-07-29
KR0132295Y1 true KR0132295Y1 (ko) 1999-01-15

Family

ID=1943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720U KR0132295Y1 (ko) 1995-12-26 1995-12-26 동 전해정련용 음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79B1 (ko) * 2017-11-22 2019-03-28 (주)하나금속 동 전해 정련용 음극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79B1 (ko) * 2017-11-22 2019-03-28 (주)하나금속 동 전해 정련용 음극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07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7056B2 (ja) 電解槽用ブスバー構造物
CN100424231C (zh) 悬挂棒
BRPI0501558B1 (pt) Zona de união e método de união resistentes à corrosão entre materiais de cobre e aço inoxidável ou titânio, constituintes dos catodos permanentes para processos eletrolíticos e o catodo assim obtido
KR20100061809A (ko) 전해질 캐소드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A1131173A (en) Bipolar electrod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0132295Y1 (ko) 동 전해정련용 음극
FI58656C (fi) Elektrolyscell och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US4187164A (en) Anode
US4661232A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extraction of metals or metal oxides
JPH03183792A (ja) 陽極装置および該陽極装置を用いた金属を析出する電解処理方法
JPS5842783A (ja) 銅の電解精錬用陰極
US11926912B2 (en)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EP0337387B1 (en) Diaphragm cell cathode assembly
CA1128002A (en) Anode with current feeder and resilient electrode sheets attached to it
US4786390A (en) Anode configuration for nickel-phosphorus electroplating
JP2615863B2 (ja) 電解用陰極板
JP2943334B2 (ja) メッキ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メッキ用ラック
JPS5913239Y2 (ja) 電極組立体
KR100353180B1 (ko) 전해조의전기적접촉장치
KR102428851B1 (ko)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CN215404616U (zh) 一种用于具有“工”字型结构滑轨的电镀工装
KR900000486Y1 (ko) 크롬도금용 양극판
KR890009047Y1 (ko) 전기 도금기의 전류 전도장치
JP5420841B2 (ja) 拡大された活性膜表面を有する電解セル
KR810000532B1 (ko) 무격막전 해조용 양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