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53Y1 - 가스이물질거름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이물질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53Y1
KR0130953Y1 KR2019950051448U KR19950051448U KR0130953Y1 KR 0130953 Y1 KR0130953 Y1 KR 0130953Y1 KR 2019950051448 U KR2019950051448 U KR 2019950051448U KR 19950051448 U KR19950051448 U KR 19950051448U KR 0130953 Y1 KR0130953 Y1 KR 0130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oreign matter
blocking
foreign
filt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209U (ko
Inventor
윤필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51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53Y1/ko
Publication of KR970027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magne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이물질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물질 거름장치는 필터본체, 필터지지구, 가이드부재 및 스프링 등의 다수부품으로 구성되어 매우 복잡하며, 필터본체의 미세한 구멍보다 큰 가스중의 미세한 모래나 흙 그리고 금속성 칩 등을 단순히 걸러주므로 필터본체의 구멍을 통과하는 입자(특히 금속성 칩)를 제대로 거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의 입수구(310)와 토출구(320)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400)에 의해 2개의 관통통(510,520)으로 분할된 체결부(500)를 갖는 연결관(300); 상기 연결관(300)의 차단부(400) 하단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일반적인 이물질을 걸러주는 다공체의 거름망(700); 상기 거름망(700)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500)에 나사결합되며 가스중의 자성을 갖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자력부(600);로 구성되어 연결관을 흐르는 가스중에 함유하는 자성체의 이물질은 물론 모래 및 흙 등을 확실하게 거르는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가스이물질거름장치
본 고안은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어 순수한 가스만이 공급되고 이물질에 의한 각 부품의 손상방지 및 연소효율을 높여 줄 수 있도록 한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는 가스렌지나 오븐렌지 등과 같은 각종 가스기기에 이용되는 것으로 음식물의 가열 및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스기기는 가스저장용기로부터 공급호오스를 통해 가스기기의 유입관으로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공급된 가스는 여타의 다른 부품을 통해 최종적으로 점화버너에서 점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스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가스중에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이물질이 가스와 함께 공급되면 가스기기의 부품에 걸려 부품손상의 주요원인이 되었고 부품에 걸리지 않고 점화버너에서 가스와 함께 연소되더라도 가스의 충분한 공급이 곤란한여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가스기기에는 가스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 연소효율의 향상과 가스기기의 수면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물질 거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물질 거름장치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고 실개소 51-3176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가스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일정한 유로가 형성된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일반적인 이물질을 거르는 원통형의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 단부를 지지하는 필터지지구와, 유로관 내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두배와, 상기 필터지지구를 출구측으로 밀어 필터본체를 밀착시키도록 입구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물질 거름장치는 필터본체, 필터지지구, 가이드부재 및 스프링 등의 다수부품으로 구성되어 매우 복잡하며, 필터본체의 미세한 구멍보다 큰 가스중의 미세한 구멍보다 큰 가스중의 미세한 모래나 흙 그리고 금속성 칩 등을 단순히 걸러주므로 필터 본체의 구멍을 통과하는 입자(특히 금속성 칩)를 제대로 거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연결관을 흐르는 가스중에 함유하는 자성체의 이물질을 거름과 아울러 모래 및 흙 등을 확실하게 거를 수 있으므로 순수한 가스만을 점화버너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연소효율의 향상과 가스기기의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양측의 입수구와 토출구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에 의해 2개의 관통통으로 분할된 체결부를 갖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차단부 하단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일반적인 이물질을 걸러주는 다공체의 거름망; 상기 거름망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에 나사결합되며 가스중에 함유하는 자성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자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연결관 310 : 입수구
320 : 토출구 400 : 차단부
500 : 체결부 510,520 : 관통공
600 : 자력부 700 : 거름망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300)은 가스통과 연결된 공급호오스(200)와 가스기기의 유입관(210)을 연결하는 관이며, 그 양측의 입수구(310)과 토출구(320)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4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400)에 의해 2개의 관통통(510,520)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연결관(300)의 전체적인 형상이 티이형(Tee Type)을 이루도록 외주면에 나사를 갖는 체결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300)의 차단부(400) 하단에는 일반적인 이물질을 걸러주는 다공체의 거름망(700)이 상기 차단부(400)의 하단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00)의 체결부(500)에는 가스중의 자성체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거름망(700)의 외주면 일부와 하면을 감싸는 자력부(60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력부(600)는 거름망(700)을 감싸는 내주면 부분만을 영구자석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 가스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자력부(600)의 내주면에 그 축방향으로 길다란 다수의 요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는 공급호오스(200)를 통해 연결관(300)의 입수구(310)로 유입되고 상기 연결관(300)의 차단부(400)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500)을 통해 거름망(700)으로 안내되어 거름망(700)을 통과한다. 이렇게 거름망(700)을 통과한 가스는 연결관(300)의 토출구(320)와 유입관(210)을 통해 가스기기의 점화버너로 공급되어 연소되게 된다.
