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698A -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698A
KR20000004698A KR1019980026189A KR19980026189A KR20000004698A KR 20000004698 A KR20000004698 A KR 20000004698A KR 1019980026189 A KR1019980026189 A KR 1019980026189A KR 19980026189 A KR19980026189 A KR 19980026189A KR 20000004698 A KR20000004698 A KR 2000000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acility
bridge
temporar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상규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8002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698A/en
Publication of KR2000000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9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bridge is provided to easily and safely construct and remove the bridge which has to be constructed and removed at any time because the bridge becomes the obstacle against a moving equipment. CONSTITUTION: A bridge comprises: a bridge unit(60) having one end hinge(61)-connected and the other end consisting of a free platform(62) for rotating on the hinge(61); a bridge constructing unit(70) for lifting the free platform(62) of the bridge unit(60); a bridge pushing unit(80) having a bridge lowering unit(84) that is gradually lowered till the height reaches the height of the 2nd bottom part(85) lower than the height of bottom face of the bridge unit(60).

Description

자동 가설식 다리Automatic temporary bridge

(기술분야)(Technology)

본 발명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시설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시설 사이에 설치되어 통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임의의 시설의 장애물이 되어 필요에 따라 제거해야 하는 다리로서, 상기 이동하는 시설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가설 및 제거되는 자동 가설식 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necting two adjacently located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ly located facilities to allow passage and at the same time be an obstacle to any facility moving. The bridge to be re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emporary bridge that is automatically installed and re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acility.

(배경기술)(Background)

다수의 시추 파이프의 적재와 운반을 요하는 시추선과 같이,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갠트리 크레인과 물품을 적재하는 다수의 플랫홈 등을 구비하고 있는 거대한 시설에 있어서는, 이격된 두 플랫홈 사이에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를 필요로 한다.In large installations with gantry cranes that move along the guideline and multiple platforms for loading goods, such as those that require the loading and transport of multiple drilling pipes, workers move between two spaced apart platforms. I need a bridge to help.

다리에 의해 연결되는 두 플랫홈이 고정되어 있는 플랫홈이고 다리가 갠트리의 이동에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는다면, 다리를 두 플랫홈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도 상관이 없다.If the two platforms connected by the legs are fixed platforms and the legs do not act as obstacles to the movement of the gantry, it is okay to install the legs fixedly on the two platforms.

그러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00)를 놓아야 하는 두 플랫홈(120,130: 시추선에 있어서는 연결 플랫홈과 컨베이어 플랫홈)의 틈(140) 사이에, 거더가 지나가도록 설치된 갠트리 크레인(150)이 장착되어 있는 때에는, 갠트리 크레인(150)이 다리(100)가 설치된 부분을 통과하여야 할 경우, 다리(100)가 장애물로 작용하므로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gantry crane 150 installed to pass the girder is mounted between the gaps 140 between the two platforms 120 and 130 (in the drilling ship, the connecting platform and the conveyor platform in which the drill line is to be placed) as shown in FIG. 4. When it is, when the gantry crane 150 has to pass through the part where the leg 100 is installed, the leg 100 acts as an obstacle and must be removed.

따라서, 종래에는 두 플랫홈(120,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다리(100)를 마련해 두고, 필요에 따라 이를 두 플랫홈 사이에 가설하여 통행을 하고, 갠트리 크레인(150)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리(100)를 들어서 인접한 곳에 보관하여 두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bridge 100 is provided to connect the two platforms 120 and 130, and if necessary,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two platforms to pass the passage, and when moving the gantry crane 150, the bridge 100 ), And storing them adjacent to each other has been common.

그러나, 이런 다리(100)는 주로 철재의 다리로서 매우 무겁고 다리가 놓여지는 장소가 일반적으로 고소이기 때문에, 다리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추락사고 등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상존해 왔다.However, since the bridge 100 is mainly made of steel and is very heavy and the place where the bridge is placed is generally sued, the work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bridge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accident. come.

