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24Y1 -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 Google Patents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24Y1
KR0132024Y1 KR2019950031669U KR19950031669U KR0132024Y1 KR 0132024 Y1 KR0132024 Y1 KR 0132024Y1 KR 2019950031669 U KR2019950031669 U KR 2019950031669U KR 19950031669 U KR19950031669 U KR 19950031669U KR 0132024 Y1 KR0132024 Y1 KR 0132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oss
trolley
passage
cross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6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8113U (en
Inventor
고윤환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50031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24Y1/en
Publication of KR970018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1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2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33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built-up from readily separable standardised sections or elements, e.g. Bailey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선소등에서 작업물을 운반하는 주행대차의 통로상에 작업자들이 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자동개폐식 가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소정넓이와 길이로써 제작된 가교틀체를 대차의 이동통로상에서 어느 일측단은 통로의 벽부에 선회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반면, 타측단은 작업장 바닥부위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자유롭게 위치시키고, 가교틀체의 축과 인접된 위치에는 그 축과 계탈되면서 축을 구속하거나 해지하는 록킹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가교틀체가 대차에 밀려서 90° 또는 -90°로 선회된 상태에서는 록킹장치에 걸리도록하여 대차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장치를 해제하면 다시 작업자들이 통행할 수 있는 가교상태로 복귀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closing cross-linking device that is installed so that workers can walk on the passage of the truck for transporting the work in the shipyard. On one side of the trolley, the one end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wall of the passage while the other end is freely positioned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to allow sliding. At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shaft, a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haft is installed. As a result, when the bridge frame is pushed by the trolley at 90 ° or -90 °, the locking device is caught by the locking device so that it does not impede the passage of the trolley. It is to return to the crosslinked state.

Description

대차통로용 가교장치Bridge passage bridge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대차통로용 가교장치를 일부를 절결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away a part.

제2(a)도는 제1도의 전체측단면도.FIG. 2 (a) is an overall side sectional view of FIG.

(b)도는 제2도(a)도의 부분확대도.(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2 (a).

제3도는 제2b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평단면도.3 is an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b.

제4(a)-(d)도는 본 고안에 의한 대차통로용 이동가교장치의 작동단계를 표시한 개략도.Figure 4 (a)-(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ep of the mobil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가교틀체 20 : 선회축10: bridge frame 20: pivot axis

23 : 안내부시 23a,23b : 계합홈23: guide bush 23a, 23b: engaging groove

24 : 토오션(TORSION)스프링 30 : 록킹(Locking)장치24: Torsion spring 30: Locking device

32 : 록킹핀 36 : 코일스프링32: locking pin 36: coil spring

37 : 작동레버 42 : 구름베어링37: operating lever 42: rolling bearing

50 : 대차 58a∼58c : 안내로울러50: cart 58a-58c: guide roller

60 : 커버 70 : 지지바아60: cover 70: support bar

본 고안은 조선소 및 그밖의 공장등에서 대형의 작업물을 운반함에 사용하는 대차의 통로에 설치되는 가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차콘베이어의 통행에 전연 장해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들이 대차콘베이어의 통로 위를 안전하게 건너다닐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구성한 대차통로용 가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vice installed in the passage of a bogie used for transporting large workpieces in shipyards and other factories. In particular, there are no obstacles to the passage of bogie conveyors, and at the same time, workers It relates to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configured to be movable so as to safely cross.