이와같이 거름망(700)의 자력부(600)를 통과하는 동안 가스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력부(600)는 가스중에 함유하는 자성체의 이물질을 거르고 거름망(700)은 모래 및 흙 등을 확실하게 거르므로 순수한 가스만을 점화버너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이물질 거름장치는 거름망에 의해 일반적인 이물질만을 거르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연결관을 흐르는 가스중에 함유하는 자성체의 이물질은 물론 모래 및 흙 등을 확실하게 거르므로 순수한 가스만을 점화버너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연소효율의 향상과 가스기기의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의 입수구(310)와 토출구(320)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400)에 의해 2개의 관통통(510,520)으로 분할된 체결부(500)를 갖는 연결관(300); 상기 연결관(300)의 차단부(400) 하단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일반적인 이물질 걸러주는 다공체의 거름망(700); 상기 거름망(700)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500)에 나사결합되며 가스중의 자성을 갖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자력부(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이물질 거름장치.
KR2019950051448U 1995-12-29 1995-12-29 가스이물질거름장치 KR0130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448U KR0130953Y1 (ko) 1995-12-29 1995-12-29 가스이물질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448U KR0130953Y1 (ko) 1995-12-29 1995-12-29 가스이물질거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209U KR970027209U (ko) 1997-07-24
KR0130953Y1 true KR0130953Y1 (ko) 1998-12-15

Family

ID=1944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448U KR0130953Y1 (ko) 1995-12-29 1995-12-29 가스이물질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209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61542B (ko)
KR970702433A (ko) 연료레일에 장착된 개별 필터(discrete filter mounted in fuel rail)
DE60228880D1 (en) Axialentnebelungszyklon
IL111162A0 (en) Filtering device utilizable with gas monitors
PL173845B1 (pl) Filtr olejowy zwłaszcza do silników spalinowych
EP1434639A4 (en) TRANSMISSION FLUID FILTER ASSEMBLY
EP0861671A3 (en) Gas treatment devices
KR900015788A (ko) 오일필터
KR920002201A (ko) 배기가스필터(An exhaust gas filter)
KR0130953Y1 (ko) 가스이물질거름장치
CA2277795A1 (en) A fuel conditioning assembly
WO2007037623A1 (en) Industrial air cleaner
AR007236A1 (es) Aparato eductor
NZ505805A (en) Absober having a low pressure drop inlet in a transition structure positioned between a lower large tank section and an upper small diameter absorber section
CA2055429A1 (en) Multi-stage vortex reactor
KR20060098484A (ko) 연료절감기
CA2315789A1 (en) Screening device
KR200160025Y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2462213B1 (ko) 폐 가스 처리 연소기용 히터
KR100531918B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 시스템
KR0143687B1 (ko) 로터리 히터의 불순물제거장치
KR200146927Y1 (ko) 원적외선 바이오수기
KR950001885Y1 (ko) 보일러용 소음방지구
KR20230018013A (ko) 대형 트럭용 에어클리너
SE8903147D0 (sv) Vattenutloppsarma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