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30Y1 - 밧데리 고정구 - Google Patents

밧데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30Y1
KR0132130Y1 KR2019950035238U KR19950035238U KR0132130Y1 KR 0132130 Y1 KR0132130 Y1 KR 0132130Y1 KR 2019950035238 U KR2019950035238 U KR 2019950035238U KR 19950035238 U KR19950035238 U KR 19950035238U KR 0132130 Y1 KR0132130 Y1 KR 0132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astener
hole
pres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890U (ko
Inventor
최낙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5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130Y1/ko
Publication of KR970025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8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고정구를 단일체로 성형하여 조립성과 결착성을 증대시킨 밧데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밧데리 고정구 체결방식은 수직/수평으로 여러부품을 유지시킨채 동시에 조립해야 하므로 그 조립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우며, 이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보다도 덜 정밀한 부분인데도 조립성이 저하되고 여러부품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단일체로 된 고장바아를 제공하여 조립에 따른 실용성과 코스트다운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고정판(12)의 수직체결면(26)에 관통홀(28)을 형성시키고, 타측 수평체결면(30)을 수평으로 하여 체결공(32)을 형성시키며, 상기 관통홀(28)에 좌단(34)이 끼워지고, 체결공(32)에 우단(36)이 끼워지는 단일체의 고정구(38)를 마련하되, 고정구(38)는 그 수직부(40,40')와 수평부(42)가 관절부(44)로 연결되어 밧데리 모서리를 따라 꺾여지게 구성된 밧데리 고정구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고정구(38)는 두파트로 구성되며, 이 경우 종래의 고정판(12)을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바, 관절부(44)에서 수직부(40 혹은 40')가 연장되어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여기에 너트가 체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단일체로 형성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며, 부품수도 작아져 코스트 다운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는 조립성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밧데리 고정구
제1도는 종래 밧데리 고정구에 대한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고정구의 예시도.
제4도는 제3도와 다른 예의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설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 12 : 고정판
14 : 체결면 16 : 관통홀
18 : 볼트바아 20 : 나선부
22 : 지지대 24 : 너트
26 : 수직체결면 28 : 관통홀
30 : 수평체결면 32 : 체결공
34 : 좌단 36 : 우단
38 : 고정구 40 : 수직부
42 : 수평부 44 : 관절부
46 : 볼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고정구를 단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과 결착성을 증대시킨 밧데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밧데리 고정구는 자동차 주행중에 이탈이 없도록 엔진룸에 상기 밧데리를 고정시키는 와이어나 바아와 조립너트로, 그 구성은 제1도와 같고, 여러 고정수단이 많으나 일예로써 제2도와 같은 조립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것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즉, 밧데리(10)는 엔진룸의 고장판(12)에 얹혀진 상태로 양 체결면(14)의 관통홀(16)에 볼트바아(18)가 각각 수직으로 끼워지고, 이 볼트바아(18)의 상단에 형성시킨 나선부(20)에 수평의 지지대(22)가 끼워져 너트(24)로 체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들을 조립할 때는 밧데리(10)를 고정판(12)에 미리 올려놓고, ㄴ자형 볼트바아(18)의 하단을 체결면의 관통홈(16)에 끼운후 밧데리(10)옆면에 붙이면서 수직을 유지시키고, 여기에 수평의 지지대(22)를 끼워서 서로 분리되기전에 너트(24)로 체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방식은 수직/수평으로 여러부품을 유지시킨채 동시에 조립해야 하므로 그 조립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우며, 이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보다도 덜정밀한 부분인데도 절비성이 저하되고 여러부품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단일체로 된 고장바아를 제공하여 조립에 따른 실용성과 코스트다운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즉, 밧데리는 차량마다 대량생산된 것을 사용하며, 따라서 규격화된데 따른 고정구의 크기도 일정하다는데 착안하여 모서리가 관절운동되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고정구를 밧데리를 묶게 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분되고, 이들의 관절부는 핀이나 힌지로 연결되어 접혀지게 하며, 다만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체결부에 한 번의 볼트와 너트 결합방식으로 밧데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정판(12)의 수직체결면(26)에 관통홀(28)을 형성시키고, 타측 수평체결면(30)을 수평으로하여 체결공(32)을 형성시키며, 상기 관통홀(28)에 좌단(34)이 끼워지고, 체결공(32)에 우단(36)이 끼워지는 단일체의 고정구(38)를 마련하되, 고정구(38)는 그 수직부(40,40')와 수평부(42)가 관절부(44)로 연결되어 밧데리 모서리를 따라 꺾여지게 구성된 밧데리 고정구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밧데리 고정구(38)로 볼트(46)로 체결되는 부분은 우단(36)과 수평체결면(30)의 체결공(32) 한곳 뿐이다.
이러한 고정구(38)를 이용하여 밧데리(10)를 고정시킨예가 제4도에 도시된바, 그 조립과정은 먼저, 좌단(34)을 고정판(12)의 수직체결면(26)에 형성시킨 관통홀(28)에 끼우고, 그 수직부(40)를 밧데리(10)의 수직면(측면)에 대어 감아올리듯 당겨서 수평부(42)가 밧데리(10) 상부의 수평면에 닿아 눌러주게 한다.
이어서 남은 수직부(40')를 밧데리 수직면에 대고 내려서 그 우단(36)을 볼트(46)와 너트(48)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볼트(46)는 웰딩볼트이면 너트(48)가 체결되기 쉬울 것이며, 너트(48)을 웰딩너트로 설치하고 볼트를 체결한다면 더욱 손쉬운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다.
여기서 고정구(38)는 두파트로 구성되며, 이 경우 종래의 고정판(12)을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즉, 관절부(44)에서 수직부(40 혹은 40')가 연장되어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여기에 너트가 체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단일체로 형성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며, 부품수도 작아져 코스트 다운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조립성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고정판(12)의 수직체결면(26)에 관통홀(28)을 형성시키고, 타측 수평체결면(30)을 수평으로 하여 체결공(32)을 형성시키며, 상기 관통홀(28)에 좌단(34)이 끼워지고, 체결공(32)에 우단(36)이 끼워지는 단일체의 고정구(38)를 마련하되, 이 고정구(38)는 그 수직부(40,40')와 수평부(42)가 관절부(44)로 연결되어 밧데리 모서리를 따라 꺾여지게 구성된 밧데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밧데리 고정구(38)는 우단(36)이 수평체결면(30)의 체결공(32)에 볼트(46)와 너트(4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볼트(46)는 웰딩볼트이며 너트(48)가 여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고정구.
  4. 제2항에 있어서, 너트(48)는 웰딩너트이며 여기에 볼트(4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8)는 좌단(34)과 우단(36)이 고정판(12)의 관통홀(28)에 끼워지며, 수직부(40)가 연장되어 볼트(46)가 체결되게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고정구.
KR2019950035238U 1995-11-23 1995-11-23 밧데리 고정구 KR0132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38U KR0132130Y1 (ko) 1995-11-23 1995-11-23 밧데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38U KR0132130Y1 (ko) 1995-11-23 1995-11-23 밧데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890U KR970025890U (ko) 1997-06-20
KR0132130Y1 true KR0132130Y1 (ko) 1998-12-15