일반적으로 작업물 운반에 필요한 대차콘베이어를 설치하려고 하면 작업장(Floor)에는 반드시 대차콘베이어가 주행할 수 있도록 된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통로는 작업장의 바닥을 파서 상부가 오픈된 터널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건너다니기에는 대차통로의 폭이 넓고 깊이가 깊어서 매우 어렵고, 또한 건너다닌다고 하여도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근자에는 이러한 폐단들을 줄이기 위해 통로의 군데군데에 족장판을 설치하여 작업자들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차가 작업물을 싣고 다음의 작업공정으로 옮길때면 통로에 기히 설치되어 있던 족장판들이 대차의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일일이 다시 철거를 해야만 하는 별도의 작업과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족장판 철거시 만에하나 누락시키게 되는 것이 있게 되면 주행중의 대차와 충돌되게 하여 대형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 trolley conveyor is required to transport a workpiece, a floor must be provided in the floor to allow the trolley conveyor to travel. In particular, because the passageway is installed in a tunnel type with the upper part opened by digging the floor of the workplac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workers to cross the wide and deep passages, and even when crossing, it causes a safety accident. In recent years, chief plates have been installed in several places in the aisles to reduce these discomforts, so that workers can walk across them, but when the trolleys load the work and move to the next work process, the chief plates that are already installed in the aisles are Because it interferes with traffic, there is a separate work and hassle that must be removed again. Particularly, when the chief plate is removed, one thing that is missing is caused to collide with the bogie while driving, causing a large safety acciden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족장판 형태로 구성한 다리틀체를 대차가 주행하는 통로상에 자동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의해, 대차의 주행에 장해를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다리로써 즉시 활용할 수 있게 한 대차통로용 가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foot frame in the form of a chief plate automatically moveable on the passageway that the trolley travels, so as not to impede the running of the trolley, and can be utilized immediately as a normal legs. It is to provide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작업장에 설치된 통로를 따라 왕복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 놓여지는 작업물을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도록 된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대차가 이동되는 통로 위를 건너지르게 놓여지고, 작업자들이 통행함에 적합한 넓이로 형성된 가교틀체, 상기 가교틀체의 어느 일단중앙에서 하방을 향해 일체로 수직입설되어 통로의 어느 일측벽부에 설치된 계합홈을 갖는 안내부시에 탄성적으로 축지지되며, 주행되는 대차가 가교틀체를 압압할시 그 가교틀체를 통로상에서 수평적으로 선회작동시키기 위한 선회축, 및 상기 가교틀체의 하부에서 선회축과 인접되게 배치되고, 어느 일단은 선회축의 안내부시의 계합홈에 탄성적으로 계탈되게 설치되는 반면 이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가교틀체에 힌지된 상태로써 상방으로 노출되어 누름부를 제공하는 ㄱ자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안내부시에 계합되고 작동레버가 체결되는 록킹핀 및 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transport trolley is installed so as to reciprocate along the passage installed in the workplace, to transport the workpiece placed thereon to the next process, the passage on which the trolley is moved Is placed elastically in the guide bush having a cross-linked frame formed in a width suitable for workers to pass through, an engaging groove installed vertically integrally downward from any one center of the cross-linked frame and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passage. Pivotally driven, the pivot being moved to rotate the crosslinked framework horizontally on the passage when the traveling vehicle presses the crosslinked framework,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ivotal shaf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linked framework, one end of which is pivoted. It is installed elastically in the engaging groove of the guide bush of the shaft while the other end extending therefrom is hinged to the bridge frame 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 bogie path | route including a rocking means which consists of an A-shape | operation lever which is exposed upwards as a state and provides a pressing part, the locking pin which is engaged with the guide part, and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fastened, and a coil spring which imparts elastic force thereto.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가교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bile crosslin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교장치를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개략평면도를, 제2(a)도는 제1도의 전체 측단면도를, 제2(b)도는 제2(a)도의 부분확대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ross-lin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away, Figure 2 (a) is a ful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2 (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2 (a). Respectively.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교장치는 작업자들이 보행함에 적합한 넓이와 아울러 대차(50)의 주행통로(52)의 폭보다는 길게 형성된 길이를 갖고 주행통로(52)상에 놓여지는 가교틀체(1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osslin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th suitable for walking by workers and a length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ravel passage 52 of the trolley 50 and is placed on the travel passage 52. ).

상기 가교틀체(10)은 소정길이로써 절단된 강재들을 이용하여 대략 장방형으로 조립구성한 것으로, 어느 일단부위는 주행통로(52)의 어느 일측벽부(54)에 수평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반면, 그와 반대로 되는 타단부위는 작업장바닥(Floor)(56) 위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자유롭게 놓여져 있다. 가교틀체(10)의 어느 일측단부 중앙으로부터는 하방을 향해 일체로 선회축(20)이 입설되어 있고, 이 선회축(20)은 측벽부(54)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2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로 부착되어 있으며 축공을 제공하는 안내부시(BUSH)(23)에 회전가능하게 유감되어 있다.The cross-linked frame 10 is assembl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y using steel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portion thereof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horizontally on one side wall portion 54 of the travel passage 52. The other end, on the contrary, is freely slidably placed on the floor 56. From the center of one end portion of the bridge frame body 10, the pivot shaft 20 is installed integrally downward, and the pivot shaft 20 is fixed from the fixed plate 21 fixed to the side wall portion 54. It protrudes and is attached up and down, and is rotatably relieved by the guide bush (BUSH) 23 which provides a shaft hole.