따라서, 이와 같이 수시로 가설하고 제거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는 다리를, 보다 안전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는 다리가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bridge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more safely with a bridge having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temporarily installed and removed in this way.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이동하는 시설의 장애물이 되어 수시로 설치 및 제거하여야 하는 다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safely and easily install and remove a bridge that must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ime to time as an obstacle to any moving facilit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가설식 다리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bridge temporary le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가설식 다리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eg temporary le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3은 다리 가설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g temporary portion

도4는 이동하는 시설의 장애물로 되어 수시로 설치 및 제거하여야 하는 다리의 예를 보여 주는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ridge that must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ime to time as an obstacle of a moving facilit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제1 시설 30: 제2 시설20: first facility 30: second facility

40: 틈 50: 제3 시설40: break 50: third facility

60: 다리부 61: 힌지60: leg 61: hinge

62: 자유단 65: 슬라이딩 패드62: free end 65: sliding pad

70: 다리 가설부 80: 다리 푸싱부70: leg hypothesis 80: leg pushing portion

81: 다리 올림부 82: 제1 저부81: leg raised portion 82: first bottom

83: 고부 84: 다리 내림부83: elevation 84: lower leg

85: 제2 저부 90: 프레임85: second bottom 90: fram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시설과 제2 시설의 틈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시설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3 시설의 장애물이 되는 다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설 또는 상기 제2 시설의 하나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다리부; 및 상기 제3 시설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시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리부의 자유단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다리 가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가설부는, 가설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의 밑면 보다 낮은 높이의 제1 저부로부터 상기 다리부가 상기 제3 시설의 이동에 장애물이 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다리부를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이의 고부까지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다리 올림부와, 상기 고부로부터 가설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의 밑면 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저부까지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리 내림부를 구비하는 다리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설식 다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acility and the second facilit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ridge is to be an obstacle of the third facility moving between the two facilities, the first facility or the One end is hinged to one of the second facilities, and the other end is a leg having a free end rotatable about the hinge; And a leg temporary part installed at the third facility and lifting or lowering the free end of the le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The leg tent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a first bottom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in a hypothesized state to a height portion at which the leg portion can push up the leg portion so that the leg portion does not become an obstacle to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A leg pushing portion having an elevated leg raising portion and a leg lowering portion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 a second bottom portion having a lower height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in a temporary state from the raised portion. Is achiev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설식 다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설식 다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tomatic temporary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automatic hypothetical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가설식 다리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가설식 다리의 측면도, 도3은 다리 가설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leg temporary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eg temporary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g temporary por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설식 다리(1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예컨대 플랫홈과 같은 제1 시설(20)과 제2 시설(30) 사이의 틈(4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 등이 통행하데 사용되는 다리로서, 상기 두 시설(20,30) 사이에 다리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예컨대 갠트리 크레인과 같이 제3 시설(50)이 존재하는 까닭에 수시로 설치 및 제거하여야 하는 조건에 적용되는 다리이다.As shown, the automatic temporary brid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connect the gap 40 between the first facility 20 and the second facility 30, such as a platform, for exampl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bridge used by a worker and the like to pass through, and a third facility 50 such as a gantry crane moving across the bridge between the two facilities 20 and 30 must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ime to time. It is a leg applied to.

본 발명의 자동 가설식 다리(10)는, 제1 시설(20)과 제2 시설(30) 사이를 연결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부(60)와, 상기 다리부(60)를 제3 시설의 이동에 따라 가설하고 제거하는 다리 가설부(70)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temporary brid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60 for connecting the first facility 20 and the second facility 30 to allow traffic, and the bridge 60 for the third time. It is composed of a bridge temporary portion 70 to install and re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acility.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0)는 통행인의 발일 디디는 스텝(63)과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64)을 구비한 통상의 다리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다리부(60)의 일단, 즉 스텝(63)의 일단은 제1 시설(20)에 힌지(61)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61)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자유단(62)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자유단(62)을 내리면 이 자유단(62)이 인접한 제2 시설(30)에 걸려 다리부가 가설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eg part 6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normal leg having a stepper 63 and a handrail 64 which prevents the fall of the passenger. One end, i.e., one end of the step 63 is connected to the first facility 20 by a hinge 61,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62 that can rotate about the hinge 61, so that the free end ( When 62 is lowered, this free end 62 is hooked on the adjacent 2nd facility 30, and a leg part is installed.

