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883Y1 -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883Y1
KR0129883Y1 KR2019950042533U KR19950042533U KR0129883Y1 KR 0129883 Y1 KR0129883 Y1 KR 0129883Y1 KR 2019950042533 U KR2019950042533 U KR 2019950042533U KR 19950042533 U KR19950042533 U KR 19950042533U KR 0129883 Y1 KR0129883 Y1 KR 0129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ifting
step structure
me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2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367U (ko
Inventor
박식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2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883Y1/ko
Publication of KR970038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승강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승강계단을 가볍고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써 조립작업의 용이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단의 스텝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버스의 승강계단에서 수직부(12A,12B)를 입체형으로 형성된 금속망(13)의 양면에 강화유리섬유(14)를 소정두께로 적층한 소재로 제작하고, 그 상,하단에는 절곡된 결합부(15,16)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제1도는 종래 버스의 승강계단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계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계단 12A,12B : 수직부
13 : 금속망 14 ; 강화유리섬유
15, 16 : 결합부 18 : 스텝부
19 : 보디 스트럭처 20 : 고정수단
본 고안은 버스의 승강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을 가볍게 하여 조립작업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고, 부식에도 강한 특성을 갖도록하여 승강계단에 있어서, 스텝부는 금속재로 형성 시킴으로서 주변 패널들과의 결합에 따른 설계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중량감소 및 부식방지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탑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강계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승강계단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2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버스의 바닥판(1)에 결합되고, 하단은 보디 스트럭처(2)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승강계단(3)의 구성부분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스텝부(4)와, 이 스텝부(4) 사이의 수직부(5)로 구성되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한 승강계단(3)의 스텝부(4)와 수직부(5)가 모두 철판 또는 알루미늄합금이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조립작업시 무거워 취급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부식작용이 빠르게 발생하여 버스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본원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5-42534호는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나, 주변 패널들과 승강계단의 취부 구성이 변경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의 승강계단을 가볍고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써 조립작업의 용이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스텝부는 종래와 같이 금속재로 형성시킴으로서 주변패널들과의 결합에 따른 설계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중량감소 및 부식방지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부만을 입체형으로 형성된 금속망에 합성수지를 적층한 소재로 제작하고, 스텝부는 종래와 같이 금속재로 제작하여 주변 패널들과의 결합에 따른 설계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승강계단의 중량감소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망(13)의 양면에 강화유리섬유(14)를 소정두께로 적층한 소재를 이용한 승강계단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상하단 결합부(15)(16)을 형성하여 금속재로 된 스텝부(18)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여 수직부(12A)가 되도록 한 버스의 승강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승강계단(10)을 구성하는 수직부(12A,12B)를 입체형으로 형성된 금속망(13)의 양면에 강화유리섬유(14)를 소정두께로 적층한 소재로 제작한 것이며, 이 수직부(12)는 그 상,하단에 절곡된 결합부(15,16)를 형성하여 스텝부(18) 또는 보디 스트럭처(19)에 보울트 등의 고정수단(20)으로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승강계단(10)의 대부분을 이루는 수직부(12A,12B)가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승강계단(10)의 전체중량이 감소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조립 작업시 운반하기가 용이하고, 이 수직부(12A,12B)는 금속망(13)이 입체형으로 형성되어 강화유리섬유(14)와의 결합강도가 양호하므로 수직부(12A,12B) 자체의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이 수직부(12A,12B)는 부식이 되지 않는 소재이므로 장시간동안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탭부(18)는 종래와 같이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 패널들과의 결합에 따른 설계변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계단(10)의 수직부(12A)(12B)를 가볍고 견고하며 부식에 강한 소재로 제작하고 스텝부(18)는 금속재로 제작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변 패널들과의 결합에 따른 설계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승강계단의 중량이 가벼워 조립시 취급하기가 용이함과 아울러 승강계단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금속망(13)의 양면에 강화유리섬유(14)를 소정두께로 적층한 소재를 이용한 승강계단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상하단에 결합부(15)(16)을 형성하여 금속재로 된 스텝부(18)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여 수직부(12A)가 되도록 한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KR2019950042533U 1995-12-18 1995-12-18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KR0129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533U KR0129883Y1 (ko) 1995-12-18 1995-12-18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533U KR0129883Y1 (ko) 1995-12-18 1995-12-18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67U KR970038367U (ko) 1997-07-29
KR0129883Y1 true KR0129883Y1 (ko) 1998-12-01

Family

ID=1943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2533U KR0129883Y1 (ko) 1995-12-18 1995-12-18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8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6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4413Y2 (ja) 石材パネルの取付装置
US4819781A (en) Passenger conveyor with unitary balustrade panel support members
CA2699500A1 (en) Step support or plate support for tread units of a conveying device, tread units and conveying device
KR0129883Y1 (ko)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US4285177A (en) Reinforced tread assembly
CN114643841A (zh) 一种掀背门焊接总成及车辆
KR0129882Y1 (ko)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CN216662164U (zh) 内芯结构及电梯门
FI115964B (fi) Itsekantava hissikori
JPS6118691A (ja) エスカレ−タのフレ−ム
CN210827818U (zh) 一种钢结构电梯用快速装配式连廊
KR100209170B1 (ko) 방화도어의 구조
KR0129860Y1 (ko)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CN210502846U (zh) 一种轻量化转向器支架
CN210027588U (zh) 扭力梁安装结构、车身骨架及汽车
CN212535188U (zh) 一种基于装配式建筑的加固组件
KR0129879Y1 (ko) 버스의 승강계단구조
CN208518796U (zh) 一种轻量化重卡空气滤清器支架总成
CN212053228U (zh) 一种轻型抗震预制楼梯
CN219297946U (zh) 一种斜拉桥用加强筋
CN109680926A (zh) 一种组合式建筑模板
KR100471179B1 (ko) 조립식 난간두겁대
CN212427857U (zh) 一种预制装配梁式楼梯及建筑物
CN209585600U (zh) 一种组合式建筑模板
CN206842788U (zh) 一种自带减震降噪的轻量化轿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