따라서 가교틀체(10)은 선회축(20)과 같이 안내부시(23)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1도에서 보아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회축(20)의 상단주위로는 토오션(TORSION)스프링(24)이 외감되어 어느 일단은 고정판(21)에 지지된 반면, 타단은 가교틀체(10)의 저부에서 돌설된 고정핀(14)에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토오션스프링(24)는 선회축(20)에 그 회전을 억제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므로 가교틀체(10)의 선회이동속도는 토오션스프링(24)에 의하여 항시 완만하게 제어되면서 회전된다. 선회축(20)과의 인접된 위치에는 록킹장치(30)이 가교틀체(10)의 저부로부터 고정지지되어 있다. 즉, 선회축(20)과 인접된 가교틀체(10)의 저부로부터 돌설된 고정봉(19)의 하단에는 록킹핀(32)이 선회축(2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록킹핀(32)이 선회축(2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록킹핀(32)은 고정봉(19)에 일체로 고정된 관상의 안내부재(34)내에서 선회축(20)과 계합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킹핀(32)는 코일스프링(36)에 의해서 선회축(20)과 항시 접하도록 탄성부세되어 있다. 록킹핀(32)의 어느 끝단에는 ㄱ자상으로 된 작동레버(37)가 위치되어 있다. 작동레버(37)는 그 중간부위가 가교틀체(10)에 힌지(37c)됨과 아울러, 수직부(37b)는 록킹핀(32)의 단부에 이탈됨이 없도록 너트(39)로써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수평부(37a)는 가교틀체(10)의 위로 노출상태로 설치되어 누름부로 제공되어 지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crosslinked frame 10 can be pivot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FIG. 1 with the guide bush 23 as the support point as the pivot shaft 20. In addition, while the torsion spring 24 is woun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pivot shaft 20, one end is supported by the fixing plate 21, while the other end is fixed pin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crosslinked frame 10. 14) integrally supported. Since the torsion spring 24 imparts an elastic force to the pivot shaft 20 to suppress its rotation, the pivot movement speed of the bridge 10 is rotated while being smoothly controlled by the torsion spring 24 at all times.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pivot shaft 20, the locking device 3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ridge frame 10. That is, the locking pin 32 is positioned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the pivot shaft 20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19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ridge frame 10 adjacent to the pivot shaft 20. . The locking pin 32 is positioned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the pivot axis 20. The locking pin 32 is reciprocally install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pivot shaft 20 in the tubular guide member 34 integrally fixed to the fixed rod 19. In addition, the locking pin 32 is elastically urged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pivot shaft 20 by the coil spring 36. At one end of the locking pin 32 is an actuating lever 37 of the 'A' shape. The actuating lever 37 is detachably fixed by the nut 39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hinged 37c to the crosslinked frame 10 and the vertical portion 37b is not detached from the end of the locking pin 32. The horizontal portion 37a is provided in an exposed state on the crosslinked frame 10 so as to be provided as a pressing portion.

