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97Y1 -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97Y1
KR0130797Y1 KR2019950009059U KR19950009059U KR0130797Y1 KR 0130797 Y1 KR0130797 Y1 KR 0130797Y1 KR 2019950009059 U KR2019950009059 U KR 2019950009059U KR 19950009059 U KR19950009059 U KR 19950009059U KR 0130797 Y1 KR0130797 Y1 KR 0130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an
top cover
discharge hole
washing machin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629U (ko
Inventor
이철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09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97Y1/ko
Publication of KR960034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의 내면 양쪽에 지지편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탑커버와; 송풍팬이 내장 가능하도록 배출구멍이 끼워지는 관을 가지며, 관의 양쪽 측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편이 지지편의 끝에 걸림유지되는 머리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고, 관의 전면에는 탑커버의 외면에 지지되어 배출구멍을 가려주는 전판이 다수의 배출구멍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탑커버의 배출구멍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을 끼워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송풍팬의 점검 및 수리 작럽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톱커버
26 : 배출구멍 28 : 지지편
44 : 회로기판 50 : 케이싱
52 : 관 56 : 걸림편
58 : 전판 70 : 송풍팬
본 고안은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을 설치하기 위한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water flow)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이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세탁조가 설치되며, 캐비닛의 상부에는 탑커버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기에서 건조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면, 탑커버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등과 같은 건조수단의 가동에 의해 고온의 열풍을 세탁조 내로 송풍시켜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세탁조 내로 송풍되어 세탁물을 건조시켜 준 열풍은 세탁조의 상부로 상승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배출되는 열풍중 일부가 탑커버의 전방에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쪽으로 배출되면서 컨트롤 패널의 회로기판이 열화되거나 열풍 속에 포함된 습기 등에 의해 컨트롤 패널의 회로기판이 손상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열풍에 의한 회로기판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탑커버의 한쪽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켜 회로기판쪽으로 송풍시키고 있었다.
탑커버의 한쪽에 송풍팬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탑커버에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이 관통구멍에 송풍팬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송풍팬을 탑커버에 고정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팬을 나사의 체결에 의해 탑커버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송풍팬이 탑커버의 내면에 위치되도록 체결시켜야 하므로, 체결공간이 좁아지는 등 체결작업이 곤란해져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송풍팬의 이상 및 고장이 발생되어 이것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해서는 캐비닛과 탑커버를 분리한 후 송풍팬의 점검 및 수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송풍팬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팬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조립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열풍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의 내면 양쪽에 지지편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탑커버와; 송풍팬이 내장 가능하도록 배출구멍이 끼워지는 관을 가지며, 관의 양쪽 측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편이 지지편의 끝에 걸림유지되는 머리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고, 관의 전면에는 탑커버의 외면에 지지되어 배출구멍을 가려주는 전판이 다수의 배출구멍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탑커버(20)가 조립되고, 탑커버(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저수조의 내부에 세탁물 등을 넣을 수 있는 입구(22)가 형성되며, 탑커버(20)의 입구(22)는 도어(30)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커버(20)의 전방에 컨트롤 패널(30)이 설치되고, 컨트롤 패널(40)의 전면에는 건조세탁기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42)들이 장착되며, 컨트롤 패널(40)의 배면에는 탑커버(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44)이 장착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커버(20)의 한쪽 측면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멍(24)이 형성되고, 탑커버(20)의 다른쪽 측면에는 유입구멍(24)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구멍(26)이 형성된다.
배출구멍(26)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구멍(24)과 배출구멍(26)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구멍(26)의 내면 양쪽에는 지지편(38)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
한편, 탑커버(20)의 배출구멍(26)에는 케이싱(5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싱(50)은 배출구멍(26)에 끼워지는 관(52)을 가지며, 관(52)에는 유로(54)가 형성된다. 관(52)의 양쪽 측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걸림편(56)이 절제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걸림편(56)은 지지편(28)의 끝에 걸림유지되는 머리(56a)를 갖는다. 관(52)의 전면에는 탑커버(20)의 외면에 지지되어 배출구멍(26)을 가려주는 전판(58)이 형성되며, 전판(58)에는 다수의 배출구멍(60)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52)의 유로(54)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회로기판(44)쪽으로 송풍시킬 수 있는 송풍팬(70)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52)의 유로(54)에 송풍팬(70)을 설치시키고, 탑커버(20)의 외측에서 관(52)을 배출구멍(26)에 끼우게 되면, 관(52)의 외면이 지지편(38)에 지지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탑커버(20)의 배출구멍(26)에 케이싱(50)의 관(52)을 끼울 때 걸림편(56)의 머리(56a)이 지지편(38)의 내면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되며, 배출구멍(26)에 관(52)이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걸림편(56)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지지편(28)의 끝에 머리(56a)가 견고하게 걸림유지된다. 즉, 지지편(28)의 내면에 지지되었던 걸림편(56)의 머리(56a)가 지지편(38)의 끝과 일치될 때 탄성변형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편(56)의 끝과 머리(56a)가 걸림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탑커버(20)의 배출구멍(26)에 케이싱(50)의 관(52)을 끼우는 것에 의해 탑커버(20)와 케이싱(50)의 조립이 가능해지므로, 조립이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된다.
