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73Y1 -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 Google Patents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73Y1
KR0130073Y1 KR2019950035963U KR19950035963U KR0130073Y1 KR 0130073 Y1 KR0130073 Y1 KR 0130073Y1 KR 2019950035963 U KR2019950035963 U KR 2019950035963U KR 19950035963 U KR19950035963 U KR 19950035963U KR 0130073 Y1 KR0130073 Y1 KR 0130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pan
shaped
grooves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767U (ko
Inventor
박봉열
Original Assignee
박봉열
광건진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열, 광건진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봉열
Priority to KR2019950035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073Y1/ko
Publication of KR970023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목적] 천정판을 매다는 현수보울트와 분리형이면서도 C형 경간의 어느 위치에서나 간편하게 끼우거나 탈거하기 쉽고 또한 C형 경간상에서 보다 안정된 자세를 견지할 수 있는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좌우측에 뒤쪽으로 뻗은 양 날개(11,12)의 상, 하단부에 C형 경간(20)의 상하 날개(21,22)에 끼워지는 걸침홈(13a,b)(14a,b)를 형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10)에 있어서, 두 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걸침홈중에서 일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11)의 상위 걸침홈(13a)과 타측 날개(12)의 하위 걸침홈(14b)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20)측 날개(21,22)간의 높이(h) 이하로 제한하고, 다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과 타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간의 직선거리 C형 경간(20)측 양 날개(21,22)간의 높이(h)보다도 크게 형성하되 C형 경간(20)에 지지구 (10)가 직교되게 끼워졌을 때 일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a)은 C형 경간(20)의 아래쪽 날개(22)를 걸터앉고 타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은 C형 경간(20)의 윗쪽 날깨(21) 밑에 닿아 걸리도록 구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이다.