작동레버(37)의 수평부(37a)를 발로서 누르게 되면 힌지(37c)를 지지점으로 수직부(37b)가 뒤쪽으로 밀려나가기 때문에 평상시 코일스프링(36)에 의해 선회축(20)과 탄성적으로 계합되어 있는 록킹핀(32)는 후측으로 이동될려고 하는 작동레버(37)의 수직부(37b)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동되어져서 이격되는 상태로 된다. 반대로 수평부(37a)로부터 발을 떼게되면 록킹핀(32)는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작동레버(37)의 수평부(37a)의 위로는 이를 보호하도록 된 커버(6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교틀체(10)의 바닥부(56)과 접하게 되는 단부의 저면으로는 가교틀체(10)의 선회시 바닥부(56)와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안내플레이트(44)를 개재하여 구름베어링(42)를 설치하고 있다. 또, 가교틀체(10)를 보강하기 위해 가교틀체(10)의 저부에서 선회축(20)을 향해 대각선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위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바아(70)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바아(70) 역시 가교틀체(10) 및 선회축(2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When the horizontal portion 37a of the actuating lever 37 is pressed with a foot, the vertical portion 37b is pushed backward with the hinge 37c as a supporting point, so that it is elastic with the pivot shaft 20 by the coil spring 36. The locking pins 32 engaged with each other are forcibly moved and spaced apart by the vertical portion 37b of the operation lever 37 to be moved to the rear side. On the contrary, when the foot is remov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7a, the locking pin 32 is natur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6. Above the horizontal portion 37a of the operating lever 37, a cover 60 is attached to protect i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56 of the cross-linked frame 10 is rolling bearing through the guide plate 44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ottom 56 when the cross-linked frame 10 is turned ( 42). 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crosslinked frame 10, a support bar 70 is provided which is diagonally positioned and supported diagonally toward the pivot axis 20 at the bottom of the crosslinked frame 10. The support bar 70 is also integrally rotated like the bridge frame body 10 and the pivot shaft 20.

제3도는 제2b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확대 평단면도로써, 안내부시(23)의 주위에는 양측으로 록킹핀(32)가 계지통로된 계합홈들(23a,23b)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계합홈들(23a,23b)는 가교틀체(10)가 제1도 표시의 0° 상태에서 90° 혹은 -90°상태로 회전될시 그와 같이 회전되는 록킹핀(32)가 계지토록함에 의해, 가교틀체(10)이 90°혹은 -90°의 회전상태에서 그대로 고정상태로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58a∼58c)들은 대차(50)이 가교틀체(10)을 압압함에 제공되게 하고져 대차(50)에 취부한 안내로울러들을 표시한 것이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ar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II of FIG. 2b. Engagement grooves 23a and 23b having locking pins 32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guide bush 23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e engagement grooves 23a and 23b are locked by the locking pins 32 that rotate when the cross-linked frame 10 is rotated from 90 ° or -90 ° in the 0 ° state of the first degree mark. , So that the cross-linked frame 10 is fixed in the 90 ° or -90 ° rotation state as it is. Reference numerals 58a to 58c denote guide rollers mounted on the trolley 50 such that the trolley 50 is provided to press the crosslinked frame 10.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대차통로용 가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4(a)∼(d)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각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교틀체(10)은 항시 작업자들의 자유로운 통행을 위해 대차(50)의 주행통로(52) 위에 영구적으로 가교상태로 고정설치된다. 주행통로(52)에서 가교틀체(10)의 설치간격은 그 주행통로(52)의 길이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할 수가 있다. 제4도에서는 하부쪽으로 선회축(20)이 위치되는 구조일예를 들어 표시하였으나, 그 반대쪽으로 위치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가교틀체(10)을 작업자들이 통행할 수 있도록 된 다리로 사용중 작업물을 실은 대차(50)이 가교틀체(10)에 근접하게 되면, 대차(50)에 부착되어 있던 안내로울러들(58a∼58c)중 가장 길게 되어 부착된 안내로울러(58a)가 제4(a)도 표시와 같이 가교틀체(10)의 어느 일측으로 접하면서 가교틀체(10)을 밀게 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FIGS. 4 (a) to (d). The bridge frame 10 is installed permanently in the bridge state on the running passage 52 of the cart 50 for free passage of workers at all times.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bridge frame 10 in the travel passage 52 can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vel passage 52. In FIG. 4, for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vot shaft 20 is positioned downward is shown. However, the pivot shaft 20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When the trolley 50 carrying the work in use as a leg that allows the worker to pass the bridge 10 is approached to the bridge 10, the guide rollers 58a to 58c attached to the trolley 50. The longest of the guide rollers 58a attached to each other pushes the crosslinked frame 10 while contacting any one side of the crosslinked frame 10 as shown in FIG. 4 (a).

