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03Y1 - 모드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드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03Y1
KR0131603Y1 KR2019930000468U KR930000468U KR0131603Y1 KR 0131603 Y1 KR0131603 Y1 KR 0131603Y1 KR 2019930000468 U KR2019930000468 U KR 2019930000468U KR 930000468 U KR930000468 U KR 930000468U KR 0131603 Y1 KR0131603 Y1 KR 0131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cable
fixed
bracket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706U (ko
Inventor
김두열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30000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03Y1/ko
Publication of KR940019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7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스와 케이블이 삽입 지지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보스와 인접된 부위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그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후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고정턱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턱이 상기 가이드홈에 지지되어 왕복 이송되도록 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부재가 브라켓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송되는 도중 상기 고정턱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브라켓의 후단부에 마련된 가이드 홈에 의해 고정턱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공기조화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Description

모드 스위치 조립체
제1도는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채용된 자동차의 내부구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드 스위치 조립체 20 : 크래쉬 패드
30 : 브라켓 31 : 지지보스
32 : 손잡이 33 : 지지축
34 : 돌출부 40 : 케이블
50 : 판 스프링 60 : 슬라이딩 부재
61 : 고정턱
본 고안은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기의 송풍 유니트 또는 히이터 유니트등의 내부에 마련된 각 도어를 소정의 모드에 따라 원활히 조절할수 있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내부에 마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송풍 유니트, 히이터 유니트에 마련된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를 각각 소정의 모드에 따라 개폐 시킬수 있도록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마련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10)는, 그 일측면이 크래쉬 패드(20)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30)의 중심부에는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31a)이 형성된 보스부(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보스부(31)의 관통공(31a)으로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는 손잡이(32)가 고정설치된 지지축(33)이 보스부(31)로 부터 돌출 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지지축(33)의 타단부에는 피니언(33a)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30)의 타측에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의 송풍 유니트(미도시) 또는 히이터 유니트(미도시)의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에 그 일측이 결합된 케이블(40)이 삽입지지 되도록 삽입홈(34a)을 가지는 돌출부(3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의 타측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40)의 삽입 방향으로 가이드 홈(30a)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홈(30a)의 바닥면에는 그 중심부위에 돌기(51)가 마련된 판 스프링(5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홈(30a)으로는 그 저면에 상기 가이드 홈(30a)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60a)이 마련된 슬라이딩 부재(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33)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33a)과 이 맞물림 되는 랙크(60b)가 형성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4)의 삽입홈(34a)에 삽입된 케이블(40)의 타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고정구멍(61a)이 형성된 고정턱(6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30)의 가이드 홈(30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스프링(50)의 돌기(51)가 선택적으로 삽입 될수 있도록 그 폭방향으로 다수의 요홈(60c)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10)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를 통해 차실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토출 시키고자 할경우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32)를 소정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서는 상기 손잡이(32)에 그 일단이 고정된 지지축(33)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축(33)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33a)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33a)과 이 맞물림 되도록 랙크(60b)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60)가 그 저면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60a)에 의해 상기 브라켓(30)의 가이드 홈(30a)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0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 스프링(50)의 돌기(51)는 각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요홈(60c)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왕복 이송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고정턱(61)에 형성된 고정홈(61a)에 그 타측이 결합된 케이블(4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와 함께 왕복 이송됨으로써 상기 케이블(40)의 일측에 결합된 각 유니트의 전환도어 또는 혼합도어를 소정 모드에 맞게 개폐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블의 타측이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의 고정턱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송도중 비틀림 응력을 받아 유동될 우려가 있다. 이에의해서는 상기 고정턱의 고정홈에 그 타측이 고정된 케이블이 정확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결국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를 정확하게 개폐 시킬수 없어 공기조화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이 고정된 고정턱의 유동을 방지하여 케이블을 정확하게 왕복 이송 시킴으로서 공기조화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스가 마련되고 그 타측 일단부에는 케이블이 삽입 지지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보스와 인접된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의 관통공에 돌출 되도록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그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이 그 저면에 마련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후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고정턱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턱이 상기 가이드홈에 지지되어 왕복 이송되도록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된 슬라이딩 부재의 고정턱이 브라켓의 가이드홈에 지지된채 왕복 이송되는 것이어서 이송도중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10)는, 그 일측면이 크래쉬 패드(20)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30)의 중심부에는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31a)이 형성된 보스부(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보스부(31)의 관통공(31a)으로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는 손잡이(32)가 고정설치된 지지축(33)이 보스부(31)로 부터 돌출 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지지축(33)의 타단부에는 피니언(33a)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30)의 타측에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의 송풍 유니트(미도시) 또는 히이터 유니트(미도시)의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에 그 일측이 결합된 케이블(40)이 삽입지지 되도록 삽입홈(34a)을 가지는 돌출부(3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의 타측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40)의 삽입 방향으로 가이드 홈(30a)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홈(30a)의 바닥면에는 그 중심부위에 돌기(51)가 마련된 판 스프링(5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홈(30a)으로는 그 저면에 상기 가이드 홈(30a)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60a)이 마련된 슬라이딩 부재(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33)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33a)과 이 맞물림 되는 랙크(60b)가 형성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4)의 삽입홈(34a)에 삽입된 케이블(40)의 타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고정구멍(61a)이 형성된 고정턱(6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30)의 가이드 홈(30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스프링(50)의 돌기(51)가 선택적으로 삽입 될수 있도록 그 폭방향으로 다수의 요홈(60c)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40)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고정턱(61)의 일측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가이드 레일(61b)이 마련되며, 이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브라켓(30)의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61b)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30b)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10)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를 통해 차실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토출 시키고자 할경우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32)를 소정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서는 상기 손잡이(32)에 그 일단이 고정된 지지축(33)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축(33)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33a)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33a)과 이 맞물림 되도록 랙크(60b)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60)가 그 저면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60a)에 의해 상기 브라켓(30)의 가이드 홈(30a)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브라켓(3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0b)으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고정턱(61)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61b)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고정턱(61)이 상기 가이드 홈(30b)에 지지된채 이송된다. 즉, 상기 고정턱(61)에는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0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 스프링(50)의 돌기(51)는 각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요홈(60c)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왕복 이송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고정턱(61)에 형성된 고정홈(61a)에 그 타측이 결합된 케이블(4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와 함께 왕복 이송됨으로써 상기 케이블(40)의 일측에 결합된 각 유니트의 전환도어 또는 혼합도어를 소정 모드에 맞게 개폐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브라켓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송되는 도중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이 타단이 고정된 고정턱에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상기 고정턱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브라켓의 후단부에 마련된 가이드 홈에 의해 고정턱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공기조화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Claims (1)