이와 같이 힌지(61)에 의해 회동되는 다리부(60)는, 다리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의 다리가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다리의 길이가 길고 다리의 일부분만이 제거되면 제3 시설의 이동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리의 일부만을 회동 가능한 다리부(60)로 구성할 수 있다.As such, the leg portion 60 rotated by the hinge 6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entire leg as shown in FIG. 2 when the leg size is small, but the length of the leg is long and a part of the leg is rotated. If only the bay is removed, when there is no obstacle in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only a part of the bridge may be configured as the pivotable part 60.

다리 가설부(70)는 이동되는 제3 시설(50)에 상기 다리부(60)의 높이에 맞게 조립되어 제3 시설(50)과 함께 이동하면서 다리부(60)의 자유단(62)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부재이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0)의 밑면에 직접 접촉되어 다리부(60)를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다리 푸싱부(80)와 이 다리 푸싱부(80)를 지지해 주는 프레임(9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leg temporary part 70 is assembled to the height of the leg part 60 in the third facility 50 to be moved and moves together with the third facility 50 to move the free end 62 of the leg part 60. It is a lifting or lowering member, and as shown in FIG. 3, the leg pushing portion 80 and the leg pushing portion 80 which direct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60 to push up or lower the leg portion 60 are supported. Consists of a frame (90).

다리 푸싱부(80)는 제3 시설(50)의 이동력에 의해 다리부(60)를 밀어 올리고 내리는 대칭적인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는 설치된 상태의 다리부(60)의 밑면 보다 약간 낮은 높이의 제1 저부(82)로부터 다리부(60)가 제3 시설(50)의 이동에 장애물이 되지 않을 정도로 다리부(60)를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이의 고부(83)까지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다리 올림부(81)와, 상기 고부(83)로부터 가설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60)의 밑면 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저부(85)까지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리 내림부(84)로 구성된다.The leg pushing portion 80 has a symmetrical slope formed by pushing up and lowering the leg portion 60 by the moving force of the third facility 50,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60 in the installed state.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 height first bottom portion 82 to the height portion 83 where the leg portion 60 can push up the leg portion 60 so that the leg portion 60 does not become an obstacle to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50. From the elevated leg raised portion 81 and the lower portion 84, the height gradually lowers from the raised portion 83 to the second bottom portion 85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60 in the temporary state. It is composed.

따라서, 다리부(60)가 제1 시설(20)과 제2 시설(30)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시설의 이동에 따라 다리 푸싱부(80)가 다리부(60)를 가로질러 이동하면, 다리부(60)의 밑면 보다 낮은 위치의 제1 저부(82)가 다리부(60)의 밑으로 들어간다. 계속해서 다리 푸싱부(80)가 이동하면, 다리 올림부(81)의 오르막 경사에 의해 다리부(60)의 자유단(62)이 힌지(61)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들어 올려지게된다. 그리고 상기 고부(83)가 다리부(60)의 밑에 이르면, 제3 시설(50), 예컨대 갠트리 크레인의 거더가 통과될 수 있게 다리부(60)가 완전히 들어 올려지게 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leg part 60 is constructed between the 1st facility 20 and the 2nd facility 30, the leg pushing part 80 crosses the leg part 6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3rd facility. When it moves across, the 1st bottom part 82 of the position lower than the base part of the leg part 60 enters under the leg part 60. As shown in FIG. Subsequently, when the leg pushing portion 80 moves, the free end 62 of the leg portion 60 is lifted while pivoting the hinge 61 by the uphill inclination of the leg raising portion 81. And when the height 83 reaches the bottom of the leg 60, the leg 60 is lifted completely so that the girder of the third facility 50, for example, the gantry crane, can pass.

제3 시설(50)이 통과하고 난 후에는 상기 고부(83)로부터 제2 저부(85)에 이르는 다리 내림부(84)의 내리막 경사에 의하여, 다리부(60)의 자유단(62)이 힌지(61)를 축으로 내려와서 다시 가설 상태가 된다.After the third facility 50 passes, the free end 62 of the leg portion 60 is inclined by the downhill slope of the leg lower portion 84 from the high portion 83 to the second bottom portion 85. The hinge 61 is lowered to the shaft to be in a temporary state again.