이때 대차(50)로부터 압압력을 받게 되는 가교틀체(10)은 선회축(20)과 같이 안내부시(23)(제2도)을 지지점으로하여 제4(b)도 표시와 같이 선회되기 시작한다. 가교틀체(10)의 작업장바닥부(56)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있는 어느 단부의 저면에는 구름베어링(42)(제2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교틀체(10)이 대차(50)의 주행에 따른 압압력을 받게 되면 구름베어링(42)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르면서 선회이동된다. 또 가교틀체(10)이 제4(b)도의 단계로 선회시에는 가교틀체(10)의 선회량에 따라서 안내로울러(58b)와도 접하게 되면서 그 안내로울러(58b)에 의해서도 자연스럽게 압압력을 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cross-linked frame 10 that is subjected to the pressing force from the cart 50 starts to turn as shown in Fig. 4 (b) with the guide bush 23 (FIG. 2) as a supporting point as the pivot shaft 20. do. Since the rolling bearing 42 (FIG. 2) is provided in the bottom face of the edge part which is naturally placed in the workplace floor part 56 of the bridge | crosslinking frame 10, the bridge | crosslinking frame 10 will be used for the running of the trolley | bogie 50. When the pressur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rolling bearing 42 is naturally rolled and moved. In addition, when the crosslinked frame body 10 is swiveled in the step of FIG. 4 (b), the crosslinked frame body 10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58b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sslinked frame body 10, and is naturally pressed by the guide roller 58b. .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50)이 더 진행하게 되면 제4(c)도 표시와 같이 그때까지 가교틀체(10)을 압압하던 안내로울러들(58a,58b)는 가교틀체(10)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이격되는 상태로 됨과 아울러 대차(50)의 일측에 있던 안내로울러(58c)가 자연스럽게 가교틀체(10)과 접촉되어 지나가면서 그 가교틀체(10)을 밀게 된다.When the cart 50 proceeds further in this state, the guide rollers 58a and 58b, which were pressing the bridge frame body 10 until then, as shown in FIG. 4 (c), are spaced apart from the bridge frame body 10 by sliding.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58c on one side of the cart 50 naturally pushes the crosslinked frame 10 while passing in contact with the crosslinked frame 10.

가교틀체(10)이 대차(50)의 안내로울러(58c)와 완전히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게되면 가교틀체(10)은 제4(d)도 표시와 같이 제4(a)도를 기준각도(0°)로 볼 때 90°각으로 완전히 선회되어 주행통로(52)의 어느 일측벽부(54)와 평행하게 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대차(50)은 자연스럽게 소망하는 목표를 향해 주행하게 된다. 상기 대차(50)은 주행통로(52)의 어느 측벽부 쪽으로 편위된 상태로 주행되므로, 사전에 편위된 폭(W)에 상응하는 넓이로 제작된 가교틀체(10)이 90°혹은 -90°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통행에 전연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가교틀체(10)이 제4(d)도 표시와 같이 90°각으로 선회된 상태에서는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32)가 계합홈(23b)에 괘지되는 상태로 되므로, 가교틀체(10)은 대차(50)이 완전히 통과하더라도 90°각으로 선회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When the cross-linked frame 10 is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58c of the trolley 50, the cross-linked frame 10 has a reference angle (0) as shown in FIG. 4 (d). In the case of °), the vehicle is completely turned at an angle of 90 ° to form a state parallel to any one wall portion 54 of the travel passage 52, and the cart 50 naturally runs toward a desired target. Since the trolley | bogie 50 runs in the state which was biased toward the side wall part of the driving | route path 52, the bridge | frame frame 10 manufactured by the width | variety corresponding to the width W previously biased is 90 degrees or -90 degrees. In an angled installation, it will not interfere with traffic. In the state where the cross-linked frame 10 is turned at an angle of 90 ° as shown in FIG. 4 (d), the locking pin 32 is locked to the engagement groove 23b as indicated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Even if the trolley | bogie 50 passes completely, the crosslinked frame 10 will remain as it was turned by 90 degree angle.

즉, 가교틀체(10)과 일체로 된 록킹핀(32)는 가교틀체(10)의 회전시 그 록킹핀(32)의 선단부가 코일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안내부시(23)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로써 같이 회전하게 되다가 계합홈(23b)에 맞물리게 된다.That is, the locking pin 32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sslinked frame 10 has the tip portion of the locking pin 32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crosslinked frame 10 by the bias force of the coil spring 36. As 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togeth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3b).

