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53Y1 -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53Y1
KR0130153Y1 KR2019940023226U KR19940023226U KR0130153Y1 KR 0130153 Y1 KR0130153 Y1 KR 0130153Y1 KR 2019940023226 U KR2019940023226 U KR 2019940023226U KR 19940023226 U KR19940023226 U KR 19940023226U KR 0130153 Y1 KR0130153 Y1 KR 0130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se
equipment
emergenc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238U (ko
Inventor
엄이호
Original Assignee
엄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이호 filed Critical 엄이호
Priority to KR201994002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153Y1/ko
Publication of KR960012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비를 긴급히 정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트립와이어를 당겨 전원을 차단하여 설비를 신속히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는 케이스가 수직상태로 결합되어지며, 점검타켓에 의해 스위치를 식별하는 반면, 본 고안 스위치는 케이스를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누수 및 광물질 등의 유입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케이스 상단에 형성한 표시등은 내부접점과 병렬로 연결되어 접점이 차단된 순간 발광되어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위치의 고장유무 및 점검작업의 지연으로 인한 생산중단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가 배열된 컨베이어 라인을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회로도.
제3도는 종래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가 배열된 컨베이어 라인 비상 정지를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이하 스위치라 약설함)
2 : 표시등 3 : 레버
4 : 트립와이어(trip wire) 5 : 상부케이스
6 : 하부케이스 7 : 전선삽입공
8 : 고정대 8' : 볼트결합공
9 : 레버잠금장치 10 : 컨베이어구동용 모터
11 : 전기실제어용 보조릴레이(aux-relay)(이하 보조릴레이라 약설함)
12 : 전선 101 : 종래의 스위치
102 : 점검타켓 103 : 케이스
104 : 레버 105 : 트립와이어
106 : 전선삽입공
본 고안은 대형 및 고속의 자동화설비 등을 긴급히 정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철원료설비, 항만하역설비, 시멘트이송설비 및 각종 컨베이어 라인(conveyor line)의 측부에 트립와이어(trip wire)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어 설비의 결함에 의한 이상동작시나, 작업자의 불완전한 행동에 의한 각종사고시 트립와이어를 잡아당기므로써 전원을 차단하여 설비를 신속히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비상 설비정지를 위한 스위치(101)의 구성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과 우측, 두개의 케이스(103)가 수직상태로 결합되며, 점검타켓(102)이 레버(104)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레버(104)는 미도시된 락커에 의해 누워있다가 레버(104)가 트립와이어(105)에 의해 당겨지는 순간, 스위치 내부의 접점이 차단됨과 동시에 락커가 풀리게 되어 점검타켓(102)이 일어서게 되므로 나중에 스위치 점검자가 차단된 스위치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스위치(10)는 수십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비상 설비정지라인을 이루는데, 이때 설비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컨베이어라인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스위치(101)는 컨베이어라인의 측부에 컨베이어라인과 평행되게 레버(104)가 트랩와이어(105)에 의해 결속된 상태로 일렬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된 전선삽입공(106)에는 전선이 컨베이어밸브를 구동하는 모터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설비의 운전중에 현장에서 설비의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설비의 운전중에 현장에서 설비의 고장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가장 먼저 발견한 작업자가 근접한 위치의 트립와이어를 잡아당기게 되고, 따라서 레버가 접혀지면서 스위치내부의 접점은 떨어지고 전기실 제어용 보조릴레이는 복귀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이때 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짐과 동시에 점검타켓은 일어서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스위치는 두개의 케이스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몸체를 이루므로 누수와 철광석 및 석회석분말 등의 침투가 용이하여 습기와 광석의 고착에 의한 스위치 내부 접점의 오동작, 접촉불량등의 고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내부 접점의 접촉불량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설비가 정치하게 되는데, 이의 원인이 접점이 끊긴 스위치를 찾고자 할때 이 경우에는 점건타켓이 일어서 있지 않으므로 수십개나 되는 스위치를 테스터기로 접점상태를 일일히 확인하여 하는 번거로움과 엄청난 점검시간이 소요되므로 그동안의 생산활동은 정지되어 큰 손실을 입게된다. 