이와 같이, 다리 푸싱부(80)는 제3 시설(50)과 함께 이동하면서 다리부(60)를 제3 시설이 통과하기 전에 들어 올려 제거하고, 제3 시설(50)이 통과되고 난 후에는 다리부를 원위치로 내로 놓아 다시 가설한다. 따라서 인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제3 시설(50)의 통과에 맞추어 다리부를 제거 및 가설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leg pushing portion 80 moves together with the third facility 50 to lift and remove the leg portion 60 before the third facility passes, and after the third facility 50 passes. Hypothesis is done by putting the leg in the original position. Therefore, the leg portion can be removed and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he third facility 50 without using any manpower.

도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리 푸싱부(80)의 다리 내림부(84)와 다리 내림부(84)가 고부(83)의 직하방으로 뻗어 있는 경우에는, 다리 푸싱부(80)가 다리부(60)를 들어올림에 따라, 다리 푸싱부(80)와 다리부(60)가 접하는 지점과 힌지(61)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따라서 다리 푸싱부(80)가 힌지(61)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하면, 다리부(60)가 높게 올려진 상태에서 다리부(60)가 다리 푸싱부(80)에서 떨어지게 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leg lowering portion 84 and the leg lowering portion 84 of the leg pushing portion 80 extend directly under the high portion 83, the leg pushing portion 80 As the leg portion 60 lifts the leg portion 60, the distance between the leg pushing portion 80 and the leg portion 60 and the hinge 61 becomes long, so that the leg pushing portion 80 is hinged ( If it is loc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61, the leg portion 60 is separated from the leg pushing portion 80 in the state in which the leg portion 60 is raised.

한편, 다리 푸싱부(80)를 힌지(61)에 가깝게 위치시키면 다리부(60)의 추락은 방지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다리 푸싱부(80)로 다리부를 올리는 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다리부(60)나 다리 푸싱부(80)가 손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eg pushing portion 80 is located close to the hinge 61, the fall of the leg portion 60 can be prevented, but in this cas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he lever lever to raise the leg portion to the leg pushing portion 80 Since a large force is required, the leg part 60 or the leg pushing part 80 may be damaged.

따라서, 다리 내림부(84)와 다리 내림부(84)는 그 높이가 높아질수록 힌지(61)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꺾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다리 푸싱부(80)가 항상 다리부(60)의 자유단(62)의 말단을 밀게 되므로, 적은 하중으로 다리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g lowering portion 84 and the lower leg portion 84 are configured to be bent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61 increases as the height thereof increases, so that the leg pushing portion 80 is always the leg portion ( Since the end of the free end 62 of 60 is pushed, the leg can be lifted with a small load.

다리 가설부(70)의 프레임(90)은 상하 및 좌우로 경사를 가지는 다리 푸싱부(80)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예컨대 고부(83)의 하단을 지지하는 2개의 수직 프레임(91)과 상기 두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92), 및 제1 저부(82)와 제2 저부(85)를 상기 수평 프레임(92)에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9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60)의 저면에는 저마찰률의 슬라이딩 패드(65)를 부착하여 다리부(60)와 다리 푸싱부(80)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90 of the leg temporary portion 70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eg pushing portion 80 having an inclination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for example, two vertical frames 91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igh portion 83 and the The horizontal frame 92 connects the two vertical frames, and the connecting frame 93 connects the first bottom portion 82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85 to the horizontal frame 9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leg portion 60 and the leg pushing portion 80 by attaching a sliding pad 65 having a low friction rate to the bottom of the leg portion 6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설식 다리에 의하면, 이동하는 시설의 장애물이 되어 수시로 설치 및 제거하여야 하는 다리에 있어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다리를 가설하고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bridge to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ime to time as an obstacle of a moving fac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fely and easily install and remove the bridge without the use of manpower have.