제4(d)도의 상태에서 다시 제4(a)도의 상태로 전환시에는 제3도의 가상선 위치로 되어 있는 록킹핀(32)를 계합홈(23b)로부터 해지시키면 된다. 록킹핀(32)의 해지는 제2(b)도 표시와 같이, 보호커버(60)내에 위치된 작동레버(37)의 누름부로 제공되는 수평부(37a)를 발로 밟게 되면, 작동레버(37)의 수직부(37b)는 힌지(37c)를 지점으로하여 그 후측인 가상선 위치로 밀려나가서 그와 연결된 록킹핀(32)를 동일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록킹핀(32)는 작동레버(32)의 당김력에 의해 코일스프링(36)의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계합홈(23b)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되는 가교틀체(10)은 선회축(20)의 양측에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상태로써 설치되어 있는 토오션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제4(a)도 표시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토오션스프링(24)는 제4(a)도 표시의 상태에서 탄성력이 제로(zero) 상태를 이루도록 사전에 설정된 것이므로, 가교틀체(10)은 록킹핀(32)가 해제되면 자연적으로 원래위치로 복귀되고 더 이상의 이동은 없게 된다. 상기에서 가교틀체(10)이 움직이게 됨을 확인후에는 작동레버(37)로부터 발을 떼면 된다.When switching from the state of FIG. 4 (d) to the state of FIG. 4 (a) again, the locking pin 32, which is i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ne of FIG. 3, may be released from the engaging groove 23b. When the second pin (b) of the locking pin 32 is depressed, as shown, when the user presses on the horizontal portion 37a provided as the pressing portion of the actuating lever 37 located in the protective cover 60, the actuating lever 37 The vertical portion 37b of the hinge 37c is pushed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ne on the rear side of the hinge 37c to pull the locking pin 32 connected thereto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the locking pin 32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23b while resisting the bias force of the coil spring 36 by the pulling force of the actuating lever 32, and at the same time, the crosslinked frame body 10 is free. 4A gradually returns to the state of displa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4 provided in the state which provides the elastic force in the both sides of the turning shaft 20. As shown in FIG. Since the torsion spring 24 is set in advance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zero in the state of the fourth (a) degree display, the bridge frame 10 is naturally in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locking pin 32 is released. Return to and there is no further movement. After confirming that the crosslinked frame 10 moves, the foot may be removed from the operating lever 37.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교틀체(10)이 제4(a)도의 0°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의 90°로 선회작동되는 단계를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인 -90°로 선회작동시에도 상기 작동예와 동일하게 됨을 제4도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교틀체(10)이 설치되는 과정을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별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작동은 연속적으로 실행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ross-linked frame 10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pivot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90 ° on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0 ° of FIG. It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FIG. 4 that it becomes the same as the example. 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step by step to help underst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ross-linked frame 10, the actual operation is carried out continuousl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차가 이동되는 통로상에 가교틀체를 90°에서 -90°의 범위로 선회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물을 운반하는 대차의 이동에 전연 방해를 주지 않게 하면서도 신속히 작업자들의 통행다리로써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대차의 이동시에는 다리를 제거하였다가 작업자들의 통행시에는 다시 놓아야 하는 불편이 없이, 항시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cross-linking frame in the range of 90 ° to -90 ° on the passageway to move the trolley, the operator can quickly an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trolley carrying the work.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s a leg of the ro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ixed and installed at all times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leg when moving the truck as in the prior art, but again when the worker passes.

Claims (7)