  1. 그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스가 마련되고 그 타측 일단부에는 케이블이 삽입 지지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보스와 인접된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의 관통공에 돌출 되도록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그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이 그 저면에 마련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의 후단부에는 상기 케이블(40)의 삽입방향으로 가이드 홈(30b)이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고정턱(61)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30b)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61b)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턱(61)이 상기 가이드홈(30b)에 지지되어 왕복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19930000468U 1993-01-14 1993-01-14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0131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468U KR0131603Y1 (ko) 1993-01-14 1993-01-14 모드 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468U KR0131603Y1 (ko) 1993-01-14 1993-01-14 모드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06U KR940019706U (ko) 1994-08-22
KR0131603Y1 true KR0131603Y1 (ko) 1998-12-15

Family

ID=1934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468U KR0131603Y1 (ko) 1993-01-14 1993-01-14 모드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06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988B1 (en) Slide door unit for use in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4442632A (en) Window regulato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3683450A (en) Friction door holder
KR0131603Y1 (ko) 모드 스위치 조립체
US4938122A (en) Improved outlet assembly
US4466657A (en) Lifter apparatus for pivotal-sliding roof panel assembly
KR0129782Y1 (ko) 모드스위치 조립체
KR100200655B1 (ko) 모드 스위치
US9523231B2 (en) Attachment assembly and drive unit having same
JP3957930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CN216114629U (zh) 空调室内机的开关门装置及空调室内机
CN216346981U (zh) 导风板的运动机构及室内机
KR940019576A (ko) 계란전송용 버킷장치
JP4083945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940000823A (ko)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CN217357483U (zh) 运动组件驱动盒、空调器
KR20020076717A (ko) 공조유니트의 도어 구동장치의 캠세팅 구조
DE19749067C2 (de) Zusatzhei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0117072Y1 (ko) 쇼케이스의 도어 스토퍼
KR20020072606A (ko) 차량용 공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활주 도어 장치
GB2243867A (en) Window stay-hinge
JPS6233606Y2 (ko)
KR200281028Y1 (ko) 냉장고의핸들베이스조립구조
KR0150718B1 (ko) 냉장고의 팬모터 고정장치
KR980010209A (ko) 공기조화기용 개폐장치의 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