또한 고장나지 않은 스위치 역시 긴급한 상황때문에 차단시켰던 스위치를 원상복구시키기 위해 점검자들이 찾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점검타켓이 일어서 있다하더라도 스위치 하나하나의 거리가 몇십미터씩 떨어져 있으므로 작은 점검타켓을 육안으로 구별하기란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특히 야간에는 식별이 더욱어려워 장시간의 점검작압을 필요로 하므로 역시 지연되는 시간만큼 생산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폐단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처럼 누수등에 의한 고장우려가 큰 단점과 차단된 스위치의 위치확인이 곤란하다는 단점과 고장시 일일히 내부 접점을 테스터기로 확인하여야만 하는 단점을 가지는 종래의 스위치를 상당부분 개선한 것으로, 스위치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를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누수 및 광물질 등의 유입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케이스 상단에 형성한 표시등에 의해 멀리있거나 야간일지라도 차단된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스위치의 내부접점이 고장에 의해 차단되었다 하더라도 스위치 접점이 차단된 순간 본 고안 스위치는 표시등이 발광되어지므로 곧바로 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설비의 정지에 의한 작업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의 사시도로써 상기 스위치(1)의 구성은 상부케이스(5)와 하부케이스(6)가 수평으로 결합되어 몸체를 이루며, 케이스(5,6) 중앙부에는 스위치(1) 내부접점을 on, off시킬 수 있는 레버(3)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레버(3)는 트립와이어(4)에 의해 양쪽이 결속된 상태로 설비의 측부에 일렬로 배치되어지게 되는데, 트립와이어(4)의 당김에 의해 일단 젖혀진 레버(3)는 레버잠금장치(9)에 의해 점검자가 일으켜 세우지 않는 한 의도하지 않은 힘에 의해 다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스위치(1)의 상부케이스(5)의 상단에는 표시등(2)이 형성되는데 상기 표시등(2)은 스위치(1) 양측에 천공된 전선삽입공(7)에 삽설되는 전선(12)과 병렬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전선(12은 전기실 제어용 보조릴레이(11)에 직렬로 연결되어져 스위치(1) 내부접점이 차단된 경우 발광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작동방법을 컨베이어라인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작업자가 작업중 컨베이어장치의 이상상태나 작업자의 사고발견시 컨베이어라인을 따라 배치된 수십개의 스위치(1)중 하나에 연결된 가장 근접한 트립와이어(4)를 당기게 되면 트립와이어(4)에 결속되어있던 스위치(1)의 레버(3)는 젖혀지게 되고 내부의 접점은 off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1)의 내부접점은 off상태가 되므로 전류는 전선(12)에 병렬로 연결된 표시등(2)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표시등(2)은 자체가 저항이 되어 전선(12)에 흐르는 전압은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모터(1)와 기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릴레이(11)가 복귀되어 모터(10)는 정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표시등(2)의 저항을 조정하여 보조릴레이(11)가 동작될 수 없을 정도의 전압으로 낮추어야 한다. 즉 보조릴레이(11)의 동작전압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격을 가지며, 대개 교류일 경우 사용전압의 80%이상이 입력될 때 동작되며, 직류일 경우는 사용전압의 75%이상이 입력될 때만 동작되고, 그 이하의 전압에서는 보조릴레이(11)가 복귀, 즉 동작되질 않게 되므로 설비에 사용되는 전원이 교류일 경우에는 표시등(2)의 저항을 사용전압의 80%이하가 되도록 조정하고, 직류일 경우에는 사용전압의 75%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효과로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는 수직의 상태로 케이스가 결합되므로 기계등의 진동에 의해 결합상태가 느슨해지기 쉬워 누수의 우려 및 광물질의 침입이 용이하므로 스위치 내부접점의 접촉불량 및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반면, 본 고안 스위치는 케이스가 수평의 상태로 결합되므로 결합상태가 느슨해진다 하더라도 종래의 스위치와 달리 상부케이스가 덮개의 기능을 하게되어 누수가 잘 되지 않고, 스위치 내부점점의 보호가 용이하므로 고장이 적어진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는 점검타켓에 의해 차단된 스위치가 구별되므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야간에는 