한편, 건조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세탁, 즉 탈수가 완료된 후 도시하지 않은 히터 등과 같은 건조수단이 가동되어 고온의 열풍이 세탁조 내로 송풍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이 수행되며, 세탁조 내로 송풍되어 세탁물을 건조시켜 준 열풍은 세탁조의 상부로 상승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건조수단의 가동에 의해 건조 행정이 수행될 때 송풍팬(70)이 함께 구동된다. 이 송풍팬(70)의 구동에 의해 탑커버(20)의 유입구멍(24)을 통하여 차가운 외부 공기가 강제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는 회로기판(44)쪽으로 부는 열풍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면서 케이싱(50)의 유로(54)와 배출구멍(60)들을 통하여 탑커버(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송풍팬(70)의 구동에 의해 강제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로 인하여 열풍이 냉각되므로, 회로기판(44)의 열화가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송풍팬(70)의 구동에 의해 열풍이 외부공기와 함께 케이싱(50)의 유로(54)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열풍 속에 포함된 습기에 의해 회로기판(44)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회로기판(44)의 수명이 연장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건조세탁기의 사용도중에 송풍팬(70)의 이상 및 고장이 발생되어 점검 및 수리 작업이 필요한 때에는, 걸림편(56)의 머리(56a)를 지지편(28)의 끝으로 부터 분리시키면서 탑커버(20)의 배출구멍(26)으로부터 케이싱(50)의 관(52)을 빼내게 되면, 탑커버(20)와 케이싱(5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싱(50)의 유로(54)로부터 송풍팬(70)을 분리시키게 되면, 송풍팬(70)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팬(70)을 새것으로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송풍팬(70)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52)의 유로(54)에 송풍팬(70)을 설치하고, 케이싱(50)의 관(52)을 탑커버(20)의 배출구멍(26)에 끼우게 되면 재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에 의하면, 탑커버의 배출구멍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을 끼워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송풍팬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열풍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멍(26)의 내면 양쪽에 지지편(28)이 각각 연장형성되는 탑커버(20)와; 상기 송풍팬(70)이 내장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구멍(26)에 끼워지는 관(52)을 가지며, 상기 관(52)의 양쪽 측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편(56)이 상기 지지편(28)의 끝에 걸림유지되는 머리(56a)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52)의 전면에는 상기 탑커버(20)의 외면에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멍(26)을 가려주는 전판(58)이 다수의 배출구멍(60)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케이싱(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KR2019950009059U 1995-04-29 1995-04-29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KR0130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059U KR0130797Y1 (ko) 1995-04-29 1995-04-29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059U KR0130797Y1 (ko) 1995-04-29 1995-04-29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29U KR960034629U (ko) 1996-11-21
KR0130797Y1 true KR0130797Y1 (ko) 1999-04-15

Family

ID=1941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059U KR0130797Y1 (ko) 1995-04-29 1995-04-29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21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의류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21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29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117B1 (en) Clothing dryer
US6530245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1009885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836658B2 (ja) 洗濯乾燥機
JP5064481B2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20190128487A (ko) 의류 처리 장치
KR0130797Y1 (ko) 건조세탁기의 송풍팬 설치구조
KR20050054201A (ko) 의류건조기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JP478259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45050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33195B1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JP2000093697A (ja) 洗濯乾燥機
KR200225294Y1 (ko) 공기조화기
JP4911041B2 (ja) 乾燥装置
KR100228964B1 (ko) 에어컨 실외기
KR101184454B1 (ko) 드럼세탁기
KR20040020714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KR100296799B1 (ko) 공기조화기
KR200204372Y1 (ko) 냉동기용 저온증발기의 점검문
KR100546612B1 (ko) 드럼 세탁기
KR19980046033U (ko) 냉동싸이클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JP2011167376A (ja) 乾燥装置
KR19990001778U (ko) 세탁기용 콘트롤러 조립공간의 통풍장치
KR200146552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흡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