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53Y1 -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53Y1
KR0131953Y1 KR2019950045529U KR19950045529U KR0131953Y1 KR 0131953 Y1 KR0131953 Y1 KR 0131953Y1 KR 2019950045529 U KR2019950045529 U KR 2019950045529U KR 19950045529 U KR19950045529 U KR 19950045529U KR 0131953 Y1 KR0131953 Y1 KR 0131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evers
cams
conveyors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850U (ko
Inventor
이주민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지주현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주현,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주현
Priority to KR2019950045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953Y1/ko
Publication of KR970038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76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at least two stops acting as gates
    • B65G47/8884Stops acting asynchronously, e.g. one stop open, next one closed or the op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73Control of conveying operations
    • B65G2811/0678Determining the path to be follow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컨베어(12)(14)가 어느 하나의 컨베어(12)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12)(14)가 합류되는 위치사이의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상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18)(18')상단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걸림홈(20)(20')이 구비된 원판형태의 캠(22)(22')이 일체로 결합된 한쌍의 레버(24)(24')와; 상기 각 원판형태의 캠(22)(22')사이에서 그 캠(22)(22')의 높이와 동일높이로 설치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의 양측면에는 항상 일측 캠(22)(22')의 걸림홈(20)(20')에 끼워지는 캠활주베어링(26)이 설치된 잠금편(28)과; 상기 레버(24)(24')의 회동축(18)(18')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24)(24')가 항상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게 하는 복귀스프링(30)(30')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 소정 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레버(24)(24')의 복귀동작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32)(32')로 이루어진 것으로 먼저 도달되는 하물을 우선적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물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물이송제어장치 12,14 : 컨베어
16 : 브라켓 18,18' : 회동축
20,20' : 걸림홈 22,22' : 캠
24,24' : 레버 26 : 캠활주베어링
28 : 잠금편 30,30' : 복귀스프링
32,32' : 스톱퍼
본 고안은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컨베어가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고, 상기 각 컨베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하물이 어느 하나의 컨베어를 통하여 최종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가 합류되는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도달되는 하물을 우선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물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컨베어가 어느 하나의 컨베어를 기준으로 하여 측방에서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도록 설치되는 컨베어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컨베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하물을 일정한 위치에서 이송우선순위를 제어하지 않으면, 하물들이 기준이 되는 컨베어상에서 서로 뒤엉키게 되거나 컨베어의 아랫쪽으로 낙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컨베어아 합류되는 위치에 하물 방향전환장치(Diverter) 또는 트래픽게이트(Traffic Gate)가 설치되어 각 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하물의 우선진입순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하물 방향전환장치나 트래픽게이트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제어가 불편하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하물 방향전환장치의 경우에는 연속적인 물류의 흐름보다는 간헐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는 하물의 합류시에 적합한 장치이기 때문에 고속으로 이송되는 하물의 이송제어장치로서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고, 상기 트래픽게이트의 경우에는 하물이 고속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적합하나 그 작동이 공압실린더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힌지 및 링크의 결합부위에서의 고장발생이 빈번하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고장발생시 수리작업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개의 컨베이어가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고, 상기 각 컨베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하물이 어느 하나의 컨베어를 통하여 최종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가 합류되는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도달되는 하물을 우선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물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개의 컨베어가 어느 하나의 컨베어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가 합류되는 위치사이의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바닥면상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상단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걸림홈이 구비된 원판형태의 캠이 일체로 결합된 한쌍의 레버와; 상기 각 원판형태의 캠사이에서 그 캠의 높이와 동일높이로 설치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의 양측면에는 항상 일측 캠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캠활주베어링이 설치된 잠금편과, 상기 레버의 회동축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항상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게 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브라켓의 바닥면 소정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레버의 복귀동작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고안의 하물이송제어장치(10)는 복수개의 컨베어(12)(14)가 어느 하나의 컨베어(12)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12)(14)가 합류되는 위치 사이의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상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18)(18')상단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걸림홈(20)(20')이 구비된 원판형태의 캠(22)(22')이 일체로 결합된 한쌍의 레버(24)(24')와, 상기 각 원판형태의 캠(22)(22') 사이에서 그 캠(22)(22')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설치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의 양측면에는 항상 일측 캠(22)(22')의 걸림홈(20)(20')에 끼워지는 캠활주베어링(26)이 설치된 잠금편(28)과, 상기 레버(24)(24')의 회동축(18)(18')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24)(24')가 항상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게 하는 복귀스프링(30)(30')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 소정 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레버(24)(24')의 