Description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제1도는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의 용도를 나타낸 천정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일부가 절개된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C형 단면의 경간(이하 C형 경간이라고 한다)에 본지지구를 예비적으로 끼운 상태의 링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5도는 C형 경간에 본 지지구가 완전히 끼워져 바른 자세로 전환된 상태의 일부절개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의 종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구 11,12 : 날개
13a,14a : 상위 걸침홈 13b,14b : 하위 걸침홈
20 : C형 경간 21 : 상위 날개
22 : 하위 날개 W : 날개간의 폭
본 고안은 슬라브에서 내린 경간행거보울트에 매달린 C형 경간에 천정판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현수보울트분리형으로서 C형 경간의 어느 위치에서나 간편하게 끼우거나 탈거하기 쉬우면서도 안정된 자세를 견지할 수 있게 한 천정판용·현수보울트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대비되는 것으로는 우선 본인에 의해 선출원 공고된 실용신안 공보 제91-9568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장봉제로서 클립과 현수보울트가 일체로 된 K자형이고, 클립은 C형 경간의 터진쪽에 위치한 상하 날개 사이로 끼워서 걸치는 것으로 현수보울트가 매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클립 보울트는 클립이 단봉(單捧)이기 때문에 C형 경간에 걸쳐진 상태가 자세적으로 매우 불안정하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는 제6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철판으로 된 소재의 좌우측 부분을 뒤쪽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좌우 동형의 날개(a,a')를 갖고, 양 날개(a,a')의 상, 하단 부분을 종방향으로 타발하여 걸침홈(b,b')을 낸 현수보울트 지지구도 있다.
상하 걸침홈(b,b')은 양 날개(a,a') 모두 상하 수평선상에 놓이고 규모 또한 동일하며, 상하 걸침홈(b,b')의 거리(c)는 C형 경간의 상하에 둔 날개간의 최단거리와 동일하다. 그래서 이 현수보울트 지지구는 C형 경간의 단부쪽에서만 끼울 수 있다.
이같은 현수보울트 지지구는 봉강제K형 클립 보울트와 달리 상, 하부의 지지점이 각각 2개여서 C형 경간에 걸친 자세가 훨씬 안정된다. 반면에 이 현수보울트 지지구는 C형 경간에 끼우는 방법에 제한이 따르다보니 소요수 만큼의 지지구를 미리 끼워서 C형 경간을 가설하고 현수보울트가 있어야 할 곳으로 지지구를 이동시키든가, 아니면 C형 경간을 가설한 후 필요한 수 만큼의 지지구를 차례차례 끼우고 현수보울트가 자리할 곳으로 지지구를 이동시켜야 했기에 그 불편이 너무 컸다.
더구나 전자의 방법대로 C형 경간에 여러 개의 지지구를 한꺼번에 끼우면 전체무게가 더나가 이후 슬리브에 C형 경간을 매달 때 적잖은 노력이 필요해서 퍽 피곤을 겪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판으로 된 소재의 좌우측 부분을 뒤쪽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좌우 동형인 날개를 형성하고, 양 날개의 상, 하단 부분에 종방향으로 걸침홈을 낸 현수보울트 지지구를 C형 경간의 어느 위치에서나 간편하게 끼우고 또는 탈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끼운 뒤의 자세가 보다 확고해질 수 있는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좌우측에 뒤쪽으로 뻗은 양 날개의 상, 하단부에 C형 경간(20)의 상하 날개에 끼워지는 걸침홈을 형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에 있어서, 두 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걸침홈중에서 일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의 상위 걸침홈과 타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측 날개간의 높이 이하로 제한하고, 다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과 타측 날개의 상위 걸침홈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측 양 날개간의 높이 보다도 크게 형성하되 C형 경간에 지지구가 직교되게 끼워졌을 때 일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은 C형 경간의 아래쪽 날개에 걸터앉고 타측 날개의 상위 걸침홈은 C형 경간의 윗쪽 날개밑에 닿아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현수보울트 지지구의 옹도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브(1)에서 늘어진 행거보울트(2)에는 가로경간(3)이 매달려 있고, 가로경간(3) 위에는 세로경간(4)이 걸터앉아 있으며, 현수보울트 지지구(5)는 세로경간(4)에서 터진 쪽에 놓인 상하의 날개(4a,b)를 레일삼아 끼워져 있다. 여기서, 세로경간(4)은 C형 단면을 가지며, 가로경간(3)도 동형의 것일 수 있다.
또, 지지구(10)의 하단에는 현수보울트(5)의 상단이 꿰어져 매달렸고, 현수보울트(5)의 하단에 꿴 클립(6)에는 천정판홀더(7)가 몰려 있고, 천정판홀더(7)에 천정판(8)이 걸려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현수보울트 지지구(1)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일부가 절개된 현수보울트 지지구(10)의 정면도이다. 이들 그림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철판으로 된 소재의 좌우측 부분을 뒤쪽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좌우 동형의 날개(11,12)를 갖고, 양 날개(11,12)의 상,하단 부분 폭의 대략 중앙을 종방향으로 타발한 걸침홈(13a,b)(14a,b)을 가졌다는 점에서 일응 종래의 현수 보울트 지지구와 별로 다를 게 없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구조적으로 분명히 차이점이 있다.
즉, 좌우 날개(11,12)에 형성된 걸침홈(13a,b)(14a,b)에 있어서, 일측 날개 (11)의 상위 걸침홈(13a)과, 이 걸침홈(13a)과는 대각방향에 위치한 타측 날개(12)의 하위 걸침홈(14b)은 종전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고, 일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과, 이 걸침홈(13b)과는 대각방향에 위치한 타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은 종전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걸침홈(13a,b)(14a,b)에 관한 보다 자세한 것은 제3도에 명확히 나타나 있다. 우선 C형 경간(20)의 양 날개(21,22)간 높이(h)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S1)과 지지구(10)의 날개(11,12)간 폭(w)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S2)이 만나는 교차점(o)을 중심으로 하고 이 교차점(o)에서 C형 경간(20)의 날개(21) 또는 (22)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c)을 그린다.
좌측 날개(11)의 상위 걸침홈(13a)과 우측 날개(12)의 하위 걸침홈(14b)은 상기 원(c)의 반경에 들어 있음에 대하여, 좌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과 우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은 상기 원(c)의 반경밖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본 고안의 요체다.
제4도에서 보듯이, 좌측 날개(11)가 위를 향하게 지지구(10)를 뉘어서 C형 경간(20)의 양 날개(21,22)사이에 있는 공간(23)으로 들이밀고 지지구(10)를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돌리면서 걸침홈(13a)과 (14b)의 각 외측단을 C형 경간(20)의 날개(21)와 (22)에 맞춘 다음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지지구(10)를 돌린다.
그러면 죄측 날개(11)의 상위 걸침홈(13a)은 C형 경간(20)의 상위 날개(21)에, 또 우측 날개(12)의 하위 걸침홈(14b)은 C형 경간(20)의 하위 날개(22)에 각각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지지구(10)를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계속해서 더 돌려서 지지구(10)가 수직자세를 취하게 됐을 적에는 제5도와 같이 좌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의 천정은 C형 경간(20)의 아래쪽 날개(22)위에 걸터앉고 우측 날개(12)측 상위 걸침홈(14a)의 바닥은 C형 경간(20)의 윗쪽 날개(21) 밑에 닿아 윗걸림된다.
이렇게 되면 지지구(10)는 제4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그 이상 틀 수가 없다.
좌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과 우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간의 거리가 상기한 원(c)의 지름, 다시 말해서 C형 경간(20)측 날개(21,22)간 폭보다도 커서 날개(21,22) 사이를 비껴갈 수 없기 때뭄이다.
뿐만 아니라 좌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와 우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은 대각방향에 위치하므로 상하 걸침홈이 단일 수직선상에 위할 때보다 C형 경간(20)상에서 취하는 자세가 훨씬 안정적이다.
C형 경간(20)에 끼워진 지지구(10)를 탈거하려면 지지구(10)를 제4도의 화살표와는 반대쪽으로 틀어서 걸침홈(13a,14b)이 C형 경간(20)의 양 날개(21,22)를 빠져나오게 한 후 공간(23) 앞으로 들어내면 된다. 물론, 깊은 쪽의 걸침홈(13a,14b)이 날개(21,22)를 빠져나오기 전에 얕은 쪽의 걸침홈(13a, 14b)이 먼저 빠져나온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본 고안은 좌우측에 뒷쪽을 보고 뻗은 양 날개의 상, 하단부에 C형 경간의 상하 날개에 끼워지는 걸침홈을 형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에 있어서, 두 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걸침홈중에서 일대각방향에 위치하는 한쪽 날개의 상위 걸침홈과 타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측 날개간의 폭 이하로 제한하고, 다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과 타측 날개의 상위 걸침홈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측 양 날개간의 폭 보다도 크게 형성하되 C형 경간에 지지구를 직교하도록 끼워졌을 때 일측 날개의 하위 걸침홈은 C형 경간의 아래쪽 날개에 걸터앉고 타측 날개의 상위 걸침홈은 C형 경간의 윗쪽 날개 밑에 닿아 걸리도록 구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로서, 천정판을 매다는 현수보울트분리형이면서도 C형 경간의 어느 위치에서나 간편하게 끼우거나 탈거하기 쉽고, 또한 C형 경간에 끼워걸친 지지구의 자세도 훨씬 안정된다.