식별이 어려운 반면, 본 고안 스위치는 표시등이 켜지므로 주야간을 불문하고 식별이 용이하여 설비의 정지시간을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본 고안 스위치는 내부접점에 접촉불량이 생기면 일일히 테스트기로 확인해서 수리해야 하는 종래의 스위치와는 달리, 내부접점이 이물질에 의해 차단이 되면 곧바로 표시등이 발광하게 되어 신속한 고장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 스위치는 스위치점검자들의 식별 및 고장확인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므로 설비의 정지로 인한 생산지연시간은 짧아지게 되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설비의 측부에 트립와이어에 의해 레버가 결속되어 일렬로 설치되며, 상기 레버는 트립와이어의 견인에 의해 내부접점을 차단하도록 하는 종래의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의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5,6) 상단에 설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선(12)과 병렬로 연결되어진 표시등(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의 몸체가 상부케이스(5)와 하부케이스(6)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케이스(5,6)가 수평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가 레버잠금장치(9)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1) 내부접점이 차단된 경우 표시등(2)의 저항에 의해 전기실 제어용 보조릴레이(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5. 제3항 표시등(2)의 저항을 조정함에 있어서 설비에 사용되는 전원이 교류일 경우에는 전기실 제어용 보조릴레이(11)에 걸리는 전압이 사용전압의 80%이하가 되도록 하고, 직류일 경우에는 사용전압의 75%이하가 되도록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KR2019940023226U 1994-09-05 1994-09-05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KR0130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26U KR0130153Y1 (ko) 1994-09-05 1994-09-05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26U KR0130153Y1 (ko) 1994-09-05 1994-09-05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38U KR960012238U (ko) 1996-04-17
KR0130153Y1 true KR0130153Y1 (ko) 1998-12-15

Family

ID=1939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226U KR0130153Y1 (ko) 1994-09-05 1994-09-05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1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993A (ko) * 1999-11-02 2001-06-05 신형인 비상 안전스위치 동작 식별용 led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38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44112B (zh) 电梯门锁回路短接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CN103249663B (zh) 防止短路的电梯保护安全装置
CN107807329A (zh) 一种汽轮机ast电磁阀故障实时监测报警装置及方法
US5874900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power line phase switch
TWM637098U (zh) 三台開關自動切換互鎖模組的改良裝置
CN107182162A (zh) 智能监督灯丝继电器
KR0130153Y1 (ko) 비상 설비정지용 스위치
CN101051609A (zh) 用于离子注入机中的高压保护联锁
CN203535152U (zh) 一种失灵保护外部启动接点隐性缺陷检测装置
CN112599370A (zh) 轨道交通安全联锁装置
CN110107248B (zh) 一种泥浆防喷盒控制装置及其安全控制方法
CN103682999B (zh) 一种开关柜分闸闭锁状态区分系统
CN205303334U (zh) 一种自诊断功能接触器
CN109193583B (zh) 一种内桥接线短引线保护自适应投退的控制电路
CN105927778A (zh) 一种用于核电厂电动隔离阀的控制电路
CN210223831U (zh) 一种电气五防闭锁回路
CN105422178A (zh) 一种隔爆兼本安型局扇电机开关报警总成
TWI812416B (zh) 自動順序跳脫復閉裝置
KR100442326B1 (ko) 자기진단형 안전 계전기
TWI811020B (zh) 一種具備電動操作器斷路器防止誤動作自動閉鎖模組
CN107564745B (zh) 电机类电气设备的检修方法
US20020041230A1 (en) Safety circuit for protecting against inadvertent activation of an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particularly during an installment operation, as well as a procedure for activating the safety circuit
DE19814302A1 (de) Elektro-Hausgerät, insbesondere elektrischer Durchlauferhitzer
CN111665789B (zh) 经济型数控机床门机联动装置及控制方法
TWI843166B (zh) 三台開關自動切換互鎖模組的改良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