Family

ID=1943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238U KR0132130Y1 (ko) 1995-11-23 1995-11-23 밧데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1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890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3559A (en) Bumper bar for a motor vehicle
US4982542A (en) Device for incorporating layer member in face construction of building
KR0132130Y1 (ko) 밧데리 고정구
JPH049736Y2 (ko)
JP3046536B2 (ja)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および該電気接続箱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04186110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JPH0142246Y2 (ko)
JPH06144295A (ja) 車体の後部構造
KR0125404Y1 (ko) 자동차용 축전지단자의 체결구조
KR20010066683A (ko) 차량용 배터리 체결기구
JPH0525298Y2 (ko)
KR200224257Y1 (ko) 승합차용 상판 고정수단
JP2573278Y2 (ja) 線格子フェンス体の連結具
KR0112921Y1 (ko)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JPH1092522A (ja) ユニット部品の固定構造
KR0123493Y1 (ko) 자동차의 천장 패널 취부구조
JPH0230857Y2 (ko)
JPS63106157A (ja) 自動車のバツテリ組付方法
JPH0231631Y2 (ko)
KR0123869Y1 (ko) 센터필러의 내장부재 고정용 클립장치
JPH0535891Y2 (ko)
KR970001258Y1 (ko) 버스 라디에이터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수직필러의 취부구조
JPS5821787Y2 (ja) ミラ−の取付装置
KR0123500Y1 (ko) 차량의 리어 트림 마운팅용 횡부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