Claims (1)

  1. 좌우측에 뒤쪽으로 뻗은 양 날개(11,12)의 상, 하단부에 C형 경간(20)의 상하 날개(21,22)에 끼워지는 걸침홈(13a,b)(14a,b)을 형성한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10)에 있어서, 두 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걸침홈중에서 일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11)의 상위 걸침홈(13a)과 타측 날개(12)의 하위 걸침홈(14b)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20)측 날개(21,22)간의 높이(h) 이하로 제한하고, 다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과 타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간의 직선거리는 C형 경간(20)측 양 날개(21,22)간의 높이(h) 보다도 크게 형성하되 C형 경간(20)에 지지구(10)가 직교되게 끼워졌을 때 일측 날개(11)의 하위 걸침홈(13b)은 경간(20)의 아래쪽 날개(22)에 걸터앉고 타측 날개(12)의 상위 걸침홈(14a)은 C형 경간(20)의 윗쪽 날개(21) 밑에 닿아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KR2019950035963U 1995-11-27 1995-11-27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KR0130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963U KR0130073Y1 (ko) 1995-11-27 1995-11-27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963U KR0130073Y1 (ko) 1995-11-27 1995-11-27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767U KR970023767U (ko) 1997-06-20
KR0130073Y1 true KR0130073Y1 (ko) 1998-12-15

Family

ID=1943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963U KR0130073Y1 (ko) 1995-11-27 1995-11-27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0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767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448A (en) Modified suspension assembly for partition panel
CN101184633A (zh) 成对主t形接头夹具
US7083056B2 (en) Wall mounted storage organiser system
CA2097882C (en) Window treatment support device
US4893715A (en) Closet extender
US2852785A (en) Bath tub seat
KR0130073Y1 (ko) 천정판용 현수보울트 지지구
ATE97712T1 (de) Aufhaengeeinrichtung fuer deckenplatten und profilstab fuer eine solche einrichtung.
US2848117A (en) Street decoration support bracket
US47829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cladding from scaffolding
KR200186149Y1 (ko)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CA2108713A1 (en) Method for creating decorative treatment arrangement
US3158914A (en) Drapery heading support
JPS6330787Y2 (ko)
JPH07289416A (ja) カーテンにおける吊り金具取付部の構造およびその縫製方法
JPS6227636Y2 (ko)
CN212197854U (zh) 一种绕线工字轮放置架
CN219709877U (zh) 一种隐藏式衣架衣杆
CN217128701U (zh) 一种吊顶基层结构
KR200343844Y1 (ko) 케이블용 행거
JP3416492B2 (ja) 安全ネット吊り下げ金具
CN206268625U (zh) 一种空调管道吊码
KR20240086307A (ko) 상품 진열용 걸이대
KR200241643Y1 (ko) 벽걸이용 어항 걸이대
JPS6040674Y2 (ja) フロ−トフエンスの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