작업장에 설치된 통로를 따라 왕복주행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 놓여지는 작업물을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도록 된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대차가 이동되는 통로 위를 건너지르게 놓여지고, 작업자들이 통행함에 적합한 넓이로 형성된 가교틀체; 상기 가교틀체의 어느 일단중앙에서 하방을 향해 일체로 수직입설되어 통로의 어느 일측벽부에 설치된 계합홈을 갖는 안내부시에 탄성적으로 축지지되며, 주행되는 대차가 가교틀체를 압압할시 그 가교틀체를 통로상에서 수평적으로 선회작동시키기 위한 선회축; 및 상기 가교틀체의 하부에서 선회축과 인접되게 배치되고, 어느 일단은 선회축의 안내부시의 계합홈에 탄성적으로 계탈되게 설치되는 반면 이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가교틀체에 힌지된 상태로써 상방으로 노출되어 누름부를 제공하는 ㄱ자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안내부시에 계합되고 작동레버가 체결되는 록킹핀 및 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In a transport trolley, which is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a passageway installed in a workplace and is configured to transport a work placed thereon to the next process, the trolley is placed across the passageway to be moved to a width suitable for workers to pass. Formed crosslinked frame; It is elastically axially supported at a guide part having an engaging groove provided at one end wall of the passage integrally vertically integrally downward from any one end of the bridge frame, and when the running truck presses the bridge frame, A pivot for pivoting the frame horizontally on the passage; And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ivot shaft at a lower portion of the crosslinked frame, and one end thereof is elastically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of the guide bush of the pivot shaft while the other end extending therefrom is hinged to the crosslinked frame.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including a locking lever which is exposed and provides a pressing portion, a locking pin engaged with the guide portion and the operating lever is fastened, and a coil spring that imparts elastic force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틀체는 강재로 조립구성되고, 그 가교틀체의 선회축과의 대향단부의 저면에는 작업장과의 마찰접촉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름베어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2. The trolley pass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ed frame body is made of steel, and a rolling bearing for reducing frictional contact with the work site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opposite end portion of the cross-linked frame body against the pivot axis. Crosslin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의 하단으로부터 가교틀체를 향해 비스듬하게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고정지지하는 지지바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passag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ar positioned obliquely from the lower end of the pivot shaft toward the cross-linking frame and fixedly supporting them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선회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은 토오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The bridge passage bridg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vot shaft is a torsion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틀체 위에 구비되고, 조작레버의 누름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olley | channel of Claim 1 provided on the said crosslinked frame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pressing part of the operation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가교틀체가 통로에서 가교를 제공하는 위치(0°)로 놓여 있을때에는 선회축과 해지상태로 있는 반면, 가교틀체가 가교위치에서 선회된 위치(90°와 -90°)로 있을시에는 선회축을 록킹하는 상태로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2. The locking p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pin is in a pivotal and terminated state when the crosslinked frame is placed at a position (0 °) to provide crosslinking in the passage, while the locking pin is pivoted at a crosslinked position (90 ° and And -90 °) when the pivot shaft is in a lock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가교틀체와의 접촉대향면에 서로 다른 크기로써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가교틀체를 압압함에 제공되는 로울러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통로용 가교장치.[Claim 2] The cross-lin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ollers provided at different intervals in contact with the cross-linked frame body of the bogie at different sizes and provided to press the cross-linked frame body.
KR2019950031669U 1995-10-31 1995-10-31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KR01320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669U KR0132024Y1 (en) 1995-10-31 1995-10-31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669U KR0132024Y1 (en) 1995-10-31 1995-10-31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13U KR970018113U (en) 1997-05-23
KR0132024Y1 true KR0132024Y1 (en) 1998-12-15

Family

ID=1942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669U KR0132024Y1 (en) 1995-10-31 1995-10-31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2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98A (en) * 1998-06-30 2000-01-25 이해규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13U (en)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858A (en) Assembly line fixture
DE69510359T2 (en) WHEEL ACTIVATED VEHICLE RESTRAINT DEVICE
JPH01502897A (en) Transport vehicle
KR0132024Y1 (en) Temporary bridge for passageway of conveyor
US4702174A (en) Conveyor system with selectively disengageable carts
DE202004007699U1 (en) Foot unit for cut-off machines
CA1130702A (en) Sign routing machine
US20090166942A1 (en) Workpiece Support System
US5899000A (en) Hand held cutter
JPH0229050Y2 (en)
JP2744775B2 (en) Mobile safety net
US7171737B2 (en) Safety barrier
EP1055778A3 (en) Device to ease the change movement and elastic locking of moveable rails or track parts
JPH0664717A (en) Air caster truck
US20040194583A1 (en) Roofing tool
JP3289168B2 (en) Aerial work vehicle
JP3024872U (en) Locking device for storage frame in bicycle parking device
KR102227436B1 (en) Transportable dust isolation system in belt conveyor
JP2862472B2 (en) Floor conveyor equipment
JPS5927895Y2 (en) scissors with running means
JP3028066U (en) Storage frame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bicycle parking device
JP2572463B2 (en) Passenger conveyor handrail removal device
JPH0634056Y2 (en) Copy traveling type welding cart device
JPH04308127A (en) Cargo handling device
JPS611692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