복귀 동작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32)(32')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각 잠금편(28)의 후단에는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또 다른 회동축(18')의 상단에 좌우 임의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각 레버(24)(24')의 초기위치는 항상 상기 각 컨베어(12)(14)를 막아주는 위치에 오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컨베어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컨베어(12)(14)가 합류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16)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바닥면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18)(18')상에 레버(24)(24')가 복귀스프링(30)(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레버(24)(24')의 후단에는 외주면 소정위치에 걸림홈(20)(20')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캠(22)(22')이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각 캠(22)(22')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에는 외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의 좌우양측에는 항상 일측캠(22)(22')의 걸림홈(20)(20')에 끼워지는 캠활주베어링(26)이 설치된 잠금편(28)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컨베어(14)를 따라 이송되는 하물(34)이 다른쪽 컨베어(12)의 하물(34')보다 먼저 해당 컨베어(14)의 상방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레버(24)면에 접촉되면, 상기 레버(24)가 상기 하물(34)의 이송힘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그 레버(24)의 후단에 결합된 원판형태의 캠(22)이 회동축(18)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그 캠(22)에 끼워져 있던 캠활주베어링(26)이 이탈되면서 상기 캠(22)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편(28) 전체가 반대쪽 레버(24')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잠금편(28)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 캠활주베어링(26')이 상기 레버(24')와 결합된 캠(22')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걸림홈(2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반대쪽 레버(24')의 회동이 방지되어 해당 컨베어(12)상의 하물(34')이 이송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일측 컨베어(14)상의 하물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24)에 인가되는 작용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18)상에 끼워진 복귀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2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바, 이때 레버(24)의 회동은 상기 스톱퍼(32)에 의하여 제한되어 항상 정해진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쪽 컨베어(14)를 따라 이송되는 하물(34')이 일측 컨베어(14)의 하물(34)보다 먼저 해당 컨베어(14)의 상방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레버(24')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유사한 작용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의 하물이송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작업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므로 수리작업성이 양호하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컨베어(12)(14)가 어느 하나의 컨베어(12)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합류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에서 상기 각 컨베어(12)(14)가 합류되는 위치 사이의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상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18)(18')상단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걸림홈(20)(20')이 구비된 원판형태의 캠(22)(22')이 일체로 결합된 레버(24)(24)와; 상기 각 원판형태의 캠(22)(22') 사이에서 그 캠(22)(22')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설치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의 양측면에는 항상 일측 캠(22)(22')의 걸림홈(20)(20')에 끼워지는 캠활주베어링(26)이 설치된 잠금편(28)과; 상기 레버(24)(24')의 회동축(18)(18')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24)(24')가 항상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게 하는 복귀스프링(30)(30')과; 상기 브라켓(16)의 바닥면 소정 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레버(24)(24')의 복귀동작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32)(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KR2019950045529U 1995-12-22 1995-12-22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KR0131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529U KR0131953Y1 (ko) 1995-12-22 1995-12-22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529U KR0131953Y1 (ko) 1995-12-22 1995-12-22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850U KR970038850U (ko) 1997-07-29
KR0131953Y1 true KR0131953Y1 (ko) 1998-12-01

Family

ID=194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529U KR0131953Y1 (ko) 1995-12-22 1995-12-22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9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14B1 (ko) 2016-04-29 2017-03-1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이송물 합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14B1 (ko) 2016-04-29 2017-03-1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이송물 합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85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8418B2 (en) Sorter belt conveyor
US11806761B2 (en)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3782527A (en) Clipped-disc device for right-angle transfer
US7467705B2 (en) Unit for use in automatic container return systems
CA2730914A1 (en) Diverter assembly
JPH03138215A (ja) 物品コンベア
US20220153537A1 (en) Package sorting machine
KR0131953Y1 (ko) 합류 컨베어시스템의 하물이송제어장치
KR200410926Y1 (ko)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KR970061734A (ko) 토트 켄베이어 시스템
JP2001261139A (ja) 直交荷渡しコンベヤに用いる搬送用チェーン
US5207313A (en) Kit for refitting retarding roller
US7114608B2 (en) Directional transition modu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oller-type conveyor
US3517794A (en) Reversible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KR20190047170A (ko) 등속과 배속이 공존하는 수평형 컨베이어 시스템
US3690439A (en) Accumulating conveyor
JP6380451B2 (ja) コンベア装置、および、自動倉庫
BR112019018618B1 (pt) Módulo de transferência de classificação de pacote e sistemas e métodos para o mesmo
JP6646591B2 (ja) 移送システム
KR102344092B1 (ko) 스태커 크레인
JPS6228598Y2 (ko)
JP4463617B2 (ja) 搬送路切換装置
JP4888892B2 (ja) 仕分装置
JP2018111587A (ja) 搬送装置
JPH0725453A (ja) 搬送物の搬送経路転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