Claims (4)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시설(20)과 제2 시설(30)의 틈(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시설(20,30)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3 시설(50)의 장애물이 되는 다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설(20) 또는 상기 제2 시설(30)의 하나에 일단이 힌지(61)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힌지(61)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자유단(62)으로 되어 있는 다리부(60); 및 상기 제3 시설(50)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시설(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리부(60)의 자유단(62)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다리 가설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가설부(70)는, 가설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60)의 밑면 보다 낮은 높이의 제1 저부(82)로부터 상기 다리부(60)가 상기 제3 시설(50)의 이동에 장애물이 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다리부(60)를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이의 고부(83)까지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다리 올림부(81)와 상기 고부(83)로부터 가설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60)의 밑면 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저부(85)까지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리 내림부(84)를 구비하는 다리 푸싱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설식 다리.A bridg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gaps 40 of the first facility 20 and the second facility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comes an obstacle of the third facility 50 moving between the two facilities 20 and 30.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hinge 61 is coupled to one of the first facility 20 or the second facility 30,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62 which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61. Leg portion 60; And a leg temporary part (70) installed in the third facility (50) and lifting or lowering the free end (62) of the leg part (6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50); The leg temporary portion 70 is an obstacle to the movement of the third facility 50 by the leg portion 60 from the first bottom portion 82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60 in the temporary state. The leg raising portion 81 and the leg portion 60 in the state hypothesized from the elevated portion 83 are gradually raised to the high portion 83 of the height capable of pushing up the leg portion 60 to such an extent that it does not become. And a leg pushing portion (80) having a leg lower portion (84)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 a second bottom portion (85)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올림부(81)와 상기 다리 내림부(84)는 그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힌지(61)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꺾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설식 다리.2. The automatic temporary le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raising portion (81) and the leg lowering portion (84) are bent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hinge (61) is closer as the height thereof is hig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가설부(70)의 다리 푸싱부(80)는, 상기 고부(83)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91), 상기 수직 프레임(91)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92), 및 제1 저부(82)와 제2 저부(85)를 상기 수평 프레임(92)에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93)으로 구성된 프레임(9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설식 다리.The leg pushing portion 80 of the leg temporary portion 70, the vertical frame 91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igh portion 83, the horizontal frame for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91) 92 and a frame 90 composed of a connecting frame 93 for connecting the first bottom portion 82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85 to the horizontal frame 9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60)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60)와 상기 다리 푸싱부(80)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저마찰률의 슬라이딩 패드(6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설식 다리.The lower surface of the leg portion 6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ad 65 having a low friction rate so as to minimiz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leg portion 60 and the leg pushing portion 80. Automatic temporary leg,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80026189A 1998-06-30 1998-06-30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KR20000004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189A KR20000004698A (en) 1998-06-30 1998-06-30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189A KR20000004698A (en) 1998-06-30 1998-06-30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98A true KR20000004698A (en) 2000-01-25

Family

ID=1954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189A KR20000004698A (en) 1998-06-30 1998-06-30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698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7759A (en) * 1978-11-24 1981-11-03 Dr. Ing. H.C.F. Porsche Ag Floating bridge
JPH0633422A (en) * 1992-07-16 1994-02-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ovable type three-dimensional footpath bridge
KR970018113U (en) * 1995-10-31 1997-05-23 삼성중공업주식회사 Bridge passage device for bogie pass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7759A (en) * 1978-11-24 1981-11-03 Dr. Ing. H.C.F. Porsche Ag Floating bridge
JPH0633422A (en) * 1992-07-16 1994-02-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ovable type three-dimensional footpath bridge
KR970018113U (en) * 1995-10-31 1997-05-23 삼성중공업주식회사 Bridge passage device for bogie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85681A (en) Elevator hoist way work platform and installation method for elevator system structual part
US8360203B2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128186B2 (en) Airport bridge people lift
KR20000004698A (en) Automatic construction-typed bridge
US5074382A (en) Offshore access systems
US7228939B1 (en) Platform lift
WO2000017028A1 (en) Railing that can be lowered or raised in connection with platform
JP3884689B2 (en) Mobile trolley for erection of members and bridge member e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316280B1 (en) Emergency ladder for lift inside the bridge pylon
KR101090451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ain tower of cable-stayed girder bridge
KR100561709B1 (en) Safety check apparatus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JP3822084B2 (en) Construction lift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KR200201613Y1 (en) Hight place working device for mount ing pier checking rail
KR200148505Y1 (en) Elevator for bridge maintenance
KR200171692Y1 (en) Polar crane for nuclear power plant
JP3289560B2 (en) Hydraulic elevator for pedestrian bridge
CN217632556U (en) Lifting connecting device for evacuation platform in subway interval
CN220703040U (en) Door type lifting device
EP0547792B1 (en) Suspended platform
KR200349986Y1 (en) Safety check apparatus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KR200281000Y1 (en) a repair stand of hoist crane
KR20110006377U (en) crane automatic the neck system being
KR200148504Y1 (en) Elevator for pier maintenance
KR100500680B1 (en) The A type ladder with device of rise and f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