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54Y1 -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 Google Patents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54Y1
KR0130854Y1 KR2019950038503U KR19950038503U KR0130854Y1 KR 0130854 Y1 KR0130854 Y1 KR 0130854Y1 KR 2019950038503 U KR2019950038503 U KR 2019950038503U KR 19950038503 U KR19950038503 U KR 19950038503U KR 0130854 Y1 KR0130854 Y1 KR 0130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afety plate
plate
lithium primary
aluminum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047U (ko
Inventor
안형식
Original Assignee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두칠
Priority to KR2019950038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54Y1/ko
Publication of KR970047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호일 및 링플레이트를 케이스에 의해 고정시키는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링플레이트 상부에 날카로운 절삭단부로 이루어진 호울을 가지는 덮개를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을 제공하여 보다 확실하게 가스의 방출이 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제1도는 종래의 리튬 1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판 2 : 케이스
3 : 링플레이트 4 : 알루미늄 호일
7 : 덮개 8 : 절삭단부
본 고안은 리튬 1차 전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1차 전지의 안전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전기를 축적한 상태에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다른 부품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바, 이는 제 1, 2차 전지로 구분된다.
상기한 제 1차 전지는 재충전이 전지를 통칭하게 되고, 제 2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통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 1차 전지는 통상 망간 전지가 많이 사용되는 바, 이는 이산화망간을 주감극제로 함과 아울러 이를 포함한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제를 양극 작용 물질로 하며, 아연을 음극 작용 물질로 하고, 염화 암모늄 또는 질화아연을 전해액으로 하는 전지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한 망간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킨 리튬/망간 전지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한 리튬/망간 전지는 음극 활성 물질로 금속 리튬을 사용한 것인바, 내부 단락등에 의한 전지내부의 온도상승과 이에 따른 전지 내부압력이 증가하여 이 압력이 제때 방출되지 않을 시 전지를 폭발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리튬 1차 전지에는 안전판을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안전판은 알루미늄 호일과 링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판은 개스킷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개스킷은 캔에 형성된 비딩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호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하여 전지의 캡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 부풀어 오른 알루미늄 호일은 캡에 형성된 침에 의하여 터지게 된다.
이런 원리로 전지의 폭발을 막는 방법은 캡에 형성된 침에 의해 터져야 하는 알루미늄 호일이 잘 터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만에 하나라도 이러한 경우가 생기면 안전에 큰 문제가 생기므로 보다 확실하게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안전판에서 링플레이트의 상부에 중앙 아래쪽으로 날카로운 절삭단부의 호울을 가지는 덮개판을 추가하여 상기 절삭단부에 의하여 부풀어 오른 알루미늄 호일이 터지게 하여 보다 확실하게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알루미늄 호일 및 링플레이트를 케이스에 의해 고정시키는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링플레이트 상부에 날카로운 절삭단부로 이루어진 호울을 가지는 덮개를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을 제공한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극리드선(11)이 용접되어 있는 안전판(1)의 케이스(2)의 하부와 같은 모양의 덮개(7)의 중공부의 단부를 날카롭게 절삭한 후 알루미늄 호일(4)를 잡아주는 링플레이트(3)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캡(13)에 형성되던 종래의 방폭침(12)은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체적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링플레이트(3) 상부에 있는 절삭단부(8)를 가지는 덮개(7)는 종래의 전지에서 캡(13)에 형성된 방폭침(12)에 해당하는 작용을 한다. 즉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수소가스가 개스킷(5)에 고정된 안전판(1)에 의해서 막혀 알루미늄 호일(4)이 부풀어 오를 때, 알루미늄 호일(4)이 상기 절삭단부(8)에 닿아 그 부분의 응력이 증가하게 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절삭단부(8)에 의하여 알루미늄 호일(4)이 찢어 지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내부에 압축된 가스는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지 내부에 압축된 가스의 방출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알루미늄 호일(4) 및 링플레이트(3)를 케이스(2)에 의해 고정시키는 안전판(1)에 있어서, 상기 링플레이트(3) 상부에 날카로운 절삭단부(8)로 이루어진 호울을 가지는 덮개(7)를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KR2019950038503U 1995-12-06 1995-12-06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KR0130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503U KR0130854Y1 (ko) 1995-12-06 1995-12-06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503U KR0130854Y1 (ko) 1995-12-06 1995-12-06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47U KR970047047U (ko) 1997-07-31
KR0130854Y1 true KR0130854Y1 (ko) 1998-12-15

Family

ID=1943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503U KR0130854Y1 (ko) 1995-12-06 1995-12-06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4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5747A1 (en) Safety Structure for a Plastic Battery Case
CN216288669U (zh) 端盖、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US5702840A (en) Vent cap for a lithium battery
JPH07254402A (ja) 密閉形電池
CA2367421A1 (en)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115714A (ja) 防爆形密閉電池
JP4080131B2 (ja) マンガン乾電池
JP2000285892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0130854Y1 (ko) 리튬 1차 전지용 안전판
KR102331123B1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의 캡 어셈블리
JP5593285B2 (ja) 二次電池
KR20000051638A (ko) 이차전지
KR0136121Y1 (ko) 전지의 방폭침 구조
JPH073756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安全弁
JPH02117063A (ja) 筒形アルカリ電池
JPH097572A (ja) 筒型アルカリ電池
JP2003051293A (ja) コイン形電池
KR0136122Y1 (ko) 유기 전해질 전지의 방폭침 구조
JPH05159762A (ja) 防爆型二次電池
JPH0883600A (ja) 二次電池用安全装置および安全装置付き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S6035171Y2 (ja) アルカリ電池
US3861964A (en) Battery construction capable of safely venting internal pressure
JPH0615400Y2 (ja) 防爆型電池
US20230291066A1 (en) Cell tab with an integrated rupture valve for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comprising said cell tab
KR100739981B1 (ko)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